KR101857225B1 - 주입기 - Google Patents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25B1
KR101857225B1 KR1020170100275A KR20170100275A KR101857225B1 KR 101857225 B1 KR101857225 B1 KR 101857225B1 KR 1020170100275 A KR1020170100275 A KR 1020170100275A KR 20170100275 A KR20170100275 A KR 20170100275A KR 101857225 B1 KR101857225 B1 KR 10185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unit
storage
discharg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철
Original Assignee
윤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철 filed Critical 윤여철
Priority to KR102017010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85Doors; Closures; Operating, e.g. safety, mechanis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7/00Machines which homogenise the subdivided dough by working other than by kneading
    • A21C7/04Machines which homogenise the subdivided dough by working other than by kneading with moulding c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용기의 내부에 수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는, 내부에 액상의 수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수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저장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부를 폐쇄시키는 폐쇄부, 상기 폐쇄부와 연결되며, 상기 폐쇄부를 승강시켜 상기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입기{IMPREGNATOR}
본 발명은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용기의 내부에 수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성이 낮은 밀가루 등의 반죽물로 빵을 만드는 경우, 다수개의 개별 용기에 반죽물을 각각 담은 다음, 오븐 등으로 가열하여 빵을 만든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빵은 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제과점이나 마트로 유통되어 구매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죽물 주입공정에 의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바가지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저장통 내에 저장되어 있는 반죽물을 개별 용기에 담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347호(2006.07.0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용기의 내부에 수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는, 내부에 액상의 수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수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저장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부를 폐쇄시키는 폐쇄부, 상기 폐쇄부와 연결되며, 상기 폐쇄부를 승강시켜 상기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폐쇄부의 하측에는 수용부 내에 존재하는 수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동안내부, 상기 회동안내부 및 상기 폐쇄부에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폐쇄부가 승강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부는,
상기 회동안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회동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승강력전달부, 상기 승강력전달부의 하측과 연결되고, 승강작동을 통해 상기 승강력전달부를 승강시켜 상기 회동부는 회동시키고 상기 개폐부는 승강시키는 승강력발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쇄부의 상측과 회동부의 일측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폐쇄부와 회동부의 연결홀에 설치되어 상기 폐쇄부를 상기 회동부 상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의 연결홀은 상기 폐쇄부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는,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에서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용기의 내부에 수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에 적용된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에 적용된 승강력 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에 적용된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에 적용된 승강력 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1)는, 액상형태의 수용물을 별도의 용기(50)에 간편한 방식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받침부(10), 저장부(20), 폐쇄부(30), 개폐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물은 밀가루 반죽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물은 밀가루 반죽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종류의 것들도 용기(50)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기(1)의 전체적인 뼈대 역할을 하며, 상기 저장부(20)와 개폐부(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골격체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의 상단에는 상기 저장부(2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13)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용기(50)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13) 및 제2안착부(14)는 각각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13)와 제2안착부(14)와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은 수용물 및 용기(5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 및 강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받침부(10)의 각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받침부(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퀴는 상기 받침부(10)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1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저장부(2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저장부(20)의 내부 빈 공간은 액상의 수용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저면 일측에는 저장된 수용물을 낙하시키는 낙하홀(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의 외면 양측에는 저장부(2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안착부(13)에 형성된 관통홀(13a)을 관통하여 제2안착부(14)에 안착된 용기(50)의 상측에 위치되는 배출부(21)가 상기 낙하홀(20a)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배출부(2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그 직경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2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수용물은 상기 낙하홀(20a)과 배출부(21)를 순차적으로 거쳐 용기(50)의 내부에 주입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21)는 저장부(20)와 별도록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저장부(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30)는 상기 배출부(21)를 폐쇄시켜 상기 저장부(2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수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30)는 상기 저장부(20)의 저장공간에 기립된 형태로 수용되되, 상측 일부분은 상기 저장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40)와 연결된다.
상기 폐쇄부(30)의 하측은 상기 낙하홀(20a)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부(21)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킴에 따라 수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폐쇄부(30) 중 배출부(21)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측 외주연에는 수용부 내에 존재하는 수용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P)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부(30)의 상측에는 상기 개폐부(40)와 연결을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연결편(3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40)는 작업자가 의자 등에 앉은 상태에서 발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폐쇄부(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자가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용기(50)의 내부에 수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동안내부(41), 회동부(42), 회동구동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안내부(41)는 상기 회동부(42)의 상,하 회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1안착부(13)의 상면에 수직 설치되고, 상기 저장부(20)와는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회동안내부(41)는 상기 저장부(20)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측이 상기 저장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안내부(41)는 상기 회동부(42)가 저장부(2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42)는 대략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안내부(4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폐쇄부(30)의 연결편(31)에 결합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회동부(42)의 중앙부분과 상기 회동안내부(41)의 상측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회동부(42)와 회동안내부(41)의 연결홀에 하나의 볼트(B1)를 관통설치 한 다음 볼트(B1)의 외면에 너트(N1)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회동부(42)가 회동안내부(41)에서 시소운동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동부(42)의 연결홀은 상기 볼트(B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42)는 상기 볼트(B1)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상기 폐쇄부(30)를 승강시키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회동부(42)는 볼트(B3)와 너트(N2)를 통해 상기 폐쇄부(30)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부(42)의 일측과 폐쇄부(30)의 연결편(31)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홀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볼트(B2)는 상기 연결편(31)의 연결홀과 회동부(42)의 연결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일부분이 상기 회동부(42)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너트(N2)는 상기 회동부(42)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의 외주연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31)은 상기 회동부(42)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연결편(31)의 연결홀의 직경은 볼트(B2)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폐쇄부(30)는 상기 배출부(21)와 정 중앙부분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42)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시 승강되면서 상기 배출부(21)의 하측 개방된 부분을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회동구동부(43)는 상기 회동부(42)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폐쇄부(30)가 승강되면서 상기 배출부(21)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승강력전달부(431) 및 승강력발생부(432)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력전달부(431)는 상기 승강력발생부(432)에 의해 발생된 승강력을 상기 폐쇄부(30)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안내부(41)와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승강력전달부(431)는 일정한 길이와 단면을 갖는 와이어, 줄, 철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이 상기 회동부(42)의 후측에 결합되는 볼트(B3) 및 너트(N3)를 통해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승강력발생부(43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력전달부(431)의 상측은 상기 회동부(42)와 너트(N3)의 사이에 가압되는 형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볼트(B3)의 외주연에 감기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력발생부(432)는 상기 폐쇄부(30)에 승강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321) 및 상기 하우징(432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4322), 상기 회동부재(4322)가 하 방향으로 회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4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32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단순 안착되거나 또는 앙카 볼트 등의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4322)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4321)의 상측을 덮는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4322)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432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322)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발로 밟았을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트 형태 또는 무늬 형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4322)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승강력전달부(431)의 하측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부재(4322)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볼트(B4) 및 상기 볼트(B4)의 외주연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N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력전달부(431)의 하측 일부분은 상기 너트(N4)의 사이에서 볼트(B4)의 외주연에 감겨 고정되면서 상기 너트(N4)의 사이에 가압고정 될 수 있다.
상기 복귀부(4323)는 상기 회동부재(4322)가 하 방향으로 회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공지의 코일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복귀부(4323)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복귀부(4323)는 하우징(4321)의 내부공간에 수직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하우징(432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회동부재(4322)의 천장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복귀부(4323)는 공지의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4322)가 외력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압축되고, 외력이 해제될 시에는 팽창되면서 상기 회동부재(432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입기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다수개의 빈 용기(50)를 주입기(1) 근처에 준비한 상태에서 의자에 착석한 다음, 제2안착부(14)의 상면에 용기(50)를 안착하되, 상기 용기(50)의 상측 개구된 부분이 상기 배출부(2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회동부재(4322)를 발로 밟아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력전달부(431)가 하강되면서 회동부(42)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복귀부(4323)는 상기 회동부재(4322)가 하 방향으로 회동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회동부(42)의 전측이 상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폐쇄부(30)는 상승되면서 상기 배출부(21)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저장부(20) 내의 수용물이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되어 용기(50)의 내부공간에 주입된다.
상기 용기(50)에 적정량의 수용물이 주입되어 회동부재(4322)에서 발을 떼면 압축 상태의 복귀부(4323)가 원래의 형태로 팽창되면서 상기 회동부재(4322)를 상승 복귀 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폐쇄부(30)는 자중에 의해 회동부(42)와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배출부(21)를 밀폐시켜 저장부(20) 내의 수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기(50)의 내부에 수용물을 주입한 이후에는 제2안착부(14)에서 용기(50)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빈 용기(50)를 제2안착부(14)에 안착한 후, 회동부재(4322)를 통해 폐쇄부(30)를 상승시켜 새로운 용기(50)의 내부에 저장부(20) 내의 수용물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주입기 10 : 받침부
11 : 수직프레 12 : 수평프레임
13 : 제1안착부 13a : 관통홀
14 : 제2안착부 20 : 저장부
20a : 낙하홀 21 : 배출부
22 : 손잡이 30 : 폐쇄부
31 : 연결편 40 : 개폐부
41 : 회동안내부 42 : 회동부
43 : 회동구동부 431 : 승강력전달부
432 : 승강력발생부 4321 : 하우징
4322 : 회동부재 4323 : 복귀부
50 : 용기

Claims (4)

  1. 내부에 액상의 수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수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저장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부를 폐쇄시키는 폐쇄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동안내부, 상기 회동안내부 및 상기 폐쇄부에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폐쇄부가 승강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동부는,
    상기 회동안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회동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승강력전달부,
    상기 승강력전달부의 하측과 연결되고, 승강작동을 통해 상기 승강력전달부를 승강시켜 상기 회동부는 회동시키고 상기 개폐부는 승강시키는 승강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력발생부는,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승강력전달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승강력전달부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발에 가압되어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승강력전달부를 하강시켜 개폐부가 상승되도록 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가 하 방향으로 회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며, 상기 승강력전달부의 하측이 감겨져 고정되는 볼트,
    상기 볼트의 외주연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체결되며, 그 사이에 상기 승강력전달부가 가압고정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는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의 하측에는 수용부 내에 존재하는 수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결합되는 주입기.
  3. 삭제
  4. 삭제
KR1020170100275A 2017-08-08 2017-08-08 주입기 KR10185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75A KR101857225B1 (ko) 2017-08-08 2017-08-08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75A KR101857225B1 (ko) 2017-08-08 2017-08-08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25B1 true KR101857225B1 (ko) 2018-05-11

Family

ID=6218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75A KR101857225B1 (ko) 2017-08-08 2017-08-08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128A (ko) * 2019-09-18 2021-03-26 이승민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347Y1 (ko) * 2006-04-11 2006-07-11 박광웅 밀가루 반죽물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347Y1 (ko) * 2006-04-11 2006-07-11 박광웅 밀가루 반죽물 인출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동주입기(깔때기)-마리하우스 홈페이지 자료, [검색 2017.08.17.] URL(http://www.mariehouse.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487)
크림 주입기, 베이킹몰 홈페이지 자료, [검색 2017.08.05.], (URL: http://www.bakingmall.com/m/product.html?branduid=80093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128A (ko) * 2019-09-18 2021-03-26 이승민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KR102307631B1 (ko) * 2019-09-18 2021-09-30 이승민 위스키 초콜릿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730B2 (en) Ergonomic paint mixer
EP1768772B1 (fr) Dispositif de petrissage, de fermentation lente et de production de levain pateux
JP2000355399A (ja) 液体輸送兼貯蔵容器を空にするための装置
KR101857225B1 (ko) 주입기
US3097763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20190082884A1 (en) Waffle Makers
US2462089A (en) Marshall h
EP3434105A1 (en) Waffle makers
KR102022935B1 (ko) 아이스크림 압출 장치
KR101004019B1 (ko)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
CN109006899B (zh) 面饼自动加工机
CN209047312U (zh) 揉面机
GB2548442A (en) Waffle makers
CN104291044B (zh) 一种变容量垃圾桶
US2013306A (en) Gate
KR101817313B1 (ko) 크림 주입장치
FR2870675A1 (fr) Petrin malaxeur fermenteur de pates viscoelastiques
CN219193068U (zh) 一种酱料存储装置
CN110710881A (zh) 调料添加全自动机器人
CN210630525U (zh) 一种花生米油炸机
CN220221967U (zh) 一种可调节的便利保鲜盒
JPS62171636A (ja) 受け容器又はソーセージ外皮をソーセージ肉で充填する機械
CN213993228U (zh) 烹饪器具
CN215156709U (zh) 一种火锅底料成品存放箱
RU226643U1 (ru) Барабанный смеситель с механизмом открытия крыш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