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899B1 -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899B1
KR101838899B1 KR1020170099435A KR20170099435A KR101838899B1 KR 101838899 B1 KR101838899 B1 KR 101838899B1 KR 1020170099435 A KR1020170099435 A KR 1020170099435A KR 20170099435 A KR20170099435 A KR 20170099435A KR 101838899 B1 KR101838899 B1 KR 10183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inwater
filter unit
drain pipe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초록
신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초록, 신상욱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초록
Priority to KR102017009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로부터 제 1, 2필터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상기 제 1, 2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2필터의 교체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Filter installation structure 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nd rainwater catcher}
본 발명은 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로부터 제 1, 2필터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상기 제 1, 2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2필터의 교체 또한 용이한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에는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서 한곳으로 모아 하수구로 배수하기 위하여 지붕의 처마 끝을 따라 빗물받이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빗물받이에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위치에 수 개의 집수통과 지상으로 배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처마끝에서 빗물받이 안쪽으로 떨어져 배수로를 통해 집수통으로 모아지고 집수통에 모아진 빗물은 다시 집수통에서 지상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통하여 하수구로 유입된다.
한편, 최근에는 우천시 물받이 홈통에 설치된 정화장치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수거하여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활용하는 건물의 물받이 홈통용 빗물정화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88564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88564호의 경우, 물받이 홈통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관 사이에 구비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상기 결합관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필터의 청소 및 교체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890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로부터 제 1, 2필터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상기 제 1, 2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2필터의 교체 또한 용이한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받이와; 상기 빗물받이의 배수공에 상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상부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상부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낙엽을 포함한 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1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1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상부필터부와;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연결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연결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모래를 포함한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2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하부필터부와;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하부선홈통과; 상기 하부선홈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선홈통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하부선홈통의 하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하부선홈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하부선홈통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선홈통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분기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라인과; 상기 드레인라인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용수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과; 상기 용수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공급라인내로 빗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 사이마다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안내라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받이와; 상기 빗물받이의 배수공에 상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상부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상부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낙엽을 포함한 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1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1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상부필터부와;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연결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연결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모래를 포함한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2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하부필터부와;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하부선홈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는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좁아지며, 외면에 복수의 배수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필터몸체와;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터부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 및 상기 상부필터부의 커버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필터부의 하부 내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부 후측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터부의 상부에 배수관이 수평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은 상기 상부필터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1배수관과; 상기 제 1배수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제 1필터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필터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커지며, 외면에 다공이 형성된 망체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필터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 및 상기 하부필터부의 커버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필터부의 상부 내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의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필터부의 상부에 배수관이 수평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은 상기 하부필터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1배수관과; 상기 제 1배수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에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의 배수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마감부재에서 상기 제 2필터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 2필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의 상부에 상기 마감부재의 배수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마감부재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에 포함된 낙엽 등의 큰 이물질을 상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빗물에 포함된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 또한 하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필터부의 커버와 상기 하부필터부의 커버를 각각 상기 상부필터부와 하부필터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상부필터부의 내부 및 상기 하부필터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2필터를 상기 상부필터부와 상기 하부필터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상기 제 1, 2필터로부터 낙엽, 모래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2필터의 교체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를 개략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복수의 저장탱크 및 복수의 저장탱크 사이마다 구비되는 안내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빗물받이, 상부선홈통, 상부필터부, 연결선홈통, 하부필터부 및 하부선홈통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상부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상부필터부의 내부에 제 1필터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상부필터부의 끼움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상부필터부의 끼움홈에 제 1필터의 끼움부재가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부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선홈통과 연결선홈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상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4는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5는 상부필터부의 가이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6은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을 통해 일부 빗물이 상부필터부의 외부로 배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7은 하부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1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하부필터부의 내부에 제 2필터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2는 제 2필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마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하부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선홈통과 하부선홈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4는 하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모래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5는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6은 하부필터부의 가이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7은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을 통해 일부 빗물이 하부필터부의 외부로 배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8은 마감부재의 연결관으로부터 가이드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를 개략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복수의 저장탱크 및 복수의 저장탱크 사이마다 구비되는 안내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빗물받이(10), 상부선홈통(20), 상부필터부(30), 연결선홈통(40), 하부필터부(50), 개폐밸브(70), 저장탱크(80), 분기라인(90) 및 오버플로우라인(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의 빗물받이, 상부선홈통, 상부필터부, 연결선홈통, 하부필터부 및 하부선홈통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빗물받이(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3)의 지붕(31)의 전단부, 후단부,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어느 한 부위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빗물받이(1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빗물받이(10)내의 빗물을 상기 빗물받이(10)의 하부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수공(10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선홈통(20)의 상단부는 상기 빗물받이(10)의 배수공(101)에 일체연결 또는 상기 빗물받이(10)의 배수공(101)에 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상부 내측에 상기 상부선홈통(2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상부가 상기 상부선홈통(2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도 4는 상부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상부필터부의 내부에 제 1필터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부에는 낙엽 등을 포함한 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1필터(310)가 배치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제 1필터(310)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01)가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면 상측과 내면 하측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배출구(301)의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부돌출턱(302) 및 하부돌출턱(3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제 1필터(3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몸체(311)와 상부판(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몸체(311)의 하부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하부돌출턱(303)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몸체(311)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필터몸체(311)의 내경크기는 상기 필터몸체(3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상기 필터몸체(311)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수슬릿(3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312)은 상기 필터몸체(31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312)의 중심부에는 배수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전측에는 상기 배출구(301)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3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전측에 상기 커버(300)가 상기 상부필터부(30)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간편하게 슬라이딩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양측, 즉,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홈(30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커버(300)의 양측, 즉,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가이드홈(304)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304)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304)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돌기(305)가 상기 커버(3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돌기(305)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300)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304)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상부필터부의 끼움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상부필터부의 끼움홈에 제 1필터의 끼움부재가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부에 상기 제 1필터(3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전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끼움홈(30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필터(310)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부 후측에 상기 끼움홈(306)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315)가 형성될 수 있다.
단면형상이 'ㄷ'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끼움홈(306)은 상기 하부돌출턱(303)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끼움홈(306)은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끼움홈(306)에 상기 제 1필터(310)의 끼움부재(315)가 보다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306)의 일단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중심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수평연장선(307)과, 상기 끼움홈(306)의 타단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중심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수평연장선(308)이 이루는 상기 끼움홈(306)의 개방각도(α)는 180°이상인 것이 좋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끼움홈(306)의 연장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끼움홈(306)의 개방각도(α)는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끼움홈(306)의 연장길이가 짧아질수록 끼움홈(306)의 개방각도(α)는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15)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제 1필터(310)의 하부 후측에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끼움홈(306)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평돌출되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306)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15)가 상기 끼움홈(306)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면서, 상기 제 1필터(310)의 필터몸체(311)의 하부 전측은 상기 배출구(30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필터부(30) 부위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2는 상부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선홈통과 연결선홈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상부돌출턱(302)의 상부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선홈통(20)의 하부가 안착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하부돌출턱(303)의 하부는 상기 연결선홈통(40)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도 13은 상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선홈통(20)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에 포함된 낙엽 등의 이물질(2)은 상기 제 1필터(310)를 통과하지 못하고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필터(310)의 주변에 퇴적될 수 있다.
낙엽 등의 큰 이물질(2)이 분리된 빗물은 상기 제 1필터(310)의 배수슬릿(313)을 통과하여 상기 제 1필터(310)의 내면과 상기 연결선홈통(40)의 내면을 타고 상기 연결선홈통(40)의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제 1필터(310) 주변에 퇴적된 낙엽 등의 큰 이물질(2)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상부필터부(30)로부터 상기 커버(3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낙엽 등의 큰 이물질(2)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커버(300) 전체 또는 일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제 1필터(3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상부에 배수관(320)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20)은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커버(300)의 상부에 수평형성 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후측 상부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배수관(320)은 크게, 제 1, 2배수관(321, 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배수관(321)은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배수관(322)은 상기 제 1배수관(32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321)에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도 15는 상부필터부의 가이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제 1필터(310)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제 1필터(31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필터(3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관(33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관(33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배수관(320)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을 통해 일부 빗물이 상부필터부의 외부로 배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제 1필터(310) 주변에 많은 양으로 퇴적된 낙엽 등의 큰 이물질(2)로 인해 빗물이 상기 제 1필터(310)의 배수슬릿(313)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상부필터부(30) 내부에 빗물이 점차 고이면서 상기 상부필터부(30) 내부의 빗물의 수면이 점차 상승하면서 일부 빗물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320)을 통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320)의 제 1배수관(321)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기 때문에 빗물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제 1배수관(321)의 하부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면에 얼룩 등의 자국이 형성될 우려가 없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배수관(321)을 통해 빗물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외부로 배수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부에 많은 양으로 낙엽 등의 큰 이물질(2)이 퇴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청소 및 상기 제 1필터(310)의 청소와 교체를 하여야 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320)의 상기 제 2배수관(322)이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선홈통(20)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일부가 상기 배수관(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330)으로 인해 수면이 점차 상승하는 상기 상부필터부(30) 내부의 빗물 일부가 상기 배수관(320)으로 보다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하부 내측에 상기 연결선홈통(40)의 상단부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선홈통(40)은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도 17은 하부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1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하부필터부의 내부에 제 2필터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 내측에 상기 연결선홈통(4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가 상기 연결선홈통(4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도 17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부에는 모래를 포함한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2필터(510)가 배치된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제 2필터(510)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501)가 형성된다.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면 상측과 내면 하측에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배출구(501)의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으로 돌출되는 환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부돌출턱(502) 및 하부돌출턱(5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제 2필터(510)는 필터몸체(51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몸체(511)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몸체(511)의 내경크기는 상기 필터몸체(5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필터몸체(511)의 외면에는 다공이 형성된 망체(512)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전측에는 상기 배출구(501)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50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전측에 상기 커버(500)가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간편하게 슬라이딩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양측, 즉,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홈(5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커버(500)의 양측, 즉,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가이드홈(503)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503)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503)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돌기(504)가 상기 커버(5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돌기(50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500)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503)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부에 상기 제 2필터(5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전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끼움홈(50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필터(5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끼움홈(505)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513)가 형성될 수 있다.
단면형상이 'ㄷ'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끼움홈(505)은 상기 상부돌출턱(50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끼움홈(505)은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끼움홈(505)의 개방각도는 상기 상부필터부(50)의 개방각도(α)와 동일하게 180°이상인 것이 좋다.
도 22는 제 2필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마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제 2필터(510)의 내측에 퇴적된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이 상기 제 2필터(5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필터(510)의 하부에 마감부재(511)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511)는 다공이 형성되지 않는 마감판 또는 다공이 형성된 망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3은 하부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선홈통과 하부선홈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4는 하부필터부를 통해 빗물로부터 모래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돌출턱(502)의 상부에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선홈통(40)의 하부가 안착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부필터부(50)의 하부돌척턱(503)의 하부는 상기 하부선홈통(60)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홈통(40)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에 포함된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2)은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필터(5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 2필터(510)의 내측에 점차 퇴적될 수 있다.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2)이 분리된 빗물은 상기 제 2필터(510)의 망체(512)의 다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선홈통(60)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제 2필터(510)의 내측에 퇴적된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2)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하부필터부(50)로부터 상기 커버(5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2)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커버(500) 전체 또는 일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는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제 2필터(5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에 배수관(520)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520)은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커버(500)의 상부에 수평형성 또는 상기 상부필터부(30)의 후측 상부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배수관(520)은 크게, 제 1, 2배수관(521, 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배수관(521)은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배수관(522)은 상기 제 1배수관(52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521)에서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도 26은 하부필터부의 가이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511)의 중심부에는 배수공(5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511)의 배수공(514)과 연통되는 가이드관(5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515)은 상기 마감부재(511)에서 상기 제 2필터(5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 2필터(5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515)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배수관(520)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은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을 통해 일부 빗물이 하부필터부의 외부로 배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제 2필터(510)의 내측에 많은 양으로 퇴적된 모래 등의 이물질(2)로 인해 빗물이 상기 제 2필터(510)의 망체(512)의 다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2필터(510)의 내부에 빗물이 점차 고이면서 상기 빗물의 수면이 점차 상승하면서 일부 빗물은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520)을 통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520)의 제 1배수관(521)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기 때문에 빗물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제 1배수관(521)의 하부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면에 얼룩 등의 자국이 형성될 우려가 없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배수관(521)을 통해 빗물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외부로 배수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부에 많은 양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2)이 퇴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청소 및 상기 제 2필터(510)의 청소와 교체를 하여야 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520)의 상기 제 2배수관(522)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선홈통(40)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일부가 상기 배수관(5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515)으로 인해 수면이 점차 상승하는 상기 제 2필터(510) 내측의 빗물 일부가 상기 배수관(520)으로 보다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터부(50)의 하부 내측에 상기 하부선홈통(60)의 상단부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선홈통(60)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5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하부선홈통(60)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필터부(50)의 하부돌출턱(503)의 하부와 접할 수 있다.
도 28은 마감부재의 연결관으로부터 가이드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관(515)의 원활한 교체부수를 위해, 도 28 및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511)의 상부에 상기 마감부재(511)의 배수공(514)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마감부재(51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관(515)의 하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515)의 하부 내측에 상기 연결관(516)이 수용 또는 상기 가이드관(515)이 상기 연결관(516)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관(515)의 하부와 상기 연결관(516)이 서로 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밸브(7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선홈통(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선홈통(60)의 하부를 개폐하는 볼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70)가 상기 하부선홈통(60)의 하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하부선홈통(60)내의 빗물은 상기 하부선홈통(6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하여 상기 저장탱크(80)로 오버플로우된다.
여름철의 경우,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재활용하고자 하는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밸브(70)가 상기 하부선홈통(60)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다.
겨울철의 경우,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동결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겨울철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밸브(70)가 상기 하부선홈통(60)의 하부를 개방하여 빗물이 상기 하부선홈통(60)의 하부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탱크(8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3)의 벽면과 접한 상태로 벽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선홈통(6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저장된다.
건물(3)의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장탱크(80)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단열기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기라인(90))이 상기 저장탱크(80) 및 상기 하부선홈통(6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저장탱크(80)와 상기 하부선홈통(60)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분기라인(90)의 일측은 상기 하부선홈통(60)의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고, 상기 분기라인(90)의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80)의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9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라인(100)은 상기 저장탱크(8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80)의 일측 상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라인(100)의 일측은 상기 저장탱크(8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라인(100)은 상기 저장탱크(8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8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오버플로우라인(100) 또한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의 청소를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8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80)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라인(200)과; 상기 드레인라인(200)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라인(200)은 일예로, 상기 저장탱크(8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8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라인(200) 또한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300)는 볼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8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용수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400)과; 상기 용수공급라인(400)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공급라인(400)내로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펌프(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수공급라인(400)은 일예로, 상기 드레인라인(2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저장탱크(8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8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수공급라인(400) 또한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용수공급라인(400)은 용수가 저장되는 급수탱크와 연통되도록 상기 급수탱크에 수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용수는 화장실 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의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재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80)는 1개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 하측 사이마다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80)와 연통되어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80)의 내부로 재활용 하고자 하는 빗물을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라인(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60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안내라인(60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저장탱크(8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에 포함된 낙엽 등의 큰 이물질(2)을 상부필터부(30)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빗물에 포함된 모래 등의 작은 이물질(2) 또한 하부필터부(50)를 통해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필터부(30)의 커버(300)와 상기 하부필터부(50)의 커버(500)를 각각 상기 상부필터부(30)와 하부필터부(5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상부필터부(30)의 내부 및 상기 하부필터부(50)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2필터(310, 510)를 상기 상부필터부(30)와 상기 하부필터부(5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상기 제 1, 2필터(310, 510)로부터 낙엽, 모래 등의 이물질(2)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2필터(310, 510)의 교체 또한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빗물받이, 20; 상부선홈통,
30; 상부필터부, 40; 연결선홈통,
50; 하부필터부, 60; 하부선홈통.

Claims (18)

  1. 건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받이와;
    상기 빗물받이의 배수공에 상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상부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상부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낙엽을 포함한 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1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1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상부필터부와;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터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빗물이 상기 상부필터부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제 1배수관과, 상기 제 1배수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상부선홈통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일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배수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관과;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제 1필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필터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수면이 점차 상승하는 상기 상부필터부 내부의 빗물 일부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관;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연결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연결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모래를 포함한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2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하부필터부와;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하부선홈통과;
    상기 하부선홈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선홈통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하부선홈통의 하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하부선홈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하부선홈통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선홈통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분기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라인과;
    상기 드레인라인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용수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라인과;
    상기 용수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공급라인내로 빗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 사이마다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안내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5. 건물의 지붕에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받이와;
    상기 빗물받이의 배수공에 상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상부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상부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낙엽을 포함한 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1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1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상부필터부와;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터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빗물이 상기 상부필터부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제 1배수관과, 상기 제 1배수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에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상부선홈통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일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배수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관과;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제 1필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필터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배수관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수면이 점차 상승하는 상기 상부필터부 내부의 빗물 일부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관;
    상단부가 상기 상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연결선홈통과;
    상부가 상기 연결선홈통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모래를 포함한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제 2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필터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하부필터부와;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하부선홈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는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좁아지며, 외면에 복수의 배수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필터몸체와;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 및 상기 상부필터부의 커버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부의 하부 내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필터부의 제 1필터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부 후측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커지며, 외면에 다공이 형성된 망체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필터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 및 상기 하부필터부의 커버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상부 내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의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필터부의 상부에 배수관이 수평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은 상기 하부필터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1배수관과;
    상기 제 1배수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수관에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의 제 2필터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의 배수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마감부재에서 상기 제 2필터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 2필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상기 하부필터부의 배수관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상부에 상기 마감부재의 배수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마감부재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099435A 2017-08-07 2017-08-07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KR10183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35A KR101838899B1 (ko) 2017-08-07 2017-08-07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35A KR101838899B1 (ko) 2017-08-07 2017-08-07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899B1 true KR101838899B1 (ko) 2018-03-15

Family

ID=6165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35A KR101838899B1 (ko) 2017-08-07 2017-08-07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8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129B1 (ko) * 2018-08-30 2019-03-22 정연태 필터부재의 분배장치와 격판을 이용한 우수여과장치
KR102303905B1 (ko) 2020-04-28 2021-09-23 주식회사 지오엑스퍼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기를 구비한 빗물 집수장치
KR102368346B1 (ko) 2021-11-25 2022-02-25 한현관 빗물 재활용 장치
KR102556443B1 (ko) * 2023-03-07 2023-07-18 주식회사 현대밸브 원터치 필터 게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362A (ja) * 2010-04-02 2011-10-27 Nishiyama Sangyo:Kk パネル型機器用散水システム
JP2012046944A (ja) * 2010-08-26 2012-03-08 Maruichi Corp 雨水継手
KR101379204B1 (ko) * 2013-08-19 2014-04-02 (주)워터 아이엠에스 홈통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362A (ja) * 2010-04-02 2011-10-27 Nishiyama Sangyo:Kk パネル型機器用散水システム
JP2012046944A (ja) * 2010-08-26 2012-03-08 Maruichi Corp 雨水継手
KR101379204B1 (ko) * 2013-08-19 2014-04-02 (주)워터 아이엠에스 홈통용 배수트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129B1 (ko) * 2018-08-30 2019-03-22 정연태 필터부재의 분배장치와 격판을 이용한 우수여과장치
KR102303905B1 (ko) 2020-04-28 2021-09-23 주식회사 지오엑스퍼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기를 구비한 빗물 집수장치
KR102368346B1 (ko) 2021-11-25 2022-02-25 한현관 빗물 재활용 장치
KR102556443B1 (ko) * 2023-03-07 2023-07-18 주식회사 현대밸브 원터치 필터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899B1 (ko)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CA2711427C (en) Rainwater collection and redistribution system
KR101574644B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KR100847826B1 (ko) 빗물 이용 및 저장장치
JP2014109141A (ja) 雨水貯溜配管構造
CN210382053U (zh) 一种海绵城市生态屋顶
US20060096186A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WO2010128283A2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JP2010242372A (ja) 雨水貯留装置及びその集水筒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JPH0941429A (ja) 初期降雨水の除去装置
KR20110029658A (ko) 오수받이
WO2016085320A1 (en)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KR101925564B1 (ko) 저류조를 구비한 빗물집수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200345926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CN211774471U (zh) 一种园林景观水池结构
AU2003213499B1 (en) Rainwater collection apparatus
JP5557211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JP2003155761A (ja) 雨水貯留装置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JP2015137508A (ja) 排水システム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