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491B1 - 커넥터 및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491B1
KR101851491B1 KR1020170002534A KR20170002534A KR101851491B1 KR 101851491 B1 KR101851491 B1 KR 101851491B1 KR 1020170002534 A KR1020170002534 A KR 1020170002534A KR 20170002534 A KR20170002534 A KR 20170002534A KR 101851491 B1 KR101851491 B1 KR 10185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onnector
circuit board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828A (ko
Inventor
신지 야마다
유스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7008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5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위치 차이에 대한 허용도가 높고, 또 확실히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C)는, 컨택트(1)와, 하우징(2)과, 하우징(2)을 회로 기판 상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3A, 3B)를 구비한다. 컨택트(1)는,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 단부(11)와, 기판 접속 단부(12)와, 압입부(13)와, 컨택트 탄성변형부(14)를 갖는다. 압입부(13)는, 하우징에 유지된다. 제1 탄성변형부는 하우징과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유지 기구(3A, 3B)는, 기판 고정부(31)와, 하우징 압입부(32)와, 제2 탄성변형부(33)를 갖는다. 제2 탄성변형부(33)는, 기판 고정부와 하우징 압입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과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하우징(2)은, 상기 유지 기구의, 하우징 고정부와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부분을 감합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지는 한 쌍의 규제 돌기(22~25)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접속 구조{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하는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대 커넥터와 감합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실시하는 커넥터로서, 회로 기판에 취부되는 타입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서보 모터의 엔코더 회로 기판에 취부되는 커넥터는, 엔코더 회로를 작동시키는 전력과, 모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중계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회로 기판에 취부되는, 플로팅 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따른, 수평 방향(좌우 방향) 및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플로팅 가능하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0-118314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를 길이 방향으로 감합 시키려고 했을 경우,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플로팅 한다. 즉,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반감합 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감합의 방향인 길이 방향과 거의 수직인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는 플로팅 할 수 없다. 이 결과, 이 커넥터에 예를 들면 기계로 유지한 상대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경우에, 상대 커넥터의 유지 위치가(특히 상하 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감합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대 커넥터의 위치 차이에 대한 허용도가 높고, 또, 상대 커넥터와 확실히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하는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취부되어, 상대 커넥터와, 이 회로 기판에 따르는 감합 방향으로 감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 단부와,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단부와, 이 접촉 단부와 이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와 이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이 유지부를 유지하는 이 하우징과 이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1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이 기판 고정부와 이 하우징 고정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이 하우징 고정부를 고정하는 이 하우징과 이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2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유지 기구의,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부분을 상기 감합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지고, 이 하우징 고정부를 고정하는 이 하우징과 이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이 감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컨택트 및 유지 기구의 쌍방이 탄성변형부를 가지기 때문에, 하우징과 회로 기판과의 사이의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다만, 유지 기구는 한 쌍의 규제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하우징과 회로 기판과의 사이의, 감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의 위치의 차이에 대한 허용도가 높고, 게다가, 반감합을 일으키지 않고 상대 커넥터와 확실히 감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 및 제2 탄성변형부 각각이, 상기 감합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상대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전하여 이 상대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만곡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기판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가, 상기의 만곡 형상에 의해서 소형화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접속 구조는,
모터의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상기 모터 내의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취부되어, 케이블을 종단하는 상대 커넥터와, 이 회로 기판에 따른 감합 방향으로 감합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 단부와,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단부와, 이 접촉 단부와 이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이 유지부와 이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이 유지부를 유지하는 이 하우징과 이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1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이 기판 고정부와 이 하우징 고정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이 하우징 고정부를 고정하는 이 하우징과 이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2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유지 기구의,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부분을 상기 감합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지고, 이 하우징 고정부를 고정하는 이 하우징과 이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이 감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속 구조는, 회전 상태의 전기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상대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경우에, 상대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의 위치의 차이에 대한 허용도가 높고, 또한, 반감합을 일으키지 않고 상대 커넥터와 확실히 감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의 위치 차이에 대한 허용도가 높고, 게다가, 상대 커넥터와 확실히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접속 구조가 실현된다.
[도 1]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낸 커넥터를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5]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에 사용되는 컨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파트 (A)는 측면도이고, 파트 (B)는 평면도이다.
[도 7] 도 3에 나타낸 커넥터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에 사용되는 유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파트 (A)는 측면도이며, 파트 (B)는 정면도이다.
[도 9] 서보 모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9에 나타낸 엔코더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도 10의 상대 커넥터가 도 9의 엔코더 커넥터와 감합한 상태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 도 11에 나타낸 접속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확대해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실시 형태의 구성과는 다른 중계 부품을 이용한 참고 예의 서보 모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커넥터]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회로 기판(B) 및 상대 커넥터(M)도 나타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커넥터(C)는, 표면 실장 타입의 전기 부품이며, 반전 접속에 의해서 회로 기판(B)의 표면에 취부된다. 커넥터(C)는, 상대 커넥터(M)와 감합함으로써, 회로 기판(B)과, 상대 커넥터(M)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의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커넥터(c)는, 이른바 라이트 앵글 타입(right angle type)의 커넥터이며, 상대 커넥터(M)와, 회로 기판(B)에 따른 방향으로 감합한다. 커넥터(C)에서, 상대 커넥터(M)와 감합할 방향을 감합 방향(또는 전후 방향)(Y)이라고 칭한다. 감합 방향(Y)에서, 커넥터(C)의, 상대 커넥터(M)와 감합하는 측을 전측, 그 반대측을 후측이라 칭한다. 또, 감합 방향(Y)와 수직, 또한 회로 기판(B)에 따른 방향을 좌우 방향(X)이라고 칭한다. 또, 감합 방향(Y) 및 좌우 방향(X)의 쌍방과 수직인 방향, 즉, 회로 기판(B)와 거의 수직인 방향을, 수직 방향(또는 상하 방향)(Z)이라 칭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넥터(C)를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커넥터(C)의 전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커넥터(C)의 배면도이다. 또, 도 5는, 커넥터(C)의 측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낸 커넥터(C)는, 8개의 컨택트(1)(1A~1H), 이러한 컨택트(1)를 유지하는 하우징(2), 및, 2개의 유지 기구(펙, peg)(3A, 3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에는, 전측(前側)에 개구된 홈형상의 감합요부(嵌合凹部)(21)가 설치되어 있다. 상대 컨택트(MC)는, 하우징(2)의 감합요부(21)에 들어가도록 하여 감합한다. 컨택트(1A~1H)는, 커넥터(C)와 상대 커넥터(M)가 감합한 상태로, 상대 컨택트(MC)(도 1 참조)와 접촉한다. 컨택트(1A~1H)는, 하우징(2)의 감합요부(21)의 바닥에, 수직 방향(상하 방향) Z로 2단으로 나누어져 배열되어 있다. 컨택트(1A~1H)의 각각은, 감합요부(21) 내에서 감합 방향(Y)으로 돌출되어 있다. 감합요부(21)에서 2단으로 나누어져 배열된 컨택트(1A~1H) 중, 상단 즉 상대적으로 회로 기판(B)에서 먼 측에 배치된 4개의 컨택트(1A~1D)는 서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하단 즉 상대적으로 회로 기판(B)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4개의 컨택트(1E~1H)는 서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컨택트]
도 6은, 컨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파트(A)는 측면도이며, 파트(B)는 평면도이다. 도 6에는, 8개의 컨택트(1A~1H) 중, 1개의 상단의 컨택트(1A) 및 1개의 하단의 컨택트(1E)가 나타나고 있다. 또,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커넥터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7에는 상대 커넥터(M)도 나타나고 있다.
상단의 컨택트(1A) 및 하단의 컨택트(1E)는, 모두, 접촉 단부(11), 기판 접속 단부(12), 압입부(13), 및 컨택트 탄성변형부(14)를 갖는다. 컨택트(1A, 1E)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단부(11), 기판 접속 단부(12), 압입부(13), 및 컨택트 탄성변형부(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입부(13)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지부의 일 예에 상당하고, 컨택트 탄성변형부(14)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탄성변형부의 일 예에 상당한다.
접촉 단부(11)는, 상대 컨택트(MC)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촉 단부(11)는, 감합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 단부(11)는, 도 7에 나타내듯이, 감합요부(21)의 바닥으로부터 감합 방향(Y)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판 접속 단부(12)는, 회로 기판(B)(도 1 참조)에 반전 접속되는 부분이다.
압입부(13)는, 접촉 단부(11)와 기판 접속 단부(1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입부(13)는, 접촉 단부(11)의 후측에 설치된, 접촉 단부(11)보다 폭이 넓은 부분이다. 압입부(13)는, 하우징(2)에 압입되는 것으로, 하우징(2)에 유지·고정된다.
컨택트 탄성변형부(14)는, 압입부(13)와 기판 접속 단부(1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단의 컨택트(1A)와 하단의 컨택트(1E)와는, 컨택트 탄성변형부(14)의 수직 방향(Z)으로의 길이가 다르다. 이 때문에, 상단의 컨택트(1A)의 기판 접속 단부(12)와, 하단의 컨택트(1E)의 기판 접속 단부(12)가 공통의 회로 기판(B)(도 1 참조)에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접촉 단부(11)가 수직 방향(Z)에서 서로 다른 위치(단)에 배치된다. 컨택트 탄성변형부(14)는, 탄성변형하는 것으로, 하우징(2)(도 1 참조)과 기판 접속 단부(12)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부분이다. 컨택트 탄성변형부(14)는, 제1 만곡부(14a)와, 제2 만곡부(14b)를 갖는다. 제1 만곡부(14a)는, 감합 방향(Y)으로 가까워져 오는 상대 커넥터(M)(도 1 참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후측을 향해 연장되고, 반전하여 상대 커넥터(M)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전측(前側)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만곡부(14b)는, 상기 제1 만곡부(14a)에서의 전측으로 연장된 앞으로부터 반전하여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만곡부(14a)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만곡 형상의 일 예에 상당한다. 제1 만곡부(14a)는, 보다 상세하게는, 압입부(13)에 연결되어 전측으로 열린 U자형이며, 제2 만곡부(14b)는, 제1 만곡부(14a)에 연결되어 후측으로 열린 U자형이다. 컨택트 탄성변형부(14)는, 상기의 2개의 U자가 조합된 S자형(도 6의 파트(A)에서는 역 S자형)이다. 컨택트 탄성변형부(14)가 제1 만곡부(14a) 및 제2 만곡부(14b)를 가지는 것으로, 하우징(2)의 수직 방향(Z)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가, 소형화한다. 또, 컨택트 탄성변형부(14)는, 전체적으로 S자형이기 때문에,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접촉 단부(11)가 수직 방향(Z)으로 이동했을 경우에서도, 접촉 단부(11)의 감합 방향(Y)을 향한 자세가 유지된다.
[유지 기구]
도 8은, 유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파트(A)는 측면도이며, 파트(B)는 정면도이다. 2개의 유지 기구(3A, 3B)는, 좌우 방향(X)으로 서로 대칭이기 때문에, 대표로 일방의 유지 기구(3A)를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유지 기구(3A)는, 기판 고정부(31), 하우징 압입부(32), 및 기구 탄성변형부(33)를 갖는다. 유지 기구(3A)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기판 고정부(31)의 부분을 휨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고정부(31), 하우징 압입부(32), 및 기구 탄성변형부(3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 압입부(32)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우징 고정부의 일 예에 상당하고, 기구 탄성변형부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탄성변형부의 일 예에 상당한다.
기판 고정부(31)는, 회로 기판(B)(도 1 참조)에 반전 접속되는 부분이다. 하우징 압입부(32)는, 하우징(2)에 압입되는 것으로, 하우징(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기구 탄성변형부(33)는, 기판 고정부(31)와 하우징 압입부(3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기구 탄성변형부(33)는, 탄성변형 하는 것으로, 하우징 압입부(32)를 고정하는 하우징(2)(도 1 참조)과 기판 고정부(31)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기구 탄성변형부(33)는, 만곡부(33a) 및 직선부(33b)를 갖는다. 만곡부(33a)는, 감합 방향(Y)으로 가까워져 오는 상대 커넥터(M)(도 1 참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후측을 향해 연장되고, 반전하여 상대 커넥터(M)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전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곡부(33a)는 전측으로 열린 U자형이다. 직선부(33b)는, 만곡부(33a)로부터 기판 고정부(31)까지, 수직 방향(Z)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기구 탄성변형부(33)의 만곡부(33a)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만곡 형상의 일 예에 상당한다.
[하우징]
도 1~도 4에 나타낸 하우징(2)는,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하우징(2)은, 대략 직방체형의 외형을 갖고, 상대 커넥터(M)(도 1 참조)에 대향하는 전측면(前側面)에 감합요부(21)가 개구되어 있다. 감합요부(21)의 개구 부분의 둘레에는, 밖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21a)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감합요부(21)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X) 양측에 있는 측면(2a, 2b)의 각각은, 좌우 방향(X)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22, 23), (24, 25)가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규제 돌기의 쌍 중, 전측에 설치된 규제 돌기(22, 24)는, 유지 기구(3A, 3B)의 유지부를 겸하고, 유지 기구(3A, 3B)의 하우징 압입부(32)가 압입된다. 유지 기구(3A, 3B)는, 도 5에 나타내듯이, 기판 고정부(31)이 하우징(2)로부터 하부 즉 회로 기판(B)(도 1 참조) 측에 돌출하도록, 하우징(2)에 유지된다. 또, 유지 기구(3A, 3B)는, 먼저 설명한 것처럼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유지 기구(3A, 3B)의 기구 탄성변형부(33)는, 판면을 좌우 방향(X)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유지 기구(3A, 3B)와, 하우징(2)의 측면(2a, 2b)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한 쌍의 규제 돌기(22, 23)는, 유지 기구(3A)의 하우징 압입부(32)와 기판 고정부(31)와의 사이의 부분을 감합 방향(Y)의 양측에서 끼워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규제 돌기(22, 23)는, 유지 기구(3A)의 기구 탄성변형부(33) 중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는 직선부(33b)를 감합 방향(Y)의 양측에서 끼워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배치 관계는, 도 5에 나타낸 측면(2a)과는 반대측의 측면(2b)에 설치된 한 쌍의 규제 돌기(24, 25)(도 1, 도 2 참조)와, 유지 기구(3B)와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도 같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C)의 하우징(2)은, 기구 탄성변형부(33)를 갖는 유지 기구(3A, 3B)를 개입시키고, 회로 기판(B)(도 1 참조)에 지지를 받고 있다. 따라서, 기구 탄성변형부(33)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하우징(2)은, 회로 기판(B)에 대해서, 좌우 방향(X) 및 수직 방향(Z)으로 상대 이동(플로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형의 기구 탄성변형부(33)가 휘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2)이 좌우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기구 탄성변형부(33)의 만곡부(33a)가, 만곡이 열리도록 또는 닫도록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2)가 수직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C)와 감합하는 상대 커넥터(M)(도 1 참조)의 위치가, 목표의 위치에 대해, 감합 방향(Y)과 수직이고, 좌우 방향(X) 및 수직 방향(Z)으로 어긋났을 경우에서도, 이 차이에 커넥터(C)의 하우징(2)이 추종할 수 있다. 또, 상대 커넥터(M)의 위치가, 커넥터(C)와 접촉하기 전의 단계에서 좌우 방향(X) 및 수직 방향(Z)에 어긋나 있는 경우에서도, 상대 커넥터(M)가, 감합요부(21)의 개구 둘레에 설치된 경사면(21a)에 안내되어, 위치 맞춤을 한다. 또, 컨택트(1A~1H)가 갖는 컨택트 탄성변형부(14)의 제1 만곡부(14a)는, 기구 탄성변형부(33)의 만곡부(33a)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압입부(13)을 개입시켜 하우징(2)에 지지를 받는 컨택트(1A~1H)의 접촉 단부(11)도, 하우징(2)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다.
한편, 유지 기구(3A, 3B)는, 감합 방향(Y)으로의 변형이, 규제 돌기(22,23), (24,25)에 의해서 각각 억제된다. 즉, 유지 기구(3A, 3B)의 하우징 압입부(32)를 고정하는 하우징(2)과 기판 고정부(31)와의 사이의, 감합 방향(Y)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커넥터(도 1 참조)가, 커넥터(C)에 감합할 때, 커넥터(C)의 감합 방향(Y)으로의 도망이 규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조 기계를 이용하여 상대 커넥터(도 1 참조)를 커넥터(C)에 감합시키는 경우에서도, 반감합 상태가 생기지 않고 확실히 감합한다.
[서보 모터]
계속하여, 상술한 커넥터(C)의 적용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서보 모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서보 모터(S)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 구동하는 모터(4)와, 모터(4)와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엔코더(5)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4)에는, 회전축(41), 모터 커버(42), 및 모터 커넥터(43)가 구비되어 있다. 모터 커버(42)는, 회전축(41)을 둘러싸는 측면부(421)를 갖는다. 모터 커넥터(43)는, 모터(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모터 커넥터(43)는, 모터 커버(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측면부(421)에 설치된 홀(421h)을 개입시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모터(4)와 엔코더(5)는, 회전축(41)의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엔코더(5)는, 회로 기판(51), 엔코더 커버(52), 및 엔코더 커넥터(C)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51)은, 회전축(41)의 회전 상태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회로 기판(51)은, 회전축(41)의 연신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엔코더 커넥터(C)는, 회로 기판(51)에 취부되어 있다. 엔코더 커버(52)는, 회로 기판(51)을 덮고 있다. 엔코더 커버(52)는, 모터 커버(42)의 측면부(421)에 연속하여 넓어지는 측면부(521)를 갖는다. 엔코더 커넥터(C)는, 엔코더 커버(5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측면부(521)에 설치된 홀(521h)을 개입시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모터 커넥터(43)와 엔코더 커넥터(C)는, 회전축(41)의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 커버(42) 및 엔코더 커버(52)의 조합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커버의 일 예에 상당한다.
엔코더 커넥터(C)는,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넥터(C)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거기서, 엔코더 커넥터(C)와 커넥터(C)를 공통의 부호로 나타낸다. 또, 도 1~도 8에 나타낸 커넥터(C)의 방향에 맞추어, 회전축(41)의 연신 방향, 즉, 회로 기판(51)과 수직인 방향을 수직 방향(Z)이라 칭한다. 또, 엔코더 커넥터(C)가, 측면부(521)의 홀(521h)을 향한 방향을 감합 방향(Y)이라고 칭하고, 수직 방향(Z) 및 감합 방향(Y)의 쌍방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X)이라고 칭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엔코더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상대 커넥터가 도 9의 엔코더 커넥터와 감합한 상태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접속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확대하여 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내부 구조를 알기 쉽게하기 위해, 엔코더 커버를 투명하게 파선으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상대 커넥터(M2)는, 엔코더(5)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모터(4)의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중계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60)을 종단한다. 상대 커넥터(M2)는, 8개의 컨택트(상대 컨택트)(MC2)를 가지고 있다. 상대 커넥터(M2)가, 엔코더 커버의 홀(521h)(도 9 참조)을 관통하여 엔코더 커넥터(C)와 감합하는 것으로, 컨택트(MC2)(도 10 참조)가, 엔코더 커넥터(C)의 컨택트(1A~1H)(도 1 참조)에 각각 접촉한다. 회로 기판(51)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는, 엔코더 커넥터(C)로 중계되어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송신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서보 모터(S)에서는, 엔코더 커넥터(C)가, 회로 기판(51)의 둘레의 근방에 취부되어 있다. 또, 엔코더 커넥터(C)는, 상대 커넥터(M2)와 감합하는 감합요부(21)(도 1 참조)를, 회로 기판(51)의 둘레와 같은 방향을 향해서 취부되어 있다. 즉, 감합요부(21)는, 회로 기판(51)에 따른 감합 방향(Y)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 엔코더 커버의 홀(521h)(도 9 참조)은, 엔코더 커넥터(C)의 감합요부(21)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과는 다른 중계 부품을 이용한 참고 예의 서보 모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에서는, 엔코더 커버가 파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참고 예의 서보 모터(S2)에서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상대 커넥터(M2)에 중계하기 위해, 중계 케이블(9)이 이용되고 있다. 중계 케이블(9)의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M2)와 접속하는 제1 커넥터(9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회로 기판(81)과 접속하는 제2 커넥터(92)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 예의 서보 모터의 조립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보 모터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엔코더 커버(82)에 제1 커넥터(91)를 취부한다. 다음으로, 엔코더 커버(82) 중에서 중계 케이블(9)의 제2 커넥터(92)를 꺼내고, 이 제2 커넥터(92)를 회로 기판(81)에 실장된 커넥터(93)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엔코더 커버(82)를, 회로 기판에 씌우도록 취부한다. 이상의 조립 공정은 복잡하고, 엔코더 커버(82)의 내측에서의 작업을 기계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엔코더 커넥터(C)를 구비하는 서보 모터(S)에서는, 1개의 엔코더 커넥터(C)에만 따르고, 회로 기판(51)과 상대 커넥터(M2)와의 사이의 중계를 실시하게 할 수 있다. 또, 엔코더 커버(52) 내에 케이블이 없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서는, 회로 기판(51)에 엔코더 커넥터(C)를 다른 부품과 같이 반전 접속하고, 회로 기판(51)에 엔코더 커버(52)를 씌우듯이 취부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조립의 기계화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중계 케이블 및 그 양단의 커넥터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서보 모터(S)에서는, 엔코더 커넥터(C)가, 유지 기구(3A, 3B)의 기구 탄성변형부(33)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수직 방향(Z) 및 좌우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서보 모터(S)에서는, 회로 기판(51) 상에서의 엔코더 커넥터(C)의 설치 위치의 차이나, 엔코더 커버(52)의 차이에 기인하고, 엔코더 커넥터(C)의 감합요부(21)(도 1 참조)의 위치와 엔코더 커버(52)의 홀(521h)(도 9 참조)의 위치가 목표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서보 모터(S)에서는, 엔코더 커버(52)에 대해서 엔코더 커넥터(C)가 상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M2)가 엔코더 커버(52)에 구애받지 않고, 홀(521h)을 통해 감합된다. 또, 엔코더 커넥터(C)는, 감합 방향(Y)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즉, 상대 커넥터(M2)가, 엔코더 커넥터(C)에 감합할 때에, 엔코더 커넥터(C)의 감합 방향(Y)으로의 도망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M2)를 커넥터(C)에 감합시키는 경우에, 반감합 상태가 생기지 않고 확실히 감합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본 발명에 말하는 커넥터의 예로서, 서보 모터의 엔코더에 배치된 엔코더 커넥터(C)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전자기기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본 발명에 말하는 커넥터의 예로서, 회로 기판(B)의 표면에 취부되는 표면 실장 타입의 커넥터(C)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컨택트 및 유지 기구가 스루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타입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본 발명에 말하는 유지 기구의 하우징 고정부의 예로서, 하우징 압입부(32)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지 기구의 고정은,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본 발명에 말하는 컨택트의 예로서, 8개의 컨택트(1A~1H)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컨택트의 수는, 예를 들면, 7 이하여도 좋고, 9 이상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지 기구의 예로서, 2개의 유지 기구(3A, 3B)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지 기구의 수는, 예를 들면, 3 이상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본 발명에 말하는 감합부의 예로서, 감합요부(嵌合凹部)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감합부는, 예를 들면, 감합철부(嵌合凸部)여도 좋다.
C 커넥터(엔코더 커넥터)
1(1A~1H) 컨택트
11 접촉 단부
12 기판 접속 단부
13 압입부
14 컨택트 탄성변형부
14a 제1 만곡부
14b 제2 만곡부
2 하우징
21 감합요부
22, 23, 24, 25 규제 돌기
3A, 3B 유지 기구
31 기판 고정부
32 하우징 압입부
33 기구 탄성변형부
33b 직선부
33a 만곡부
S 서보 모터
4 모터
41 회전축
42 모터 커버
43 모터 커넥터
5 엔코더
51 회로 기판
52 엔코더 커버
521 측면부
521h 홀
B 회로 기판
Y 감합 방향

Claims (3)

  1. 회로 기판에 취부되어, 상대 커넥터와, 상기 회로 기판에 따르는 감합 방향으로 감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 단부와,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단부와, 상기 접촉 단부와 상기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와 상기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유지부를 유지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1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와,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기판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감합 방향으로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2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유지 기구를 상기 감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 돌기를 갖고,
    상기 감합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한 쌍의 규제 돌기 사이에 상기 직선부가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규제 돌기 중 하나의 규제 돌기에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 및 제2 탄성변형부 각각이, 상기 감합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상대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전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만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모터의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상기 모터 내의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취부되어, 케이블을 종단하는 상대 커넥터와, 상기 회로 기판에 따른 감합 방향으로 감합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가, 상기 상대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 단부와,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단부와, 상기 접촉 단부와 상기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와 상기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유지부를 유지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 접속 단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1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와,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기판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감합 방향으로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 고정부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제2 탄성변형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유지 기구를 상기 감합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 돌기를 갖고,
    상기 감합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한 쌍의 규제 돌기 사이에 상기 직선부가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규제 돌기 중 하나의 규제 돌기에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
KR1020170002534A 2016-01-21 2017-01-06 커넥터 및 접속 구조 KR101851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9487A JP6643907B2 (ja) 2016-01-21 2016-01-21 コネクタおよび接続構造
JPJP-P-2016-009487 2016-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828A KR20170087828A (ko) 2017-07-31
KR101851491B1 true KR101851491B1 (ko) 2018-04-24

Family

ID=5929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34A KR101851491B1 (ko) 2016-01-21 2017-01-06 커넥터 및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99755B2 (ko)
JP (1) JP6643907B2 (ko)
KR (1) KR101851491B1 (ko)
CN (1) CN107017488B (ko)
DE (1) DE102017100960A1 (ko)
TW (1) TWI701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548B (zh) * 2015-06-03 2020-01-14 3M创新有限公司 薄型电连接器
TWI658950B (zh) * 2018-02-02 2019-05-1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車載自動診斷系統及其端子及製造方法
DE102018213849A1 (de) * 2018-08-17 2020-02-20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er
JP7428489B2 (ja) * 2019-08-05 2024-02-06 カヤバ株式会社 回転電機
TWI728724B (zh) * 2020-02-24 2021-05-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JP7467248B2 (ja) * 2020-06-11 2024-04-1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EP4266507A1 (en) * 2022-04-19 2023-10-25 Signify Holding B.V.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769Y2 (ko) * 1989-08-01 1991-08-15
US5232379A (en) * 1992-02-28 1993-08-03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nector with mounting means for SMT
JP3258745B2 (ja) 1993-01-29 2002-02-18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付具
JP2583670Y2 (ja) * 1993-09-20 1998-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サーフェイスマウントコネクタ
TW415680U (en) * 1999-01-12 2000-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 connector
TW421338U (en) * 1999-11-23 2001-0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471544B1 (en) * 2001-06-25 2002-10-29 Ovilux Corporation Fix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nnecto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US6579122B1 (en) * 2002-01-17 2003-06-17 Jess-Link Products Co., Ltd. Connector for portable 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073637B2 (ja) 2008-11-14 2012-11-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5387632B2 (ja) * 2011-08-01 2014-01-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路基板と外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CN202474278U (zh) * 2011-09-30 2012-10-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231840B2 (ja) 2013-09-30 2017-1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828A (ko) 2017-07-31
DE102017100960A1 (de) 2017-07-27
CN107017488A (zh) 2017-08-04
TW201801403A (zh) 2018-01-01
JP6643907B2 (ja) 2020-02-12
TWI701866B (zh) 2020-08-11
CN107017488B (zh) 2020-03-31
US9899755B2 (en) 2018-02-20
US20170214161A1 (en) 2017-07-27
JP2017130373A (ja)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491B1 (ko) 커넥터 및 접속 구조
KR101397761B1 (ko) 전자 부품
KR102585117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7035291A (ja) 電気コネクタ
EP3796480B1 (en) Floating connector
US20130033826A1 (en) Electrical component
JP3311572B2 (ja) 電気接続用配線板
JP2016081669A (ja) コネクタ
WO2021045091A1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US20230261401A1 (en) Connector
US10797422B2 (en) Connector
WO2021045090A1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JP6441259B2 (ja) コネクタ
WO202216888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TW202332138A (zh) 連接器以及組件
KR20230095797A (ko) 커넥터
JP2019216118A (ja) プラグ
JP2024073803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202333427A (zh) 連接器
KR20220026477A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