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68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68B1
KR101846168B1 KR1020110085994A KR20110085994A KR101846168B1 KR 101846168 B1 KR101846168 B1 KR 101846168B1 KR 1020110085994 A KR1020110085994 A KR 1020110085994A KR 20110085994 A KR20110085994 A KR 20110085994A KR 101846168 B1 KR101846168 B1 KR 10184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phic
event
recognition
image
holograph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345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68B1/ko
Priority to EP12827112.9A priority patent/EP2749120A4/en
Priority to US14/233,331 priority patent/US9256323B2/en
Priority to PCT/KR2012/000640 priority patent/WO2013032076A1/en
Publication of KR2013002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49Holobject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6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in haptic applications when the observer interacts with the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03H2001/0452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arranged to record an image of the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2Handheld portable device, e.g. holographic camera, mobile holographic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 제어부,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미리 지정되고,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제 1 이벤트가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1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를 통해 홀로그래피(holography) 영상이 구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보다 편리한 조작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 제어부,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미리 지정되고,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제 1 이벤트가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1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 닥킹(docking) 인식 기반 이벤트 및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형상 이벤트를 기초로 하고, 상기 닥킹(docking) 인식 기반 이벤트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의 위치가 고정되는 이벤트를 기초로 하며, 상기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각각이 인식한 이벤트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형상은 점, 선 및 폐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 설정 기능, 패턴 설정 기능 및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 설정 기능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설정 기능을 통해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패턴은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 차이 및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거리 차이 및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설정 기능을 통해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패턴은 상기 제1 홀로그래피 영상의 이동, 회전, 색상 변화, 크기 변화, 점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이동, 회전, 색상 변화, 크기 변화, 점멸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은 상기 홀로그래피 배경 내부의 제 1영역에 포함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영역 각각에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목록인 제 1 리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벤트가 닥킹(docking) 인식 기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액자, 시계, 일정, 알람, 조명 및 CCTV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모션(motion) 인식 이벤트,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 인식 이벤트, 지문 인식 이벤트, 음성 인식 이벤트,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 이벤트, 바람 인식 이벤트 및 특정 객체 인식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motion) 인식 이벤트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단말의 기울기 레벨 값, 기울어지는 속도, 이동되는 경로, 이동되는 속도 및 미리 설정된 구간을 반복하여 이동되는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 인식 이벤트에서 상기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은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및 더블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제 2 이벤트가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변화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기능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크기 설정 기능, 내용 설정 기능, 패턴 설정 기능 및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은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지정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제 1 이벤트가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단계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이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1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 닥킹(docking) 인식 기반 이벤트 및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형상 이벤트를 기초로 하고, 상기 닥킹(docking) 인식 기반 이벤트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의 위치가 고정되는 이벤트를 기초로 하며, 상기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각각이 인식한 이벤트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 설정 기능, 패턴 설정 기능 및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인식한 이벤트를 기반으로 미리 지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로그래피 패턴 효과를 부여한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홀로그래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투과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반사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 중 위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동작이 트리거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 중 시간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동작이 트리거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 및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변경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거리차이 및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조절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이 인식한 이벤트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한 홀로그래피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에서 형상을 인식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컨텐츠가 실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패턴이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배경 내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배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이 투사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결과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관련 정보를 다른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가 적용되는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음성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단말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소음(예를 들면, 20db)을 측정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조도 센서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예를 들면, 20lm)를 측정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모듈(156)은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홀로그래피 영상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저장매체는 조사된 물체파 및 기준파가 서로 간섭(interference)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저장매체로 포토폴리머와 같이 빛의 세기에 따라 반응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은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기준파와 동일한 재생파를 조사하고, 조사된 재생파가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기록된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의 구체적인 투사 방법은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이 홀로그래피 모듈(156)에 포함되어 함께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별개의 구성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홀로그래피 모듈(156)의 홀로그래피 영상 투사를 지원하기 위해, 홀로그래피 간섭무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등을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면 터치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인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설명에 앞서,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홀로그래피 모듈은(156)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홀로그래피 모듈(156)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홀로그래피 모듈(156)은 카메라(121)와 함께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411)을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모듈은(156) 이동 단말기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고, 카메라(121)와 함께 포함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412)을 투사하여 표시한다.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구현되는 입체 영상은 크게 2D 입체영상 및 3D 입체 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2D 입체영상 방식은 양안에 동일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monoscopic)으로,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가상의 입체공간 상에 하나 이상의 점, 선, 면 또는 그들의 조합을 통하여 생성된 다면체를 배치하고, 그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표시하도록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3D 입체 영상 방식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stereo scopic)으로, 인간이 육안으로 사물을 볼 때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즉, 사람의 두 눈은 서로 간에 이루는 거리에 의해 동일한 사물을 볼때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은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depth) 및 실제감(reality)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람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양안이 서로 이루는 거리에 의한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후술할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생성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전술한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2D 입체영상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영상이 물체의 밝고 어두운 면의 분포만을 기록한 데 반해,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은 파동인 빛이 가지는 모든 정보, 즉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축적하고 재생하는 영상 표시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홀로그래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501)에서 나온 간섭성 빛은 스플리터(splitter, 502)를 통해 둘로 나누어진다.
이 중 한 광선을 피사체(507)를 비추도록 하면 피사체 표면에서 빛이 반사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 광선을 물체파라고 한다.
또한, 나머지 다른 한 광선은 렌즈로 확산시켜 직접 홀로그래피 감광재료(505) 전면에 비추게 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 광선을 기준파라고 호칭한다.
홀로그래피 감광재료(505) 상에 물체파와 기준파가 서로 간섭(interference) 현상을 일으켜 1 mm당 500∼1,500개 정도의 매우 섬세하고 복잡한만든다. 이때, 이러한 간섭무늬를 기록한 사진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성된기준파와 같은 광선을 감광재료(505)에 투사하면 간섭무늬가역할을 해서 기준파가 입사한 방향과 다른 위치에서 빛이 회절되고, 회절된 빛이 모여 처음 물체에서 반사해서 생긴 빛과 같이 형성됨으로써, 홀로그래피 영상(509)을 투사하게 된다. 즉, 홀로그램에서 처음의 물체광이 재생될 수 있고, 이를 통한 영상 표현 방법을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이라 칭한다.
이때, 재생된 파면 안에서 들여다보면 처음 물체가 보이기는 하나 마치 물체가 안쪽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보는 지점을 이동하면 물체가 보이는 위치도 변하여 마치보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원래 물체의 파면이 재생되기 때문에 아주 약간 변형한 물체에서 나오는 파면과도 간섭시킬 수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재생 방식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은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과 반사형 폴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1)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
이는 홀로그램의 뒤에서 빛을 비추어 투과하여 나온 상을 홀로그램 앞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에서는 제작 시에 물체파와 기준파를 같은 방향으로 사진필름에 노출시키게 되고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색이 선명하고 밝은 것이 특징이다.
(2)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
이는 홀로그램의 앞에서 빛을 비추어 반사하여 나온 상을 홀로그램의 앞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물체파와 기준파의 방향을 감광재료에 서로 반대 방향에서 입사하도록 제작된다. 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으로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입체감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과 반사형 폴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투과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601)에서 나온 빛이 공간필터(spatial filter, 602)를 통과한 후 매끈한 구면파로 퍼져나간다. 50:50 스프리터(beamsplitter, 605)에서 두 개의 광선으로 나누어진 구면파 중 하나는 물체(608)에 조명되어 물체파를 만들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필름(607)에 조명되어 기준파를 만든다. 물체(608)에 조명된 물체파도 필름(607)에 조명된다.
이때, 필름에 조명된 물체파와 기준파가 서로 간섭 현상을 일으켜 간섭무늬가 만들어지고, 상기 간섭무늬가 필름(607)에 기록된다.
즉, 도 6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물체파와 기준파는 필름(607)의 동일한 면으로 함께 투사되어 간섭무늬를 생성한다.
이후,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파를 필름(607)에 투사하면, 이전의 물체파와 기준파가 입사된 면의 반대 면 방향으로 물체파가 투과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도 7은 반사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도 6a와 같이 레이저 광원(701)에서 나온 빛이 공간필터(spatial filter, 702)를 통과한 후 매끈한 구면파로 퍼져나가고, 50:50 스프리터(beamsplitter, 705)를 통해 두 개의 광선으로 나누어지며, 하나는 물체(708)에 조명되어 물체파를 만들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필름(707)에 조명되어 기준파를 만든다.
단, 도 6a와 달리 기준파와 물체파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필름(707)으로 조명된다.
즉, 도 7b와 같이 기준파는 필름(707)의 왼쪽 면으로 투사되고, 물체파는 필름(707)의 우측 상단 면을 통해 투사된다. 이후,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파를 필름에 투사하면, 반대 방향으로 물체파가 투과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필름(607, 707)은 본 명세서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로 표현되고, 상기 필름에 빛을 발산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서는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로 표현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이 홀로그래피 모듈(156)에 포함되어 함께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별개의 구성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보통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영상은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2D 입체영상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표현 방법과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하고, 설정된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홀로그래피 패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에 대한 트리거(trigger) 방법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은 소정의 트리거(trigger)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소정의 트리거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홀로그래피 패턴 이외에도 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홀로그래피 패턴 할당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을 단말이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트리거 이벤트는 크게 사용자 지정 이벤트와 시스템 이벤트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지정 이벤트는 사용자가 홀로그래피 영상의 활용 편의를 위해 미리 설정한 이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알람, 일정표시, 호 및/또는 메시지의 수신 또는 발신, 특정패턴의 터치 입력 등과 같은 특정 이벤트가 실행되거나 복수의 컨텐츠 중 미리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는 경우, 별도의 조작없이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빈번하게 활용될 수 있는 환경과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되면 곤란한 환경을 구분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이 구동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 이벤트는 단말이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관련된 이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배터리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단말이 현재 충전 중이거나 단말의 주변 밝기가 일정 수준 이하이거나 단말의 종류에 따라 홀로그래피 모듈을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이 투사될 수 있는 경우에만,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단말의 다른 기능(예를 들면, 호 수신, 메시지 수신, 인터넷 접속 등) 제공을 위해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전력을 방지하거나 사용자가 홀로그래피 영상을 인식할 수 없는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시스템 이벤트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단, 상기에서 서술한 사용자 지정 이벤트와 시스템 이벤트의 구체적인 예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이벤트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지정 이벤트는 사용자가 홀로그래피 영상의 활용 편의를 위해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이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 이벤트는 단말이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된 모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정 이벤트와 시스템 이벤트의 구체적인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이벤트 설정 메뉴 또는 수정 메뉴를 통해 트리거 조건과 관련된 이벤트는 삭제, 추가,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통해, 사용자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빈번하게 활용되는 환경에서 손쉽게 상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 중 위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동작이 트리거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홀로그래피 모드(811)를 실행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 중 위치 이벤트(812)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위치 기반 홀로그래피 모드(821)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위치(822)를 지정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집, 회사, 잠실역, 송파구청, 강남구청이 지정할 수 있는 위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는 지도 검색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다양한 위치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집만을 온(On)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회사, 잠실역, 송파구청 및 강남구청은 오프(Off)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의 위치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은 투사되거나 투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8c를 참조하면, 단말의 위치가 집인 경우에는 소정의 홀로그래피 영상(831)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의 위치가 회사인 경우에는 홀로그래피 영상(832)은 투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시간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동작이 트리거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 중 시간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동작이 트리거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홀로그래피 모드(911)를 실행하여, 사용자 지정 이벤트 중 시간 이벤트(912)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b와 같이, 시간 기반 홀로그래피 모드(921)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시간(922)을 지정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06:00, 17:00, 20:00 및 23:00로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특정 시간 이외에 시간 범위(예를 들면, 09:00~12:00), 시간대(예를 들면, 아침, 점심, 저녁, 밤, 새벽 등), 요일(예를 들면,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등), 월(예를 들면, 1월, 2월, 3월 등) 및 계절(예를 들면, 봄, 여름, 가을, 계울) 등의 단위로 시간이 지정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06:00, 17:00, 20:00 및 23:00에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시간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은 투사되거나 투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정된 06:00, 17:00, 20:00 및 23:00 시간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될 것이나 그 이외의 시간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은 설정된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홀로그래피 패턴이란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홀로그래피 패턴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먼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피 모듈(156)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가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정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처음에는 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제어하다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각형의 모양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되므로,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홀로그래피 모듈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시간에 따라 좌우로 이동, 회전 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형하거나 홀로그래피 영상이 점멸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투사 밝기, 재생빈도, 조명 비추기, 진동 피드백, 사운드 삽입, 이미지 삽입, 반복 투사 등을 통해서도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단, 상기에서는 개별적인 요소(facror)에 의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요소들에 의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홀로그래피 모듈(156)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변경시키면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좌우로 이동하며 회전하도록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 전체에 대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적인 내용에 불과하고, 홀로그래피 영상의 일부 영역만에 대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에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패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홀로그래피 패턴은 홀로그래피 영상과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과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하로 이동하는 패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을 참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 및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단말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는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되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로부터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말로부터 멀어지면서 위로 이동되고, 도 10a에서 설정된 총 시간이 경과하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소멸된다.
따라서 홀로그래피 영상과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함으로써,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모양을 변경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좌우로 이동, 회전, 또는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상기에서는 영상을 이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이 형성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단말과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동일한 거리 차이를 유지하면서 표시되는 형태가 변경되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홀로그래피 패턴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변경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단말과 동일한 거리차이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로부터 투사된 영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말과의 동일 거리차이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 및 단말과의 거리차이와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함께 변경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함께 변화시킴으로서 더 다양한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거리차이 및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조절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단말과 홀로그래피 영상의 거리차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짧아졌다가 다시 길어지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은 회전하면서 투사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에 따라 단말과 거리차이를 유지하여 표시되다가 거리가 짧아졌다가 다시 멀어지되, 계속 회전하면서 투사된다.
따라서 홀로그래피 영상은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되므로 사용자에게 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인식하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미리 지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이 손쉽게 실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이 미리 설정되고, 복수의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단말이 센싱부(140) 등을 통해 인식하는 경우, 인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이 즉각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이 인식한 이벤트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한 홀로그래피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을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S1310).
여기서 홀로그래피 기능이 설정되는 복수의 이벤트 각각은 단말의 인식(recognition)을 기반으로 발생한다.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 및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인식된 형상을 기초로 한다.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인식된 형상은 터치 입력을 통해 구현되는 점, 선, 폐곡선 형상 등을 포함한다. 폐곡선 형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곡선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형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폐곡선의 입력 방향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인식된 형상은 일반적인 2차원의 접촉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3차원의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형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아도 가까운 거리에서의 근접 터치,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여, 3차원으로 소정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는 단말이 소정 목적 달성을 위해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즉,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는 소정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단말이 일정 시간 이상 장착되어 고정되어야 하는 복수의 이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충전을 위해 충전 장치에 장착되거나 네비게이션의 역할을 위해 자동차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센싱부(140)를 통해 인식되는 이벤트를 기초로 한다.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자이로 센서를 기초로 단말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 변화에 따른 이벤트,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른 이벤트,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 음성 인식에 따른 이벤트,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 바람 인식에 따른 이벤트, 키워드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식별된 객체에 따른 이벤트 등을 포함한다.
즉, 자이로 센서는 단말의 움직임의 변화 또는 기울기의 변화 등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단말을 흔드는 움직임의 횟수, 세기 또는 단말을 기울이는 각도, 세기 등에 따른 이벤트가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에는 센싱부(140)를 통해 인식되는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을 포함한다.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의 예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폐곡선의 일부 영역을 터치하거나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초과하는 터치 면적을 손바닥으로 쥐는 터치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소정 영역을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멀티터치하는 것 등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복수의 지문 중 어느 지문을 센싱부(140)가 인식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벤트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지문은 서로 상이하므로, 각 손가락의 지문에 따라 이벤트를 설정하거나 사용자 별로 지문이 상이하므로 이에 따라 이벤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140)를 통해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각 음성이 이벤트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도 활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이 사용자의 아이 트랙킹(Eye-Tracking)을 인식한 이후, 사용자의 눈 깜빡임 횟수, 눈을 깜빡이는 패턴 각각이 이벤트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 인식에 따른 이벤트로서 사용자에 의한 바람의 세기, 바람의 패턴 각각이 이벤트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식별된 객체에 따른 이벤트도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는 특정 문자, 특정 객체의 얼굴 등을 포함한다. 즉,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복수의 객체 중 홍채 인식 또는 키워드 인식을 통해 특정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 이벤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 및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로 분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홀로그래피 기능은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 또는 홀로그래피 패턴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대상은 복수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 등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컨텐츠 등을 포함하고, 인식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실행되기로 미리 지정된 경우, 지정된 컨텐츠가 실행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된다.
또한, 인식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로 미리 지정된 경우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된다.
또한,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투사되거나 투사될 홀로그래피 영상의 홀로그래피 배경을 인식된 이벤트를 통해 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식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원형 모양의 홀로그래피 배경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후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상기 원형 모양의 홀로그래피 배경에 포함되어 투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패턴은 전술한 것과 같이 시간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식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특정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된 경우,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상기 설정된 특정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투사될 수 있다.
다시, 도 13으로 복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이 설정된 이후, 설정된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단말에 인식될 수 있다(S1320).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인식되면, 인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을 실행한다(S1330).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홀로그래피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 및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인식된 형상을 기초로 한다. 즉, 터치 입력을 통해 구현되는 점, 선, 폐곡선 형상 등을 통해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인식된 형상은 일반적인 2차원의 접촉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3차원의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형상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에서 형상을 인식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2차원의 접촉 터치 입력을 통해 원 형상(1411)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원 형상(1411)에 대응하여 홀로그래피 영상(1412)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4b를 참조하면, X축, Y축뿐만 아니라 Z축(1421)까지 이용한 3차원의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해 원 형상(1422)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원 형상(1422)에 대응하여 홀로그래피 영상(1423)이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는 일반적인 2차원의 접촉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3차원의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능은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 또는 홀로그래피 패턴이 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대상은 복수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 등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컨텐츠 등을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컨텐츠가 실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에 대응하여 이미지 컨텐츠가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1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은 원이 큰 원에 포함된 형태의 제 1 형상(1511)을 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511)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에 대응하여 설정된 도넛 이미지 컨텐츠(1512)를 홀로그래피 모듈(156)이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형상(1521)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2 형상(1521)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2 형상에 대응하여 설정된 컵 이미지 컨텐츠(1522)를 홀로그래피 모듈(156)이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도시하시는 않았지만 제 1 형상(1511) 또는 제 2 형상(1521)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 후보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형상(1511)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는 도넛 이미지, 지구 이미지, 시계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컨텐츠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대상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형상(1611)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611)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611)에 대응하여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1612)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홀로그래피 모듈(156)이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형상(1621)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2 형상(1621)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2 형상(1621)에 대응하여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1622)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홀로그래피 모듈(156)이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초로 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기능은 홀로그래피 패턴이 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패턴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거나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거나 홀로그래피 영상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형하거나 홀로그래피 영상이 점멸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고, 투사 밝기, 재생빈도, 조명 비추기, 진동 피드백, 사운드 삽입, 이미지 삽입, 반복 투사 등을 통해서도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패턴이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형상(1711)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711)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711)에 따라 홀로그래피 패턴을 결정하고,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결정된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투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1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트 모양의 제 2 형상(1721)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2 형상(1721)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2 형상(1721)에 따라 홀로그래피 패턴을 결정하고,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결정된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투사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초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홀로그래피 패턴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대상은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이 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투사되거나 투사될 홀로그래피 영상의 홀로그래피 배경을 인식된 이벤트를 통해 지정하는 것이다.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폐곡선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형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홀로그래피 영상과 마찬가지로 2D 입체영상 방식 또는 3D 입체 영상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3D 입체 영상 방식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stereo scopic)에 의한 것이다.
이때, 홀로그래피 배경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홀로그래피 영상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홀로그래피 배경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홀로그래피 영상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양읜 홀로그래피 배경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역에 4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8a를 참조하면, 이미지 컨텐츠(1810)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 1 형상(182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820)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82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을 결정하고, 결정된 홀로그래피 배경 내에 이미지 컨텐츠(1810)가 포함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820)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홀로그래피 배경에 대한 후보를 리스트 형태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썸네일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고, 이를 나타낸 것이 도 18c이다.
도 18c를 참조하면, 제 1 형상(1820)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배경의 후보 리스트(1830)가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홀로그래피 배경의 후보 리스트(1830) 중 어느 하나의 홀로그래피 배경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도 1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컨텐츠(1810)를 선택된 홀로그래피 배경(1840) 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여, 홀로그래피 모듈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배경 내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내용이 이미지 컨텐츠인 것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배경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이미지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영역에 대한 비율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배경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각각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1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형상(191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910)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91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1913)을 결정하고, 결정된 홀로그래피 배경(1913) 내에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a에서는 홀로그래피 배경(1913)의 80%에 해당하는 영역에 이미지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지정되었고, 홀로그래피 배경(1913)의 80%에 해당하는 영역은 두 개의 영역(1911, 1912)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영역(1911, 1912)에 두 개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1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형상(192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2 형상(1920)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92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1924)을 결정하고, 결정된 홀로그래피 배경(1924) 내에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b에서는 홀로그래피 배경(1924)의 85%에 해당하는 영역에 이미지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지정되었고, 홀로그래피 배경(1924)의 85%에 해당하는 영역은 세 개의 영역(1921, 1922, 1923)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영역(1921, 1922, 1923)에 세 개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배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0a는 사과(Apple)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b는 계산기(Calculator)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c는 인물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 구체적인 객체의 정보(2013)가 홀로그래피 배경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0d는 명함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구체적인 객체의 정보(2014)가 홀로그래피 배경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0e는 폴더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f는 지구본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g는 영화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h는 갤러리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갤러리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과 함께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다.
도 20i는 음악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j는 메모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k는 TV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단, 전술한 홀로그래피 배경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홀로그래피 배경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을 통해 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는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로 구현될 수 있다.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는 단말이 소정 목적 달성을 위해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즉,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는 소정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단말이 일정 시간 이상 장착되어 고정되어야 하는 복수의 이벤트(예를 들면, 충전 이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내용은 복수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아이들(Idle) 모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다. 아이들(Idle) 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액자, 시계, 일정, 알람, 조명(무드), CCTV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이 투사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단말이 충전되어, 외부 충전 기기(2100)에 닥킹(Docking)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1a를 참조하면, 아이들(Idle) 모드로서 전자 액자 모드(2110)가 실행된다. 전자 액자 모드에서는 촬영 또는 다운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홀로그래피 전자액자 상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는 당일 촬영한 사진, 동영상,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다운로드한 사진, 동영상 및 특정 폴더 내의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아이들(Idle) 모드로서 시계/일정 모드(2120)가 실행된다. 즉, 탁상 시계 용도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세계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1c를 참조하면, 아이들(Idle) 모드로서 알람 모드(2130)가 실행된다. 즉, 기 설정한 시간이 도래하면 홀로그래피 영상의 알람이 단말로부터 송출된다.
도 21d를 참조하면, 아이들(Idle) 모드로서 조명 모드(2140)가 실행된다. 여기서 조명 모드(2140)란 다양한 패턴의 조명 등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가 변환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도 21d를 참조하면, 아이들(Idle) 모드로서 CCTV 모드(2140)가 실행된다. CCTV 모드(2140)는 단말 주변의 외부기기와 통신하여, CCTV 기능을 담당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CCTV 정보(2150)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CCTV 정보(2150)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하는 것이다.
또한,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례대로 실행되고, 실행된 결과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닥킹(Docking)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만을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하거나 멀티미디어 관련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사진, 동영상, 방송, 웹브라우징, 빔프로젝터 등)을 자동 실행하여 그 실행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도 있다. 또한, 당일 촬영하거나 다운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순차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소정 날짜의 날씨, 스케줄, 뉴스, e-mail 등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순차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결과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2a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내일의 날씨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210)으로 투사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도 2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당일 촬영하거나 다운로드한 사진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2220)으로 투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지정한 복수의 컨텐츠를 원하는 순서에 따라 손쉽게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외부기기로 설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방송, 웹브라우징, 빔프로젝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관련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외부 기기는 설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관련 정보를 다른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닥킹(Docking) 기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2310)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외부 기기(2320)로 설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외부 기기(2320)는 수신한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2330)을 투사할 수 있다.
한편, 인식(recognition) 기반 이벤트는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센싱부(140)를 통해 인식되는 이벤트를 기초로 한다. 즉,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자이로 센서를 기초로 단말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 변화에 따른 이벤트,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른 이벤트,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 음성 인식에 따른 이벤트,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 바람 인식에 따른 이벤트, 키워드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식별된 객체에 따른 이벤트 등을 포함한다.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능은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 또는 홀로그래피 패턴이 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대상은 복수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 등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컨텐츠 등을 포함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가 적용되는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4a에서는 센싱부(140)를 통해 인식되는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 이벤트를 설명한다.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2411)의 예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폐곡선의 일부 영역을 터치하거나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초과하는 터치 면적을 손바닥으로 쥐는 터치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소정 영역을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멀티터치하는 것 등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 이벤트는 일반적인 2차원의 접촉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3차원의 근접 터치 입력(2412)을 포함한다. 즉,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아도 가까운 거리에서의 근접 터치,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여, 3차원의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b에서는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한다.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2420)는 일반적으로 사람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람이라도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지문은 서로 상이하므로, 각 손가락의 지문에 따라 이벤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기는 단말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4c는 키워드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식별된 객체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한다. 여기서 키워드는 특정 문자, 특정 객체의 얼굴 등을 포함한다. 즉,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복수의 객체 중 홍채 인식 또는 키워드 인식을 통해 특정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 이벤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c에서는 특정 객체의 얼굴이 포함되었다는 이벤트(2430)가 발생하였으므로, 이에 설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24d에서는 바람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한다. 바람 인식에 따른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한 바람의 세기, 바람의 패턴을 이벤트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4d에서는 사용자의 바람의 세기(2440)에 따라 설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도 활용될 수 있다.
도 24e를 참조하면, 단말이 사용자의 아이 트랙킹(Eye-Tracking)을 인식한 이후, 사용자의 눈 깜빡임 횟수, 눈을 깜빡이는 패턴 각각을 이벤트(2460)로 이용한다.
또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이벤트도 활용 가능하다. 자이로 센서는 단말의 움직임의 변화 또는 기울기의 변화 등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단말을 흔드는 움직임의 횟수, 세기 또는 단말을 기울이는 각도, 세기 등에 따른 이벤트가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4g를 참조하면, 단말은 2471 위치에서 2472 위치를 거쳐 2473위치로 변경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설정된 홀로그래피 기능이 실행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통해 구체적인 홀로그래피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서술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음성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5a를 참조하면, 단말은 “날씨(2510)”라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인식한 음성을 분석하여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실행한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520)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25b를 참조하면, 단말은 “맛집(2530)”라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인식한 음성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실행한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540)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6a를 참조하면, 단말은 사용자의 아이 트랙킹(Eye-Tracking)을 인식한 이후, 사용자가 두 번 눈을 깜빡인다(2611)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인식한 두 번의 눈 깜빡임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실행한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612)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26b를 참조하면, 단말은 사용자의 아이 트랙킹(Eye-Tracking)을 인식한 이후, 사용자가 세 번 눈을 깜빡인다(2621)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인식한 세 번의 눈 깜빡임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실행한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622)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단말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서 센싱부(140)는 단말이 세 번 흔들렸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한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720)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에서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지문은 날씨 어플리케이션, 검지 손가락의 지문은 뉴스 어플리케이션, 중지 손가락의 지문은 증권 어플리케이션, 약지 손가락의 지문은 맛집 어플리케이션, 새끼 손가락의 지문은 여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필름 형태로 구현된 지문 인식기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이에 대응하여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실행된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820)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능은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서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지문은 날씨 어플리케이션, 검지 손가락의 지문은 맛집 어플리케이션, 중지 손가락의 지문은 뉴스 어플리케이션, 약지 손가락의 지문은 증권 어플리케이션, 새끼 손가락의 지문은 여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지문 인식기는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필름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2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손가락(2910) 중 검지 손가락(2912)으로 터치 스크린에 제 1 형상(2920)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지 손가락(2912)의 지문 및 제 1 형상(2920)을 동시에 인식하고, 검지 손가락(2912)의 지문에 대응하는 맛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과를 홀로그래피 영상(2940)으로 투사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형상(292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2930)의 소정 영역에 맛집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홀로그래피 영상(2940)이 포함되어 투사되도록 함께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는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자이로 센서를 기초로 단말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 변화에 따른 이벤트,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른 이벤트, 지문 인식에 따른 이벤트, 음성 인식에 따른 이벤트,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에 따른 이벤트, 바람 인식에 따른 이벤트, 키워드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식별된 객체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거나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의 항목을 전환하거나 배경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0a를 참조하면,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가 홀로그래피 영상(3010)으로 투사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 30b와 같이 "크게"라는 음성(3020)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이에 대응하여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3010)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도 30c와 같이 "작게"라는 음성(3030)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이에 대응하여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3010)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기반으로 손쉽게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터치스크린;
    제어부;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 및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미리 지정되고,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제 1 이벤트가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1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목록인 제 1 리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형상 이벤트를 기초로 하는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인식 기반 이벤트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형상은 점, 선 및 폐곡선 형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능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 설정 기능, 패턴 설정 기능 및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설정 기능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설정 기능을 통해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패턴은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 차이 및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거리 차이 및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설정 기능을 통해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패턴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이동, 회전, 색상 변화, 크기 변화, 점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이동, 회전, 색상 변화, 크기 변화, 점멸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은 상기 홀로그래피 배경 내부의 제 1 영역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고정되는 이벤트를 기초로 하는 닥킹(docking) 인식 기반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벤트가 상기 닥킹 인식 기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내용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액자, 시계, 일정, 알람, 조명 및 CCTV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는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각각이 인식한 이벤트를 기초로 하는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인식 기반 이벤트는 모션(motion) 인식 이벤트,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 인식 이벤트, 지문 인식 이벤트, 음성 인식 이벤트, 아이 트랙킹(Eye-Tracking) 인식 이벤트, 바람 인식 이벤트 및 특정 객체 인식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삭제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복수의 인식 기반 이벤트 중 제 2 이벤트가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홀로그래피 기능에 따라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변화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기능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크기 설정 기능, 내용 설정 기능, 패턴 설정 기능 및 홀로그래피 배경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85994A 2011-08-26 2011-08-2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94A KR101846168B1 (ko) 2011-08-26 2011-08-2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12827112.9A EP2749120A4 (en) 2011-08-26 2012-02-03 MOBILE DEVIC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US14/233,331 US9256323B2 (en) 2011-08-26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2/000640 WO2013032076A1 (en) 2011-08-26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94A KR101846168B1 (ko) 2011-08-26 2011-08-2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45A KR20130022345A (ko) 2013-03-06
KR101846168B1 true KR101846168B1 (ko) 2018-04-06

Family

ID=4775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994A KR101846168B1 (ko) 2011-08-26 2011-08-2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6323B2 (ko)
EP (1) EP2749120A4 (ko)
KR (1) KR101846168B1 (ko)
WO (1) WO2013032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79B1 (ko) 2012-11-28 2014-11-1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임시 결제카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ES2478693B1 (es) * 2012-12-21 2015-04-29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Elemento bloqueante de longitudes de onda corta en fuentes de iluminación de tipo led
CN104142791A (zh) * 2013-05-09 2014-11-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更换方法、装置及终端
CN103347175A (zh) * 2013-06-28 2013-10-09 成都思迈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基于无线网桥的监控***
US9606506B2 (en) * 2013-10-15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phic interaction device
KR102181799B1 (ko) * 2014-04-28 2020-11-24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교환 방법
US10614204B2 (en) 2014-08-28 2020-04-07 Facetec, Inc. Facial recognition authentication system including path parameters
US11256792B2 (en) 2014-08-28 2022-02-22 Face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use of digital identification
US10915618B2 (en) 2014-08-28 2021-02-09 Facetec, Inc. Method to add remotely collected biometric images / templates to a database record of personal information
CA2902093C (en) 2014-08-28 2023-03-07 Kevin Alan Tussy Facial recognition authentication system including path parameters
US10698995B2 (en) 2014-08-28 2020-06-30 Facetec, Inc. Method to verify identity using a previously collected biometric image/data
US10803160B2 (en) 2014-08-28 2020-10-13 Facetec, Inc. Method to verify and identify blockchain with user question data
USD763872S1 (en) * 2015-01-07 2016-08-16 Facetec,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59658B2 (en) * 2015-02-26 2018-05-01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holographic animations
KR102393508B1 (ko) * 2015-06-22 202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204619A (zh) * 2015-08-19 2015-12-30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息投影装置、终端及智能手表
US9817439B2 (en) * 2016-02-29 2017-11-14 JumpStartCSR,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esigning, manufacturing, and monitoring custom human-interfacing devices
USD987653S1 (en) 2016-04-26 2023-05-30 Facetec,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90524B2 (en) * 2016-06-16 2018-06-05 Hand Held Products, Inc. Eye gaze detection controlled indicia scanning system and method
CN111611575A (zh) * 2016-10-13 2020-09-01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场景的业务实现方法及装置
KR102403009B1 (ko) * 2017-04-28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이용한 지문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11188154B2 (en) * 2018-05-30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projection of holographic objects
DE102018209400A1 (de) 2018-06-13 2019-12-19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US10866634B2 (en) 2018-06-19 2020-12-1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Eye tracking system with holographic film decoder
USD954719S1 (en) 2019-01-17 2022-06-14 Bruin Biometric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8544S1 (en) * 2019-01-17 2022-04-12 Bruin Biometric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555430B1 (en) * 2019-03-15 2023-01-17 Emissions Science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emissions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220335698A1 (en) * 2019-12-17 2022-10-20 Ashley SinHee Kim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mapping information to an illustrated map
KR102419562B1 (ko) * 2020-12-03 2022-07-11 주식회사 이엘사이언스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
ES1262749Y (es) * 2021-02-09 2021-06-04 Crishtian Ugolino Dispositivo con proyector holográfic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7439A1 (en) * 2006-10-26 2010-04-22 See Real Technologies S.A. Mobile telephony system comprising holographic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238A (ko) 2002-02-28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이동통신 데이터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ES2385914T3 (es) 2003-09-18 2012-08-03 Vodafone Group Plc Terminal de comunicación de información
KR100800854B1 (ko) 2004-08-2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홀로그램 메뉴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090046140A1 (en) 2005-12-06 2009-02-19 Microvision, Inc. Mobile Virtual Reality Projector
JP2010507823A (ja) * 2006-10-26 2010-03-11 シーリアル テクノロジー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小型のホログラフィ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8049914A1 (en) * 2006-10-26 2008-05-02 Seereal Technologies S.A. Compact holographic display device
US7881901B2 (en) * 2007-09-18 2011-02-01 Gefemer Research Acquisi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olographic user interface communication
US20090109215A1 (en) * 2007-10-31 2009-04-30 Fein Gene S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communication with an image manipulator
US8212768B2 (en) * 2007-10-31 2012-07-03 Fimed Properties Ag Limited Liability Company Digital, data, and multimedia user interface with a keyboard
US8477098B2 (en) * 2007-10-31 2013-07-02 Gene S. Fei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f input devices
JP2009141489A (ja) 2007-12-04 2009-06-25 Toshiba Corp 電子機器
KR20110045686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994786B2 (en) * 2010-04-08 2015-03-31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Multiple view display of three-dimensional im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7439A1 (en) * 2006-10-26 2010-04-22 See Real Technologies S.A. Mobile telephony system comprising holograph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6323B2 (en) 2016-02-09
EP2749120A1 (en) 2014-07-02
KR20130022345A (ko) 2013-03-06
EP2749120A4 (en) 2015-05-06
US20150205399A1 (en) 2015-07-23
WO2013032076A1 (en)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1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80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8067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reen scrolling method thereof
KR1017287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26184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749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07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9461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781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19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78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99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98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41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1018474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600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16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072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1018474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80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72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089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2533B1 (ko) 고정형 웹 콘텐츠를 반응형 콘텐츠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616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