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954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954B1
KR101809954B1 KR1020110103953A KR20110103953A KR101809954B1 KR 101809954 B1 KR101809954 B1 KR 101809954B1 KR 1020110103953 A KR1020110103953 A KR 1020110103953A KR 20110103953 A KR20110103953 A KR 20110103953A KR 101809954 B1 KR101809954 B1 KR 10180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phic
image
notification
holographic image
notif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426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954B1/ko
Priority to PCT/KR2012/000662 priority patent/WO2013054985A1/en
Priority to EP12840515.6A priority patent/EP2767137A4/en
Priority to US14/239,946 priority patent/US9497303B2/en
Priority to CN201280050023.2A priority patent/CN103858515B/zh
Publication of KR2013003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49Holobject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2Handheld portable device, e.g. holographic camera, mobile holograph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복수의 알림(Notification)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출력 계속 중 상기 센싱부가 상기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가 감지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를 통해 홀로그래피(holography) 영상이 구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보다 편리한 조작 방법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복수의 알림(Notification)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출력이 계속되는 중 상기 센싱부가 상기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가 감지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 계속 중 중지(pause)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중지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알림 신호는, 콜(call) 알림 신호, 메시지 알림 신호, 이메일 알림 신호, 알람(alarm) 알림 신호, 캘런더(calendar) 알림 신호, 리마인더(reminder) 알림 신호, 배터리 잔량 알림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제 2홀로그래피 영상이 인접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진행 방향 및 진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시차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에 3차원 깊이(3D depth)를 부여하고, 상기 3차원 깊이가 부여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홀로그래피 입체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전체 영역을 소정 비율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영역 각각에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 및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복수의 해제 트리거(trigger)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의 타입 정보 및 적어도 일부 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에 포함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개수,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간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개수,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의 타입이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알림 신호 중 둘 이상의 알림 신호를 상기 센싱부가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둘 이상의 알림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복수의 알림(Notification)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가 감지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거나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 및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소정 화면 또는 미리 지정된 객체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제 2홀로그래피 영상이 인접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진행 방향 및 진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시차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에 3차원 깊이(3D depth)를 부여하고, 상기 3차원 깊이가 부여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홀로그래피 입체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전체 영역을 소정 비율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영역 각각에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 및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개수,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의 타입이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은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단계,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출력이 계속되는 중 센싱부가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가 감지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은 센싱부가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가 감지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거나 제 1 홀로그래피 영상 및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함께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개수,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의 타입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홀로그래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홀로그래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투과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반사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 및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변경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거리차이 및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조절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배경 내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배경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객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특정 대상 또는 특정 그룹을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수신한 알림 신호 내용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종류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스타일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두께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명도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시간에 따라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키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의 비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함께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 및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설정하는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소음(예를 들면, 20db)을 측정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조도 센서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밝기(예를 들면, 20lm)를 측정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모듈(156)은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홀로그래피 영상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저장매체는 조사된 물체파 및 기준파가 서로 간섭(interference)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저장매체로 포토폴리머와 같이 빛의 세기에 따라 반응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은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기준파와 동일한 재생파를 조사하고, 조사된 재생파가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기록된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한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의 구체적인 투사 방법은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이 홀로그래피 모듈(156)에 포함되어 함께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별개의 구성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홀로그래피 모듈(156)의 홀로그래피 영상 투사를 지원하기 위해, 홀로그래피 간섭무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등을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면 터치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인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한 설명에 앞서,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홀로그래피 모듈은(156)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홀로그래피 모듈(156)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홀로그래피 모듈(156)은 카메라(121)와 함께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411)을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모듈은(156) 이동 단말기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고, 카메라(121)와 함께 포함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412)을 투사하여 표시한다.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구현되는 입체 영상은 크게 2D 입체영상 및 3D 입체 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2D 입체영상 방식은 양안에 동일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monoscopic)으로,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가상의 입체공간 상에 하나 이상의 점, 선, 면 또는 그들의 조합을 통하여 생성된 다면체를 배치하고, 그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표시하도록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3D 입체 영상 방식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stereo scopic)으로, 인간이 육안으로 사물을 볼 때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즉, 사람의 두 눈은 서로 간에 이루는 거리에 의해 동일한 사물을 볼때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은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depth) 및 실제감(reality)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람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양안이 서로 이루는 거리에 의한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후술할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생성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전술한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2D 입체영상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영상이 물체의 밝고 어두운 면의 분포만을 기록한 데 반해,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은 파동인 빛이 가지는 모든 정보, 즉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축적하고 재생하는 영상 표시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홀로그래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501)에서 나온 간섭성 빛은 스플리터(splitter, 502)를 통해 둘로 나누어진다.
이 중 한 광선을 피사체(507)를 비추도록 하면 피사체 표면에서 빛이 반사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 광선을 물체파라고 한다.
또한, 나머지 다른 한 광선은 렌즈로 확산시켜 직접 홀로그래피 감광재료(505) 전면에 비추게 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 광선을 기준파라고 호칭한다.
홀로그래피 감광재료(505) 상에 물체파와 기준파가 서로 간섭(interference) 현상을 일으켜 1 mm당 500∼1,500개 정도의 매우 섬세하고 복잡한만든다. 이때, 이러한 간섭무늬를 기록한 사진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성된기준파와 같은 광선을 감광재료(505)에 투사하면 간섭무늬가역할을 해서 기준파가 입사한 방향과 다른 위치에서 빛이 회절되고, 회절된 빛이 모여 처음 물체에서 반사해서 생긴 빛과 같이 형성됨으로써, 홀로그래피 영상(509)을 투사하게 된다. 즉, 홀로그램에서 처음의 물체광이 재생될 수 있고, 이를 통한 영상 표현 방법을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이라 칭한다.
이때, 재생된 파면 안에서 들여다보면 처음 물체가 보이기는 하나 마치 물체가 안쪽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보는 지점을 이동하면 물체가 보이는 위치도 변하여 마치보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원래 물체의 파면이 재생되기 때문에 아주 약간 변형한 물체에서 나오는 파면과도 간섭시킬 수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재생 방식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법은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과 반사형 폴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1)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
이는 홀로그램의 뒤에서 빛을 비추어 투과하여 나온 상을 홀로그램 앞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에서는 제작 시에 물체파와 기준파를 같은 방향으로 사진필름에 노출시키게 되고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색이 선명하고 밝은 것이 특징이다.
(2)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
이는 홀로그램의 앞에서 빛을 비추어 반사하여 나온 상을 홀로그램의 앞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물체파와 기준파의 방향을 감광재료에 서로 반대 방향에서 입사하도록 제작된다. 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으로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입체감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과 반사형 폴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투과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601)에서 나온 빛이 공간필터(spatial filter, 602)를 통과한 후 매끈한 구면파로 퍼져나간다. 50:50 스프리터(beamsplitter, 605)에서 두 개의 광선으로 나누어진 구면파 중 하나는 물체(608)에 조명되어 물체파를 만들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필름(607)에 조명되어 기준파를 만든다. 물체(608)에 조명된 물체파도 필름(607)에 조명된다.
이때, 필름에 조명된 물체파와 기준파가 서로 간섭 현상을 일으켜 간섭무늬가 만들어지고, 상기 간섭무늬가 필름(607)에 기록된다.
즉, 도 6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물체파와 기준파는 필름(607)의 동일한 면으로 함께 투사되어 간섭무늬를 생성한다.
이후,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파를 필름(607)에 투사하면, 이전의 물체파와 기준파가 입사된 면의 반대 면 방향으로 물체파가 투과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도 7은 반사형 홀로그래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도 6a와 같이 레이저 광원(701)에서 나온 빛이 공간필터(spatial filter, 702)를 통과한 후 매끈한 구면파로 퍼져나가고, 50:50 스프리터(beamsplitter, 705)를 통해 두 개의 광선으로 나누어지며, 하나는 물체(708)에 조명되어 물체파를 만들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필름(707)에 조명되어 기준파를 만든다.
단, 도 6a와 달리 기준파와 물체파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서 필름(707)으로 조명된다.
즉, 도 7b와 같이 기준파는 필름(707)의 왼쪽 면으로 투사되고, 물체파는 필름(707)의 우측 상단 면을 통해 투사된다. 이후,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파를 필름에 투사하면, 반대 방향으로 물체파가 투과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필름(607, 707)은 본 명세서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로 표현되고, 상기 필름에 빛을 발산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서는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로 표현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이 홀로그래피 모듈(156)에 포함되어 함께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별개의 구성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보통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영상은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2D 입체영상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은 설정된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홀로그래피 패턴이란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홀로그래피 패턴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먼저,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피 모듈(156)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가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정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처음에는 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제어하다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각형의 모양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되므로,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홀로그래피 모듈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시간에 따라 좌우로 이동, 회전 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상 또는 크기를 변형하거나 홀로그래피 영상이 점멸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투사 밝기, 재생빈도, 조명 비추기, 진동 피드백, 사운드 삽입, 이미지 삽입, 반복 투사 등을 통해서도 홀로그래피 패턴의 설정이 가능하다.
단, 상기에서는 개별적인 요소(facror)에 의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요소들에 의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홀로그래피 모듈(156)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를 변경시키면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좌우로 이동하며 회전하도록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 전체에 대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적인 내용에 불과하고, 홀로그래피 영상의 일부 영역만에 대해 홀로그래피 패턴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에 설정되는 홀로그래피 패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홀로그래피 패턴은 홀로그래피 영상과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과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하로 이동하는 패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 및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단말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차이는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되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로부터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말로부터 멀어지면서 위로 이동되고, 도 8a에서 설정된 총 시간이 경과하면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소멸된다.
따라서 홀로그래피 영상과 단말과의 거리차이를 조절함으로써,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모양을 변경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좌우로 이동, 회전, 또는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상기에서는 영상을 이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이 형성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단말과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이 동일한 거리 차이를 유지하면서 표시되는 형태가 변경되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홀로그래피 패턴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변경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은 단말과 동일한 거리차이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로부터 투사된 영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말과의 동일 거리차이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 및 단말과의 거리차이와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함께 변경함으로써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과 홀로그래피 영상과의 거리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투사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양을 함께 변화시킴으로서 더 다양한 홀로그래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거리차이 및 홀로그래피 투사 모양을 조절하여 홀로그래피 패턴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단말과 홀로그래피 영상의 거리차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짧아졌다가 다시 길어지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은 회전하면서 투사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모듈(156)에서 투사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에 따라 단말과 거리차이를 유지하여 표시되다가 거리가 짧아졌다가 다시 멀어지되, 계속 회전하면서 투사된다.
따라서 홀로그래피 영상은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되므로 사용자에게 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은 미리 지정된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의 소정 영역에 포함되어 함께 투사될 수 있다.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폐곡선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형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홀로그래피 영상과 마찬가지로 2D 입체영상 방식 또는 3D 입체 영상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3D 입체 영상 방식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stereo scopic)에 의한 것이다.
이때, 홀로그래피 배경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홀로그래피 영상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홀로그래피 배경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홀로그래피 영상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양읜 홀로그래피 배경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역에 4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형상이 인식되고 이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메뉴 조작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통해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이미지 컨텐츠(1110)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 1 형상(112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120)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12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을 결정하고, 결정된 홀로그래피 배경 내에 이미지 컨텐츠(1110)가 포함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120)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홀로그래피 배경에 대한 후보를 리스트 형태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썸네일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고, 이를 나타낸 것이 도 11c이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 1 형상(1120)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배경의 후보 리스트(1130)가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홀로그래피 배경의 후보 리스트(1130) 중 어느 하나의 홀로그래피 배경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도 1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컨텐츠(1110)를 선택된 홀로그래피 배경(1140) 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여, 홀로그래피 모듈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배경 내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내용이 이미지 컨텐츠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에서도 터치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형상이 인식되고 이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메뉴 조작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통해 홀로그래피 배경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홀로그래피 배경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이미지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영역에 대한 비율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배경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각각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형상(121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1 형상(1210)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21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1213)을 결정하고, 결정된 홀로그래피 배경(1213) 내에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a에서는 홀로그래피 배경(1213)의 80%에 해당하는 영역에 이미지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지정되었고, 홀로그래피 배경(1213)의 80%에 해당하는 영역은 두 개의 영역(1211, 1212)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영역(1211, 1212)에 두 개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형상(122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 2 형상(1220)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1 형상(1220)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배경(1224)을 결정하고, 결정된 홀로그래피 배경(1224) 내에 이미지 컨텐츠가 포함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홀로그래피 배경(1224)의 85%에 해당하는 영역에 이미지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지정되었고, 홀로그래피 배경(1224)의 85%에 해당하는 영역은 세 개의 영역(1221, 1222, 1223)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영역(1221, 1222, 1223)에 세 개의 이미지 컨텐츠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홀로그래피 배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a는 사과(Apple)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b는 계산기(Calculator)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c는 인물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 구체적인 객체의 정보(1313)가 홀로그래피 배경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3d는 명함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구체적인 객체의 정보(1314)가 홀로그래피 배경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3e는 폴더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f는 지구본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g는 영화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h는 갤러리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 복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갤러리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과 함께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다.
도 13i는 음악 이미지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j는 메모 형태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k는 TV 이미지 형태(1300)로 홀로그래피 배경이 구현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단, 전술한 홀로그래피 배경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홀로그래피 배경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을 통해 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특정 객체 또는 화면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먼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객체는 주소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특정 객체의 이름, 복수의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주소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되거나 특정 객체의 이름 등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 전술한 내용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다른 대상을 새롭게 지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화면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부분을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에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70%에 해당하는 화면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수 있는 객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4a를 참조하면,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1411)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b를 참조하면,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1412)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아이콘과 관련된 예를 들었으나 위젯 또는 이모티콘 등도 상기와 같이 홀로그래피 영상의 설정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4c를 참조하면,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정보 중 이미지(1431)도 홀로그래피 영상이 적용되는 객체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5a를 참조하면, 큐브(cube) 형태로 복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의 정보가 각각 표시된 큐브의 각 면 중 특정 면(1511)을 지정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화면에 표시된 일부 영역만을 홀로그래피 패턴에 따라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b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깊이(depth)가 부여되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전체 화면 영역(1512)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1513)에 해당하는 영역만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래피 패턴이 적용될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대상 또는 특정 그룹이 될 수 있다.
이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는 특정 대상 또는 특정 그룹을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a를 참조하면, 전화번호부의 편집 메뉴(1611)를 통해 추가된 특정 대상만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6b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전화번호부의 그룹 메뉴(1621)를 통해 특정 그룹으로 분류된 대상만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투사될 대상을 특정 대상 또는 특정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폐곡선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형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마찬가지로 2D 입체영상 방식 또는 3D 입체 영상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3D 입체 영상 방식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stereo scopic)에 의한 것이다.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된다는 점에서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과 유사하다.
그러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배경 영상은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을 포함하여 출력되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그 외에도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에 포함되어 출력되거나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겹쳐서 출력될 수 있다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및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축소된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의 테두리에 띠 형태로 출력되는 영상을 말한다.
다음으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홀로그래피 영상에 깊이(depth)를 부여하고,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 위에 투명한 레이어 층을 구현하며, 구현된 투명한 레이어 층을 통해 출력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말한다.
또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를 축소시켜 전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나머지 영역에 출력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말한다.
단, 전술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및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또는 곡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 등을 통해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a, 17b 및 17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7a를 참조하면,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즉,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1710)의 크기가 소정 비율로 축소되고, 축소된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의 테두리에 띠 형태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1720)이 함께 출력된다.
다음으로, 도 17b를 참조하면,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즉,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1710)에 깊이(depth)가 부여되고,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 위에 투명한 레이어 층을 구현하며, 구현된 투명한 레이어 층을 통해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1730)이 함께 출력된다.
또한, 도 17c를 참조하면,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즉,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1710)의 크기를 축소시켜 전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나머지 영역에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1740)이 함께 출력된다. 도 17c에서는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1740)이 사각형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모양으로 분할된 영역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알림 신호를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전술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알림 신호를 확인하기에 앞서 출력되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알림 신호의 타입,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의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는 알림 신호는 콜(call) 알림 신호, 메시지 알림 신호, 이메일 알림 신호, 알람 알림 신호, 캘린더 알림 신호, 리마인더 알림 신호, 배터리 알림 신호 등을 포함한다.
콜(call) 알림 신호는 외부 단말로 호 신호를 전송하거나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콜(call) 알림 신호는 특정 객체별로 나누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메시지 알림 신호는 외부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메시지 알림 신호도 특정 객체별로 나누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알림 신호는 외부 단말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이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이메일 알림 신호도 특정 객체별로 나누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알람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알람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캘린더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게 날짜를 알려주기 위한 신호이다. 캘린더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날짜만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마인더 알림 신호는 사용자의 일정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복수의 리마인더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각각의 우선 순위 별로 분류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알림 신호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배터리 알림 신호는 기 설정된 임계 잔량 이하인 경우에만 수신될 수도 있다.
단, 전술한 콜(call) 알림 신호, 메시지 알림 신호, 이메일 알림 신호, 알람 알림 신호, 캘린더 알림 신호, 리마인더 알림 신호, 배터리 알림 신호는 알림 신호의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다른 알림 신호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도중 알림이 발생하면,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지(pause)하고, 중지된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단말이 수신하는 시점에 홀로그래피 영상이 투사 계속 중이었는지 또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비 투사 중이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홀로그래피 영상의 비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누어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도 18 내지 도 31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홀로그래피 모듈(156)을 통해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S1810).
이후,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820). 이때, 알림 신호는 전술한 것과 같이, 콜(call) 알림 신호, 메시지 알림 신호, 이메일 알림 신호, 알람 알림 신호, 캘린더 알림 신호, 리마인더 알림 신호, 배터리 알림 신호 등을 포함한다.
기 설정된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을 적용하여 알림 신호를 수신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된다(S1830).
즉,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거나 수신한 알림 신호 내용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거나 타입 정보와 내용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크기, 투명도 등을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한 이후, 기 설정된 복수의 해제 트리거(trigger)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출력을 중지하고,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복수의 해제 트리거 이벤트는 특정 키 입력 이벤트,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 이벤트(예를 들면, 더블 터치, 롱터치, 근접 터치 등), 출력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과 사용자의 포인터와의 거리 차이가 임계 거리 이내가 되는 이벤트, 자이로 센서를 통해 입력된 모션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전술한 내용은 기 설정된 복수의 해제 트리거 이벤트의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해제 트리거 이벤트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a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수신한 알림 신호의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예를 들면,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콜(call) 알림 신호를 전송한 객체의 사진 등)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에 따라 이동하거나 점멸되는 등의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멸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9a를 참조하면,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콜(call) 알림 신호 타입을 나타내는 “전화가 왔습니다” 텍스트(1910)가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포함되어 출력된다.
또한, 도 19b와 같이, 수신된 콜(call) 알림 신호 타입을 나타내는 아이콘(1920)이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포함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등을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에 대한 타입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알림 신호 내용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수신한 알림 신호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호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한 알림 신호에 대한 타입 정보와 내용 정보를 함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출력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시간에 따라 이동하거나 점멸되는 등의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멸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0a 내지 도 20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0a를 참조하면,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콜(call) 알림 신호의 내용 정보인 “홍길동 010-1234-5678” 텍스트(2010)가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포함되어 출력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신된 콜(call) 알림 신호의 내용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0b 내지 도 20d에서는 수신한 알림 신호에 대한 타입 정보와 내용 정보를 함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한다,
도 20b를 참조하면,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콜(call) 알림 신호의 타입을 나타내는 “전화 수신” 텍스트와 내용 정보인 “홍길동 010-1234-5678” 텍스트가 함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020)으로 출력된다.
또한, 도 20c를 참조하면,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메시지 알림 신호의 타입을 나타내는 “메시지 수신” 텍스트와 내용 정보인 “홍길동 오후 6:20” 텍스트가 함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030)으로 출력된다.
또한, 도 20d를 참조하면,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메시지 알림 신호의 타입을 나타내는 “메시지” 텍스트와 내용 정보인 “홍길동 강남역에서 보자” 텍스트가 함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040)으로 출력된다.
또한, 출력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크기, 투명도 등을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먼저,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콜(call) 알림 신호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응되고, 메시지 알림 신호는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응되며, 알람 알림 신호는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것을 가정한다.
먼저, 도 21a를 참조하면,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11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110)을 통해 콜(call)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b를 참조하면,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12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120)을 통해 메시지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1c를 참조하면,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13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130)을 통해 알람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을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빨강색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콜(call) 알림 신호에 대응되고, 주황색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메시지 알림 신호에 대응되며, 노랑색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이메일 알림 신호에 대응되고, 초록색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알람 알림 신호에 대응되며, 파랑색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캘린더 알림 신호에 대응되고, 남색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배터리 알림 신호 대응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지는 않았지만,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및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도 출력된 색을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종류를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직선, 곡선, 점선 등을 이용하여 변화된 종류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도 22a 내지 도 22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a 내지 도 2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종류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2a 내지 도 22d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다양한 종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2a의 제 1 종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21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2b의 제 2 종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22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며, 도 22c의 제 3 종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230)은 이메일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2d의 제 4 종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240)은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2e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제 1 종류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24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2f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제 1 종류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25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한편, 동일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스타일을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표시하는 선을 변화(예를 들어, 점선, 직선, 곡선 등)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도 23a 내지 도 2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a 내지 도 2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스타일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3a 내지 도 23c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다양한 스타일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3a의 제 1 스타일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31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3b의 제 2 스타일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320)은 이메일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며, 도 23c의 제 3 스타일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330)은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3d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제 1 스타일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34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3e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제 1 스타일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35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한편, 동일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두께를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4a 내지 도 24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a 내지 도 2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두께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4a 및 도 24b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다양한 두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4a의 제 1 두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41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4b의 제 2 두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42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4c 및 도 24d는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다양한 두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4c의 제 1 두께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43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4d의 제 2 두께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44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4e 및 도 24f는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다양한 두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이지만 도 24e 의 제 1 두께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45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4f 의 제 2 두께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46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한편,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를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5a 내지 도 25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a 내지 도 2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5a 내지 도 25c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에 따라 수신한 알림 신호를 구별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5a의 세 개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51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5b의 두 개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52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며, 도 25c의 한 개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530)은 이메일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25d 및 도 25f는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에 따라 수신한 알림 신호를 구별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5d의 세 개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54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5e의 두 개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55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며, 도 25f의 한 개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560)은 이메일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한편,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를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6a 내지 도 2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a 내지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일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6a의 제 1 크기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61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6b의 제 2 크기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62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며, 도 26c의 제 3 크기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630)은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도 26a 내지 도 26c에서는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방식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도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명도를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7a 내지 도 2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명도 변화를 통해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일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지만 도 27a의 제 1 투명도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2710)은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고, 도 27b의 제 2 투명도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720)은 메시지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며, 도 27c의 제 3 투명도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2730)은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도 27a 내지 도 27c에서는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방식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도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시간에 따라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개수, 크기, 투명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다시 알림 횟수, 첨부 파일의 유무,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지속 기간,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 변화를 통해 다시 알림 횟수를 나타낼 수 있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 변화를 통해 첨부 파일의 유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명도 변호를 통해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지속 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변화를 통해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도 28a 내지 도 28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시간에 따라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키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 내지 도 28d에서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 개수, 두께, 투명도 변화를 통해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28a를 참조하면, 표시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은 2811에서 2812를 거쳐 2813으로 점점 작아지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b를 참조하면, 표시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개수는 3개인 2821에서 2 개인 2822를 거쳐 1 개인 2823으로 점점 줄어드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8c를 참조하면, 표시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두께는 2831에서 2832를 거쳐 2833으로 점점 줄어드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8d를 참조하면, 표시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명도가 제 1 투명도(2841)에서 제 2 투명도(2842)를 거쳐 제 3 투명도(2843)으로 변경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알림 신호를 단말이 수신한 경우, 복수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이를 알리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적용되고,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도 29a 내지 도 2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한 복수의 알림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홀로그래피 모듈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적용되는 소정의 기준은 카테고리 기준, 우선 순위 기준, 사용자 설정 기준 등이 있다.
카테고리 기준은 콜(call) 알림 신호, 메시지 알림 신호, 이메일 알림 신호 등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우선 순위 기준은 사용자가 지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긴급 메시지는 보통 메시지보다 더 앞선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고, 빈도 등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 기준은 사용자가 수신된 각각의 알림 신호의 순서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소정 기준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29a에 표시된 각각의 높이에 대응하여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기준점(D0)에서 멀어져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될수록 더 넓은 범위를 갖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D1의 띠 홀로그래피 영상보다 D2의 띠 홀로그래피 영상은 더 큰 면적을 가지며, D2의 띠 홀로그래피 영상보다 D3의 띠 홀로그래피 영상은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출력된다.
만약, 두 개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우선순위 기준에 따라 서로 분류된 경우, 도 2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910)이 출력된다.
또한, 세 개의 알림 신호를 시산하고, 우선 순위 기준에 따라 서로 분류된 경우, 도 2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 개의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2920)이 출력된다.
한편,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적용되고,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도 30a 내지 도 3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한 복수의 알림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홀로그래피 모듈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적용되는 소정의 기준은 전술한 카테고리 기준, 우선 순위 기준, 사용자 설정 기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소정 기준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30a에 표시된 각각의 깊이에 대응하여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기준점(D0)에서 멀어져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될수록 더 넓은 범위를 갖는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D1의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보다 D2의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은 더 큰 면적을 가지며, D2의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보다 D3의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은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출력된다.
이때, 복수의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은 서로 중첩이 허용될 수도 있고,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두 개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우선순위 기준에 따라 서로 분류되며, 서로 중첩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3010)과 제 2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3020)은 서로 임계거리만큼 이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우선순위 기준에 따라 서로 분류되며, 서로 중첩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도 3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3010)과 제 2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3020)은 서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0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 간에 중첩이 허용되는 경우, 도 30d와 같이 복수의 투명 레이어 홀로그래피 영상들(3030, 3040, 3050, 306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적용되고,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도 31a 내지 도 3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한 복수의 알림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홀로그래피 모듈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적용되는 소정의 기준은 전술한 카테고리 기준, 우선 순위 기준, 사용자 설정 기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경우에는 표시되는 영역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는 상단, 우단, 좌단, 하단 위치에 각각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1a는 2 개의 알림 신호가 수신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10)은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제 2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20)은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31b는 3 개의 알림 신호가 수신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10)은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제 2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20)은 제 2 영역에 표시되며, 제 3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30)은 제 3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31c는 4 개의 알림 신호가 수신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10)은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제 2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20)은 제 2 영역에 표시되며, 제 3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30)은 제 3 영역에 표시되고, 제 4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140)은 제 4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복수의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위치는 임의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소정 기준에 따라 표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의 비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의 비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홀로그래피 영상의 비 투사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210).
이때, 알림 신호는 전술한 것과 같이, 콜(call) 알림 신호, 메시지 알림 신호, 이메일 알림 신호, 알람 알림 신호, 캘린더 알림 신호, 리마인더 알림 신호, 배터리 알림 신호 등을 포함한다.
기 설정된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을 적용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거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과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이 함께 출력된다(S3220).
즉, 수신한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만을 출력하거나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만을 출력하는 경우와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경우를 나누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먼저,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만을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도 3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33에서는 콜(call) 알림 신호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응되고, 이메일 알림 신호는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응되며, 알람 알림 신호는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것을 가정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비 투사하는 상태(3310)에서 알림 신호(3320)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3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30)을 통해 콜(call)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메일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4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40)을 통해 이메일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5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50)을 통해 알람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경우를 도 3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함께 투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비 투사하는 상태(3410)에서 알림 신호(3420)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콜(call)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현재 표시된 화면이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3440)으로 출력되고,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43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30)을 통해 콜(call)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하고, 현재 표시된 화면을 홀로그래피 영상(3430)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메일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현재 표시된 화면이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3450)으로 출력되고,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46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460)을 통해 이메일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하고, 현재 표시된 화면을 홀로그래피 영상(3450)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현재 표시된 화면이 일반 홀로그래피 영상(3470)으로 출력되고,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48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출력된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350)을 통해 알람 알림 신호가 수신된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 영상의 비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중 기 설정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거나 수신한 알림 신호 내용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표시하거나 타입 정보와 내용 정보를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색, 스타일, 종류, 두께, 크기, 투명도 등을 변화시켜 수신한 알림 신호 타입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시간에 따라 표시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알림 신호를 단말이 수신한 경우, 복수의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통해 이를 알리는 방법도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5를 참조하여 알림 신호 및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 및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설정하는 메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소정의 키 조작 또는 기 설정된 메뉴 조작을 통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설정 메뉴(3510)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설정 메뉴(3510)에 포함된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타입 메뉴(3520)를 선택할 수 있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타입 메뉴(3520)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띠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투명 레이어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종류 중 분할 영역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3530)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354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각의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가 메뉴(3550)을 선택하여 알림 신호 또는 알림 홀로그래피 영상의 종류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제어부;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 및
    복수의 알림(Notification)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중에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알림 신호를 나타내는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함께 출력될 때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를 변경시켜 상기 감지된 알림 신호의 타입이 구분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미리 지정된 화면 또는 미리 지정된 객체가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제 2홀로그래피 영상이 인접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은, 직선, 소정의 각도로 꺽인 선, 지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폐곡선 형태인,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진행 방향 및 진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시차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에 3차원 깊이(3D depth)를 부여하고, 상기 3차원 깊이가 부여된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홀로그래피 입체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전체 영역을 기 설정된 비율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영역 각각에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 및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빛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매체에 조사된 빛이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 현상을 일으켜 생성된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홀로그래피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중에 센싱부를 통해 복수의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알림 신호를 나타내는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이 함께 출력될 때 상기 제 1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2 홀로그래피 영상의 크기를 변경시켜 상기 감지된 알림 신호의 타입이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103953A 2011-10-12 2011-10-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53A KR101809954B1 (ko) 2011-10-12 2011-10-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2/000662 WO2013054985A1 (en) 2011-10-12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2840515.6A EP2767137A4 (en) 2011-10-12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US14/239,946 US9497303B2 (en) 2011-10-12 2012-02-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280050023.2A CN103858515B (zh) 2011-10-12 2012-02-03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53A KR101809954B1 (ko) 2011-10-12 2011-10-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26A KR20130039426A (ko) 2013-04-22
KR101809954B1 true KR101809954B1 (ko) 2017-12-18

Family

ID=4808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953A KR101809954B1 (ko) 2011-10-12 2011-10-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7303B2 (ko)
EP (1) EP2767137A4 (ko)
KR (1) KR101809954B1 (ko)
CN (1) CN103858515B (ko)
WO (1) WO2013054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9146B2 (en) * 2015-06-10 2022-09-20 Wayne Patrick O'Brien Interactive holographic human-computer interface
WO2017135481A1 (ko) * 2016-02-04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94317B2 (en) 2016-09-15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on with holographic image notification
US11188154B2 (en) * 2018-05-30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projection of holographic objects
DE102018209305A1 (de) * 2018-06-12 2019-12-12 Robert Bosch Gmbh Folie für einen berührungsempfindlichen Bildschirm, Bildschirm mit Folie, Gerät, insbesondere mobiles Gerät, mit Bildschirm und Verfahren zum Sensieren einer Druckintensität unter Verwendung einer Fol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1380A1 (en) * 2008-04-02 2009-10-08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s comprising a holographic image provider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9561C (zh) 2000-06-26 2006-02-01 爱克发-格法特公司 包含聚噻吩的可再分散性胶乳
KR20030071238A (ko) * 2002-02-28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이동통신 데이터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01596A1 (en) * 2004-06-30 2006-01-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holographic images in mobile devices
KR100800854B1 (ko) * 2004-08-2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홀로그램 메뉴 생성 장치 및 방법
US7492386B2 (en) 2004-11-05 2009-0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 management during a multi-party conversation
JP2010507954A (ja) 2006-10-26 2010-03-11 シーリアル テクノロジー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ホログラフィック・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携帯電話システム
US7768394B2 (en) * 2007-07-02 2010-08-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loca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KR20090003007A (ko) * 2007-07-05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알람 기능 사용방법 및 장치
EP2299726B1 (en) * 2008-06-17 2012-07-18 Huawei Device Co., Ltd. Video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10184805A1 (en) * 2008-09-25 2011-07-28 Tictacti Ltd. System and method for precision placement of in-game dynamic advertising in computer games
KR20110045686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58163B1 (ko) * 2010-12-31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홀로그램 제어방법
US9767257B2 (en) * 2011-03-31 2017-09-19 Adidas Ag Group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1380A1 (en) * 2008-04-02 2009-10-08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s comprising a holographic image provider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7137A4 (en) 2015-07-22
WO2013054985A1 (en) 2013-04-18
KR20130039426A (ko) 2013-04-22
EP2767137A1 (en) 2014-08-20
US9497303B2 (en) 2016-11-15
CN103858515B (zh) 2018-06-05
US20140206418A1 (en) 2014-07-24
CN103858515A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1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87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87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26184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880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9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084962A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in
US929461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099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78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800280A1 (en) Mobile terminal
KR201300298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41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1018474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16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072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1018616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74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80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3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22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6452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76453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