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076B1 - 스탠드 테이블 - Google Patents

스탠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076B1
KR101856076B1 KR1020160062009A KR20160062009A KR101856076B1 KR 101856076 B1 KR101856076 B1 KR 101856076B1 KR 1020160062009 A KR1020160062009 A KR 1020160062009A KR 20160062009 A KR20160062009 A KR 20160062009A KR 101856076 B1 KR101856076 B1 KR 10185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protruding
bars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971A (ko
Inventor
김백연
Original Assignee
김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백연 filed Critical 김백연
Priority to KR102016006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0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성을 가진 둔부지지용 밴드의 양단을 스탠드 테이블의 본체 프레임에 선회가능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선회바아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성기 한 쌍의 선회바아의 기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선회축을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자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선회축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반경바깥방향으로 뻗은 브래킷의 선단에 제1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로드의 선단을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시키고, 상기 제1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기단을 본체의 프레임에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시키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기립되어 장착된 제2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로드에 테이블 프레임을 장착시키고,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을 선회가능하게 그리고 전후진가능하게 장착시키고, 본체 프레임 하부에 발판 프레임이 전후진가능하게 장착시키고, 본체 프레임의 밑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캐스터들이 구름운동하지 못하도록 스톱퍼 바아를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한 스탠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탠드 테이블{stand table}
본 발명은 스탠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에서 기립자세로 자세변경이 어렵고 기립자제 유지가 어려운 장애인용 스탠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의 신체장애는 다양한 신체부위에 존재하게 있다.
다양한 신체장애 부위들 중 근력이 약하여 앉은 자세에서 기립자세로 자세변경이 어렵고 기립자제 유지가 어려운 장애가 있다.
이러한 신체장애를 가진 장애인을 위한 스탠드 테이블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46998호(이하 '제1문헌'이라함)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4470호(이하 '제2문헌'이라함)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문헌의 스탠드 테이블은 기립자세에 있는 장애인의 등 또는 둔부 그리고 양쪽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25)을 구비하고 있지만, 휠체어에 착좌하고 있는 장애인을 일으켜 세워서 발판(30)에 기립자세로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보조요원이 힘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2문헌의 스탠드 테이블은 기립자세에 있는 장애인의 등 또는 둔부 그리고 양쪽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고, 휠체어에 착좌하고 있는 장애인을 일으켜 세워서 발판에 기립자세로 일으키게 하기 위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상기 개시된 제1 및 제2문헌의 스탠드 테이블은 발판에 장애인을 세우기 위해 장애인을 보조하는 보조요원이 적어도 세명 정도가 필요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장애인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성을 가진 둔부지지용 밴드의 양단을 스탠드 테이블의 본체 프레임에 선회가능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선회바아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성기 한 쌍의 선회바아의 기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선회축을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자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선회축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반경바깥방향으로 뻗은 브래킷의 선단에 제1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로드의 선단을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시키고, 상기 제1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기단을 본체의 프레임에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시키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기립되어 장착된 제2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로드에 테이블 프레임을 장착시키고,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을 선회가능하게 그리고 전후진가능하게 장착시키고, 본체 프레임 하부에 발판 프레임이 전후진가능하게 장착시키고, 본체 프레임의 밑면에 지면과 맞닿는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장착시키고, 본체 프레임의 밑면에 위쪽으로 가압을 받도록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된 복수개의 캐스터들이 평상시에는 지면에서 떨어져 있다가 운반시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스톱퍼 바아로 하여금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를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가 지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톱퍼 바아를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에 대하여 수동으로 선회운동시켜 복수개의 캐스터를 지면에서 띄우면서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지면에 닿게 하고, 등받이 프레임을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서 후진시키고 나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 대하여 위로 선회운동시켜 뒤집은 자세를 취하게 한 후, 상기 제2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가동시켜 상기 테이블 프레임을 위로 상승시켜서 장애인의 기립자세를 갖추기 위한 공간을 확보한 다음, 장애인이 착석하고 있는 휠체어를 상기 본체 프레임 앞으로 이동시키고 발판을 본체 프레임에서 돌출시켜서 상기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의 발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를 보조요원이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에서 분리하여 상기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의 둔부 밑에 깔고 나서,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의 양단을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에 장착한 다음, 상기 제1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가 위쪽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도 위쪽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장애인의 둔부가 위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장애인이 상기 제1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힘에 도움을 받아 상기 발판에 기립자세로 서 있을 수가 있게 되고, 그 다음 등받이 프레임을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 대하여 장애인 머리 위로 해서 아래로 선회운동시켜 펼쳐진 자세를 취하게 하면서 후진시켜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 고정시켜 기립자세를 취하고 있는 장애인의 등부를 지지하게 되어, 보조 요원 한 명만으로도 장애인을 스탠드 테이블에 세울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스탠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탠드 테이블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스탠드 테이블에 구비된 발판, 테이블 및 둔부지지용 밴드가 장애인을 기립자세로 자세변경 전의 스탠드 테이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스탠드 테이블에 구비된 발판, 테이블 및 둔부지지용 밴드가 장애인을 기립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해 자세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스탠드 테이블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도 3 및 도 4에는 스탠드 테이블이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 테이블(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을 안으로 수용하기 위해 전방이 막히고 후방이 개방된 ㄷ자 울타리 형상을 가지며 밑면에 지면과 맞닿는 복수개의 지지돌기(12)가 장착된 본체 프레임(10), 상기 복수개의 지지돌기(12)를 장착하고 있는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에 위쪽으로 가압을 받도록 스프링(13)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하향 누름력을 받지 않으면 지면에 이격되게 되어 있는 복수개의 캐스터(11),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된 바닥 프레임(20), 상기 바닥 프레임(20) 중앙에 기립자세로 탑재된 테이블리프팅실린더(30),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일측에 기단이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운동가능하게 링크결합된 둔부리프팅실린더(40), 상기 바닥 프레임(20)에서 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발판(50), 상기 테이블리프팅실린더(30)의 로드(31)에 장착된 테이블(60), 상기 둔부리프팅실린더(40)의 로드(41)에 일단이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되어 있는 링크(42)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선회축(45), 상기 수평선회축(45)의 양측에 기단이 고정된 한 쌍의 선회바아(46)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둔부지지용 밴드(70), 상기 테이블(60)의 후방양단에 상기 수평선회축(45)의 회전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선을 갖고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관형부(61)에서 상기 관형부(61)의 길이방향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테이블(60)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에서 분리가능하게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에 장착된 채널형상의 등받이부(65),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가 장착된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 위에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를 선회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아래로 누르는 쇄기형 캠편(85)을 구비한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 및 돌출되어 있는 상기 발판(50) 위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장애인의 사타구니(서혜부) 신체부위를 지지하게 암형 사타구니 형상을 가진 쿠션지지부(9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채널형상의 등받이부(65)는 등받이쿠션패드(66)가 전방을 향하여 중앙에 장착된 수평바아(65a), 상기 수평바아(65a)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뻗어서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고서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의 중심축선방향에서 전방으로 떨어져 배치된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에 삽입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바아(65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 각각에는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61a)에는 머리부가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볼트(61b)가 체결되면서 관통되어 상기 돌출바아(65b)와 접촉하여서 상기 돌출바아(65b)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쿠션패드(66)와 마주하고 있는 상기 테이블(60)의 부위에는 가슴받이쿠션패드(67)가 후방을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50)은 장방형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후방변에는 상기 수평바아(65a)와 평행하게 뻗은 수평바아(5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평바아(51)의 앙단에는 상기 수평바아(5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발판(50)의 측변을 에워싸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와 평행하게 뻗은 한 쌍의 돌출바아(5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52)는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과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바닥프레임(20)에 마련된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5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53) 중 어느 하나의 후방단에는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52) 중 상기 관통구멍(54)이 형성된 상기 관형 가이드레일(53)에 삽입되는 돌출바아(52)의 선단에는 상기 발판(50)이 돌출자세에 있을 때 상기 관통구멍(54)과 마주하는 부위에 관통구멍(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54, 55)들에는 머리부가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볼트(56)가 체결되면서 관통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52)가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53)에 대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양변 각각의 양단 위에 기립되어 고정된 한 쌍의 브래킷(8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의 후방 부위에는 보조 요원이 파지에 조력하기 위해 ㄷ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8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는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돌기축(14)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축(14)은 상기 스톱퍼 바아(80)가 선회운동하게 되면, 상기 캠편(85)에 의해 가압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돌기축(14)의 부위에는 이동편(15)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이동편(15)과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13)이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의 절곡부(81)가 수평자세에 있으면, 상기 캠편(85)이 상기 돌기축(14)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편(15)을 위로 가압하여 상기 캐스터(11)가 상기 지지돌기(12)보다 높은 위치로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의 절곡부(81)가 수직자세에 있으면 상기 캠편(85)이 상기 돌기축(14)의 가압하면서 끼이게 되어 상기 이동편(15)이 상기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상기 돌기축(14)도 함께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캐스터(11)가 상기 지지돌기(12) 보다 밑으로 내려가 지면에 닿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탠드 테이블(1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보조요원이 절곡부(82)를 잡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를 상기 본체 프레임(10) 하부에 대하여 수동으로 선회운동시켜 캠편(85)으로 하여금 돌기축(14)의 가압을 해제하여 지면에 닿고 있는 복수개의 캐스터(11)가 상기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돌기(13)가 지면에 닿게 하여서, 상기 스탠드 테이블(100)이 지면에 대하여 이동되지 못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보조요원이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에 체결된 볼트(61b)를 풀림방향으로 돌려서 한 쌍의 돌출바아(65b)에 대한 접촉을 해제하고 나서, 등받이부(65)를 후방으로 당겨서,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 레일(62)에서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가 빠져나오게 한 다음, 상기 등받이부(65)를 위로 선회운동시켜 상기 테이블(60) 위에 상기 등받이부(65)가 적층되게 한다.
그 다음, 테이블리프팅실린더(30)를 가동하여 상기 테이블(60)과 상기 등받이부(65)를 위로 상승시켜서 장애인의 기립자세를 갖추기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그 다음, 상기 보조요원이 상기 수평바아(51)를 당겨서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 레일(53)에 대하여 상기 발판(50)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볼트(53)를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관통구멍(54)과 상기 관통구멍(55)에 상기 볼트(56)가 관통되게 하여 한 쌍의 돌출바아(52)와 상기 발판(50)이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 레일(53)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보조요원이 장애인이 착석하고 있는 휠체어를 상기 돌출된 발판(50) 앞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의 발을 얹어 놓게 한다.
그 다음, 상기 보조요원이 하강된 위치에 있는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46)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70)를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46)에서 분리하여 상기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의 둔부 밑에 깔고 나서,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70)의 양단을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46)에 장착한 다음, 상기 둔부리프팅실린더(40)를 가동하면, 상기 한 쌍의 선회바아(46)가 위쪽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70)도 위쪽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장애인의 둔부가 위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장애인이 상기 둔부리프팅실린더(40)의 힘에 도움을 받아 상기 발판(50)에 기립자세로 자세변경되면서 상기 둔부지지용 밴드(70)에 장애인의 둔부가 지지되어 장애인의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장애인으로 하여금 편안하게 변경된 기립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그 다음 보조요원이 상기 테이블(60)에 적층된 등받이부(65)를 상기 테이블(60)에 대하여 장애인의 머리 위로 해서 아래로 선회운동시켜 펼쳐진 자세를 취하게 하면서 상기 수평바아(65a)를 밀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가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 레일(62)에 삽입되게 한 다음,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에 체결된 볼트(61b)를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에 대한 접촉을 수행하여 상기 등받이부(65)가 상기 테이블(6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면서, 장애인의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장애인의 사타구니 신체부위가 상기 쿠션지지부(90)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있어서,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그리고 안락하게 상기 발판(50)에 기립자세를 취하면서 장시간 동안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탠드 테이블(100)은 보조 요원 한 명만으로도 장애인을 스탠드 테이블에 세울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본체 프레임, 20; 바닥 프레임, 30; 테이블리프팅실린더, 40; 둔부리프링실린더, 50; 발판, 60; 테이블, 70; 둔부지지용 밴드, 80; 스톱퍼 바아

Claims (3)

  1. 삭제
  2. 장애인을 안으로 수용하기 위해 전방이 막히고 후방이 개방된 ㄷ자 울타리 형상을 가지며, 밑면에 복수개의 지지돌기(12)가 장착된 본체 프레임(10),
    상기 복수개의 지지돌기(12)를 장착하고 있는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에 위쪽으로 가압을 받도록 스프링(13)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하향 누름력을 받지 않으면 지면에 이격되게 되어 있는 복수개의 캐스터(11),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된 바닥 프레임(20),
    상기 바닥 프레임(20) 중앙에 기립자세로 탑재된 테이블리프팅실린더(30),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일측에 기단이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운동가능하게 링크결합된 둔부리프팅실린더(40),
    상기 바닥 프레임(20)에서 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발판(50),
    상기 테이블리프팅실린더(30)의 로드(31)에 장착된 테이블(60),
    상기 둔부리프팅실린더(40)의 로드(41)에 일단이 링크핀을 개재하여 링크결합되어 있는 링크(42)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선회축(45),
    상기 수평선회축(45)의 양측에 기단이 고정된 한 쌍의 선회바아(46)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둔부지지용 밴드(70),
    상기 테이블(60)의 후방양단에 상기 수평선회축(45)의 회전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선을 갖고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관형부(61)에서 상기 관형부(61)의 길이방향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테이블(60)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에서 분리가능하게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에 장착된 채널형상의 등받이부(65),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가 장착된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 위에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11)를 선회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아래로 누르는 쇄기형 캠편(85)을 구비한 한 쌍의 스톱퍼 바아(80), 및
    돌출되어 있는 상기 발판(50) 위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장애인의 사타구니 신체부위를 지지하게 암형 사타구니 형상을 가진 쿠션지지부(90)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형상의 등받이부(65)는
    등받이쿠션패드(66)가 전방을 향하여 중앙에 장착된 수평바아(65a),
    상기 수평바아(65a)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뻗어서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고서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의 중심축선방향에서 전방으로 떨어져 배치된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에 삽입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바아(65b)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가 삽입관통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관형부(61) 각각에는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61a)에는 머리부가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볼트(61b)가 체결되면서 관통되어 상기 돌출바아(65b)와 접촉하여서 상기 돌출바아(65b)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쿠션패드(66)와 마주하고 있는 상기 테이블(60)의 부위에는 가슴받이쿠션패드(67)가 후방을 향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50)은 장방형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후방변에는 상기 수평바아(65a)와 평행하게 뻗은 수평바아(5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평바아(51)의 양단에는 상기 수평바아(5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발판(50)의 측변을 에워싸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65b)와 평행하게 뻗은 한 쌍의 돌출바아(5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52)는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62)과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바닥프레임(20)에 마련된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5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53) 중 어느 하나의 후방단에는 내주면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52) 중 상기 관통구멍(54)이 형성된 상기 관형 가이드레일(53)에 삽입되는 돌출바아(52)의 선단에는 상기 발판(50)이 돌출자세에 있을 때 상기 관통구멍(54)과 마주하는 부위에 관통구멍(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54, 55)들에는 머리부가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볼트(56)가 체결되면서 관통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바아(52)가 상기 한 쌍의 관형 가이드레일(53)에 대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테이블.
KR1020160062009A 2016-05-20 2016-05-20 스탠드 테이블 KR10185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09A KR101856076B1 (ko) 2016-05-20 2016-05-20 스탠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09A KR101856076B1 (ko) 2016-05-20 2016-05-20 스탠드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971A KR20170130971A (ko) 2017-11-29
KR101856076B1 true KR101856076B1 (ko) 2018-06-25

Family

ID=6081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09A KR101856076B1 (ko) 2016-05-20 2016-05-20 스탠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2559B (zh) * 2018-10-04 2022-10-11 株式会社富士 辅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303A (ja) * 2002-02-20 2003-08-27 Seahonence Inc 移動台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303A (ja) * 2002-02-20 2003-08-27 Seahonence Inc 移動台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971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554B1 (en) Powered patient lift device
CN106983619B (zh) 一种移乘搬运护理机器人
CN110101330B (zh) 一种具有提升装置的坐便辅助器
JP2008036392A (ja) 介護補助装置
JP5804413B2 (ja) 歩行補助車
US20100148542A1 (en) Multi-purpose chair
EP2258331B1 (de) Einrichtung zum Aufrichten einer Person
JP2008279232A (ja) 移乗装置
US4934725A (en) Portable standing attachment for wheelchairs
JP2014014573A (ja) 移乗機器
KR101856076B1 (ko) 스탠드 테이블
CN210728050U (zh) 一种方便开合的安全坐具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CN111770744B (zh) 移乘装置
KR102027863B1 (ko)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CN209865181U (zh) 一种用于站立康复训练的联动式站立架
KR20160024557A (ko) 양변기용 무동력식 승강장치
JP2011156255A (ja) 移乗器具
JP6082376B2 (ja) 移乗移動装置
CN114072116B (zh) 移乘装置
CN212416302U (zh) 一种坐立两用助步器
JP6052693B1 (ja) 車いす用の座面傾斜角度変更装置及び車いす用の座面傾斜角度変更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車いす
CN214484919U (zh) 下肢活动式单侧支撑型护理设备
JPH069591B2 (ja) 起立補助器
CN207785419U (zh) 上下轮椅助力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0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7

Effective date: 201803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