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267B1 -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 Google Patents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267B1
KR101845267B1 KR1020160116943A KR20160116943A KR101845267B1 KR 101845267 B1 KR101845267 B1 KR 101845267B1 KR 1020160116943 A KR1020160116943 A KR 1020160116943A KR 20160116943 A KR20160116943 A KR 20160116943A KR 101845267 B1 KR101845267 B1 KR 10184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ter tank
sponge
poll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9304A (en
Inventor
곽태원
Original Assignee
곽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태원 filed Critical 곽태원
Priority to KR102016011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한 화분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화분은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로서, 상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물탱크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스폰지 지지대로서, 식물이 심어지는 흙을 담을 수 있는 화초 수납부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함유하는 스폰지가 채워지는 수분 함유부를 구분하되, 상기 화초 수납부의 흙과 상기 수분 함유부의 스폰지가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스폰지 지지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분 함유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분에 의하면, 일정한 양의 물이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이끼류, 고사리류와 같은 식물도 항상 싱싱하게 성장할 수 있다.Potted plants with constant hydration are posted.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a water tank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an edg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storing water, the water tank supplying water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sponge support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The sponge support is divided into a plant-containing portion for containing soil to be planted and a water-containing portion for filling the sponge contain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sponge support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oil of the plant-containing section and the sponge of the water-containing sec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ater tank includes a supply port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contai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nstant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pollen, plants such as lichen and bracken can be grown at all times.

Description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한 화분{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0001]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0002]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ts, and more particularly to pots capable of continuous hydration.

일반적으로, 화분에는 여러 종류의 관상용 식물을 심어 재배하게 되는데, 화분에 심은 식물은 적당한 량의 무기질이 섞인 흙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수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이끼류, 고사리류와 같은 식물은 항상 적당한 량의 수분이 흙 속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Generally, potted plants are planted with a variety of ornamental plants. Potted plants require moderate amounts of mineralized soil and require moderate moisture. In particular, plants such as lichens and brackish must always have an adequate amount of water in the soil.

그런데, 기존의 화분은 재배자가 시간을 맞추어 용기에 물을 담아 화분에 부어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화분은 물을 주는 것을 잊어 버리거나, 상당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화분에 물을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정기적으로 물을 용기에 담아 한꺼번에 화분에 부어주는 경우에는 화분의 흙이 포화할 수 있는 수분량보다 많은 양의 물을 주게 되면, 화분의 하측에 있는 구멍을 통해 물이 유출되므로 실내를 더럽히게 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it was common that the existing flowerpot was poured into the flowerpot by putting the water in the container in time. These existing pots will forget to give water, or if you leave your home for a long time, you will not be able to supply water to the pots. In addition, if water is poured into the pots at regular intervals in a container, if water is supplied in an amount larger than the amount of moisture that the soil of the pots can saturate, water will leak out through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pots, .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정량의 물을 식물에 조금씩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이 요구된다.To solve these drawbacks, a flowerpot is required to supply a constant amount of water to the plants in a continuous and continuous manner.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2513(2015.04.2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2513 (Apr. 21, 20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 pot that continuously supplies moisture, which has been crea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cess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분은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로서,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상기 물탱크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물탱크가 밀착된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스폰지 지지대로서, 식물이 심어지는 흙을 담을 수 있는 화초 수납부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함유하는 스폰지가 채워지는 수분 함유부를 구분하되, 상기 화초 수납부의 흙과 상기 수분 함유부의 스폰지가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스폰지 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본체의 수분 함유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구; 저장된 물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당김줄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는 수축 타임기로서, 상기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상기 지지판을 상승시키도록 구동되는 상기 수축 타임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축 타임기는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속도로 회전되는 도르래이며, 상기 당김줄은 상기 도르래의 회전에 의하여 위쪽으로 당겨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len.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a water tank which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capable of storing water, the water tank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s a sponge support which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water tank where the water tank is closely adhered, the sponge support base comprising: a flower storage compartment for containing soil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the sponge support is formed such that the soil of the plant-containing section and the sponge of the water-containing section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sponge. Wherein the water tank comprises a supply po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o as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red water; And a contraction time devic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by a pulling string, the contraction time device being driven to raise the support plate by pulling the pulling string, And the pulling string is pull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pulley.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분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분에 의하면, 재배자가 한번 물을 물탱크에 공급하면, 상당기간 동안 일정한 양의 물이 지속적으로 화분의 흙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분에 의하면, 일정한 양의 물이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이끼류, 고사리류와 같은 식물도 항상 싱싱하게 성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rower supplies water to the water tank onc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oil of the polle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pollen, plants such as lichen and bracken can be grown at all time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분에서 물탱크의 물이 흙에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물탱크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1 is a view showing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of a water tank to the soil in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water tank of Fig. 1 in more detai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s attain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being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understanding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은 본체(10)와 물탱크(20)로 형성된다.1 is a view showing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main body 10 and a water tank 20.

상기 본체(10)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의 가장자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스폰지 지지대(11)를 구비한다. 상기 스폰지 지지대(11)는 화초 수납부(13)와 수분 함유부(15)를 구분한다. The main body 10 includes a sponge support 11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edge of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sponge support 11 separates the plant-containing section 13 from the water-containing section 15.

여기서, 상기 화초 수납부(13)는 식물이 심어지는 흙을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분 함유부(15)에는, 상기 물탱크(20)에 공급되는 물을 함유하는 스폰지(17)가 채워진다. Here, the plant-holding section 13 may contain soil to which the plant is planted. The water containing section 15 is filled with a sponge 17 contain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20.

이때, 상기 수분 함유부(15)에 채워지는 스폰지(17)는 상기 스폰지 지지대(11)에 의하여 유동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sponge (17) filled in the water containing portion (15) is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sponge support (11).

그리고, 상기 스폰지 지지대(11)는 상당한 영역이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초 수납부(13)의 흙과 상기 수분 함유부(15)의 스폰지(17)는 상당한 영역에서 서로 직접 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ponge support 11 has a substantial open area. Thus, the soil of the plant-containing section 13 and the sponge 17 of the water-containing section 15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considerable area.

그리고, 상기 물탱크(20)는 상기 본체(10)의 좌우측 외측면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0)는 저장된 물을 상기 본체(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tank 20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nd can store water. The water tank 20 may provide stored water to the main body 10.

이때, 상기 물탱크(2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수분 함유부(15)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구(2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supply port 21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containing portion 15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which i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2)에 저장된 물은 식물이 심어져 있는 상기 화초 수납부(13)의 흙에 공급된다.Thus, as shown in Fig. 2,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 is supplied to the soil of the plant-holding section 13 planted.

즉, 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은 중력 및 삼투압의 작용에 의해 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구(21)를 통하여 조금씩 수분 함유부(15)의 스폰지(17)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스폰지(17)는 항상 일정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게 된다.That i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 is supplied to the sponge 17 of the water containing portion 15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supply port 21 formed on the side surface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osmotic pressure. At this time, the sponge 17 always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water.

그리고,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상기 스폰지(17)에 함유된 물은 화초수납부(13)에 채워진 흙에 조금씩 공급된다.Water contained in the sponge (17) is supplied little by little to the soil filled in the flowerpot storage portion (13) by the osmotic action.

도 3은 도 1의 물탱크(2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0)는 지지판(23)과 수축 타임기(25)를 구비한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water tank 20 of Fig. 1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3, the water tank 20 includes a support plate 23 and a contraction time 25.

상기 지지판(23)은 저장된 물의 하단부를 지지한다.The support plate 23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tored water.

상기 수축 타임기(25)는 상기 물탱크(2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당김줄(27)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23)과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축 타임기(25)가 상기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상기 지지판(23)을 상승시키도록 구동된다.The contraction time 25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20 and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23 by a pulling string 27. At this time, the contraction time 25 is driven to raise the support plate 23 by pulling the pulling string.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수축 타임기(25)는 도르래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수축 타임기(25)을 구현하는 도로래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당김줄은 위쪽으로 당겨지고, 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판(23)은 상승된다.Preferably, the contraction time 25 is implemented as a pulley. Then, the pulling string is pull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paddle to realize the contraction time 25, and the support plate 23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 is raised.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수축 타임기(25)을 구현하는 도로래의 회전 속도는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다. 즉, 지지판(23)이 예를 들어, 1개월 정도 후에 공급구(21)의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수축 타임기(25)를 구현하다는 도르레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본체(10)의 화초 수납부(13)의 흙에 심겨진 식물에는 1개월 동안 적당한 양의 물이 지속적으로 조금씩 공급되게 된다.More preferab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ad which implements the contraction time 25 is externally adjustable. That is,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lley to implement the contraction time 25 is adjusted so that the support plate 23 rises to, for example, about one month after the position of the supply port 21, Plants planted in the soil of the storage section (13) will be suppli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ontinuously for a month.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분에 의하면, 재배자가 한번 물을 물탱크에 공급하면, 상당기간 동안 일정한 양의 물이 지속적으로 화분의 흙에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rower supplies water to the water tank onc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oil of the polle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분에 의하면, 일정한 양의 물이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이끼류, 고사리류와 같은 식물도 항상 싱싱하게 성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에서는, 상기 수축 타임기(25)을 구현하는 도로래의 회전 속도를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므로, 화분의 흙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분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재배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pollen, plants such as lichen and bracken can be grown at all times.
In addition, in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ad that implements the contraction time 25 can be adjusted from the outsid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oil of the pollen can be variously adjus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inds of plants can be cultiva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화분에 있어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로서,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상기 물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물탱크가 밀착된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스폰지 지지대로서, 식물이 심어지는 흙을 담을 수 있는 화초 수납부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함유하는 스폰지가 채워지는 수분 함유부를 구분하되, 상기 화초 수납부의 흙과 상기 수분 함유부의 스폰지가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스폰지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물탱크는
상기 본체의 수분 함유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구;
저장된 물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당김줄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는 수축 타임기로서, 상기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상기 지지판을 상승시키도록 구동되는 상기 수축 타임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축 타임기는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속도로 회전되는 도르래이며,
상기 당김줄은
상기 도르래의 회전에 의하여 위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For pollen,
A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A water tank which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capable of storing water, the water tank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The body
The sponge suppor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water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ponge support member separates the water-containing portion filled with the sponge co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Wherein the sponge support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oil of the plant-containing section and the sponge of the water-containing sec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ater tank
A supply po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o as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red water; And
And a contraction time devic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by a pulling string, the contraction time device being driven to raise the support plate by pulling the pulling string,
The contraction time period
A pulley that is rotated at an externally adjustable speed,
The pull string
Wherein the pulley is pulled upward by rotation of the pulle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16943A 2016-09-12 2016-09-12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KR101845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43A KR101845267B1 (en) 2016-09-12 2016-09-12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43A KR101845267B1 (en) 2016-09-12 2016-09-12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04A KR20180029304A (en) 2018-03-21
KR101845267B1 true KR101845267B1 (en) 2018-04-04

Family

ID=6190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43A KR101845267B1 (en) 2016-09-12 2016-09-12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26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45Y1 (en) * 2006-08-07 2007-01-04 진영기 Automatic water supp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45Y1 (en) * 2006-08-07 2007-01-04 진영기 Automatic wat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04A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967A (en) Flower pot watering apparatus
US3069807A (en) Device for watering and feeding plants, flowers and the like
US10813303B2 (en) Flower pot
US10701874B2 (en) Pot flower
JP2009065926A (en) Vertical hydroponics device, and method for growing root vegetable using the device
CN102919078A (en) Self-suction self-water-supply flower pot
JP3195747U (en) Automatic watering flowerpot
US20160150746A1 (en) Bucket Conversion Self-Watering Planter
JP4898161B2 (en) flower pot
KR101845267B1 (en)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JP2010068735A (en)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KR101519965B1 (en) Environment-friendly Lid for Toilet bucket capable of growing plant
KR101327568B1 (en) Watering device for potted
KR101280123B1 (en) Port table
JPH04135426A (en) Method for irrigating cultivation pot and planter used therefor
KR20080011252A (en) Bio nude-flowerpot
KR101380567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JP4003103B2 (en) Automatic watering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940000476B1 (en) Flower pot
KR20130046794A (e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potted plant
KR102303717B1 (en) Automatic watersupply device for flowerpot
KR200493686Y1 (en) A flowerpot kit
JP3112080U (en) Flower pot with a drain hole on the side
JP3152261U (en) Simple irrigation device
JP2018139573A (en) Bottom irrigation culture soil two-layer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