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104B1 - 악취제거 변기 - Google Patents

악취제거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104B1
KR101841104B1 KR1020170047962A KR20170047962A KR101841104B1 KR 101841104 B1 KR101841104 B1 KR 101841104B1 KR 1020170047962 A KR1020170047962 A KR 1020170047962A KR 20170047962 A KR20170047962 A KR 20170047962A KR 101841104 B1 KR101841104 B1 KR 10184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ction
toilet
odo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057A (ko
Inventor
임진택
Original Assignee
임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택 filed Critical 임진택
Priority to KR102017004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1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 변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며 내주면을 따라 상기 용변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이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에 형성된 흡입공과 연결되는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빨아들이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블로워 및 선단이 상기 블로워와 유로로 연결되며 기단이 상기 변기 몸체와 연결된 트랩으로 연장되어 블로워를 통해 흡입된 악취를 트랩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변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악취제거 변기{Deodorizing toilet}
본 발명은 악취제거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몸체의 용변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빨아들여 하수관으로 배기함으로써, 쾌적한 상태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악취제거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의 화장실에서 용변시 불쾌한 냄새로 곤혹을 치러야 하는 경험을 누구나 한번쯤 겪었을 것이다.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는 용변을 보는 당사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출입하는 모든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변기 주위 및 화장실 내부에 방향제나 공기청정제 등을 비치하기도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화장실 내의 악취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제나 공기청정제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통해 화장실의 악취를 상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악취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 바, 화장실의 악취제거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방향제의 향기와 화장실의 악취가 혼합되어 더욱 이상한 냄새를 풍기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불쾌감이 더욱 증폭되는 역효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실에서는 일측 벽면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는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화장실 전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함이지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확산된 다음에야 환기작용이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32717호의 "악취제거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선행기술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는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변구 상부에는 분사공이 형성되는 변기몸체와 상기 용변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변기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악취제거변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분사공을 서로 연결시키는 배출로와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실내 벽면에 배설되는 배기덕트와 일측은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출로와 연결되며 상기 용변구의 악취가 상기 분사공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내부에 흡입팬이 구비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는 용변구의 악취가 배출로와 흡입관으로 흡입되어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어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의 악취제거 변기는 악취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덕트를 실내 벽면에 배설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는 흡입관과 배기덕트가 변기의 외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실내의 벽면에 배기덕트를 설치하기 위해 천공하거나 또는 실내의 벽면에 형성된 창문에 배기덕트를 설치하더라도 배기덕트와 흡입관을 연결하기 위해 배관을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200432717 B (2006.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변 시 발생한 악취를 흡입하는 배관을 용수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관과 연결시켜 악취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을 벽면에 시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우수한 악취제거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악취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변기에 마련함에 있어 변기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기 설치된 변기에 적용시킬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악취제거 변기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며 내주면을 따라 상기 용변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이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에 형성된 흡입공과 연결되는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빨아들이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블로워 및 선단이 상기 블로워와 유로로 연결되며 기단이 상기 변기 몸체와 연결된 트랩으로 연장되어 블로워를 통해 흡입된 악취를 트랩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변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는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여 상기 블로워로 안내하는 흡입관이 장착되고, 상기 흡입관은 시트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 홈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는 내주면을 따라 UV램프가 마련되어 상기 용변구에 저수된 용수 및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시트를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는 그 하부 외측에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 외측 둘레를 감싸 끼움되는 돌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변기 몸체와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로워와 변기 몸체는 자력의 인력에 의해 블로워가 변기 몸체에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블로워의 외측면에 금속 브라켓이 마련되고, 상기 변기 몸체의 외측면에 마그네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는 일측과 타측에 제각기 상기 시트의 유로와 연결되는 흡입 니플 및 상기 흡입 니플을 통해 흡입된 악취를 상기 배기관으로 안내하는 배기 니플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악취를 빨아들일 수 있게 부압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시트의 흡입공을 통해 빨아들인 악취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흡음재가 마련되어 상기 흡입 니플과 상기 배기 니플이 상기 케이스와 연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임펠러의 주위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관의 기단은 상기 변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수가 저수되는 트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는 악취가 상기 트랩에 저수된 용수 중에서 폭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변기 몸체의 트랩에 저수된 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에 의하면, 용변구에서 발생한 악취를 하수관으로 배기하게 됨으로써, 화장실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상태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에 UV램프가 마련되어 용수를 살균하여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용변구의 표면에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게 되어 흡입관, 블러워, 배기관의 내측벽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발명에 의하면, 배기관의 기단이 변기 몸체의 트랩으로 연장되면 배기관을 통해 악취가 트랩의 용수 중에서 폭기되면서 트랩의 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게 되어 트랩을 자동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 중 시트와 변기 본체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 중 시트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의 중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선행기술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는 내부에 용변구(110)를 형성하며 용변구(110)에 저수된 용수를 하수관으로 흘려보내는 트랩(130)이 형성된 변기 몸체(100), 변기 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시트(200), 시트(200)에 형성된 흡입공(210)을 통해 용변구(110)의 악취를 흡입하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블로워(300), 블로워(300)에 의해 흡입된 악취를 용변구(110)에 형성된 트랩(130)으로 안내하는 배기관(40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변기 몸체(100)는 내부에 용변구(110)가 형성되고 용변구(110) 상부에서 용수가 분출되는 분사공(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용변구(110)를 형성한 변기 몸체(100)는 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또는 옥내에 배관된 상수관과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용수를 분사공(120)을 통해 용변구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기 몸체(100)의 분사공(120)은 경우에 따라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기 몸체(100)에 용수를 분출하는 분사공(12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분사공(120)을 대신하여 거품을 토출하는 포세식 변기 몸체가 마련된다.
그리고, 변기 몸체(100)의 용변구(110)에는 하수관에서 나오는 나쁜 냄새의 역류를 막기 위하여 트랩(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트랩(130)은 용변구(110)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서 대략 U자 형태로 굴곡진 부분을 형성하여 굴곡진 부분에 항상 용수가 채워져 하수관에서 올라오는 나쁜 냄새 및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기 몸체(10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장착되는 시트(200)가 마련된다. 시트(200)는 변기 몸체(100)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환형 또는 말굽의 형태를 갖고 내주면을 따라 용변구(11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흡입공(210)이 형성된 시트(200)를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 중 시트와 변기 본체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 중 시트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트(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기 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고, 시트(2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흡입공(210)을 통해 용변구(110)에서 발생한 악취를 흡입하게 된다.
시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흡입공(210)은 시트(20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시트(200)의 내주면 중 앞쪽과 뒤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입공(210)의 위치는 시트(2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입공(210)이 시트(200)의 내주면 중 앞쪽과 뒤쪽에 형성되는 경우 시트(200)의 내주면 중 앞쪽에 형성되는 흡입공(210)의 크기가 시트(200)의 내주면 중 뒤쪽에 형성되는 흡입공(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트(200)의 내주면 중 뒤쪽에 형성되는 흡입공(210)의 지름이 1mm인 경우 시트(200)의 내주면 중 앞쪽에 형성되는 흡입공(210)의 지름은 1.5mm로 함으로써, 블로워(300)와 유로로 연결된 흡입공(210) 중 블로워(300)와 유로 상 먼 곳에 위치한 흡입공(210)의 흡입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200)는 흡입공(210)을 통해 악취를 블로워(300)로 안내하는 흡입관(220)이 장착된다. 이러한 흡입관(220)은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시트(200)의 형상을 따라 굴곡지게 포설된다. 또한, 흡입관(220)은 시트(200)에 형성된 흡입공(210)과 연통되는 다수의 천공(221)이 형성되어 흡입공(210)을 통해 유입된 악취는 천공(221)을 통해 흡입관(220)으로 흡기된다.
이러한 흡입관(220)은 시트(200)의 저면에 함몰 형성된 장착 홈(230)에 장착되는데, 이때 흡입관(220)은 장착 홈(230)의 폭에 비해 조금 크게 형성되어 흡입관(220)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장착 홈(230)이 형성된 시트(200)의 저면 외주면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 돌기(260)가 형성되어 시트(200)가 변기 몸체(100)에 장착될 때 돌출 돌기(260)가 변기 몸체(100)의 상단 외측 둘레를 감싸 억지끼움 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변기 몸체(100)의 상단 외측 둘레를 감싸는 돌출 돌기(260)가 시트(200)의 저면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시트(200)를 변기 몸체(10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220)은 시트(200)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을 형성하는 경우 흡입관(220) 역시 환형을 형성하게 되며, 시트(200)의 형상이 말굽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흡입관(220) 역시 말굽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흡입관(220)이 말굽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흡입관(220)의 말단은 캡(222)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시트(20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UV램프(240)가 마련되어 용변구(110)에 저수된 용수 및 흡입공(2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게 된다. 이때 시트(200)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UV램프(240)는 발광을 위한 전선(241)이 배선되는데, 이러한 UV램프(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2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0)의 저면에 함몰 형성된 장착 홈(230)을 따라 배선되어 도 1에 도시된 시트(200)의 측면에 형성된 전원 스위치(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스위치(270)의 작동에 따라 UV램프(240)가 점멸하게 된다.
이와 같이 UV램프(24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270)는 시트(200)에 형성된 흡입공(210)으로 악취를 빨아들일 수 있게 부압을 발생시키는 블로워(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따라 UV램프(240) 및 블로워(300)가 작동하게 된다.
한편, 블로워(300)는 시트(200)에 형성된 흡입공(210)을 통해 용변구(110)에서 발생한 악취를 흡입할 수 있게 부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블로워(3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 니플(312)과 배기 니플(314)이 형성된 케이스(310) 및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320)로 구성된다.
케이스(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시트(200)에 마련된 흡입관(220)과 연결되는 흡입 니플(312)이 형성되고, 타측에 흡입 니플(312)을 통해 흡입된 악취를 배기관(400)으로 안내하는 배기 니플(314)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 니플(312)과 배기 니플(314) 사이에 임펠러(320)가 설치되어 임펠러(32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용변구(110)에서 발생한 악취를 흡입공(210)을 통해 빨아들일 수 있는 부압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10) 내부에는 시트(200)의 흡입공(210)을 통해 빨아들인 악취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316)가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316)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 번식할 수 없게 항균처리된 항균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310) 내부에는 흡음재(318)가 마련되어 임펠러(320)의 회전시 발생하는 작동 소음 및 진동을 흡음재(318)가 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흡음재(318)는 흡입 니플(312)과 배기 니플(314)이 케이스(310)와 연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임펠러(320)의 주위를 감싸 차폐하게 되는데, 이때 흡음재(318)는 케이스(310)의 내측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다공질의 섬유, 다공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흡음재(318)는 울(Wool)이나 면직물과 같은 섬유 또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섬유, 합성수지로 흡음재(318)가 이루어질 때 흡음효과가 우수한 포러스(Porous) 또는 마이크로포러스(Microporous)로 형성되어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320)가 회전시 발생하는 작동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블로워(300)는 자력의 인력에 의해 변기 몸체(100)에 고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300)의 케이스(310) 외측면에 금속 브라켓(330)이 마련되고, 변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마그네틱(140)이 마련되어 블로워(300)를 변기 몸체(1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블로워(300)의 배기 니플(314)은 배기관(400)과 연결되어 블로워(300)를 통해 흡입된 악취를 용변구(110)에 형성된 트랩(130)으로 배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배기관(400)은 선단이 블로워(300)의 배기 니플과 연결되며, 기단이 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트랩(130)으로 연장된다.
특히, 배기관(400)의 기단은 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수가 저수되는 트랩(130)으로 연장되어 배기관(400)을 통해 배기되는 악취가 트랩(130)에 저수된 용수 중에서 폭기되도록 함으로써, 트랩(130)에 저수된 용수에 악취에 포함된 악취에 발생시키는 중요 인자를 용해시켜 용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될 때 악취를 함께 하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기관(400)의 기단이 변기 몸체(100)의 트랩(130)으로 연장되면 배기관(400)을 통해 악취가 트랩(130)의 용수 중에서 폭기되면서 트랩(130)의 벽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게 되어 트랩(130)을 자동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블로워(300)에 의해 흡입된 악취를 변기 몸체(100)의 트랩으로 배기하게 되는 배기관(400)에는 변기 몸체(100)의 트랩(130)에 저수된 용수가 배기관(4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410)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제거 변기는 사용자가 변기 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시트(200)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시트(200)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270)를 조작하여 UV램프(240) 및 블로워(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UV램프(240) 및 블로워(300)가 작동하게 되면 용변구(110)에서 발생한 악취가 시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공(210)을 통해 유입되어 흡입관(220)과 배기관(400)을 거쳐 변기 몸체(100)의 트랩(130)에 저수된 용수 중에서 폭기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끝낸 후 용수를 하수관으로 배수하는 것에 따라 악취가 하수관으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변기에 의하면, 용변구(110)에서 발생한 악취를 하수관으로 배기하게 됨으로써, 화장실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200)에 UV램프(240)가 마련되어 용수를 살균하여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용변구(110)의 표면에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공(2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게 되어 흡입관(220), 블로워(300), 배기관(400)의 내측벽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변기 몸체(100)의 상부에 장착된 시트에 착석할 때 온열을 제공하도록 시트(200)에 면상 발열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변기의 중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면상 발열체(250)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면상 발열체(250)에 발생하는 온열을 시트(200)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면상 발열체(250)는 시트(200)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스위치(270)를 작동시키는 것에 따라 면상 발열체(250)가 발열하게 된다.
이러한, 면상 발열체(250)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0)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고, 흡입관(220)이 억지끼움되는 장착 홈(230)에 설치된다. 이때, 장착 홈(230)에 설치되는 면상 발열체(250)는 장착 홈(23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 시트(200)와 흡입관(2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장착 홈(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250)와 수평상태로 면접촉이 가능하면서 흡입관(220)의 억지끼움이 가능한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착 홈(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250)가 밀착되는 내측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고, 흡입관(220)이 억지끼움되는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 홈(23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250)가 내측 상부에 면접촉상태로 설치되고, 면상 발열체(250)의 하부에 흡입관(220)이 억지끼움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면상 발열체(250)가 시트(200)와 흡입관(220) 사이에 위치하여 면상 발열체(250)가 장착 홈(230)의 내측 상부와 대면하게 되면 면상 발열체(250)로부터 발생한 열이 시트의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시트(200)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시트(200)에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전원 스위치(270)를 작동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시트(200)에 착석하는 것만으로도 UV램프(240)와 블로워(300) 및 면상 발열체(250)가 작동할 수도 있다.
이렇게 시트(2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트(200)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사용자가 시트(200)에 착석하는 것에 따라 시트(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한 로드셀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100 : 변기 몸체 110 : 용변구
120 : 분사공 130 : 트랩
140 : 마그네틱 200 : 시트
210 : 흡입공 220 : 흡입관
221 : 천공 222 : 캡
230 : 장착 홈 240 : UV램프
241 : 전선 250 : 면상 발열체
260 : 돌출 돌기 270 : 전원 스위치
300 : 블로워 310 : 케이스
312 : 흡입 니플 314 : 배기 니플
316 : 필터 318 : 흡음재
320 : 임펠러 400 : 배기관
410 : 체크 밸브

Claims (2)

  1.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변기 몸체;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며 내주면을 따라 상기 용변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이 형성된 시트; 및
    상기 시트에 형성된 흡입공과 연결되는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빨아들이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여 상기 블로워로 안내하는 흡입관이 저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트는 그 하부 외측에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돌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블로워는,
    일측과 타측에 제각기 상기 시트의 유로와 연결되는 흡입 니플 및 상기 흡입 니플을 통해 흡입된 악취를 배기하는 배기 니플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악취를 빨아들일 수 있게 부압을 형성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는,
    상기 시트의 흡입공을 통해 빨아들인 악취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필터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임펠러의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공질의 섬유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포러스 또는 마이크로포러스가 형성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단이 상기 블로워와 유로로 연결되며 기단이 상기 변기 몸체와 연결된 트랩으로 연장되어 블로워를 통해 흡입된 악취를 트랩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용변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용변구에 저수된 용수나 상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UV램프;가 상기 시트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공은
    상기 시트의 내주면 중 앞쪽과 뒤쪽에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내주면 중 앞쪽에 형성되는 흡입공의 크기가 시트의 내주면 중 뒤쪽에 형성되는 흡입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시트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 홈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시트를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기관의 기단은
    상기 변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수가 저수되는 트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는 악취가 상기 트랩에 저수된 용수 중에서 폭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관은 상기 변기 몸체의 트랩에 저수된 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시트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이 억지끼움되는 상기 장착 홈에 설치되되, 상기 장착 홈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 및 상기 흡입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 홈은
    상기 면상 발열체와 수평상태로 면접촉이 가능하면서 상기 흡입관의 억지끼움이 가능한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변기.
  2. 삭제
KR1020170047962A 2017-04-13 2017-04-13 악취제거 변기 KR10184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62A KR101841104B1 (ko) 2017-04-13 2017-04-13 악취제거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62A KR101841104B1 (ko) 2017-04-13 2017-04-13 악취제거 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327A Division KR101728672B1 (ko) 2016-01-19 2016-01-19 악취제거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57A KR20170087057A (ko) 2017-07-27
KR101841104B1 true KR101841104B1 (ko) 2018-03-22

Family

ID=5942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962A KR101841104B1 (ko) 2017-04-13 2017-04-13 악취제거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1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19A (ko) * 2018-07-23 2020-01-31 서경한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102237045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20220093825A (ko) * 2020-12-28 2022-07-05 박연수 변기 시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814B1 (ko) * 2019-06-07 2021-08-27 금영성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KR102407222B1 (ko) * 2021-10-04 2022-06-10 우종식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79Y1 (ko) * 2004-09-02 2005-01-14 주식회사 정보넷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JP2007224714A (ja) * 2007-03-30 2007-09-06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便器用脱臭装置
KR101270214B1 (ko) * 2011-04-15 2013-06-04 임식규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79Y1 (ko) * 2004-09-02 2005-01-14 주식회사 정보넷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JP2007224714A (ja) * 2007-03-30 2007-09-06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便器用脱臭装置
KR101270214B1 (ko) * 2011-04-15 2013-06-04 임식규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19A (ko) * 2018-07-23 2020-01-31 서경한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102183301B1 (ko) 2018-07-23 2020-11-26 서경한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102237045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20220093825A (ko) * 2020-12-28 2022-07-05 박연수 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2503089B1 (ko) * 2020-12-28 2023-02-23 박연수 변기 시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57A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04B1 (ko) 악취제거 변기
US5906009A (en) Toilet bowl noxious fume and mist evacuation
US20130205484A1 (en) Toilet-seat equipped with noxious odor exhaust device
KR101628229B1 (ko) 위생 세정 장치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20110054379A (ko)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US20130276220A1 (en) Odor eliminating apparatus for toilets and the like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US7376982B1 (en) Toilet bowl venting apparatus
KR101728672B1 (ko) 악취제거 변기
WO2016035888A1 (ja) 防臭トイレ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4057772B2 (ja) 簡易トイレ用消臭装置および消臭装置付き簡易トイレ
JP5904422B2 (ja) 衛生洗浄装置
KR100488298B1 (ko) 변기 좌석 환기 장치
KR102179616B1 (ko)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JP2008095414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KR101270214B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US8136172B1 (en) Scented toilet seat
CN213334822U (zh) 一种厕所源头除臭设备
CN213721677U (zh) 可作为空气消毒器使用的干手器
JP2017172273A (ja) 便器装置
JP3164799U (ja) 吸気除臭式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