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530A -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530A
KR20130099530A KR1020120021115A KR20120021115A KR20130099530A KR 20130099530 A KR20130099530 A KR 20130099530A KR 1020120021115 A KR1020120021115 A KR 1020120021115A KR 20120021115 A KR20120021115 A KR 20120021115A KR 20130099530 A KR20130099530 A KR 20130099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otrusions
protrusion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2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530A/ko
Priority to US13/674,557 priority patent/US20130223022A1/en
Publication of KR20130099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 중 상기 제1 본체와 마주하는 제1 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Slide Typ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연성 회로 기판과 같은 연성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산업의 발달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이하, '휴대용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시장의 발달과 함께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한 형태로서 디스플레이 화면과 키패드를 분리한 슬라이드 방식의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 부(15)가 형성된 제1 본체(10)와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25)가 형성된 제2 본체(20)를 포함한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는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서로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제1 및 제2 힌지(31, 33)가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 힌지(31, 33)의 상호 작용에 따라 입력부(25)가 내부에 숨겨진 상태인 닫힌 상태(도 1a)와 입력부(25)가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인 열린 상태(도 1b) 사이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는 연성 회로 기판(4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41)은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 굽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가 열려 있는 상태(도 1b)에서 발생하는 틈이나, 닫혀 있는 상태(도 1a)에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의 틈으로 플라스틱 카드와 같은 카드류 또는 종이류와 같은 시트 형상의 이물질(C)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 회로 기판(41)이 손상되거나 찢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성 회로 기판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내의 제한된 공간에서 제품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연성 회로 기판과 같은 연성 부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사이즈 및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연성 회로 기판과 같은 연성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 중 상기 제1 본체와 마주하는 제1 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 본체 중 상기 제2 본체와 마주하는 제2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돌출부가, 상기 제2 본체의 제1 면 중 상기 수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에서 상기 각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에서 이물질이 삽입되는 쪽으로 어느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폭은 연성 회로 기판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용부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는 제1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는 제2 힌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힌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정렬되어 상기 돌출부와 겹침 면적을 갖고 스토퍼 구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기부는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및 슬라이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정렬되어 스토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본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쪽으로 어느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 구조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용부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 및 키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마주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소정의 스트로크(stroke)를 갖고 움직이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연성 부품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시트 형상의 이물질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과 같은 데이터 연결 라인의 활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수용부의 전후/좌우 공간에 스토퍼 구조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제품의 구조 또는 사이즈를 변형시키지 않고 슬라이딩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외부에서 삽입되는 명함 또는 플라스틱 카드와 같은 카드류 또는 종이류와 같은 시트 형상의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카드류 또는 종이류와 같은 시트 형상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시트 형상의 이물질로 연성 부품이 찢어지거나 손상되어 제품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상치 못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열린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의 정면도와 영역(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측면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열린 상태에서 측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서의 개략도이고, 도 4b는 열린 상태에서의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카드류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의 정면도와 영역(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2)가 닫힌 상태에서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c는 휴대용 단말기(2)가 열린 상태에서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옆면을 정의함에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방향과 동일 선상에서 바라본 휴대용 단말기의 옆면을 정면 및 배면이라 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휴대용 단말기의 옆면을 측면, 즉 좌측면 및 우측면이라 한다. 따라서, 도 2a는 휴대용 단말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 및 도 2c는 휴대용 단말기가 각기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측면, 특히 좌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2)는 제1 본체(10)와, 상기 제1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본체(10)에는 상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서 함몰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본체(10) 중 제2 본체(20)와 마주하는 제2 면(11)의 일부 영역에 수용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는 부품을 수용하거나 부품의 활주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디자인적인 목적을 위해 기 형성된 함몰 부분을 활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함몰 부분일 수 있다.
수용부(17)는 제1 본체(1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20) 중 상기 제1 본체와 마주하는 제1 면(21) 중 수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51)가 수용부(17)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얇은 시트 형상의 이물질(C)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시트 형상의 이물질이란, 플라스틱 카드와 같은 카드류나, 명함 등 종이류와 같이 얇은 시트 형상을 이루는 외부 물질로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 게재되는 연성 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들의 손상을 유발하는 외부 물질을 의미한다.
도 2a의 (a)는 영역(A)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a의 (a)를 참조하면, 돌출부(51)의 높이(t2)는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의 간격(t0)보다 커지도록 수용부(17)의 내부 영역까지 확장되기 때문에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는 돌출부(51)에 의하여 차단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에서 외부에서 수용부로 유입되는 시트 형상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7)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에 돌출부(5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즉 제2 본체(20) 중 수용부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슬라이딩 동작 중 돌출부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게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를 열거나 닫기 위해 슬라이딩을 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서 밀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51)가 제1 본체(10)의 저면에 닿으면서 제1 본체(10)의 저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돌출부(51)도 제1 본체(10)와의 마찰에 의하여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51)는 수용부(17)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도록 하고, 슬라이딩 운동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용부 바닥(19)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51)의 높이는 수용부의 바닥면(19)으로부터 제2 본체(20)까지의 간격(t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수용부의 바닥면(19)과 돌출부(51) 사이의 간격(t1 - t2)은 0.1 mm 내지 0.2 mm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5 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0.1 mm 미만인 경우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게 되며, 0.2 mm 이상인 경우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제품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이물질이 돌출부와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침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a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7)의 깊이(t1 - t0)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4 내지 0.7 mm, 보다 구체적으로 0.6 mm 정도로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53)가 수용부(17)의 저면, 즉 제2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서 제2 본체(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7) 내에서 돌출부(51)와 돌기부(53)는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51)와 돌기부(53)는 겹침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와 상기 돌기부(53)가 겹쳐져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스토퍼 구조(5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3)는 상기 돌출부(51)와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에서 수용부(17) 내에서 나란하게 정렬되어 겹침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와 수용부의 바닥(19) 사이에 대략 0.15 mm 정도의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51)와 돌기부(53)는 측면에서 볼 때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스토퍼 구조(55)를 형성하기 때문에, 수용부의 바닥(19)과 돌출부(51) 사이의 공간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상의 틈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부(53)의 높이(t3)는 수용부(17)의 깊이(t1 - t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기부(53)는 외부에서 볼 때에 감추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53)는 수용부(17)의 깊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7)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기부(5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부(53)는 제2 본체(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53)를 수용부(17)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경우, 돌출부(51)가 돌기부(53)와 겹침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은 상기 돌출부(51)가 수용부(17)까지 확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a의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a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제2 본체(20)에서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본체(10)의 수용부(17)에서 상기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 사이에 상기 제1 돌출부(51a)와 제2 돌출부(51b)와 나란히 정렬되어 배치되도록 돌기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51a, 51b)와 돌기부(53)는 나란하게 정렬되어 스토퍼 구조(5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의 (c)의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돌출부와 1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1개의 돌출부와 2개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기부와 돌출부가 나란하게 정렬되어 스토퍼 구조를 형성하는 한은 다양한 수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돌출부(51)와 돌기부(53)가 함께 스토퍼(55)를 구성하는 실시예, 특히, 도 2a의 (c)에 도시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2)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2)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10)는 디스플레이 부(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본체로서 후술하는 하부 본체인 제2 본체(20)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20)는 키패드가 설치된 입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로는 일반적인 숫자 키패드와 쿼티(QWERTY) 키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제1 본체에 대하여 키패드가 형성된 제2 본체가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형태의 단말기(예를 들어 전통적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와, 제1 본체에 대하여 제2 본체가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형태의 단말기(예를 들어 쿼티(QWERTY) 키패드가 형성된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세로 방향이란 휴대용 단말기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룰 때 장축 방향을 의미하며, 가로 방향이란 단축 방향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본체(20)가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하고 제1 본체(10)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본체(20)가 상부 본체이고 제1 본체(10)가 하부 본체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는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하고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된다. 도 2b 및 도 2c에서는 슬라이딩 부재로 제1 힌지(31)와 제2 힌지(33)로 이루어진 힌지 부재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고 핀과 같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동작을 지지하는 방식, 또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마주하는 면 중 일 면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다른 일 면에는 가이드 홈에 결합하는 돌기를 형성하여 돌기가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동작을 지지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 부재로 힌지 부재를 사용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는, 제1 본체에 결합하는 제1 힌지(31)와 제2 본체에 결합하는 제2 힌지(33)를 포함하는 힌지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의 스트로크를 갖고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또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힌지(33)는 상기 제1 힌지(31)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며, 하부 본체로서 제2 본체(20)가 제1 본체(10) 또는 상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본체(10)와 상기 제2 본체(20) 사이는 제1 및 제2 힌지(31, 33)가 부착되어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도록 힌지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소정의 유격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 간격(t0)은 0.2 내지 0.4 mm의 유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는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17)는 내부에 탑재되는 다양한 부품을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가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7)는 상기 제1 본체에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가 닫힌 상태, 슬라이딩되는 상태 및 열린 상태에 걸쳐 돌출부(51)가 수용부(17) 내의 공간을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를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41)은 'C'형 만곡부(43)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는 연성 회로 기판(41)을 수용하면서, 연성 회로 기판(41)의 활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다.
도 2b 및 도 2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7)는 연성 회로 기판(41)의 활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0)에 연성 회로 기판(41)의 활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수용부에 돌출부가 삽입되게 하여 연성 회로 기판(41)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시트 형상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7)의 폭(휴대용 단말기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폭)은 연성 회로 기판(41)의 폭과 돌출부(51)의 폭을 합한 폭에 대해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와 더불어 돌기부(53)가 형성되는 경우 수용부(17)의 폭은 돌기부까지 수용할 수 있는 폭이 되도록 한다. 결국, 수용부(17)의 폭은 연성 회로 기판(41)의 폭과 스토퍼 구조(55)를 구성하는 돌출부(51)와 돌기부(53)의 전체 폭을 합한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는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서 노출되는 연성 회로 기판의 움직이는 경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10)에서 인출되는 부분에서 제2 본체(20)로 인입되는 부분까지의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 사이에 노출된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부분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51)는 제2 본체(20)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오픈될 때에도 제1 본체(10)에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돌기부(53)는 제1 본체(10)의 수용부(17)에서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본체(20)의 평면 상에 키패드가 구비되는 경우, 돌출부(51)는 키패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부(53)는 휴대용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돌출부(53)와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슬라이딩 오픈되어 상기 돌출부(51)와 돌기부(53)가 나란하게 정렬되어 스토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53)는 제1 본체(10)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고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3)의 높이가 수용부(17)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 수용부(17) 내에 숨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3)와 상기 돌출부(51)가 겹침 면적을 갖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1 본체(10)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의 틈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스토퍼 구조(5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린 상태에서 돌출부(51)와 돌기부(53)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토퍼 구조(55)를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 구조는 상기 제1 본체(10)와 상기 제2 본체(20)가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및 슬라이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나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3)는 항상 수용부(17)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하는 상태에서 스토퍼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케이스에 원치 않은 긁힘을 주거나 슬라이딩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31)와 제2 힌지(33)가 결합된 힌지 부재(30)를 나타내는 제2 본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힌지 부재(30)는 제1 힌지(31)와 제2 힌지(33)로 구성된다. 제1 힌지(31)는 제1 본체(10)에 부착되고, 제2 힌지(33)는 제2 본체(2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힌지(31)와 상기 제2 힌지(33)는 상호 슬라이딩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31)와 상기 제2 힌지(33)는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힌지(31)와 상기 제2 힌지(33)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하는 한은 상기 제1 힌지(31)와 제2 힌지(33)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본체의 제1 힌지(31)에 수용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본체(10)에 형성된 수용부(17)를 개방시키는 개구부(미도시)가 상기 제1 힌지(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37)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은 수용부(17)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부재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의 가이드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스프링 핀 등을 사용한 구성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구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의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제1 본체(10) 및 제2 본체(20)가 닫힌 상태(도 4a) 및 열린 상태(도 4b)에서 수용부(17),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부분(41a, 41b), 돌출부(51a, 51b) 및 돌기부(53)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본체(10, 20)가 일체화되어 있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돌출부(51a, 51b)는 제2 본체(2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C'형 만곡부(43)가 제1 및 제2 본체(10, 20) 가운데에 존재하기 때문에 카드 또는 종이류와 같은 시트 형상 이물질이 'C'형 만곡부(43)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깊이 삽입되어야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본체(10)가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열린 상태가 된다. 그때 제1 본체(10)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도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C'형 만곡부(43)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열린 상태에서는 'C'형 만곡부(43)의 오목부는 제1 본체(10)의 윤곽선에 가까워지므로 따라서 시트 형상 이물질이 조금만 삽입되어도 'C'형 만곡부(43)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연성 회로 기판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51a, 51b)는 제2 본체(20)에 형성되며, 돌기부(53)와 열린 상태에서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카드 유입 경로 방향으로 인쇄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 내에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카드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돌출부(51a, 51b)와 한 개의 돌기부(53)가 정렬되어 스토퍼 구조(55)를 형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돌기부(53)는 닫힌 상태에서는 돌출부(51a, 51b)와 떨어지도록 배치되며, 돌기부(53)는 제1 본체(10) 내부에 숨겨진 상태로 존재하고, 돌출부(51a, 51b)는 시트 형상의 이물질의 삽입 방향으로 전방에, 즉 이물질의 삽입 방향에서 'C'형 만곡부(43)의 전방에서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공간 내에 또는 활주 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시트 형상의 이물질이 'C'형 만곡부(43)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돌기부(53)는 열린 상태에서 돌출부(51a, 51b)와 정렬되어 맞물려 스토퍼 구조(55)를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부재 또는 제1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17)의 폭(W1)은 연성 회로 기판의 폭(W2)보다 같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17)의 폭(W1)이 연성 회로 기판의 폭(W2)보다 돌기부와 돌출부의 폭만큼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17)의 폭(W1)은 돌기부와 돌출부가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연성 회로 기판의 폭에 돌기부와 돌출부의 폭을 더한 값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돌출부(51a, 51b) 및 돌기부(53)의 구성은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공간과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연성 회로 기판이 활주할 때에 수용부(17)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활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성 회로 기판(41)의 활주 공간에 돌출부(51)를 형성하거나 스토퍼 구조(55)로 변경하여도 제품의 크기와 구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카드류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본체(10)에서, 도 4a 및 도 4b에서 연성 회로 기판의 'C'형 만곡부(43)가 지나가는 경로는 영역(M)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영역(M)까지 카드류 또는 종이류와 같은 시트 형상의 이물질이 진입된다면 연성 회로 기판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51a, 51b)와 돌기부(53)가 서로 맞물려 스토퍼 구조(55)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시트 형상의 이물질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으로 유입되는 카드는 삽입이 가능해지는 시작점과 끝점의 각도가 있다. 이 각도가 커질수록 연성 회로 기판에 의한 불량이 증가하게 된다. 선(L1)은 연성 회로 기판이 삽입되는 시작점의 삽입 각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힌지 부재의 단부(13)를 카드가 삽입되는 시작점으로 한 삽입 각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선(L2)은 돌출부(51a, 51b) 및 돌기부(53)에 의한 스토퍼 구조(55)를 연성 회로 기판이 삽입되는 끝점으로 한 삽입 각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힌지 부재의 단부(13) 밖에서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카드는 스토퍼 구조(55)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즉, 카드가 삽입되는 시작점과 끝점 사이의 간격 및 위치에 따라 카드의 삽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각도가 작아질수록 카드가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로 더 적게 유입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힌지 부재가 연결되는 단부(13)와 스토퍼 구조(55)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삽입 각도는 커지게 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의 삽입 경로가 'C'형 만곡부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영역(M)에 닿지 않게 스토퍼 구조를 형성하여 삽입 각도 및 삽입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토퍼 구조(55) 또는 돌출부(51a, 51b)의 배치하여 카드 또는 종이류의 삽입 각도 및 삽입 경로를 제한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시트 형상의 이물질이 'C'형 만곡부(43)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여 삽입될 경우 카드 또는 종이가 오목한 부분에 근접하고 연성 회로 기판이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손상되거나 찢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C'형 만곡부(43)의 오목한 부분의 전방에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C'형 만곡부(43)의 오목한 부분의 전방에 카드가 삽입되는 쪽으로 슬라이딩 방향으로(화살표) 어느 한 측면에 돌출부와 돌기부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연성 부품이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한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와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가 삽입 시작점과 끝점을 형성하여 시트 형상 이물질의 삽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연성 부품이 휴대용 단말기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와 단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삽입 각도가 매우 커지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시트 형상 이물질의 삽입을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돌출부, 돌기부, 즉 스토퍼 구조는 상기 수용부(17)에서 상기 슬라이딩 방향(화살표)에 대하여 'C'형 만곡부(43)의 오목한 부분의 전방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중앙에 배치되는 연성 부품이 시트 형상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방향에서 'C'형 만곡부(43)의 오목한 부분의 전방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쪽으로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를 배치하여 시트 형상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를 배치되어 카드의 삽입 경로 또는 삽입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스토퍼 구조가 형성된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스토퍼 구조(55a, 55b)를 배치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1 돌출부(151a), 제2 돌출부(151b), 제3 돌출부(151c) 및 제4 돌출부(151d)만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7a)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수용부(17a)에서 슬라이딩 방향(화살표)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쪽으로 어느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구조(55a)와 제2 스토퍼 구조(55b)는 수용부(17a)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화살표) 양측 면에 카드가 유입되는 쪽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성 회로 기판의 'C'형 만곡부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여 양 측면에 제1 스토퍼 구조(55a)와 제2 스토퍼 구조(55b)가 형성되어 카드 또는 종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스토퍼 구조(55a)와 제2 스토퍼 구조(55b)의 간격을 조절하여 삽입 시작점과 끝점을 조절하여 삽입 각도 및 삽입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제품의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하여 카드 또는 종이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C'형 만곡부(43)의 볼록한 부분을 향하여 삽입되는 경우 카드 또는 종이에 의하여 연성 회로 기판이 밀리게 되고 상대적으로 손상되거나 찢어질 확률은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기 위하여 'C'형 만곡부(43)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는 'C'형 만곡부(43) 후방에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를 배치하여 연성 회로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 또는 스토퍼 구조는 인쇄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용부(17)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b의 'C'형 만곡부(43)의 오목한 쪽으로 유입되는 카드의 진입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형 만곡부(43)의 볼록한 쪽으로 유입되는 카드의 진입도 막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스토퍼 구조가 수용부(17b)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경우 스토퍼 구조를 수용부(17b)의 중앙에 배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251a, 251b)만을 형성하여 카드의 진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 구조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용부(17)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부분(41b')은 분리형 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고, 분리된 부분에 연성 회로 기판의 일 부분(41b')을 가로지르도록 스토퍼 구조(55c)가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의 이동 경로의 중앙에 가운데에 돌출부(251a, 251b)를 형성할 수 있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51a, 251b)와 맞물리도록 돌기부(253)를 형성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의 가운데에 스토퍼 구조(55c)를 형성하면 'C'형 만곡부의 오목한 쪽으로 삽입되는 카드 또는 종이를 차단할 수 있고, 'C'형 만곡부의 볼록한 쪽으로 삽입되는 카드 또는 종이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다양한 경로에서 유입되는 카드 또는 종이를 하나의 스토퍼 구조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 및 돌기부의 배치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 회로 기판이 노출되는 부분 또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본체의 스트로크, 연성 회로 기판의 연결 방향 등을 고려하여 효율성이 높은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돌기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삽입되는 카드 또는 종이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0: 제1 본체
15: 디스플레이 부
17: 수용부
20: 제2 본체
25: 입력부
31: 제1 힌지
33: 제2 힌지
41, 41a, 41b: 연성 회로 기판
51, 51a, 51b, 151a, 151b, 151c, 151d, 251a, 251b: 돌출부
53, 153a, 153b, 253: 돌기부
55: 스토퍼 구조

Claims (17)

  1.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 중 상기 제1 본체와 마주하는 제1 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 본체 중 상기 제2 본체와 마주하는 제2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돌출부가, 상기 제2 본체의 제1 면 중 상기 수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에서 상기 각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에서 이물질이 삽입되는 쪽으로 어느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폭은 연성 회로 기판의 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용부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제1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는 제2 힌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힌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정렬되어 상기 돌출부와 겹침 면적을 갖고 스토퍼 구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기부는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및 슬라이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정렬되어 스토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본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전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쪽으로 어느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 구조는 연성 회로 기판의 활주 경로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용부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17. 디스플레이 부를 구비하는 제1 본체; 및
    키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마주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021115A 2012-02-29 2012-02-29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20130099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15A KR20130099530A (ko) 2012-02-29 2012-02-29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US13/674,557 US20130223022A1 (en) 2012-02-29 2012-11-12 Slide type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15A KR20130099530A (ko) 2012-02-29 2012-02-29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30A true KR20130099530A (ko) 2013-09-06

Family

ID=4900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15A KR20130099530A (ko) 2012-02-29 2012-02-29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23022A1 (ko)
KR (1) KR201300995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05A1 (ko) * 2022-03-21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바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766A1 (ko) * 2020-11-24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물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2186325A (ja) * 2021-06-04 2022-12-15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及びカードリーダにおける異物検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06839T2 (de) * 2000-06-30 2005-1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onisches Gerät mit zusammenklappbarer Anzeigevorrichtung
JP2003319042A (ja) *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WO2005117399A1 (ja) * 2004-05-31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携帯電話機
JP5192668B2 (ja) * 2006-07-28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端末
TWI330062B (en) * 2007-12-07 2010-09-0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233948B2 (en) * 2007-12-11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lider assembly for a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JP5196570B2 (ja) * 2008-12-25 2013-05-15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ライド型電子機器
CN101997196B (zh) * 2009-08-19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缓冲件及具该缓冲件的便携式电子装置
KR20120070361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05A1 (ko) * 2022-03-21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바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3022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7921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7437186B2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14123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US860229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77879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mechanism thereof
US8892179B2 (en) Coupling of housings of an electronic apparatus
KR20130099530A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US9501910B2 (en) Payment terminal with insertion slot parallel to terminal position surface
US7147476B1 (en) Interface card with a mechanism for covering a connector thereof
US8594754B2 (en) Electronic device
TWI503066B (zh) 可攜式電子裝置
KR101062621B1 (ko) 이중 회전축을 갖는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KR101316252B1 (ko) 이동 단말기
JP2002132418A (ja) 折畳式携帯型電子機器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90861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066041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8585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1345235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110093010A (ko) 단말기
KR1006780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TWM474971U (zh) 具有防水功能之磁條讀取裝置
CN102056429B (zh) 电子装置
WO2017221958A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