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65B1 - A Road Sign Device - Google Patents

A Road Sig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65B1
KR101852465B1 KR1020170133991A KR20170133991A KR101852465B1 KR 101852465 B1 KR101852465 B1 KR 101852465B1 KR 1020170133991 A KR1020170133991 A KR 1020170133991A KR 20170133991 A KR20170133991 A KR 20170133991A KR 101852465 B1 KR101852465 B1 KR 10185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upport
panel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2465B9 (en
Inventor
정영화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17013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65B1/en
Publication of KR10185246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65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A roa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lumn portion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inclined to the ground and supported by the grou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xed to the column portion; and a plate-like panel portion on which road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lumn portion is inserted. Each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a different position of the column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installed on the column portion so as to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ad-related information.

Description

복합 기능을 갖는 도로 표시 장치{A Road Sign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ign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본 발명은 도로 안내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2]

종래의 도로 안내 표시판은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에 수직기둥이 설치되고, 그 수직기둥의 상부에는 다수의 수평지지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수평지지대에는 도로의 방향표시 안내나 공지사항 등이 표시된 표시판이 고정밴드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road guide plate, a vertical column is installed in a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on a roa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ar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olum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ike are fixedly installed by a fixing band or a bolt.

그리고 이와 같은 도로 안내 표시판은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진 판재에 고휘도의 반사테이프로서 문자 등을 새겨서 부착시켜 사용하며, 이와 같은 고휘도 반사테이프가 차량 조명에 의해 야간에 반사되어 도로 방향 표시를 하는 것이었다.Such a road guide plate is used by attaching letters or the like to a plat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s a high-luminance reflective tape, and the high-luminance reflective tape is reflected at night by vehicle lighting to display a road direc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 안내 표시판은 자체적인 발광 구조를 갖지 못함으로써 야간에는 효과적인 도로 안내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에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oad guide panel does not have its own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thus can not provide effective road guidance at night.

그리고, 종래의 도로용 안내표시판은 수직기둥에 수평지지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수평지지대에 표시판이 고정밴드에 의해 고정식으로 설치되므로 인하여, 표시판을 수평지지대에 설치하거나 교체할 경우에는 그 작업공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갖는다.In the conventional road guide board, since the horizontal support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 display boar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oard by the fixing band, when the display board is installed or re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Which is not easy.

한국등록특허 제10-0851532호에는 LED가 표시 판넬 내부에 설치된 도로 표시기가 개시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851532 discloses a road indicator provided with an LED in a display panel.

한국등록특허 제10-0851532호Korean Patent No. 10-0851532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도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도로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roa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road related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current position of a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지면에 기울어진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기둥부; 상기 제1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기둥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상기 지지부에는 기둥부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각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기둥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 관련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umn portion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inclined to the ground and supported by the ground; A plurality of support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xed to the pillars;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a width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Wherei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is provided at a different position of the column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provided on the column portion so as to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ad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투명 재질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support.

투명 재질의 지지부에 따르면, 하측의 지지부에 의해 상측의 지지부에 마련된 패널부의 도로 관련 정보가 가려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ad related information of the panel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portion from being hidden by the lower support portion.

그 결과, 사용자는 상측의 지지부에 표시된 도로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위치를 조정할 필요없이 상측의 도로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road-related information on the upper side without having to adjust the current position to check the road-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pper support.

지지부의 투명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본 발명은 지지부의 일단에 광원을 설치하고,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된 패널부를 투명 재질의 도파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transparency of the support portion from being impair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 source at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transparent portion of the panel portion displaying the road-related information.

투명 재질의 패널부에 따르면, 패널부의 일측면을 통해 입사된 빛이 패널부의 타측면을 향해 전파되고, 전파 과정 중 일부 빛이 도로 관련 정보의 표시면을 통해 출력되면서 도로 관련 정보를 밝힐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nsparent panel portion, the light incident through one side of the panel portion is propagat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panel portion, and some light during the propagation process is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surface of the road related information, .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패널부의 일측면을 통해 입사된 빛이 패널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패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unit for preventing light incident through one side of the panel unit from being output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panel unit and preventing the panel unit from being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비교 실시예의 도로 표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비교 실시예의 지지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 실시예의 지지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비교 실시예의 도로 표시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원과 렌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도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도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기둥부(1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indicator of a comparative exampl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 means of a comparative exampl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upport means of a comparative example.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indicator of a comparative exampl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up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ght source and a len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road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pillar portion 110.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부(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upport pa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도로 표시 장치는 기둥부(110), 지지부(130), 패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display apparatus shown in the figure may include a pillar 110, a support 130, and a panel 150.

기둥부(110)는 지면에 기울어진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The post 110 extends along a first direction inclined to the ground, and can be supported on the ground.

기둥부(110)는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된 패널부(150)의 기둥 역할을 수행하며, 기둥 역할에 충실하도록 제1 방향은 지면에 수직하거나 중력 방향에 평행한 것이 좋다.The pillar 110 serves as a pillar of the panel unit 150 on which the road-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first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or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so as to fulfill the role of the pillar.

기둥부(110)는 다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umnar section 1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or a circular cross section.

지지부(130)는 제1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기둥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30 may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fixed to the column portion 110.

패널부(150)는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지지부(13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시인성의 확보를 위해 패널부(1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nel unit 150 may display road related information and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30. In order to ensure visibility, the panel part 15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도로 관련 정보는 도로 방향 표시, 도로명, 지명 등을 나타내는 도형, 문자,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 figure, a letter, and a symbol indicating a road direction indication, a road name, a place name, and the like.

시인성의 개선을 위해 도로 관련 정보는 가능한 클수록 좋다. 크기가 커진 도로 관련 정보로 인해 패널부(150) 역시 커지게 되는데, 패널부(150)는 크기가 커질수록 도로 주변에 부는 바람 등에 취약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e larger the road-related information is, the better. As the size of the panel unit 150 increases, the panel unit 150 may become seriously vulnerable to wind blowing around the road.

일 예로, 기둥부(110)를 튼튼하게 형성한 경우라 하더라도, 패널부(150)의 크기가 크면 바람에 의해 패널부(150)가 휘어지거나 부러져서 정상적으로 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휘어지거나 부러진 패널부(150)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는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post 110 is robustly formed, if the size of the panel unit 150 is large, the panel unit 150 is bent or broken due to wind, so that it can not normally provide road related information. In addition, a safety accident that the pedestrian is injured by the bent or broken panel part 150 may occur.

따라서, 패널부(150)가 설정값 이상의 면적을 갖는 경우 패널부(150)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130)가 추가되는 것이 좋다. 이때, 바람에 강건하도록, 지지부(130)의 폭은 기둥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anel unit 150 has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t value,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support unit 130 for supporting the panel unit 150 is added.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13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ar portion 110 so as to be robust against the wind.

기둥부(11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지지부(130)에는 기둥부(110)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 홀(139)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39)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39)에 삽입되는 기둥부(110) 역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격형으로 형성된 관통 홀(139) 및 기둥부(110)에 따르면, 지지부(130)가 연장되는 방향의 방위가 다각형의 꼭지점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다각형이 팔각형이면, 지지부(130)의 연장 방향은 기둥부(110)를 기준으로 하는 8방위 중 하나가 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30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11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39 through which the column portion 110 is insert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hrough hole 139 may be polygonal. The column 11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9 may also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 orient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130 extends can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vertexes of the polygon according to the through holes 139 and the pillars 110 formed in a multitude of shapes. For example, if the polygon is octagonal,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30 may be one of e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illar 110.

한편, 하나의 기둥부(110)를 통해 많은 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부(130)는 기둥부(11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기둥부(110)가 관통 설치되는 특징으로 인해 각 지지부(130)는 제1 방향 상으로 기둥부(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부(130)는 도로 관련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기둥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ovide a large number of road-related information through one pillar 110, a plurality of supports 130 may be installed on the pillar 110. Due to the feature that the pillar 110 is pierced, each pillar 130 can b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pillar 110 in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each support part 130 may be installed on the pillar 110 so as to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road-related information.

일 예로, 도 1에서 '서구영어마을GEC'이 기재된 패널부(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는 기둥부(110)를 기준으로 우측을 향해 연장되고 있는 반면, '서구청'이 기재된 패널부(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는 '서구영어마을GEC'에 거의 수직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130 supporting the panel portion 150 in which 'Western English Village GEC' is described in FIG. 1 extends toward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olumn portion 110, while the support portion 130 supporting the panel portion 150 ' The support portion 130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150 extends toward the almost vertical direction to the 'Western English Village GEC'.

이와 같이, 기둥부(11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패널부(150)에 대응되는 큰 면적을 갖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부(130)로 인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도로 관련 정보의 시인성이 극도로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30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110 and having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nel portion 150 and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used for the road related A serious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visibility of information is extremely reduced.

도 2는 비교 실시예의 도로 표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비교 실시예의 지지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 실시예의 지지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비교 실시예의 도로 표시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indicator of a comparative example,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 means of a comparative exampl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upport means of a comparative example.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indicator of a comparative example.

도 2의 도로 표시기에는 기둥(11)보다 큰 폭을 갖는 복수의 지지 수단(13), 기둥(11)보다 작은 폭을 갖는 패널(16)이 기둥(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지지 수단(13)의 일면에는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A plurality of supporting means 13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column 11 and a panel 16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column 11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11 Respectively. The road-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13.

살펴보면, 바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작은 면적을 갖는 패널(16)은 별도의 지지 수단(13)에 지지되지 않고 체결 수단(62)을 이용해 기둥(11)에 직접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panel 16 having a small are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lumn 11 by the fastening means 62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separate support means 13 in order to reduce wind damage.

평면상으로 지지 수단(13)에는 기둥 설치 홀(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에 의해 지지 수단(13)이 기둥(11)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 설치 홀(3)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column mounting hole 3 may be formed in the supporting means 13 in a plane.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means 13 from being rotated about the pillar 11 by the wind, the column mounting hole 3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기둥 설치 홀(3)에 대응하여 기둥(11)에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내측 기둥(1)이 마련될 수 있다. 내측 기둥(1)은 기둥(11)의 일부 구간을 형성하며, 지지 수단(13)이 끼워지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The column 11 corresponding to the column installation hole 3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column 1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The inner column 1 forms a part of the column 11 and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when the supporting means 13 is fitted.

다각형 형상의 기둥 설치 홀(3) 및 내측 기둥(1)에 따르면, 바람에 의해 지지 수단(13)이 회동되는 현상을 기구적으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lygonal column mounting hole 3 and the inner column 1, the phenomenon that the supporting means 13 is rotated by the wind can be reliably prevented mechanically.

기둥 설치 홀(3)과 내측 기둥(1)의 단면 형상에 따라, 기둥(11)에 설치된 지지 수단(11)이 가리키는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기둥 설치 홀(3)과 내측 기둥(1)이 8각형으로 형성된 경우, 지지 수단은 8방위 중 하나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만약, 기둥 설치 홀(3) 및 내측 기둥(1)이 6각형이면, 지지 수단은 6방위 중 하나를 향해 연장되도록 기둥(11)에 설치될 수 있다.The direction pointed by the supporting means 11 provided on the column 11 may be restricted depending on the 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mounting hole 3 and the inner column 1. [ For example, when the column mounting hole 3 and the inner column 1 are formed into an octagonal shape, the supporting means may be provided so as to extend toward one of the eight orientations. If the column mounting hole 3 and the inner column 1 are hexagonal, the support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column 11 so as to extend toward one of the six orientations.

야간에 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 수단(13)의 내부에는 LED(2)가 설치될 수 있다. LED(2)의 전력은 지지 수단(13)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9)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지지 수단(13)의 상면에는 낮에 태양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솔라 패널(5)이 설치될 수 있다. 솔라 패널(5)에서 생산된 전기는 배터리(9)에 저장될 수 있다. 기둥(11)에서 지지 수단(1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주변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 센서(8)가 마련될 수 있다. 광 센서(8)에 따르면, 태양광의 유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LED(2)로 제공되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road-related information at night, the LED 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means 13. The power of the LED 2 may be provided from a battery 9 provided inside the support means 13.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13, a solar panel 5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by daylight can be installed. Electricity produced in the solar panel 5 can be stored in the battery 9. [ A light sensor 8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means 13 in the column 11 to detect the amount of light in the periphery. According to the light sensor 8,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provided to the LED 2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nlight.

광 센서(8)가 지지 수단(13)에 가깝게 배치되면, LED(2)의 빛에 의해 광 센서(8)가 오동작할 수 있으므로, 광 센서(8)는 지지 수단(1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 light sensor 8 may be misoperated by the light of the LED 2 when the photosensor 8 is disposed close to the support means 13 so that the photosensor 8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means 13 .

LED(2), 배터리(9), 솔라 패널(5)이 마련된 지지 수단(13)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ans 13 provided with the LED 2, the battery 9 and the solar panel 5 are formed to be opaque.

그런데, 기둥부(11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패널부(150)에 대응되는 큰 면적을 갖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불투명 재질의 지지 수단(13)에 따르면, 하측의 지지 수단(13)에 의해 상측의 지지 수단(13)에 표시된 도로 관련 정보가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aque supporting means 13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110 and having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nel portion 150 and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The road-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pper support means 13 may be blocked by the driver-side driver 13.

보행자의 머리가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 수단(13) 또는 지지부(130)는 보행자의 머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보행자는 지지부(130)를 올려다보게 되며,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하측의 지지 수단(13)에 의해 상측 지지 수단의 도로 관련 정보가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ans 13 or the support portion 130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ad of the pedestrian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head of the pedestrian is hit. As a result, the pedestrian looks up at the support portion 130, and the road-related information of the upper support means is easily blocked by the lower support means 13 depending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일 예로, 도 5에 따르면, 서구청이 표시된 하측 지지 수단에 의해 상측 지지 수단이 가려지고, 현재 위치에서 보행자는 상측 지지 수단에 표시된 원당대로를 파악할 수 없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upper supporting means is covered by the lower supporting means indicated by the western part, and the pedestrian at the present position can not grasp the hallway indicated by the upper supporting means.

상측 지지 수단의 도로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보행자는 현재 위치를 변경해야만 하므로,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또한, 대부분의 도로 표시 장치가 차량이 지나다니는 도로변에 위치하는 점을 고려할 때, 상측 지지 수단을 바라보면서 현재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행동은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The pedestrian must change the current pos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road-related information of the upper support means, so that the driver feels uncomfortable. Also,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oad display devices are located on the road side where the vehicle passes, the behavior of the user who changes the current position while looking at the upper support means may cause a traffic accident.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보행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교통 사고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지부(13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upport pa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pedestrian and prevent a traffic accident.

투명 재질의 지지부(130)에 따르면, 보행자는 하측의 지지부(130)를 관통해서 상측의 지지부(130)에 설치된 패널부(150)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nsparent support 130, the pedestrian can pass through the lower support 130 to identify the panel 150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30.

한편, 투명 재질의 지지부(130) 내에 불투명한 광원(135), 솔라 패널, 배터리 등이 설치되면, 결과적으로 지지부(130)가 다시 불투명해질 수 있다. 지지부(130)가 다시 불투명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솔라 패널, 배터리는 지지부(1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aque light source 135, the solar panel, the battery, or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support part 130, the support part 130 may become opaque again.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portion 130 from becoming opaque again, the solar panel and the battery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130.

일 예로,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발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generation section 170.

발전부(170)는 지지부(130)로부터 이격된 기둥부(110)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솔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솔라 패널은 지지부(130)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므로, 원활하게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ng unit 170 may include a solar panel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lumn 110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unit 130 and generating power using solar light. Since the solar panel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110 is not covered by the support 130,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power generation.

발전부(170)에는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가 발전부(170)에 설치되므로, 솔라 패널 및 배터리에 의해 지지부(130)가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toring the generated electricity. Since th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170, the phenomenon that the support portion 130 becomes opaque by the solar panel and the battery can be surely prevented.

배터리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지지부(130)에 마련된 광원(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불투명한 전선의 노출로 인해 미려한 외관이 훼손되거나 도로 관련 정보가 가려지지 않도록, 배터리는 기둥부(110)와 지지부(130)에 형성된 전도성 투명 패턴을 통해 지지부(130)에 마련된 광원(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ight source 135 provided in the support 130 through a wire (not shown). At this time,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135 (not shown)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130 through the conductive transparent pattern formed on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column part 110 so that the beautiful appearance is damaged or the road related information is not covered by the opaque wire. As shown in FIG.

한편, 지지부(130)의 빛 투과도가 훼손되지 않도록 지지부(130) 내부에 배치된 LED가 배제된 상태이므로, 야간에 패널부(150)를 빛나게 할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Since the LEDs disposed in the support part 130 are excluded to preven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upport part 130 from being dama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nel part 150 is illuminated at night.

일 예로,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지지부(130)의 외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부(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guide portions 131, 132, and 133 installed at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portion 130.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131), 제2 가이드(132) 및 제3 가이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uide 131, a second guide 132, and a third guide 133.

일 예로, 지지부(130)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제1 가이드(131)는 제2 방향 상으로 지지부(13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31)에는 패널부(150)의 일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135)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upport 130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guide 131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13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guide 131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135 for emitting light toward one side of the panel unit 150.

지지부(130)의 일단에 설치된 제1 가이드(131)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131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3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2 방향을 따라 빛을 조사하는 광원(135)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LED로는 패널부(150)의 상하 길이를 모두 커버하기 어려울 수 있다. 패널부(150) 전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135)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35 that emits light along the second direction may include an LED. It may be difficult to cover both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panel unit 150 with a single LED. The light sources 135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entire panel unit 150 is irradiated with light.

제2 가이드(132)는 제1 방향 상으로 제1 가이드(13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132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131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3 가이드(133)는 제1 방향 상으로 제1 가이드(131)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guide 13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131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패널부(150)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가이드부에 설치될 수 있다. 패널부(150)는 일측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제2 방향을 따라 전파시키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재질의 패널부(150)는 일측면으로 입사된 빛을 패널부(150)의 타측면까지 전파시키는 도광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전파 도중에 일부 빛이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된 패널부(150)의 표시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패널부(150)의 표면에는 규칙적인 배열을 따라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nel part 150 may be installed in the guide part i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The panel unit 150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that propagates light incident on one side surface along a second direction. The transparent panel part 150 may function as a light guide plate for propagating the light incident on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panel part 150.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regular arrangement on the surface of the panel unit 150 such that some light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surface of the panel unit 150 on which the road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during the propagation.

지지부(130)에 설치되는 패널부(150)의 배면은 지지부(130)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한 패널부(150)의 부양 또는 들림, 자중에 의한 패널부(150)의 낙하, 표시면 측을 향해 지지부(130)로부터 이탈되려는 패널부(150)를 저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면, 패널부(150)를 지지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back surface of the panel unit 150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130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30. Therefore, the panel unit 150 is lifted or lifted by the wind, the panel unit 150 is dropped by itself, and the means for blocking the panel unit 150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unit 130 toward the display surface side The panel unit 150 can be fixed to the support unit 130.

일 예로, 제2 가이드(132)는 패널부(150)의 상측면을 덮으며, 패널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L'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32)는 패널부(150)가 지지부(130)로부터 위로 부양되거나 들리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132 may be formed in an 'L' cross-sectional shape that covers an upper side of the panel unit 150 and prevents the panel unit 150 from being separated. The second guide 132 can physically prevent the panel part 150 from lifting or lifting up from the support part 130. [

제3 가이드(133)는 패널부(150)의 하측면을 덮으며 패널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하는 'L'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133)는 패널부(150)가 지지부(130)로부터 아래로 낙하라녀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The third guide 133 may be formed in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at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unit 150 and prevents the panel unit 150 from being separated. The third guide 133 can physically prevent the phenomenon of the panel portion 150 falling down from the support portion 130.

또한, 'L' 단면 형상의 제2 가이드(132) 및 제3 가이드(133)는 패널부(150)가 표시면 측을 향해 지지부(130)로부터 이탈되려는 현상을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132 and the third guide 133 having an L-shaped sectional shape can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panel unit 150 is moved away from the support unit 130 toward the display surface side by physical interference .

제1 가이드(131) 역시 'L'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L' 단면 형상의 제1 가이드(131)에 따르면, 광원(135)에 대면되는 패널부(150)의 일측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135)은 삽입 홈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삽입 홈의 바닥에 설치된 광원(135)은 불투명 여부에 상관없이 도로 관련 정보를 가리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guide 131 may also have an L-shaped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guide 131 having the 'L' sectional shap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one side of the panel unit 150 facing the light source 135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135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The light source 135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may not cover the road related inform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opaque or not.

제1 가이드(131), 제2 가이드(132), 제3 가이드(133)는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불투명한 재질 또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131, the second guide 132, and the third guide 133 may include an opaque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or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제1 가이드(131)는 광원(135)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해당 빛이 패널부(150)의 일측면으로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131 preven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35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guides the light to be focused on one side of the panel unit 150.

제2 가이드(132)는 투명 재질의 패널부(150)의 내부를 따라 전파되는 빛이 패널부(150)의 상측면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132 can prevent light propagating along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panel part 150 from being output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part 150. [

제3 가이드(133)는 투명 재질의 패널부(150)를 따라 전파되는 빛이 패널부(150)의 하측면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guide 133 can prevent light propagating along the transparent panel part 150 from being output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part 150.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131), 제1 가이드(131)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132), 제1 가이드(131)의 타측 단부로부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가이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131), 제2 가이드(132), 제3 가이드(133)는 지지부(130)에 대한 패널부(15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장착된 패널부(150)가 지지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131), 제2 가이드(132) 및 제3 가이드(133)는 패널부(150)를 따라 전파되는 빛이 패널부(150)의 일측면, 상측면, 하측면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널부(150)의 표시면을 통해 출력되는 광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guid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131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a second guide 132 extending along a secon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guide 131, And a third guide 133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The first guide 131, the second guide 132 and the third guide 133 guide the attachment of the panel part 150 to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mounted panel part 150 supports the support part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uide 131, the second guide 132 and the third guide 133 are arranged such that the light propagating along the panel part 150 passes through the one side surface, the upper side surface and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panel part 150 The amount of light output through the display surface of the panel unit 150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광원(135)은 하나의 패널부(150)에 대해 중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패널부(150)의 일측면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모두 동일하다면, 지지부(130)가 보행자의 위에 배치되는 특징을 고려할 때 보행자에 대해서 보행자에 가까운 지지부(130)의 아래부분이 보행자로부터 먼 지지부(130)의 윗부분보다 밝게 빛날 수 있다.The light sources 13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panel unit 150. Considering that the supporting portions 130 are disposed on the pedestrian, i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one side of the panel portion 150 is the same,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30 near the pedestrian with respect to the pedestrian is distant from the pedestrian And can be bright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30.

도 7은 본 발명의 광원(135)과 렌즈부(136)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light source 135 and the lens unit 136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패널부(150)의 일측면에 대면 설치되는 광원(135), 광원(135)과 패널부(150)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13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nel unit 150 and a lens unit 136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light source 135 and the panel unit 150 have.

패널부(150)가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될 때, 광원(135)은 제2 방향을 따라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135)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panel unit 150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light source 135 can irradiate light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he light sources 135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렌즈부(136)는 각 광원(135)의 앞에 설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렌즈는 광원(135)으로 방사된 빛을 집광시켜, 해당 빛이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제2 방향을 따라 조사되도록 빛을 조절할 수 있다.The lens unit 136 may include a lens installed in front of each light source 135. Each lens can condense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35 and adjust the light to be emitt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without spreading the light in all directions.

또한, 각 렌즈는 패널부(150)의 일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 거리 d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력 방향 상으로 하측에 배치된 렌즈의 돌출 거리는 상측에 배치된 렌즈의 돌출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의 배치 위치별로 달라지는 돌출 거리 d로 인해 패널부(150)의 하측 부분에 입사되는 광량이 상측 부분 대비 줄어들 수 있다. 그 결과, 패널부(150)의 아래에서 패널부(150)를 바라보는 보행자 기준으로 패널부(150) 전체가 균일한 광량으로 빛날 수 있다.In addition, each lens may have a protruding distance d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panel portion 150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lens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 the gravity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lens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portion 150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upper portion due to the protruding distance d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ens. As a result, the entire panel unit 150 can be shined with a uniform amount of light on the basis of a pedestrian viewing the panel unit 150 under the panel unit 150.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는 기둥부(110)에 의해 모든 부재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에 취약할 수 있다.In the roa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members can be supported by the pillar portion 110. Therefore, it may be vulnerable to an earthquake.

면진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지지부(130)의 관통 홀(139)과 기둥부(110)의 사이에는 면진용 면진부(120)가 개재될 수 있다. 면진부(120)는 일 예로, 고무 패드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면진부(120)는 관통 홀(139)의 내벽에 코팅되거나 기둥부(110)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다.A face-to-face portion 1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hrough-hole 139 of the support portion 130 and the pillar portion 110 in order to add the seismic function. The beveled portion 12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a rubber pad or the like. The chamfered portion 120 may be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39 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110.

면진부(120)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 홀(139)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chamfered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and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39.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도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road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에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거나 지진을 감지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140), 통신부(140)로 수신된 먼지 농도 또는 지진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The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or detecting an earthquake and a display unit 190 for displaying a dust concentration or an earthquake warning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통신부(140)는 서버와 유선으로 통신하거나, 저전력 장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by wire or wirelessly with the server through the low powe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표시부(190)는 먼지 농도나 지진 경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먼지 농도나 지진 경보가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90 may include a display on which a dust concentration or an earthquake warning is visually displayed or a speaker on which a dust concentration or an earthquake warning is audibly displayed.

한편, 도로 표시 장치에는 주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160) 또는 주변의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 센서(180)가 직접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ad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dust sensor 160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vicinity or an earthquake sensor 180 for sensing a surrounding earthquake.

표시부(190)는 먼지 센서(160)의 측정값을 표시하거나, 지진 감지시 지진 경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90 may display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sensor 160 or display an earthquake warning when the earthquake is detected.

표시부(190)는 기둥부(110) 또는 지지부(130)에 지지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190 may be supported by the column portion 110 or the support portion 130.

통신부(140), 먼지 센서(160), 지진 센서(180)는 기둥부(110), 지지부(130), 발전부(170)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dust sensor 160, and the earthquake sensor 180 may be installed in one of the column 110, the support unit 130,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17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도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로 표시 장치에 따르면, 기둥부(110)가 통과하는 관통 홀(139)이 지지부(130)의 가운데에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roa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139 through which the pillar 110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30.

가운데에 형성된 관통 홀(139)로 인해 지지부(130)의 유지 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지지부(130)가 기둥부(110)의 단부로부터 끼워져야 하기 때문이다.The maintenance of the support portion 130 may be difficult due to the through hole 139 formed in the center. This is because the support portion 130 must be fitted from the end of the column portion 110.

지지부(13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A measure for easily performing the maintenance of the support unit 130 may be provided.

일 예로, 지지부(130)는 기둥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는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130 may include a first member 310 and a second member 32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pillar 110 interposed therebetween.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를 갖는 지지부(130)에 따르면, 기둥부(110)의 다양한 위치에 지지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pport portion 130 having the first member 310 and the second member 320, the support portion 130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olumn portion 110.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기둥부(110)에 설치되는 지지부(130)가 기둥부(110)를 중심축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1 부재(310)에는 제1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기둥부(110)를 관통하는 관통 수단(319)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310 is extended in a direction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30 provided on the column portion 110 is not pivotally moved about the column portion 110, A penetrating means 319 penetrating through the portion 110 may be provided.

일 예로, 관통 수단(319)은 기둥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 수단(319)은 기둥부(110)를 통과해서 제2 부재(320)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netrating means 319 may be formed into a rod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110. The penetrating means 319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llar 110 can be screwed to the second member 320 through the pillar 110.

관통 수단(319)에 의해 기둥부(110)에 대한 지지부(130)의 회동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관통 수단(319)에 따르면, 지지부(130)가 제1 방향을 따라 기둥부(110)에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pivoting of the support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pillar portion 110 can be surely prevented by the penetrating means 319. [ According to the penetrating means 319, the support portion 13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column portion 110 along the first direction.

기둥부(110)에는 관통 수단(319)이 통과하는 기둥 홀(119)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방향으로 지지부(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둥 홀(119)은 기둥부(110)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측 기둥 홀(119)로 입력된 관통 수단(319)이 타측 기둥 홀(119)로 빠져나올 수 있또록, 각 기둥 홀(119)은 기둥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column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lumn hole 119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ans 319 passes. A plurality of columnar holes 119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lumnar portion 110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support portions 13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directions. Each of the columnar holes 119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lumnar portion 110 so that the penetrating means 319 input into the one columnar hole 119 can escape to the other columnar hole 119 It is good.

제1 부재(310)에는 상판(311), 제1 방향 상으로 이격되게 상판(311)에 대면되는 하판, 상판(311)과 하판을 연결하는 지지 수단(31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관통 수단(319)은 지지 수단(317)의 가운데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31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311, a lower plate facing the upper plate 311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upporting means 317 connecting the upper plate 311 and the lower plate. At this time, the penetrating means 319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means 317.

상판(311)과 하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판(311)의 일측 단부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하판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upper plate 311 and the low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one end of the upper plate 311 may be bent in a U shape to form a lower plate.

지지 수단(317)은 판 형상의 상판(311)과 하판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판(311)과 하판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support means 317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plate-like upper plate 311 and the lower plate in a circular shape, and can keep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311 and the lower plate constant.

기둥부(110)에는 기둥부(110)와 지지부(130) 간의 상부 이음매와 하부 이음매를 덮는 덮개 수단(350)이 마련될 수 있다.The lid 110 may be provided with lid means 350 for covering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between the column 110 and the support 130.

상판(311)의 단부(312) 및 하판의 단부 관통 홀(139)이 형성되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310)가 제2 부재(320)에 결합되면, 'U'자 형상의 골 부분이 관통 홀(139)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부재(320)의 단부(322)는 상판(311)의 단부(312)에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U "shape so that the end 312 of the upper plate 311 and the end through-hole 139 of the lower plate are form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member 310 is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320, a 'U' -shaped valley portion can form the through hole 139. The end portion 322 of the second member 320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nd portion 312 of the upper plate 311.

상판(311)의 단부 및 하판의 단부는 지지 수단(317)을 기준으로 기둥부(11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ends of the upper plate 311 and the lower plate may protrude toward the column 1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ans 317.

제1 부재(310)와 기둥부(110)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330)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 부재(330)는 기둥부(110)의 일측을 덮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reinforcing member 330 provided between the first member 310 and the pillar 110 may be provided. The reinforcing member 330 may be formed in a 'U' shape covering one side of the pillar 110.

보강 부재(330)의 가운데에는 관통 수단(319)이 통과하는 보강 홀(339)이 마련될 수 있다.A reinforcing hole 339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ans 319 passes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330.

보강 부재(330)는 상부 이음매에 설치된 덮개 수단(350)과 하부 이음매에 설치된 덮개 수단(35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상판(311)의 단부 및 하판의 단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member 330 can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lid means 350 provided on the upper joint and the lid means 350 provided on the lower joint or can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plate 311 and the lower plate have.

상판(311) 또는 하판에 대면되는 덮개 수단(350)의 단부에는 상판(311) 또는 하판에 평행한 판재(351)가 형성될 수 있다. 판재(351)로 인해, 상판(311)과 기둥부(110) 간의 상부 이음매 또는 하판과 기둥부(110) 간의 하부 이음매가 덮일 수 있다.An upper plate 311 or a plate member 351 parallel to the lower plat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plate 311 or the lid unit 350 facing the lower plate. The upper joint between the upper plate 311 and the column 110 or the lower joint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column 110 can be covered by the plate material 351. [

도 10 및 도 11은 기둥부(1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s. 10 and 11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pillar portion 110. Fig.

지지부(130)의 유지 보수 편의를 위한 다른 방안으로, 복수의 기둥부(11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둥부(110)가 연결되어 하나의 기둥을 형성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규격화된 길이의 복수의 기둥부(110)를 마련하고, 결합되는 기둥부(110)의 개수 조절을 통해 기둥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for maintenance of the support 130, a plurality of pillars 110 may b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pillars 110 are connected to form a single column, a plurality of pillars 110 having a standardized length are provided, and the number of the pillars 110 The overall length can be adjusted.

각 기둥부(110)의 사이에는 각 기둥부(110) 간의 회동을 방지하면서, 각 기둥부(110)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Between the pillars 110,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illars 110 while preventing rotation between the pillars 110 may be provided.

일 예로, 각 기둥부(110)에는 말단으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 홈이 기둥부(110)의 외주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column portions 110 may have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in the first direction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umn portion 110.

연결 수단은 각 결합 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may include wings that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한편, 결합 홈 및 연결 수단에 의하면, 결합 부위 i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means, the coupling portion i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외부에 노출된 결합 부위 i를 덮기 위해, 덮개 수단(350)은 결합 부위 i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cover the joint portion i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means 35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joint portion i.

기둥부(110)는 제1 관(111) 및 제2 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111)은 도로 표시 장치를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관(112)은 제1 관(111)의 외주면을 덮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112)의 외경은 덮개 수단(35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illar 110 may include a first tube 111 and a second tube 112. The first tube 111 can substantially support the road display device. The second pipe (112) may be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pe (111).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tube (112) may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id means (350).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기둥부 120...면진부
130...지지부 131...제1 가이드
132...제2 가이드 133...제3 가이드
135...광원 136...렌즈부
139...관통 홀 140...통신부
150...패널부 160...먼지 센서
180...지진 센서 190...표시부
110 ... column portion 120 ... cotton
130 ... support portion 131 ... first guide
132 ... second guide 133 ... third guide
135 ... light source 136 ... lens portion
139 ... through hole 140 ... communication section
150 ... panel part 160 ... dust sensor
180 ... Seismic sensor 190 ... Display

Claims (13)

지면에 기울어진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기둥부;
상기 제1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기둥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도로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기둥부를 관통하는 관통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 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회동이 방지되는 도로 표시 장치.
A column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inclined to the ground and supported by the ground;
A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xed to the pillar portion;
And a plate-shaped panel portion on which the road-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colum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penetrating mean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cl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column portion,
And the pivoting of the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lumn portion is prevented by the penetra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방향 상으로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의 일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설치된 제1 가이드,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가이드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at an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support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uid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toward one side of the panel portion, A second guide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a third guid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일측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전파시키는 투명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패널부의 상측면을 덮으며 상기 패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L'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는 상기 패널부의 하측면을 덮으며 상기 패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L'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도로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nel portion is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panel portion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propagates light incident through the one side surface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guide is formed in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and prevent the panel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third guide covers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panel part and prevents the panel part from being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의 일측면에 대면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상기 패널부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될 때,
상기 광원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빛을 조사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렌즈부는 각 광원의 앞에 설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며,
각 렌즈는 상기 패널부의 일측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 거리가 서로 다르고,
중력 방향 상으로 하측에 배치된 렌즈의 돌출 거리는 상측에 배치된 렌즈의 돌출 거리보다 짧은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source facing the one side of the panel unit;
And a lens unit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one side of the panel unit,
When the panel portion is installed in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light source irradiates light along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lens unit includes a lens installed in front of each light source,
Each of the lenses has a protruding distance that is different from a protruding distance toward one side of the panel portion,
The projecting distance of the lens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 the gravity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projecting distance of the lens disposed on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기둥부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투명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에는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투명 패턴을 통해 지지부에 마련된 광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wer generat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lum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generating power using solar light,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A battery for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installed, and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ight source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through a transparent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기둥부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과 상기 기둥부의 사이에는 면진부가 개재되는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an insulating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through hole and the colum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먼지 농도를 측정하거나 지진을 감지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로 수신된 먼지 농도 또는 지진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둥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for measuring a dust concentration or for detecting an earthquake, and a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a dust concentration or an earthquake warning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section,
And the displa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lumn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주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의 측정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둥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vicinit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sensor,
And the displa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lumn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주변의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 센서, 지진이 감지되면 지진 경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둥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arthquake sensor for detecting a nearby earthquak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arthquake warning when an earthquake is detected,
And the displa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lumn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는 상판,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이격되게 상기 상판에 대면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지지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의 가운데에 연결된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facing the upper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and support means for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he penetra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me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기둥부와 상기 지지부 간의 상부 이음매와 하부 이음매를 덮는 덮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상판의 단부 및 상기 하판의 단부는 상기 기둥부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단부 및 상기 하판의 단부는 상기 지지 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일측을 덮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부재의 가운데에는 상기 관통 수단이 통과하는 보강 홀이 마련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상부 이음매에 설치된 덮개 수단과 상기 하부 이음매에 설치된 덮개 수단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상기 상판의 단부 및 상기 하판의 단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도로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lid unit for covering an upper joint and a lower joint between the column and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in the column,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plate are formed in a U-shape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lumn portion is inserted,
An end of the upper plate and an end of the lower plate protrude toward the column with reference to the supporting means,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pillar,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in a U-shape covering one side of the pillar,
A reinforcing hole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ans passes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cover means provided on the upper joint and the cover means provided on the lower joint or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upper plate and the end of the low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고,
각 기둥부의 사이에는 각 기둥부 간의 회동을 방지하면서, 각 기둥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된 도로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aid posts are connected,
And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of the pillar portions is provided between the pillar portions while preventing rotation between the pillar portions.
KR1020170133991A 2017-10-16 2017-10-16 A Road Sign Device KR101852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91A KR101852465B1 (en) 2017-10-16 2017-10-16 A Road Sig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91A KR101852465B1 (en) 2017-10-16 2017-10-16 A Road Sig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465B1 true KR101852465B1 (en) 2018-04-27
KR101852465B9 KR101852465B9 (en) 2022-01-17

Family

ID=6208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91A KR101852465B1 (en) 2017-10-16 2017-10-16 A Road Sig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6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971A (en) * 2019-02-01 2020-08-11 신정훈 Rotation device for pole system
KR20200095968A (en) * 2019-02-01 2020-08-11 신정훈 Multi functional pole system having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including rotable solar cell panel
KR20210124856A (en) * 2020-04-07 2021-10-15 신정훈 Rotation device for pole system of solar pow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274A (en) * 2003-11-28 2005-06-23 Sekisui Jushi Co Ltd Self-light-emitting guidance equipment and in-disaster guidance system
KR200439934Y1 (en) * 2007-05-08 2008-05-14 주식회사 이엠 A milepost
KR101313609B1 (en) * 2013-07-04 2013-10-02 윤정현 Pillar type plant sig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274A (en) * 2003-11-28 2005-06-23 Sekisui Jushi Co Ltd Self-light-emitting guidance equipment and in-disaster guidance system
KR200439934Y1 (en) * 2007-05-08 2008-05-14 주식회사 이엠 A milepost
KR101313609B1 (en) * 2013-07-04 2013-10-02 윤정현 Pillar type plant sig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971A (en) * 2019-02-01 2020-08-11 신정훈 Rotation device for pole system
KR20200095968A (en) * 2019-02-01 2020-08-11 신정훈 Multi functional pole system having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including rotable solar cell panel
KR102159446B1 (en) * 2019-02-01 2020-09-23 신정훈 Rotation device for pole system
KR102159445B1 (en) * 2019-02-01 2020-09-23 신정훈 Multi functional pole system having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including rotable solar cell panel
KR20210124856A (en) * 2020-04-07 2021-10-15 신정훈 Rotation device for pole system of solar power system
KR20210125962A (en) * 2020-04-07 2021-10-19 신정훈 Pole system of solar power system
KR102435588B1 (en) 2020-04-07 2022-08-23 신정훈 Rotation device for pole system of solar power system
KR102530108B1 (en) 2020-04-07 2023-05-04 신정훈 Pole system of solar pow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465B9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465B1 (en) A Road Sign Device
KR101025825B1 (en) Character attach type road signal board using the solar energy
ES2035866T3 (en) SYSTEM TO DETECT THE POSITION OF A MOBILE OBJECT.
CN101019160A (en) Traffic detection and signal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2982934A1 (en) Optoelectronic bubble level
KR20160039397A (en) Signboard guidance having emergency exit indicating function
CN102395858B (en) Optical detector suitable for use in light curtains
KR101883781B1 (en) Optical battery emergency guidance equipment for indoor fire fighting
WO2015174339A1 (en) Display device
KR20140029964A (en) Starting point distance apparatus of road
EP3736985A1 (en) Illuminated switch
JP2009175318A (en) Illumination advertisement device
KR20210042723A (en) Danger signs for cables with alarm function
JP2012129153A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ed body
KR200338581Y1 (en) Road sign plate apparatus having a LED back-lighting device
KR101663485B1 (en) Street lamp having display
KR20150114131A (en) LED traffic signal display
KR20210095602A (en) Exit display apparatus of driving guide line for improving visibility at bad weather and bad view and night
KR101614436B1 (en) Road traffic display board using side emitting plastic optical fiber
KR20170125285A (en) Road sign apparatus
CN201749254U (en) Optical monitor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16212635A (en) Guidance light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JP2019113772A (en) Screen luminance detection device and screen luminance detection method for display
JP3453725B2 (en) Dating accident prevention device
KR102556857B1 (en) Optical fiber sign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