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856B1 -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856B1
KR101850856B1 KR1020150172329A KR20150172329A KR101850856B1 KR 101850856 B1 KR101850856 B1 KR 101850856B1 KR 1020150172329 A KR1020150172329 A KR 1020150172329A KR 20150172329 A KR20150172329 A KR 20150172329A KR 101850856 B1 KR101850856 B1 KR 10185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lid
main body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938A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작없이 알갱이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이하 수용체라 한다)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어, 운전 중이거나 별다른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용체를 사용자가 습득할 수 있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체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를 통하여 뚜껑에 형성되는 인출구로 수용체를 인출하며, 상기 승강부는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dispenser}
본 발명은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작없이 알갱이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이하 수용체라 한다)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어, 운전 중이거나 별다른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용체를 사용자가 습득할 수 있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정한 크기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껌이나 알약 같은 수용체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진 용기에 담아 밀폐보관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기의 단점은 반드시 뚜껑을 열고 손가락을 용기 속으로 집어넣어 꺼내거나 또는 용기를 들어서 일정한 양만큼 꺼내서 취식을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갯수를 정확하게 집어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고 이때 필요 이상의 수용체가 사용자의 접촉 후 다시 용기에 남게 됨으로 인하여 다른 수용체로 오염이 확산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실용신안등록 제424929호에 기재된 기술에는 껌통을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하여 내통을 승강토록 할 경우에 1개씩 껌을 인출토록 하는 것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가 내통(10)에 껌이 담겨진 상태에서 외통(20)의 승강축(21)에 끼워져 상하강될 경우에 승강축(21)의 상단에 결합된 받침마개(22)에 껌이 한개씩 올려지면 내통(10)과 결합되어진 뚜껑(30)에 천공된 추출공(31)으로 껌이 한개씩 노출되면서 취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껌이 내통에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축(21)의 상단에 결합된 받침마개(22)에 2개가 올려질 경우에 뚜껑(30)에 천공된 추출공(31)과 승강축의 받침마개(22)가 1:1로 대응되어지게 되어 있어 껌의 추출이 용이치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승강축(21)이 외통(20)과 일체로 사출성형될 경우에 내통(10)에 담겨진 껌이 습기에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축에 흡습제를 수용하기 위하여 승강축(21)이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절개편으로 형성될 경우에 플라스틱의 특성상 성형시 냉각과정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비틀림에 의한 휘어짐이 발생되어 정확하게 직립되어지는 승강축의 구현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또한, 내통(10)이 외통(20)의 승강축을 따라 반복적으로 상하강될 경우에 진공이 발생되어 부드러운 작용이 불가능하게 됨은 물론 성형시 많은 성형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또한, 보관이나 운송시 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30)이 내통과 외통에 동시에 결합되어짐으로서 외통(20)의 승강축(21)이 뚜껑(30)의 추출공(31)을 형성하게 되는 절취마개를 가압하게 되어 절취마개가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하는 절취라인이 손상되거나 또는 승강축이 휘어지게 되거나 또는 이러한 가압에 의하여 마개에 형성된 당김부를 당김시 절취마개가 절취되지 않고, 당김부가 절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즉, 승강축은 내통이 외통에서 상하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을 집어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승강축의 받침마개가 뚜껑의 절취마개가 제거된 상태에서 추출공의 상측으로 약간 노출되어짐으로서 뚜껑의 절취마개를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09886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내통(10)이 외통(20)의 승강축(21)에 끼워져 상하승강되고, 상기 승강축(21)의 상단에는 받침마개(22)가 결합되어 그 상단에 껌이 한개씩 올려지게 되고, 올려진 껌은 내통(10)과 긴밀하게 결합되어진 뚜껑(30)에 천공된 추출공(31)으로 노출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21)은 외통(20)과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내통(10)에 담겨진 껌에 발생되는 습을 제거하기 위하여 흡습제가 수용 가능토록 상기 승강축(21)은 일정간격으로 절개공간을 갖도록 각각의 절개편(21a)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흡습제가 수용토록 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는 탈착가능한 받침마개를 결합하여 받침마개에 의하여 내통이 임의적으로 빠지지 않게 되고, 상기 승강축(21)을 구성하는 각각의 절개편(21a)은 절개되어진 부분의 변으로는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지고 그 중앙에는 얇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109886호에 기재된 기술은 필요시에 일정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껌을 하나씩만 인출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운전 중일 때 졸음 방지용으로 이러한 껌을 취식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외통을 직접 상하로 이동시켜 껌을 인출하여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통(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30)의 중심부에는 추출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추출공은 받침마개(22)로만 막아지기 때문에 완전한 밀폐가 되지 않아 외부의 먼지 등이 쉽게 내부로 유입되어 위생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체(알갱이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가 수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승하강하는 제1,2승하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승하강부는 탄성밴드 또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되게 되어,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에 형성되는 개폐부재를 개방할 경우 제1,2승하강부가 상부로 이동하여, 수용체를 하나만 뚜껑의 인출구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이거나 별다른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용체를 사용자가 습득할 수 있게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뚜껑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의 일측 하부에 탄성력이 있는 지지돌부를 구비하여 개폐부재가 개방한 상태에서 지지돌부가 뚜껑의 상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개폐부재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뚜껑의 인출구로 인출된 수용체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체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를 통하여 뚜껑에 형성되는 인출구로 수용체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는 관통공의 외측에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승강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제1가이드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는 관통공의 일측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승강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판형상의 제1연장부 한 쌍이 형성되고, 제1연장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의 상면에는 관통공의 외측에 관통공 부분이 오목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승강부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밴드의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제1걸림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부에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연장부의 상단에는 탄성밴드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 사이에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보강부의 하단은 탄성밴드의 중심부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작동레버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인출구를 커버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작동레버를 하부로 가압하는 작동돌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의 전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체(알갱이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가 수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승하강하는 제1,2승하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승하강부는 탄성밴드 또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되게 되어,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에 형성되는 개폐부재를 개방할 경우 제1,2승하강부가 상부로 이동하여, 수용체를 하나만 뚜껑의 인출구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이거나 별다른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용체를 사용자가 습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뚜껑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의 일측 하부에 탄성력이 있는 지지돌부를 구비하여 개폐부재가 개방한 상태에서 지지돌부가 뚜껑의 상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개폐부재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뚜껑의 인출구로 인출된 수용체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껌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 개선된 껌 공급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개선된 껌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개폐부재가 삭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승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서 탄성밴드가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서 스프링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개폐부재가 삭재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승강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의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서 탄성밴드가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서 스프링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알갱이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이하 수용체라 한다)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수용체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500)과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승강부(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체를 수용하게 되며, 본체(100)의 내측에 상하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부(200)를 통하여 뚜껑(500)에 형성되는 인출구(510)로 수용체를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도면에는 원통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각 통형상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200)는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제1승강부(300)와 상기 제1승강부(3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312)을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제2승강부(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부(300)는 상기 관통공(312)의 외측에 제1가이드부(320)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가이드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승강부(4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322)에 대응되도록 제1가이드바(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바(420)는 상기 제1가이드부(320)의 가이드홈(322)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승강부(400)는 제1가이드부(320)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300)는 관통공(312)의 일측에 수용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부(400)에는 상기 수용부(330)에 삽입되는 제1연장부(4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연장부(4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쌍이 제2승강부(4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33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330)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가이드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340)에는 제2가이드홈(34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연장부(430)의 양측에는 제2가이드홈(342)에 대응되도록 제2가이드바(440)가 형성되어 제2가이드홈(34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홈(342)에 제2가이드바(440)가 삽입되어 제2가이드홈(342)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제1연장부(430)는 제2가이드부(340)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400)의 상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승강부(300)의 상면에는 관통공(312)이 하부에 위치하고 가장자리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경사부(310)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알갱이 형태의 수용체는 상기 경사부(310)에 의해 관통공(312)으로 모이게 되며, 상기 관통공(312) 주위에 모인 수용체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오목부(410)에 수용되게 되는데, 상기 제2승강부(400)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오목부(410)에 수용된 수용체도 같이 상부로 이동하여 뚜껑(500)의 인출구(510)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300)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홈(350)에 대응되도록 회전방지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부(110)가 회전방지홈(350)에 삽입되게 되어 상기 제1승강부(300)가 본체(100)의 내부에서 승하강할 때, 회전방지부(110)와 회전방지홈(350)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4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승강부(400)의 가장자리에는 제1걸림부(43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110)의 상부에는 제2연장부(120)가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120)의 상단에는 제2걸림부(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432)에는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밴드(140)의 일측 단부가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2걸림부(122)에는 상기 탄성밴드(140)의 타측 단부가 걸림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430) 사이에는 보강부(434)가 구비되어 제1연장부(430)를 서로 연결하게 되고, 상기 보강부(434)의 전후에 제1연장부(43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공간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는데, 상기 탄성밴드(140)는 일측 단부가 제1걸림부(432)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434)의 전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하부로 삽입되며, 보강부(434)의 하단을 거처 보강부(434)의 후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따라 상부로 삽입되어 제2연장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122)에 타측 단부가 걸림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밴드(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강부(434)는 상부로 탄성 지지되어, 탄성밴드(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강부(434)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2승강부(4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부(400)의 내측에는 스프링(150)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링(150)에 의해 제2승강부(400)가 상부로 탄성지지되어 스프링(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승강부(4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승강부(400)의 하단 외주면 일측에는 외측으로 제1걸림턱(46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승강부(400)는 제1승강부(300)의 관통공(312)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탄성밴드(140) 또는 스프링(15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걸림턱(460)이 관통공(312)의 외측 하면을 지지하여 제1승강부(300)도 같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300)의 하부에는 탄성부(36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360)의 하단 외측에는 가압부(362)가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제1승강부(300)와 본체(100)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형성하게 하여, 제2승강부(400)가 하부로 이동하더라도 제1승강부(300)는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제2승강부(400)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제1승강부(300)의 상부에 수용된 수용체를 상부로 가압 고정하게 되어 수용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500)의 중심부에는 수용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510)가 형성되는데, 상기 뚜껑(500)에는 상기 인출구(51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53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530)의 일측에는 연결부(536)가 형성되어 뚜껑(500)의 가장자리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승강부(4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작동레버(450)가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제2승강부(4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450) 역시 뚜껑(500)의 인출구(510)를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게 되는데, 상기 개폐부재(530)의 하면에는 작동레버(450)에 대응되도록 작동돌부(532)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2승강부(400)가 탄성밴드(140) 또는 스프링(15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작동레버(450)가 인출구(510)를 통하여 인출된 경우, 상기 개페부재(510)을 닫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510)의 작동돌부(532)가 상기 작동레버(4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작동레버(4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승강부(400) 역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30)의 전단에는 손잡이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54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고정공(542)이 형성되는데, 상기 뚜껑(5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54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2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542)에 삽입 고정되어 개폐부재(53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2승강부(400)가 탄성밴드(140) 또는 스프링(150)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개폐부재(5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면에는 승강 지지부(13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강 지지부(13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제2걸림턱(1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승강부(40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제2승강부(400)의 제1걸림턱(460)이 제2걸림턱(132)에 걸림 결합되어 탄성밴드(140) 또는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 줌으로써 상기 개폐부재(530)가 닫힌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개폐부재(530)를 개방하게 되면 작동레버(450)를 가압하는 힘이 소멸되기 때문에 탄성밴드(140) 또는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승강부(400)는 상부로 이동하여 오목부(410)에 수용체를 수용하여 인출구(510)로 수용체를 인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500)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530)의 하면 일측에는 지지바(534)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뚜껑(50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바(534)를 수용하는 지지바 수용부(5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530)를 상부로 회동시켜 개방하게 되면, 상기 지지바(534)가 지지바 수용부(550)에서 인출되게 되며, 상기 지지바(534)의 단부는 지지바 수용부(550)의 측부를 지지하게 되어 개폐부재(53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534)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지지바(534)는 휘어지게 되어 다시 지지바 수용부(550)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인 디스펜서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 인출구(510)에는 절개커버(512)가 절개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절개커버(512)의 상부에는 당김고리(514)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당김고리(514)를 당겨 절개커버(512)를 인출구(510)에서 분리하여 인출구(510)를 개방하게 되고, 사용자가 수용체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작없이 알갱이 형태의 식품 또는 의약품(이하 수용체라 한다)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어, 운전 중이거나 별다른 주의를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용체를 사용자가 습득할 수 있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회전방지부
120 : 제2연장부 122 : 제2걸림부
130 : 승강지지부 132 : 제2걸림턱
140 : 탄성밴드 150 : 스프링
200 : 승강부 300 : 제1승강부
310 : 경사부 312 : 관통공
320 : 제1가이드부 330 : 수용부
340 : 제2가이드부 350 : 회전방지홈
360 : 탄성부 362 : 가압부
400 : 제2승강부 410 : 오목부
420 : 제1가이드바 430 : 제1연장부
440 : 제2가이드바 450 : 작동레버
460 : 제1걸림턱 500 : 뚜껑
510 : 인출구 520 : 걸림돌기
530 : 개폐부재 540 : 손잡이부

Claims (11)

  1. 내부에 수용체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를 통하여 뚜껑에 형성되는 인출구로 수용체를 인출하며,
    상기 승강부는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승강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작동레버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인출구를 커버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작동레버를 하부로 가압하는 작동돌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는 관통공의 외측에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승강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제1가이드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는 관통공의 일측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승강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판형상의 제1연장부 한 쌍이 형성되고, 제1연장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의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의 상면에는 관통공의 외측에 관통공 부분이 오목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승강부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밴드의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제1걸림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부에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연장부의 상단에는 탄성밴드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 사이에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보강부의 하단은 탄성밴드의 중심부에 의해 상부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전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1020150172329A 2015-12-04 2015-12-04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10185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29A KR101850856B1 (ko) 2015-12-04 2015-12-04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29A KR101850856B1 (ko) 2015-12-04 2015-12-04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38A KR20170065938A (ko) 2017-06-14
KR101850856B1 true KR101850856B1 (ko) 2018-04-23

Family

ID=5921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329A KR101850856B1 (ko) 2015-12-04 2015-12-04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60A (ko) * 2020-03-25 2021-10-06 김찬 상부 토출형태의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73A (ko) 2021-12-06 2023-06-13 이혜정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KR102459956B1 (ko) * 2022-05-13 2022-10-28 원윤준 알약 보관용 캡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51Y1 (ko) * 2001-10-10 2002-01-05 주학로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49734Y1 (ko) * 2009-10-06 2010-08-05 (주)교홍 껌 수납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51Y1 (ko) * 2001-10-10 2002-01-05 주학로 점성 내용물 취출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49734Y1 (ko) * 2009-10-06 2010-08-05 (주)교홍 껌 수납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60A (ko) * 2020-03-25 2021-10-06 김찬 상부 토출형태의 디스펜서
KR102333262B1 (ko) 2020-03-25 2021-11-30 김찬 상부 토출형태의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38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0799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multiple flexible bag assemblies
KR100964822B1 (ko) 밀폐식 뚜껑을 구비한 용기
US4190173A (en) Beverage container
KR102128583B1 (ko) 내용물 토출 용기
ES2372657T3 (es) Tapa de recipiente para líquidos con mecanismo dispensador y cierre estanco.
KR200474769Y1 (ko)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US7799284B2 (en) Sample container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JP2016144700A (ja) シーリング部材を有する、製品、特に化粧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0463676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288327B1 (ko) 팝업식 드로퍼
CN205525687U (zh) 用于能够填充含碳酸的饮料的水瓶的水瓶盖
KR1016949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70025749A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KR200489498Y1 (ko) 음료용 컵 뚜껑 및 이의 성형장치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80082123A (ko) 화장품 용기
KR10123902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102137560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KR20150134159A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73484Y1 (ko) 쓰레기통
KR20049601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CN110573436A (zh) 容器封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