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928B1 -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928B1
KR101848928B1 KR1020110119204A KR20110119204A KR101848928B1 KR 101848928 B1 KR101848928 B1 KR 101848928B1 KR 1020110119204 A KR1020110119204 A KR 1020110119204A KR 20110119204 A KR20110119204 A KR 20110119204A KR 101848928 B1 KR101848928 B1 KR 10184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ir
touch screen
foreign matter
lc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663A (ko
Inventor
이승현
박해성
백승협
송현도
정상혁
최승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928B1/ko
Priority to US13/558,668 priority patent/US9170605B2/en
Priority to CN201210460114.5A priority patent/CN103105966B/zh
Publication of KR2013005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패널; 엘씨디 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로 공기가 유, 출입되는 공기통로를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SSEMBLY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기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기들을 일컫는다.
휴대용 전자 기기들은 용이한 휴대성 및 기기에 탑재된 다양한 기능들로 인해 이동 시에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용도나, 시대적 흐름 또는 소비자의 요구 등에 따라 폼팩터(form factor)가 다양화되며,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바 타입의 다양한 기능이 함유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탑재되면서 휴대용 단말기 하나로 음성통화부터 금융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전면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화상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출력장치가 하나의 대형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된다.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배면에 구비되는 엘씨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 바 타입의 전자기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할 수 있는 한 최대의 화면을 가지도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다.
종래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7531호(공개일: 2011.08.09일, 발명의 명칭: 터치 패널)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분리 사시도, 결합도 및 A-A, B-B' 선 단면도를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스크린 패널(2)과, 터치스크린 패널(2) 후방에 구비되는 엘씨디 패널(3)을 포함하며,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는 스폰지(4)가 구비된다.
스폰지(4)는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 위치되어,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스폰지(4)는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 공간(S)을 밀폐상태로 유지시킨다.
터치스크린 패널(2)과, 스폰지(4) 및 엘씨디 패널(3)의 조립 시, 그 크기를 비교해 보면, 엘씨디 패널(3)은 터치스크린 패널(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스폰지(4)의 내측은 엘씨디 패널(3)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스폰지(4)는 그 내측이 비어있는 프레임 형상으로서, 스폰지(4)는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스폰지(4)의 외측면(4a)은 엘씨디 패널(3)의 외측면(3a)보다 크고 터치스크린 패널(2)의 외측면(2a) 보다 작게 형성되고, 스폰지(4)의 내측면(4a)은 엘씨디 패널(3)의 외측면(3a)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폰지(4)의 외측면(4a)은 엘씨디 패널(3)의 외측면(3a)과 터치스크린 패널(2)의 외측면(2a) 사이에 놓이고, 스폰지(4)의 내측면(4b)은 엘씨디 패널(3)의 외측면(3a)보다 내측으로 놓인다.
이러한 스폰지(4)는 엘씨디 패널(3)과 터치스크린 패널(2) 사이 공간(S)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터치스크린 패널(2)의 눌림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이 엘씨디 패널(3)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터치스크린 패널(2)이 접촉에 의해 눌리는 경우, 스폰지(4) 및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 갇혀있는 공기가 터치스크린 패널(2)을 원위치로 회복되도록 힘을 가하다.
스폰지(4)의 일측 내측면(4b)에는 홈(5)이 형성된다(도 3 참조). 홈(5)은 스폰지(4)의 내측면(4b)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된다. 터치스크린 패널(2), 스폰지(4), 엘씨디 패널(3)이 순서대로 조립된 상태에서, 홈(5)은 엘씨디 패널(3)의 외측면(3a)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홈(5)의 단부 측의 소정 공간(이하 '공기 연통홀'이라 함, 5a)을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의 공간(S)은 외부와 연결된다(도 3의 B-B'선 참조).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의 공간에 갇혀 있던 공기는 터치스크린 패널(2)의 접촉에 따른 압력에 의해 공기 연통홀(5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접촉되던 압력이 제거되면 공기 연통홀(5a)을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공기 연통홀(5a)의 크기는 홈(5) 중에서 엘씨디 패널(3)에 커버되지 않은 일부 공간으로, 공기 연통홀(5a)의 크기는 협소하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2)이 터치되어 눌림에 의한 압력으로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 갇혀 있던 공기는 공기 연통홈(5a)이나 스폰지(4)의 결합면(터치스크린 패널(2)과 스폰지(4) 사이 또는 엘씨디 패널(3)과 스폰지(4) 사이)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 후, 공기 연통홀(5a)을 통한 공기의 재 유입이 용이하지 않아,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가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가 밀착됨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패널(2)을 통해 무지개색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유막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막현상이 발생하여도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 공기가 재 유입되면 공기의 유입에 따른 공간 부피 증가로, 터치스크린 패널(2)의 눌림이 빠르게 복구됨으로써, 유막현상의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나, 공기 연통홀(5a)을 통한 공기의 재유입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유막현상의 회복이 느리거나 회복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조립과정에서, 스폰지(4)가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홈(5)이 엘씨디 패널(3)에 의해 모두 커버됨으로써, 공기 연통홀(5a)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2) 사이에 공간(S)은 외부와 연결되지 않고, 터치스크린 패널(2)의 접촉에 따른 눌림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의 공기가 스폰지(4)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갈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2)과 엘씨디 패널(3) 사이로 공기가 재유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터치스크린 패널과 엘씨디 패널 사이에 공기의 유,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패널이 접촉에 따라 눌림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의 복원을 빠르게 하여 유막현상이 발생하여도, 그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패널; 엘씨디 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로 공기가 유, 출입되는 공기통로를 갖는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부재의 외측과 연결되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와 이격되고, 상기 부재의 내측과 연결되는 제2통로; 및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결하는 제3통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 및 상기 제3통로는 선형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통로는, 상기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 출입되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제1출입구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제1연결통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결통로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통로는, 상기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로 공기가 유, 출입되는 제2출입구; 및 상기 제2출입구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통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연결통로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통로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적층부가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적층부는, 상기 제1통로 측에 구비되는 제1이물질 유입부; 및 상기 제1이물질 유입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통로 측에 구비되는 제2이물질 유입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이물질 유입부는, 상기 제3통로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통로; 및 상기 제1연결통로에서 상기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물질이 적층되는 제1적층용 개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이물질 유입부는, 상기 제3통로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결통로; 및 상기 제2연결통로에서 상기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물질이 적층되는 제2적층용 개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 및 상기 제3통로는 선형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공간을 확보하는 부재에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부재의 내, 외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내측공간 및 외부와 연결되는 출입부; 및 상기 출입부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부재의 내, 외측으로 공기를 유통되도록 절곡 형성된 통로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입부는, 상기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제1출입구에 이격되고, 상기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로부는, 상기 제1출입구와 연결되는 제1연결통로; 상기 제1연결통로와 이격되고, 상기 제2출입구와 연결되는 제2연결통로; 및 상기 제1연결통로의 단부와 상기 제2연결통로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통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결통로와 상기 제2연결통로는 각각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통로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적층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과 엘씨디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부재에 공기통로를 구비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과 엘씨디 패널 사이에 부재가 조립된 후에도, 내측공간과 외부의 공기의 유,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통로가 다단으로 절곡되어 부재의 내, 외측을 연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시에도 공기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통로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과 엘씨디 패널 사이로 공기의 유동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의 접촉에 따른 눌림에 의해 발생되는 유막현상을 방지하고, 유막현상의 회복속도를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결통로 및 제2연결통로를 경사지게 구비함은 물론 제3통로의 양단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적층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터치스크린 패널과 엘씨디 패널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종래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도 2에서 A-A'선 및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과 부재 및 엘씨디 패널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4에 도시된 부재 및 부재에 구비되는 공기통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재에서 공기통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부재에서 공기통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나,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그 전면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스크린 패널(11)과, 엘씨디 패널(12) 및 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1)은 외부로 노출된다.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일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접촉함에 따라 구동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11)은 후술하는 엘씨디 패널(12)의 상면으로 소정 공간 이격되어 위치된다. 터치스크린 패널(11)은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 등을 이용한다.
상기 엘씨디 패널(12)은 표시부 브라켓과 터치스크린 패널(11) 사이에 설치된다. 엘씨디 패널(12)의 배면은 표시부 브라켓(미도시)에 안착되고, 엘씨디 패널(12)의 상면은 터치스크린 패널(11)의 배면과 대향하게 위치된다. 표시부 브라켓은 그 상면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안착되고, 전자기기의 전면 케이스(미도시)와 일몸체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전면 케이스에 노출된 상태로, 전면 케이스의 내부를 폐쇄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과 부재 및 엘씨디 패널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과 부재 및 엘씨디 패널의 적층된 상태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재(13)는 터치스크린 패널(11)과 엘씨디 패널(12) 사이에 구비된다. 부재(13)는 그 내측이 비어있는 프레임 형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11)과 엘씨디 패널(12) 사이에서 공간(S, 이하 '내측공간'이라 함.)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부재(13)는 터치스크린 패널(11)과 엘씨디 패널(12)을 결합시키고, 내측공간(S)을 형성하며, 내측공간(S)을 밀폐시킴은 물론 공기통로(100)를 통해 내측공간(S)과 외부의 공기를 유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터치스크린 패널(11)과, 부재(13) 및 엘씨디 패널(12)의 조립 시, 그 크기를 비교해 보면, 엘씨디 패널(12)은 터치스크린 패널(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부재(13)의 내측은 엘씨디 패널(1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보면, 부재(13)의 외측면(13a)은 엘씨디 패널(12)의 외측면(12a)보다 크고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외측면(11a) 보다 작게 형성되고, 부재(13)의 내측면(13b)은 엘씨디 패널(12)의 외측면(12a)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부재(13)의 외측면(13a)은 엘씨디 패널(12)의 외측면(12a)과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외측면(11a) 사이에 놓이고, 부재(13)의 내측면(11b)은 엘씨디 패널(12)의 외측면(12a)보다 내측으로 놓인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부재 및 부재에 구비되는 공기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부재(13)의 일측에는 내측공간(S)으로 공기가 유, 출입되도록 공기통로(10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00)는 부재(13)의 일측에서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유, 출입된다. 즉, 부재(13)가 터치스크린 패널(11)과 엘씨디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기통로(100)는 내측공간(S)과 외부를 연결시킨다. 후술하는 제1출입구(111)는 엘씨디 패널(12)의 외측면(12a)의 외부로 노출되고, 제2출입구(121)는 내측공간(S)으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내측공간(S)에 갇혀있는 공기는 공기통로(10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공기통로(100)를 통해 내측공간(S)으로 유입된다.
공기통로(100)는 구성에 따라 제1,2,3통로(110, 120, 130)를 포함하며, 기능에 따라서는 통로부(112, 122, 130)와 출입부(111, 121)를 포함한다. 공기통로(100)를 기능에 따라 분리하여 보면, 상기 통로부(112, 122, 130)는 부재(13)의 내, 외측에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공기를 유통가능하게 하며, 출입부(111, 121)는 부재(13)의 내, 외측면(13a, 13b)에서 통로부(112, 122, 130)로 공기를 유, 출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로부(112, 122, 130)는 부재(13)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연결통로(112)와, 제2연결통로(122) 및 제1연결통로(112)와 제2연결통로(122)를 연결하는 제3통로(130)를 포함한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제1연결통로(112)는 부재(13)의 우측방향에 위치되며, 제2연결통로(122)는 부재(13)의 좌측방향에 위치된다. 제3통로(130)는 제1연결통로(112)의 단부와 제2연결통로(122)의 단부를 연결하며, 부재(13)의 일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부(111, 121)는 통로부(112, 122, 130)에서 유통되는 공기가 외부 또는 내측공간(S)으로 유, 출입되도록 부재(13)의 내, 외측면(13a, 13b)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출입부(111, 121)는 제1출입구(111)와 제2출입구(121)를 포함한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제1출입구(111)는 제1연결통로(112)로 공기를 유, 출입시키도록 부재(13)의 외측면(13a)에 구비되고, 제2출입구(121)는 제2연결통로(122)로 공기를 유, 출입시키도록 부재(13)의 내측면(13b)에 구비된다.
여기서, 공기통로(100)를 구성에 따라 분리하면,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 및 제3통로(130)를 포함한다.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 및 제3통로(130)는 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통로(110)는 부재(13)의 외측에 위치된다.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110)를 통해 유입되거나, 내측공간(S)의 공기가 후술하는 제2통로(120) 및 제3통로(130)를 거쳐 제1통로(1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제1통로(110)는 제1출입구(111)와, 제1연결통로(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출입구(111)는 부재(13)의 외측면(13a)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 출입시킨다. 즉, 외부의 공기가 제1출입구(111)를 통해 유입되거나, 후술하는 제2출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내측공간(S)의 공기가 제1출입구(1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제1연결통로(112)는 제1출입구(111)와 후술하는 제3통로(130)의 단부(도 5를 참조하면, 제1연결통로(112)는 제3통로(1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됨)를 연결한다. 제1연결통로(112)는 제1출입구(11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제3통로(130)로 유통되도록 하거나, 제3통로(130)를 따라 유통된 내측공간(S)의 공기가 제1출입구(111)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통로(112)는 제1출입구(111)에서 제3통로(130)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1연결통로(1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추후 설명할 제1연결통로(112a, 112b)의 다른 실시예(도 8 및 도 9 참조)에서와 같이, 제1연결통로(112a, 112b)는 제1출입구(111a, 121b)에서 제3통로(130)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연결통로(112)는 제1출입구(111)에서 제3통로(130)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부재(13)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승되는 방향(도 5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연결통로(112)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출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3통로(130)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경로상 제3통로(130)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이물질 유입부(141)로 유입된다.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물질 유입부(141)로 이동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또한, 제1이물질 유입부(141)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내측공간(S)과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제3통로(130)로 이동된다. 또한, 후술하는 제1연결통로(112)와 제2연결통로(12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통로(120)는 제1통로(110)와 이격되어 부재(13)의 내측에 위치된다. 제2통로(120)를 통해 내측공간(S)으로 공기가 유, 출입된다.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접촉 등에 따른 눌림에 의해 내측공간(S)의 공기가 제2통로(120)를 통해 유출되거나, 내측공간(S)과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제1통로(110)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3통로(130)를 지나 제2통로(120)를 통해 유입된다. 제2통로(120)는 제2출입구(121)와, 제2연결통로(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출입구(121)는 부재(13)의 내측면(13b)에 형성되어, 내측공간(S)의 공기를 제3통로(130) 측으로 이동되도록 유출하거나,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한 외부 공기를 내측공간(S)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제2연결통로(122)는 제2출입구(121)와 후술하는 제3통로(130)의 단부(도 5를 참조하면, 제2연결통로(122)는 제3통로(130)의 좌측단부에 형성됨.)를 연결한다. 제2연결통로(122)는 제2출입구(121)로 유입된 내측공간(S)의 공기를 제3통로(130)로 유통되도록 가이드하거나,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된 외부의 공기를 제2출입구(121)로 유통되도록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통로(122)는 제2출입구(121)에서 제3통로(130)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2연결통로(1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후 설명할 제2연결통로(122a, 122b)의 다른 실시예(도 8 및 도 9 참조)에서와 같이, 제2연결통로(122a, 122b)는 제2출입구(121)에서 제3통로(130)까지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연결통로(122)는 제2출입구(121)에서 제3통로(130) 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부재(13) 내측면(13b)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하향되는 방향(도 5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1연결통로(11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연결통로(122)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3통로(130)를 통해 이동되어 온 외부 공기가 바로 제2연결통로(122)로 유입되지 않고, 제3통로(130)에서 연장된 제2이물질 유입부(142)로 유입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어 제1이물질 유입부(141)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일부 이물질이 제2이물질 유입부(142)에서 2차적으로 필터링된다.
상기 제3통로(130)는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를 연결한다. 제3통로(130)는 제1연결통로(112)의 단부와 제2연결통로(122)의 단부가 서로 유통되도록 연결한다. 제3통로(130)는 제1출입구(111) 또는 제2출입구(121)를 통해 유, 출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제1통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제3통로(130)를 통해 제2통로(120)로 유입되어 내측공간(S)으로 유출되고, 제2통로(120)를 통해 유입되는 내측공간(S)의 공기는 제3통로(130)를 통해 제1통로(110)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된다.
제3통로(130)의 양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적층부(140)가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적층부(140)는 제3통로(130)의 양단부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물질 적층부(14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적층부(140)가 제3통로(1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제1,2연결통로(112, 122)의 단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되는 것도 가능하며(도9 참조), 또는 공기통로(100) 상에 에어필터와 같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 등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이물질 적층부(140)의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물질 적층부(140)는 제1이물질 유입부(141)와 제2이물질 유입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물질 유입부(141)는 제3통로(13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3통로(130)의 우측 단부에서 우측방향(도 5기준)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이물질 유입부(141)는 제1출입구(111)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제1이물질 유입부(141)는 제1연장통로(141a)와, 제1적층용 개구(14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통로(141a)는 제3통로(130)의 일단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경사진 제1연결통로(112)로 가이드 이동된 공기는 경사진 이동방향으로 인해 제1연장통로(141a)로 유입된다. 상기 제1적층용 개구(141b)는 제1연장통로(141a)에서 부재(13)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홈 형상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1적층용 개구(141b)에 적층된다.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1적층용 개구(141b)에서 1차적으로 적층된 후, 외부 공기는 다시 제1연장통로(141a)를 통해 제3통로(130)로 가이드 이동된다.
상기 제2이물질 유입부(142)는 제3통로(13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2연결통로(122)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3통로(130)의 좌측단부에서 좌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도 5를 기준).
제2이물질 유입부(142)는 제1이물질 유입부(141)에서 필터링된 공기 중에 필터링되지 않고 남아있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또한,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된 외부 공기는 공기의 이동방향에 의해 제2연결통로(122)로 유입되지 않고, 먼저 제2이물질 유입부(142)로 유입된다.
제2이물질 유입부(142)는 제2연장통로(142a)와 제2적층용 개구(142b)를 포함한다. 이미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1이물질 유입부(141)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 된 상태이므로, 외부 공기 중에는 이물질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 그러나, 제1이물질 유입부(141)에서 필터링 되지 못한 일부의 이물질은 제2이물질 유입부(142)를 통해 한번 더 필터링된다
상기 제2연장통로(142a)는 제3통로(130)의 단부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연장통로(142a)는 제3통로(130)와 일직선으로 관통되도록 연결되어,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된 외부 공기의 대다수는 제2연장통로(142a)로 유입된다. 그러나,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경사진 제2연결통로(122)로 유입된다. 일부의 공기가 바로 제2연결통로(122)를 통해 내측공간으로 유입되어도, 이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1이물질 유입부(141)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 된 상태이므로, 내측공간(S)에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에는 이물질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
제2적층용 개구(142b)는 제2연장통로(142a)의 단부에서 부재(13)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홈 형상으로, 그 내측에 이물질이 적층된다. 제2연장통로(142a)를 지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2적층용 개구(142b)에 적층됨으로써, 한번 더 필터링된다. 제2이물질 유입부(142)에 의해 2차적으로 필터링 된 외부 공기는 제2연결통로(122)로 가이드 이동되고, 제2출입구(121)를 통해 내측공간(S)으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적층부(140)는 제3통로(13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면 제1통로(110) 측에만 설치되거나, 제2통로(120) 측에만 설치되는 등의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물질 적층부(140)는 각각 제1,2 연장통로(141a, 142a)와 제1,2 적층용 개구(141b, 142b)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통로(100) 상을 따라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후술하는 공기통로(100)의 다른 실시예(도8참조) 및 또 다른 실시예(도 9참조)에서와 같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터치스크린 패널(11)과, 부재(13) 및 엘씨디 패널(12)이 순서대로 적층되면, 공기통로(100)의 제1출입구(111)는 외부에 노출되고, 제2출입구(121)는 내측공간(S)에 노출되어 엘씨디 패널(12)에 막힘 없이 내측공간(S)과 외부를 연결한다. 터치스크린 패널(11)에 접촉에 따른 눌림이 발생하면, 내측공간(S)의 공기는 제2통로(120)를 통해 제3통로(130)로 유입되고, 제1통로(110)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빠져나간다. 내측공간(S)에 공기가 빠져나간 후, 내측공간(S)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110)를 통해 유입된다. 제1출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좌측에서 우측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1연결통로(112)를 이동한다. 제1연결통로(112)의 이동 경로로 인해, 외부 공기는 제1연결통로(112)로 이동된다.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3통로(13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적층용 개구(141b)에 적층되어 필터링되고, 제1연결통로(112)를 따라 제3통로(130)로 이동된다. 제3통로(130)를 이동한 외부 공기는 이동 경로상에 놓인 제2연장통로(142a)로 유입되고, 제1적층용 개구(141b)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한 일부 이물질이 제2적층용 개구(142b)에 적층된다. 제1이물질 유입부(141) 및 제2이물질 유입부(142)에서 필터링 된 공기는 제2연결통로(122)로 이동되고, 제2출입구(121)를 통해 내측공간(S)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눌려졌던 터치스크린 패널(11)이 원 상태로 복구되고, 접촉에 따른 눌림에 의해 발생되었던 유막현상이 바로 회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재에서 공기통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통로(100a)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통로(100)와 제1,2 연결통로(112, 122)의 형상을 달리하며, 또한, 제1,2 연장통로(141a, 142a)나 제1,2적층용 개구(141b, 142b)가 형성되지 않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즉, 제1출입구(111a)와 제1연결통로(112a)를 포함하는 제1통로(110a)에서, 제1연결통로(112a)는 제1출입구(111a)와 제3통로(130a)를 연결하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출입구(121a)와 제2연결통로(122a)를 포함하는 제2통로(120a)에서, 제2연결통로(122a)는 제2출입구(121a)와 제3통로(130)를 연결하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3통로(130)의 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1,2연결통로(112a, 122a)가 제1,2출입구(111a, 121a)와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다.
터치스크린 패널(11)과, 부재(13) 및 엘씨디 패널(12)이 순서대로 적층되면,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기통로의 제1출입구(111a)는 외부에 노출되고, 제2출입구(121a)는 내측공간(S)에 노출되어 엘씨디 패널(12)에 막힘 없이 내측공간(S)과 외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접촉에 따른 눌림에 의해 내측공간(S)의 공기가 자연스레 제2통로(120a), 제3통로(130) 및 제1통로(110a)를 지나 외부로 유출되며, 외부의 공기는 자연스레 제1통로(110a), 제3통로(130) 및 제2통로(120a)를 지나 내측공간(S)으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적층부(140)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통로(110a), 제3통로(130) 및 제2통로(120a) 상에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를 더 장착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부재에서 공기통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1,2 연결통로(112b, 122b)의 형상 및 이물질 적층부(143)의 형상이고, 다른 실시예(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이물질 적층부(143)의 유무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2 연결통로(112b, 122b)는 제3통로(130)의 단부에서 제1,2 출입구(111b, 121b)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물질 적층부(143)는 제3통로(130)의 단부 및 제1,2연결통로(112b, 122b)의 단부에 형성되되, 제1 연결통로(112b)의 단부에서 부재(13)의 내측면(13b)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적층용 개구(143a)와, 제2연결통로(122b)의 단부에서 부재(13)의 외측면(13a)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적층용 개구(14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터치스크린 패널(11)과, 부재(13) 및 엘씨디 패널(12)이 순서대로 적층되면, 공기통로(100b)의 제1출입구(111b)는 외부에 노출되고, 제2출입구(121b)는 내측공간(S)에 노출되어 엘씨디 패널(12)에 막힘 없이 내측공간(S)과 외부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1출입구(111b)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제1연결통로(112b)를 통해 이동되고, 제1연결통로(112b)에서 이동되는 방향에 의해 제1적층용 개구(143a)에 먼저 유입된다. 제1적층용 개구(143a)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제1적층용 개구(143a)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외부 공기는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된다. 제3통로(130)를 따라 이동한 외부 공기는 제2적층용 개구(143b)를 통해 이물질을 한번 더 필터링한 후, 제2연결통로(122)로 이동하고, 제2출입구(121)를 통해 내측공간(S)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접촉에 따른 눌림에 의해 엘씨디 패널(12) 측으로 휘어진 터치스크린 패널(11)이 원 상태로 복원되어 유막현상 등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막현상이 빨리 회복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적층부(143)를 제3통로(130)의 양단부에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통로(130)의 우측단부(도 5를 기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접촉에 따른 눌림에 의해 내측공간(S)의 공기가 자연스레 제2통로(120b), 제3통로(130) 및 제1통로(110b)를 지나 외부로 유출되며, 외부의 공기는 자연스레 제1통로(110b), 제3통로(130) 및 제2통로(120b)를 지나 내측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일 실시예 및 공기통로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내측공간(S)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통로(100, 100a, 100b)가 구비됨은 물론 터치스크린 패널(11)과 부재(13) 및 엘씨디 패널(12)의 조립 후에도 공기통로(100, 100a, 100b)가 막힘 없이 내측공간(S)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어, 터치스크린 패널(11)의 접촉에 따른 눌림이 발생에 따라 유막현상 등의 발생을 저하시키고, 회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재(13)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10: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1: 터치스크린 패널
11a: 터치스크린 패널 외측면 12: 엘씨디 패널
12a: 엘씨디 패널 외측면 13: 부재
13a: 부재 외측면 13b: 부재 내측면
100, 100a, 100b: 공기통로 110: 제1통로
111: 제1출입구 112: 제1연결통로
120: 제2통로 121: 제2출입구
122: 제2연결통로 130: 제3통로
140: 이물질 적층부 141: 제1이물질 유입부
141a: 제1연장통로 141b: 제1적층용 개구
142: 제2이물질 유입부 142a: 제2연장통로
142b: 제2적층용 개구


Claims (20)

  1.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패널;
    엘씨디 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로 공기가 유, 출입되는 공기통로를 갖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부재의 외측과 연결되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와 이격되고, 상기 부재의 내측과 연결되는 제2통로 및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결하는 제3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측면과 상기 제3통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면과 상기 제3통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의 양단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적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는,
    상기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 출입되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제1출입구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제1연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통로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 사이로 공기가 유, 출입되는 제2출입구; 및
    상기 제2출입구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통로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적층부는,
    상기 제1통로 측에 구비되는 제1이물질 유입부; 및
    상기 제1이물질 유입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통로 측에 구비되는 제2이물질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물질 유입부는,
    상기 제3통로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통로; 및
    상기 제1연장통로에서 상기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물질이 적층되는 제1적층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물질 유입부는,
    상기 제3통로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통로; 및
    상기 제2연장통로에서 상기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물질이 적층되는 제2적층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 및 상기 제3통로는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3. 전자기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패널 및 엘씨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엘씨디 패널을 결합시키고,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부재의 외측과 연결되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와 이격되고, 상기 부재의 내측과 연결되는 제2통로 및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결하는 제3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측면과 상기 제3통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면과 상기 제3통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의 양단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적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부재의 상기 내, 외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내측공간 및 외부와 연결되는 출입부; 및
    상기 출입부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부재의 상기 내, 외측으로 공기를 유통되도록 절곡 형성된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는,
    상기 부재의 상기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제1출입구에 이격되고, 상기 부재의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제1출입구와 연결되는 제1연결통로;
    상기 제1연결통로와 이격되고, 상기 제2출입구와 연결되는 제2연결통로; 및
    상기 제1연결통로의 단부와 상기 제2연결통로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통로와 상기 제2연결통로는 각각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10119204A 2011-11-15 2011-11-15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04A KR101848928B1 (ko) 2011-11-15 2011-11-15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US13/558,668 US9170605B2 (en) 2011-11-15 2012-07-26 Display device of electronic appliance
CN201210460114.5A CN103105966B (zh) 2011-11-15 2012-11-15 电子设备的显示装置和包括该显示装置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04A KR101848928B1 (ko) 2011-11-15 2011-11-15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63A KR20130053663A (ko) 2013-05-24
KR101848928B1 true KR101848928B1 (ko) 2018-04-16

Family

ID=4828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204A KR101848928B1 (ko) 2011-11-15 2011-11-15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0605B2 (ko)
KR (1) KR101848928B1 (ko)
CN (1) CN103105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4327B2 (ja) * 2007-09-26 2013-0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KR102278982B1 (ko) * 2013-10-11 2021-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407689B (zh) * 2015-11-14 2018-04-17 合肥骇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尘散热功能的液晶显示屏
CN106061148A (zh) * 2016-07-25 2016-10-2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屏组件以及含有该组件的电子设备
US10455225B2 (en) * 2017-05-12 2019-10-22 Pure Depth Limited Multi-layered display with interstitial layer air filter
JP7035521B2 (ja) * 2017-12-27 2022-03-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表示装置
CN111508367B (zh) * 2020-05-19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4885A1 (en) * 2007-09-07 2010-07-01 Hideo Hosorogi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5109B2 (en) 2005-06-10 2009-11-10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Sodium bicarbonate vacuum bag inserts
KR20070103833A (ko) * 2006-04-20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TWI384300B (zh) * 2006-10-11 2013-02-01 Tpo Displays Corp 顯示面板模組
KR101339939B1 (ko) * 2007-03-02 2013-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JP2009151684A (ja) * 2007-12-21 2009-07-09 Sony Corp 触覚シート部材、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5527650B2 (ja) * 2009-08-31 2014-06-1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10047531A (ko) 2009-10-30 2011-05-09 일진디스플레이(주) 터치 패널
US20110193789A1 (en) * 2010-02-11 2011-08-11 Teh-Zheng Lin Air pressure balance structure for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4885A1 (en) * 2007-09-07 2010-07-01 Hideo Hosorogi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70605B2 (en) 2015-10-27
US20130120674A1 (en) 2013-05-16
CN103105966B (zh) 2018-12-07
KR20130053663A (ko) 2013-05-24
CN103105966A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28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US107916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 assembly reten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9504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CN1984159A (zh) 滑动型移动通信终端
CN101632881A (zh) 双重过滤介质液体过滤器
KR20220098400A (ko) 핸드헬드 장치 인클로저
CN103164072B (zh) 触控装置
CN102160364B (zh) 滑动式电子设备
US11856349B2 (en) Mobile terminal
CN103246502B (zh) 一种弹出式窗口的实现方法和***
KR20130099530A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TWI597635B (zh) 觸控顯示裝置之組裝結構及其組裝方法
CN108924317A (zh) 一种电子装置及其装配方法
CN205451116U (zh) 一种银行柜面用磁卡读写装置
TWM603974U (zh) 螢幕防窺裝置
CN106358413A (zh) 防水组件及电子装置
CN208534732U (zh) 一种分离式蠕动泵
CN2795922Y (zh) 笔记型计算机替换式上盖板结构
TWI733495B (zh) 顯示模組
JP3050306U (ja) データ処理装置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の操作ユニット
WO2019044610A1 (ja) 粒子分離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粒子分離装置
CN219678568U (zh) 带有摄像头的智能面板
KR100669116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가이드 장치
CN101460030B (zh) 电子装置及其滑动机构
CN214259055U (zh) 储水装置及使用该储水装置的蒸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