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90B1 - 의자의 좌판 - Google Patents

의자의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90B1
KR101850790B1 KR1020180005680A KR20180005680A KR101850790B1 KR 101850790 B1 KR101850790 B1 KR 101850790B1 KR 1020180005680 A KR1020180005680 A KR 1020180005680A KR 20180005680 A KR20180005680 A KR 20180005680A KR 101850790 B1 KR101850790 B1 KR 10185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blocks
fixed base
movable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18000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좌판은 쿠션 부재와, 매개 패널과, 고정 베이스 패널과, 가동 베이스 패널, 및 걸림 기구를 포함한다. 매개 패널은 상면에 쿠션 부재를 안착시켜 지지하며, 전방 매개부가 후방 매개부에 접철 연결부에 의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베이스 패널은 상면에 후방 매개부를 고정한다. 가동 베이스 패널은 상면에 전방 매개부를 안착한 상태로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걸림 기구는 가동 베이스 패널을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걸림 처리 또는 해제한다.

Description

의자의 좌판{Seat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의자에 구비되는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가구 중의 하나로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좌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의자는 등받이의 상부에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나, 좌판의 양측에 사용자의 양팔 부분을 지지하는 팔걸이를 더 구비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도 한다.
좌판은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는 몸무게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좌판에 장시간 착석해 있으면, 엉덩이보다 상대적으로 살이 적은 허벅지 뒤쪽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져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허벅지 뒤쪽에 햄스트링 방사통과 같은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판에 장시간 착석하더라도, 허벅지 뒤쪽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장시간 착석에도 허벅지 뒤쪽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게 편안함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의자의 좌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좌판은 쿠션 부재와, 매개 패널과, 고정 베이스 패널과, 가동 베이스 패널, 및 걸림 기구를 포함한다. 매개 패널은 상면에 쿠션 부재를 안착시켜 지지하며, 전방 매개부가 후방 매개부에 접철 연결부에 의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베이스 패널은 상면에 후방 매개부를 고정한다. 가동 베이스 패널은 상면에 전방 매개부를 안착한 상태로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걸림 기구는 가동 베이스 패널을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걸림 처리 또는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허벅지의 압박을 풀어줄 수 있으므로, 장시간 착석에도 허벅지 뒤쪽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판이 채용된 의자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쿠션 부재 및 매개 패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 패널과 가동 베이스 패널 및 걸림 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걸림 기구가 가동 베이스 패널을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좌판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여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사용자의 엉덩이와 가까운 쪽을 좌판의 후방이라 하고, 사용자의 허벅지와 가까운 쪽을 좌판의 전방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판이 채용된 의자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의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판(100)에 다리(10) 및 등받이(2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다리(10)는 좌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좌판(100)을 지지한다. 다리(10)는 좌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리(10)의 하단에는 의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등받이(20)는 좌판(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한다. 좌판(100)의 좌,우측에는 팔걸이(30)들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양팔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한다. 등받이(20)의 상부에 사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4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쿠션 부재 및 매개 패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 패널과 가동 베이스 패널 및 걸림 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나란하게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걸림 기구가 가동 베이스 패널을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판(100)은 쿠션 부재(110)와, 매개 패널(120)과, 고정 베이스 패널(130)과, 가동 베이스 패널(140), 및 걸림 기구(150)를 포함한다.
쿠션 부재(110)는 사용자의 착석시 쿠션감을 제공한다. 쿠션 부재(110)는 푹신하고 탄력을 갖는 재질로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쿠션 부재(110)는 고밀도 스펀지, 우레탄폼, 라텍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 부재(110)는 인체공학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쿠션 부재(110)는 전방 부위가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허벅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쿠션 부재(110)는 가죽이나 천 등의 외피로 덧씌워져 오염 방지될 수 있다.
쿠션 부재(110)는 매개 패널(1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가장자리가 매개 패널(120)과 고정 베이스 패널(130) 및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쿠션 부재(110)는 하부 중앙에 일정 두께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매개 패널(120)의 상부 홈(120a)에 안착됨으로써, 매개 패널(120)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매개 패널(120)은 상면에 쿠션 부재(110)를 안착시켜 지지하며, 전방 매개부(121)가 후방 매개부(122)에 접철 연결부(123)에 의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다. 매개 패널(120)은 쿠션 부재(110)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갖고 쿠션 부재의 횡단면 형상과 유사한 횡단면 형상으로 쿠션 부재(1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매개 패널(1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전방 매개부(121)의 전후 폭은 후방 매개부(122)의 전후 폭보다 대략 절반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전방 매개부(121)의 후방 부위와 후방 매개부(122)의 전방 부위는 각각 좌우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철 연결부(123)는 전방 매개부(121)가 후방 매개부(122)에 대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전방 매개부(121)와 후방 매개부(122)를 연결한다. 예컨대, 접철 연결부(123)는 한 쌍의 외측 연결부(123a)들과, 한 쌍의 내측 연결부(12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연결부(123a)들은 전방 매개부(121)와 후방 매개부(122)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전방 매개부(121)와 후방 매개부(122)를 연결한다. 각각의 외측 연결부(123a)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위가 잘록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후방 매개부(122)에 대한 전방 매개부(121)의 접철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내측 연결부(123b)들은 외측 연결부(123a)들보다 전방 매개부(121)와 후방 매개부(122)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되어 전방 매개부(121)와 후방 매개부(122)를 연결한다. 내측 연결부(123b)들은 외측 연결부(123a)들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내측 연결부(123b)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위가 전,후방 부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내측 연결부(123b)는 전방 매개부(121)가 후방 매개부(122)에 대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중앙 부위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전,후방 부위가 꺾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후방 매개부(122)에 대한 전방 매개부(121)의 접철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베이스 패널(140)이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해제되면, 전방 매개부(121)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과 함께 상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에 쿠션 부재(110)의 탄력만을 제공한 상태로 허벅지 압박을 해제시켜줄 수 있다.
전방 매개부(121)는 이탈 방지부에 의해 가동 베이스 패널(140)에 이탈 방지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전방 매개부(121)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124)들과,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상측에 후크(124)들을 각각 걸도록 형성된 고리(1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베이스 패널(130)은 상면에 후방 매개부(122)를 고정한다. 고정 베이스 패널(1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고정 베이스 패널(130)은 복수의 결합 돌기(131)들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기(131)들은 각각 볼 형태로 고정 베이스 패널(130)의 상면에 고정 베이스 패널(130)과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1)들은 4개로 구비되어 4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후방 매개부(122)는 결합 돌기(131)들과 각각 끼움 결합하는 결합구(122a)들을 구비할 수 있다. 후방 매개부(122a)는 결합 돌기(131)들과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 하방으로 돌출된 보스들을 가지며, 결합구(122a)들은 보스들에 각각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구(122a)는 복수의 결합 편(122b)들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편(122b)들은 결합구(122a)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들끼리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결합 편(122b)들은 결합 돌기(131)가 결합구(122a)에 끼워지면 탄성 변형되어 결합 돌기(131)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결합 돌기(131)를 결합구(122a)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베이스 패널(130)은 강건한 구조를 위해 상면에 리브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상면에 전방 매개부(121)를 안착한 상태로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즉,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힌지 축(146)으로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결합된다.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좌우측에 힌지 축을 끼워서 지지하는 가동측 축받이(141)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가동측 축받이(141)들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베이스 패널(130)은 가동측 축받이(141)들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 축(146)을 끼워서 지지하는 고정측 축받이(132)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가동측 축받이(141)들과 고정측 축받이(132)들의 회동 중심축은 접철 연결부(123)의 접철 중심축의 직하방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강건한 구조를 위해 상면에 리브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후방 중앙으로부터 절개된 절개 홈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베이스 패널(130)은 전방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절개 홈부(142)에 삽입되는 스토퍼 블록부(133)를 구비한다.
절개 홈부(142)는 대략 4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절개 홈부(142)는 좌우측 내벽이 서로 나란하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블록부(133)의 좌우측 외벽은 절개 홈부(142)의 좌우측 내벽과 유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블록부(133)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걸림시 좌우측 상면에 걸림 블록(152)들을 안착시키는 영역을 제공한다.
스토퍼 블록부(133)는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방 매개부(121)가 하방으로 접힐 때, 스토퍼 블록부(133)는 경사진 상면에 전방 매개부(121)의 하면과 맞닿음으로써, 전방 매개부(121)가 설정 각도를 초과해서 접히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토퍼 홈(133a)들이 스토퍼 블록부(133)의 좌우측 상면에 형성되며, 스토퍼 돌기(143)들이 절개 홈부(142)의 좌우측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패널(140)이 하방으로 회동할 때, 스토퍼 돌기(143)들이 스토퍼 홈(133a)들에 각각 끼워져 맞닿음으로써, 가동 베이스 패널(140)이 설정 각도를 초과해서 회동하지 않도록 제한함과 아울러, 전방 매개부(121)가 설정 각도를 초과해서 접히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해제되면, 전방 매개부(121)와 함께 상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에 쿠션 부재(110)의 탄력만을 제공한 상태로 허벅지 압박을 해제시켜줄 수 있다.
걸림 기구(150)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걸림 처리 또는 해제한다. 예컨대, 걸림 기구(150)는 한 쌍의 걸림 홀(151)들과, 걸림 블록(152)들과, 리턴 스프링(153)들과, 작동 블록(154)들과, 회전 샤프트(155), 및 레버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홀(151)들은 절개 홈부(142)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걸림 블록(152)들은 스토퍼 블록부(133)의 상면에 위치되게 걸림 홀(151)들에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걸림 처리한다. 따라서,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하방으로 회동하지 않게 구속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블록(152)들은 스토퍼 블록부(133)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나게 걸림 홀(151)들로부터 각각 인출된 상태에서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해제한다. 걸림 블록(152)들은 좌우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걸림 홀(151)들에 인출입됨에 따라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걸림 처리 또는 해제한다.
각각의 걸림 블록(152)은 해당 걸림 홀(151)에 인출입되는 걸림 돌기(152a)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 블록(152)들은 각 상측에 걸림 홀(1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152b)가 형성된다.
작동 블록(154)이 해당 걸림 블록(152)의 경사부(152b)를 누르게 되면, 경사부(152b)는 높은 쪽으로부터 낮은 쪽으로 작동 블록(152)과 맞닿아 이동함으로써, 걸림 돌기(152a)를 해당 걸림 홀(151)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걸림 홀(151)들로부터 인출된 걸림 돌기(152a)들은 하중에 의해 스토퍼 블록부(133)의 좌,우측 외벽에 맞닿게 위치된다.
리턴 스프링(153)들은 걸림 블록(152)들이 걸림 홀(151)들에 각각 끼워지는 방향으로 걸림 블록(152)들에 탄성력을 가한다. 걸림 블록(152)들이 작동 블록(154)들에 의해 눌러져 걸림 홀(151)들로부터 인출되면, 리턴 스프링(153)들은 탄성 변형된다. 걸림 블록(152)들이 작동 블록(154)들에 의해 눌러진 상태로부터 벗어나면, 리턴 스프링(153)들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블록(152)들이 걸림 홀(151)들에 자동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리턴 스프링(153)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블록(154)들은 걸림 블록(152)들의 각 경사부(152b)를 누르도록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걸림 블록(152)들을 걸림 홀(151)들로부터 인출시킨다. 작동 블록(154)들은 걸림 블록(152)들의 각 경사부(152b)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걸림 블록(152)들의 각 경사부(152b)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55)는 작동 블록(154)들과 연결된 상태로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상측에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샤프트(155)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에 장착된 샤프트 지지 브래킷(145)들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55)는 레버부(15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 블록(154)들을 연계해서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레버부(156)는 회전 샤프트(155)에 연결된 상태로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회전 샤프트(155)를 회전시킨다. 레버부(156)는 한 쌍의 레버(156a)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레버(156a)들은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하측 개구(146)들을 통해 인출입할 수 있다. 레버(156a)들은 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작동 블록(154)들이 걸림 블록(152)들의 각 경사부(152a)를 누르도록 회전시키며,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작동 블록(154)들이 걸림 블록(152)들의 각 경사부(152b)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156a)들은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으로 손쉽게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버(156a)들은 작동 블록(154)들에 인접하여 연결됨으로써, 작동 블록(154)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레버(156a)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의 하측 개구(146) 후단에 맞닿아 멈춘 위치에서 작동 블록(154)이 걸림 블록(152)의 경사부(152b)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레버(156a)는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전방으로 당겨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기구(150)의 각 구성품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리턴 스프링(153)을 제외한 구성품은 경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의자의 좌판(100)에 대한 작용 예를 도 2 내지 도 9와 함께 도 10 및 도 1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평상시에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걸림 기구(150)에 의해 걸림 처리해 둔 상태로 좌판(100)에 착석할 수 있다. 이때, 걸림 블록(152)들의 걸림 돌기(152a)들이 고정 베이스 패널(130)의 스토퍼 블록부(133)의 상면에 위치되게 걸림 홀(151)들에 끼워진 상태로 리턴 스프링(153)들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걸림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100)에 착석해 있다가 허벅지에 압박을 느껴 풀고자 할 경우, 좌판(100)에 착석한 상태로 레버(156a)들을 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회전 샤프트(155)가 레버(156a)들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작동 블록(154)들은 회전 샤프트(155)의 회전에 의해 걸림 블록(152)들의 각 경사부(152a)를 누르게 되며, 그에 따라 걸림 돌기(152)들이 스토퍼 블록부(133)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나 걸림 홀(151)들로부터 인출되며, 하중에 의해 스토퍼 블록부(133)의 좌우측 외벽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대해 해제된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 패널(120)의 전방 매개부(121)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과 함께 상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허벅지에 쿠션 부재(110)의 탄력만을 제공한 상태로 허벅지의 압박을 해제시켜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다시 걸림 처리해서 착석하고자 할 경우, 가동 베이스 패널(140)을 상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걸림 돌기(152a)들은 걸림 홀(151)들에 대응되게 상승한 후, 리턴 스프링(153)들에 의해 걸림 홀(151)들에 끼워져 스토퍼 블록부(133)의 상면에 위치됨으로써, 가동 베이스 패널(140)은 고정 베이스 패널(130)에 걸림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판(100)은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허벅지의 압박을 풀어줄 수 있으므로, 장시간 착석에도 허벅지 뒤쪽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쿠션 부재 120..매개 패널
121..전방 매개부 122..후방 매개부
123..접철 연결부 130..고정 베이스 패널
140..가동 베이스 패널 150..걸림 기구
151..걸림 홀 152..걸림 블록
153..리턴 스프링 154..작동 블록
155..회전 샤프트 156..레버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쿠션 부재;
    상면에 상기 쿠션 부재를 안착시켜 지지하며, 전방 매개부가 후방 매개부에 접철 연결부에 의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매개 패널;
    상면에 상기 후방 매개부를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 패널;
    상면에 상기 전방 매개부를 안착한 상태로 상기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동 베이스 패널; 및
    상기 가동 베이스 패널을 상기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걸림 처리 또는 해제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베이스 패널은 후방 중앙으로부터 절개된 절개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 패널은 전방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절개 홈부에 삽입되되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스토퍼 블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 기구는,
    상기 절개 홈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림 홀들;
    상기 스토퍼 블록부의 상면에 위치되게 상기 걸림 홀들에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베이스 패널을 상기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걸림 처리하며, 상기 스토퍼 블록부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나게 상기 걸림 홀들로부터 각각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베이스 패널을 상기 고정 베이스 패널에 대해 해제하며, 각 상측에 상기 걸림 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걸림 블록들;
    상기 걸림 블록들이 상기 걸림 홀들에 각각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 블록들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들;
    상기 걸림 블록들의 각 경사부를 누르도록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 블록들을 상기 걸림 홀들로부터 인출시키는 작동 블록들;
    상기 작동 블록들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동 베이스 패널의 상측에 좌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동 베이스 패널의 하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레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좌판.
KR1020180005680A 2018-01-16 2018-01-16 의자의 좌판 KR10185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80A KR101850790B1 (ko) 2018-01-16 2018-01-16 의자의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80A KR101850790B1 (ko) 2018-01-16 2018-01-16 의자의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90B1 true KR101850790B1 (ko) 2018-04-20

Family

ID=6208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680A KR101850790B1 (ko) 2018-01-16 2018-01-16 의자의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496A (ko) 2022-08-04 2024-02-14 한의경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232U (ko) * 1989-07-21 1991-03-18
US5401077A (en) * 1991-02-20 1995-03-28 Hosoe; Isao Ergonomically improved chair or armchair
KR20060086946A (ko) * 2003-09-30 2006-08-01 폴 아더 엥겔스 높이 조절용 작업 의자
JP2015171652A (ja) * 2015-07-10 2015-10-01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及びその座部
KR101635777B1 (ko) * 2014-07-16 2016-07-07 주식회사 세원산업 전후 슬라이딩 의자
JP6236495B2 (ja) * 2015-05-22 2017-11-2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クッション長さ調整器とクッション長さ調整器付き車両シー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232U (ko) * 1989-07-21 1991-03-18
US5401077A (en) * 1991-02-20 1995-03-28 Hosoe; Isao Ergonomically improved chair or armchair
KR20060086946A (ko) * 2003-09-30 2006-08-01 폴 아더 엥겔스 높이 조절용 작업 의자
KR101635777B1 (ko) * 2014-07-16 2016-07-07 주식회사 세원산업 전후 슬라이딩 의자
JP6236495B2 (ja) * 2015-05-22 2017-11-2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クッション長さ調整器とクッション長さ調整器付き車両シート
JP2015171652A (ja) * 2015-07-10 2015-10-01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及びその座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71652호(2015.10.0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496A (ko) 2022-08-04 2024-02-14 한의경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789C (en) Reclining chair with enhanced adjustability
US6811218B2 (en) Chair with conforming seat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NL9002478A (nl) Instelbare stoel.
WO2004021961A1 (ja) フットレスト装置
KR20130103988A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538342B1 (ko) 의자
KR101850790B1 (ko) 의자의 좌판
US8052214B2 (en) Seat structure
JP2011229896A (ja) 座る位置が調節される座板部の移動構造を有する椅子
KR102074844B1 (ko) 안락성이 개선된 의자
KR101733981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1788642B1 (ko) 의자용 등받이 슬라이드 장치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190050548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JP2011115570A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1009488B1 (ko)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JP6777281B2 (ja) 椅子
KR101948820B1 (ko) 의자
KR101941528B1 (ko)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KR101446461B1 (ko) 의자 조립체
KR20190011032A (ko) 리클라이닝 체어
KR20180009104A (ko) 좌식의자
KR20240083454A (ko)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100607537B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