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633B1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633B1
KR101838633B1 KR1020110073304A KR20110073304A KR101838633B1 KR 101838633 B1 KR101838633 B1 KR 101838633B1 KR 1020110073304 A KR1020110073304 A KR 1020110073304A KR 20110073304 A KR20110073304 A KR 20110073304A KR 101838633 B1 KR101838633 B1 KR 10183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p
frequency
vibration
vibration mot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867A (ko
Inventor
방성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633B1/ko
Priority to US13/523,744 priority patent/US9197737B2/en
Priority to CN201210244176.2A priority patent/CN102891926B/zh
Priority to EP12177038A priority patent/EP2549726A1/en
Publication of KR2013001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주파수의 스윕(Sweep)을 통해 최적의 진동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모리에 테이블 형태로 주파수 스윕 정보를 설정한 후 화면에서 소정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력이 우수한 진동 주파수범위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소정 주기마다 스윕하여 진동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진동력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모터를 구동할 동안에는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낮추어 배터리 소모를 줄이며,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스윕 주파수 범위와 스윕주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변화에도 진동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VIBRATION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진동 주파수 스윕(Sweep)을 통해 터치 진동감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터치시 진동감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 진동 모터는 코인형(Coin type), 브러쉬형(Brush type), 리니어(Linear type) 및 팬형(Pan type)모터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리니어 모터는 다른 진동모터에 비하여 고정된 특정 주파수에서 최대 진동력에 도달하는 시간이 빠른 장점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다른 진동모터와 마찬가지로 리니어 모터는 고정된 동작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버랩(Overlap)량을 증가시키거나 기구적인 보완을 통해서만 진동력을 개선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리니어 모터의 상부 및 하부에 댐퍼(damper) (또는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거나(기구적인 보완), 상기 댐퍼를 더욱 리니어 모터에 밀착시킴으로써 상하진동보다는 좌우 진동 효과를 높여 진동력을 개선하였다(오버랩량 변경).
그 결과, 상기 기구적인 보완 및/또는 오버랩량 조절은 이동 단말기가 제조되는 시점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100%동일하지 않은 이상 이동 단말기마다 진동력에 차이가 조금씩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리니어 모터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를 구매할 때 해당 단말기가 진동력이 양호한지 양호하지 않은지는 순전히 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불량한 진동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정할 마땅한 방법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에게 단품(이동 단말기) 특성에 따라 안정적인 진동력을 보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리니어 모터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일정한 진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항상 일정 이상으로 리니어 모터의 구동전압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구동전압의 증가에 의해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품 특성에 관계없이 진동 모터의 진동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주파수의 스윕(Sweep)을 통해 최적의 진동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 주파수 스윕시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드롭시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은, 주파수 스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소정 화면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소정 주기마다 스윕하여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는 코인모터, 브러쉬 모터, 리니어 모터 및 팬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는 스윕 주파수 범위, 스윕 주기, 스윕 시간, 스윕 주파수 갯수 및 스윕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순차 증가시켰을 때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최대인 진동 주파수의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는 주파수 스윕 정보에 포함된 스윕 주파수 갯수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분할하여 결정된다.
상기 스윕 주파수 정보는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항목이 온될 때 상기 진동모터의 종류에 따라 기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자동 결정된다.
상기 스윕 주파수 정보는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항목이 온될 때 상기 기저장된 테이블이 없는 경우에는 진동모터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별 설정메뉴에서 결정된다. 이때, 스윕 주파수 범위는 제조시 설정된 고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어 제공된다.
상기 스윕 주파수의 스윕 패턴은 주파수 크기 순서, 진동력 세기 및 교대로 스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은 스윕 주파수를 스윕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할 동안에는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소정 레벨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은 화면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화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주파수 스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화면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의 주파수 스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소정 주기마다 스윕하여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는 코인모터, 브러쉬 모터, 리니어 모터 및 팬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는 스윕 주파수 범위, 스윕 주기, 스윕 시간, 스윕 주파수 갯수 및 스윕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순차 증가시켰을 때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최대인 진동 주파수의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스윕 정보에 포함된 스윕 주파수 갯수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항목이 온될 때 상기 진동모터의 종류에 따라 기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스윕 주파수 정보를 자동 결정한다.
상기 스윕 주파수 정보는 기저장된 테이블이 없는 경우에는 진동모터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별 설정메뉴에서 결정되고, 스윕 주파수 범위는 제조시 설정된 고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크기 순서 또는 진동력 세기로 사윕 주파수를 스윕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하거나 스윕 주파수를 교대로 스윕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윕 주파수를 스윕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할 때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소정 레벨만큼 감소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가장 우수한 소정의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소정의 스윕주기로 스윕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진동력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와 스윕주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진동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스윕주기로 스윕할 때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일정 전압만큼 낮춤으로써 밧데리의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진동 모터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진동력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결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스위주기로 진동 모터의 동작 주파수를 스윕하는 개념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스윕 동작을 상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고정된 진동 주파수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서 진동력을 제어하는 개념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서 진동력과 구동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정보를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터치)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는 터치, 터치 & 드래그, 멀티-터치, 롱터치뿐만 아니라근접 터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지자기 센서,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진동 모터의 진동력 특성이 동작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점에 착안하여, 제조시 단품 특성에 관계없이 항상 사용자 안정적으로 우수한 진동력을 느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진동력이 가장 우수한 진동 주파수 범위(e.g,. 224-226)내에서 진동 주파수를 소정 주기로 스윕(sweep)함으로써 최적의 진동이 느껴지는 순간이 소비자에게 인식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진동 주파수 범위(e.g,. 224-226)내의 진동 주파수는 "스윕 주파수"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진동 모터의 주파수 스윕을 위하여 주파수 스윕 정보를 설정한 상태에서 소정 화면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소정 주기마다 스윕하여 진동 모터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는 터치 감지 이전에 결정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모터는 코인모터, 브러쉬 모터, 리니어 모터 및 팬모터중 하나이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성능이 우수한 리니어 모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는 스윕 주파수 범위, 스윕 주기, 스윕 시간, 스윕 주파수 갯수 및 스윕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순차 증가시켰을 때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최대인 진동 주파수의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는 주파수 스윕 정보에 포함된 스윕 주파수 갯수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분할하여 결정된다.
상기 스윕 주파수 정보는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항목이 온될 때 상기 진동모터의 종류에 따라 기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자동 결정된다.
상기 스윕 주파수 정보는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항목이 온될 때 상기 기저장된 테이블이 없는 경우에는 진동모터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별 설정메뉴에서 결정된다. 이때, 스윕 주파수 범위는 제조시 설정된 고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되어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는 주파수 크기 또는 진동력 세기 순서로 스윕되거나 교대로 스윕된다.
도 3a 및 도 3b는 진동 모터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진동력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특히 도 3a는 동작 주파수에 따른 리니어 모터의 진동력 변화이다.
또한 다른 진동 모터(코인 모터, 블쉬 모터 및 팬모터)를 장착할 경우에는 진동 주파수와 그에 따른 진동력의 변화가 상이할 것이다. 하지만, 다른 진동 모터를 장착한 후 주파수에 따른 진동력의 변화를 측정하더라도 라이징 타임(rising time)만 다를 뿐 기본 그래프는 도 3과 유사하다는 것이 실험으로 증명되었다. 참고로 라이징 타임은 진동력이 최소값에서 최대값(Peak값)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서, 코인 모터는 80~90ms, 브러쉬 모터는 40~50ms,리니어 모터는 26~60ms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X축을 동작 주파수, Y축을 진동력으로 할 경우, 리니어 모터의 진동력 그래프는 동작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오른쪽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진동력은 동작 주파수에 비례하여 증가되지는 않고, 오히려 222Hz~226Hz의 범위에서 진동력의 피크(Peak)(최대점)가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동 그래프에서 222Hz에서는 진동력(Grms)이 약 6.9, 223에서는 6.2, 224에서는 6.6, 225Hz에서는 7.05 그리고 226Hz에서는 5.8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진동력의 최대값(피크값)이 존재하는 주파수 범위 즉, 222Hz~226Hz를 스윕할 주파수 범위(이하 스윕 주파수 범위로 약칭함)로 설정한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모터의 종류(type)에 따라 상이하며, 사용자 메뉴에서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정된 스윕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스윕 주기 및 전체 스윕 시간(또는 스윕 횟수)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80ms의 시간간격으로 동작 주파수가 변하면 해당 주파수에 따른 진동력을 인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80ms마다 진동력이 다르게 느껴진다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윕 주파수 범위에 대한 스윕 주기를 20~30ms로 설정하여, 동작 주파수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항상 부드러운(smooth) 진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위주기는 사용자가 메뉴에서 변경 가능하며 특히 사용자가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e.g., 메일 작성, 웹 서핑)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이 비교적 적은 웹서핑을 수행하다가 터치 입력이 많은 문자 메시지를 작성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와 스윕주기를 동시에 변경하거나 스윕 주파수 범위는 유지하고 스윕주기를 자동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스위주기로 진동 모터의 동작 주파수를 스윕하는 개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25ms의 주기로 222Hz에서 226Hz까지 순차적으로 동작 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다시 25ms의 주기로 226Hz에서 222Hz까지 진동모터의 동작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상기 설정된 스윕 시간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주파수 스윕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스윕 동작을 상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윕 주파수 범위는 222Hz~226Hz, 스윕주기는 25ms그리고 스윕시간(스윕 횟수)은 200ms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25ms의 주기로 222Hz부터 226Hz까지 1Hz씩 순차적으로 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222Hz→223Hz→224Hz→225Hz→226hz) 다시 25ms의 주기로 226Hz에서 222Hz까지 1Hz씩 순차적으로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200ms동안 8회정도를 수행한다.
따라서, 도 4의 진동 그래프에서 주파수 스윕을 통하여, 사용자가 양호한 진동력(6Grms이상)을 느낄 수 있는 확률은 8배 정도(스윕시간이 길면 더 증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를 구입할 때 진동 모터의 진동력이 양호한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양호하지 못한 진동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입한 경우에는 해당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마땅히 보정할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구입한 이동 단말기의 진동모터가 양호하지 않은 진동 주파수를 갖더라도 상기 주파수 스윕을 통하여 충분히 안정적인 진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고정된 진동 주파수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서 진동력을 보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222Hz의 진동 주파수에서 약 6.9(Grms)의 진동력을 발생해야 하지만, 제조상의 문제로 약 5(Grms)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재 진동력이 비록 222Hz에서는 5이지만 주파수 스윕에 의해 223hz에서는 6.5, 224Hz에서는 6.2, 225Hz에서는 7.05 그리고 226Hz에서는 5.8정도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양호한 진동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226Hz의 진동 주파수에서 약 5.85(Grms)의 진동력을 발생해야 하지만, 제조상의 문제로 약 4.5(Grms)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현재 진동력이 226Hz에서는 4.5이지만 주파수 스윕에 의해 222hz에서는 6.9, 223Hz에서는 6.5, 224Hz에서는 6.2 및 225Hz에서는 7.05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양호한 진동력을 느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진동력과 구동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구동전압을 증가시키면 진동력은 증가되다가 일정 전압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진동력은 증가되다가 일정 주파수부터 감소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구동전압과 주파수를 진동력에 대하여 정리하면, 226Hz에서 진동력은 최대가 되고, 그 때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은 약 2.3V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진동모터의 전압을 2.1V까지 낮추더라도 진동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진동력을 느낄 수 있지만, 2.0V이하에서는 진동력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소정 전압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모터에 의한 밧데리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킨다. 일 예로 2.3일때 밧데리의 전류소모는 50~80mA이고, 구동전압을 2.2V로 낮추면 밧데리의 전류소모는 45mA가 되며, 구동전압을 2.1V까지 낮추면 밧데리의 전류소모는 42mA가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소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진동주기를 스윕함과 함께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일정 전압만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진동력을 확보함과 함께 밧데리의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정보를 설정하는 일 예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휴대폰 설정에서 진동모터 메뉴를 선택한 후 상기 진동모터 메뉴에서 주파수 스윕 항목을 "On"으로 설정한다. 상기 주파수 스윕 항목이 "On"으로 설정되면 터치 감지시 주파수 스윕 모드가 동작된다.
상기 상태에서 주파수 스윕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주파수 스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주파수 스윕의 상세 항목에서 전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현재 장착된 진동모터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주파수 스윕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한다(디폴트 주파수 스윕정보)(S10).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는 스윕 주파수 범위, 스윕주기, 스윕시간, 스윕 주파수 갯수 및 스윕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스윕 주파수 갯수는 진동 주파수 범위내에서 스윕 주파수가 스윕되는 간격을 정의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주파수 범위가 222Hz~226Hz로 설정된 상태에서 스윕 주파수 갯수가 5로 설정되면, 스윕 주파수는 222Hz부터 1Hz씩 증가된다. 상기 스윕 패턴은 상기 결정된 스윕 주파수를 스윕하는 패턴으로, 본 발명은 주파수 크기 순서 또는 진동력 세기 순서로 스윕 주파수를 스윕하거나 스윕 주파수를 교대로 스윕한다.
반면에, 사용자는 전체 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주파수 스윙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스윕 주파수 범위만은 진동모터의 종류(type)에 따라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결정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기저장된 테이블에 없는 경우에는 제조시 설정된 고정 주파수를 근거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조시 고정된 진동 주파수는 해당 진동모터에 대한 최적의 동작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기 진동력의 최대점은 이론상 해당 고정 주파수의 주변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고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나의 스윕 주파수를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선택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 범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단 스윕 주파수 범위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스윕 주기, 스윕 시간 및 스윕 주파수 갯수 및 스윕 패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윕 주기는 짧을 수록 상기 스윕시간과 스윕 주파수 갯수는 많을 수록 더욱 정밀하게(안정적으로) 진동력을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윕 주기와 스윕 시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작업(텍스트, 윕서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터치가 감지되면(S11,S12), 상기 설정된 스윕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결정한다(S13).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는 스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설정된 스윕 주파수 갯수에 따라 분할하여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스윕 주파수 정보에 설정된 스윕 주기에 따라 상기 결정된 스윕 주파수를 상기 스윕 패턴에 따라 설정된 스윕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스윕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한다(S14, S15).
반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 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작업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주파수 스윕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언제나 터치 입력에 대한 최적의 진동을 느낄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진동력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다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스윕 주파수 범위, 스윕 주기 및 스윕 시간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종류(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진동력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진동감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e.g. 웹서핑)을 사용하다가 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면, 해당 문자 입력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속도가 아주 빠르다. 이 경우에는 보다 안정적이고 센 진동력을 제공해야 사용자가 진동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모드 변경이 감지되면(S20) 즉,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기 설정된 스윕 주파수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한다(S21). 즉,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가장 양호한 진동력을 갖는 범위로 축소하고(e.g., 222Hz~224Hz), 스윕 주기를 20ms로 줄여 보다 양호한 진동력 범위에서 보다 많은 주파수 스윕이 일어나도록 하여, 최대 진동력이 발생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와 스윕 주기중에서 하나만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터치가 감지되면(S22,S23), 상기 변경된 스윕 주기에 따라 상기 변경된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상기 설정된 스윕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24, S25).
반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상태 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작업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키이션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 스윕 범위 및/또는 스윕주기를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나 터치 입력에 대한 최적의 진동을 느낄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리니어 모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타입의 모터(코인모터, 브러쉬 모터 및 팬 모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본 발명에서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동작 주파수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가장 우수한 소정의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소정의 스윕주기로 스윕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진동력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와 스윕주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진동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스윕주기로 스윕할 때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전압을 일정 전압만큼 낮춤으로써 밧데리의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주파수 스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a) 설정 메뉴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1주파수 스윕 정보와 제2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2주파수 스윕 정보를 설정하고,
    (b) 제1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1주파수 스윕 정보에 따라 진동 모터를 구동하고,
    (c)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동안 제2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d)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 주파수 스윕 정보를 제1주파수 스윕 정보에서 제2주파수 스윕 정보로 자동 변경하여,
    (e)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2주파수 스윕 정보에 따라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은 제2어플리케이션보다 상대적으로 단위 시간당 터치 입력의 수가 많고 터치간 입력 속도가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코인모터, 브러쉬 모터, 리니어 모터 및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은 문자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제2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스윕 정보는
    스윕 주파수 범위, 스윕 주기, 스윕 시간, 스윕 주파수 갯수 및 스윕 패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순차 증가시켰을 때 진동모터의 진동력이 최대인 진동 주파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스윕 정보에 포함된 스윕 주파수 갯수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윕 주파수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메뉴의 전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진동 모터의 종류에 따라 기 저장된 테이블에 근거하여 제1,제2주파수 스윕 정보를 디폴트값으로 자동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메뉴의 개별 항목이 선택되면 진동모터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제2주파수 스윕 정보를 설정하는데,
    상기 제1,제2주파수 스윕 정보 중에서 스윕 주파수 범위는 기저장된 테이블이 있는 경우에는 진동 모터의 종류에 따라 자동 설정하고, 테이블이 없는 경우에는 제조시 설정된 진동 모터의 고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크기 또는 진동력 세기 순서로 스윕 주파수를 스윕하거나 스윕 주파수를 교대로 스윕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진동 모터가 제1,제2주파수 스윕 정보에 설정된 스윕 주파수 범위에서 구동될 때 상기 진동 모터의 구동전압을 소정 레벨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삭제
KR1020110073304A 2011-07-22 2011-07-22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KR10183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04A KR101838633B1 (ko) 2011-07-22 2011-07-22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US13/523,744 US9197737B2 (en) 2011-07-22 2012-06-14 Mobile terminal and vibration power control method therof
CN201210244176.2A CN102891926B (zh) 2011-07-22 2012-07-13 移动终端及其振动力控制方法
EP12177038A EP2549726A1 (en) 2011-07-22 2012-07-19 Mobile terminal and vibration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04A KR101838633B1 (ko) 2011-07-22 2011-07-22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67A KR20130011867A (ko) 2013-01-30
KR101838633B1 true KR101838633B1 (ko) 2018-03-14

Family

ID=4676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304A KR101838633B1 (ko) 2011-07-22 2011-07-22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97737B2 (ko)
EP (1) EP2549726A1 (ko)
KR (1) KR101838633B1 (ko)
CN (1) CN1028919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5569B2 (en) * 2011-10-26 2015-06-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obile device output test setting
JP2014222488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東芝 描画装置及び描画システム
CN106446622B (zh) * 2015-08-04 2019-05-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密码输入方法
CN105677023B (zh) * 2015-12-30 2019-02-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呈现方法及装置
CN105635491A (zh) * 2016-03-25 2016-06-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震感调节方法、***及电子设备
JP6749205B2 (ja) * 2016-10-13 2020-09-02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制御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圧縮機
CN109314737A (zh) * 2017-06-07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振动提醒方法和移动终端
CN107370899B (zh) * 2017-06-29 2021-03-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发出震动信号的方法和装置
EP3425457B1 (fr) * 2017-07-06 2020-05-27 Montres Breguet S.A. Indicateur de choc pour montre
CN109308114B (zh) * 2017-07-26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线性马达的装置及方法
CN107977077A (zh) * 2017-11-20 2018-05-0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振动控制方法、终端、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8509079B (zh) * 2018-03-29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控组件及包括该触控组件的电子设备
CN109327606B (zh) * 2018-08-3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提醒方法和终端
CN110502153B (zh) * 2019-08-30 2022-11-11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触摸屏报点率的调整方法、触摸屏、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667077A (zh) * 2020-12-24 2021-04-16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一种马达模型参数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WO2022242300A1 (zh) * 2021-05-20 2022-11-24 荣耀终端有限公司 线性马达的振动波形调整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7509A1 (en) * 2007-12-31 2009-07-02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0654A (en) * 1998-01-29 2000-08-08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device for a vibration type motor
DE60040763D1 (de) * 1999-04-14 200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ktromechanischer akustischer Wandler
US8059088B2 (en) * 2002-12-08 2011-11-15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P1505550B1 (en) * 2003-08-04 2008-12-10 Motorola,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haptic signal
US7245891B2 (en) 2003-10-21 2007-07-17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peaker vibration alert and method of using same
EP1716935A1 (en) 2005-04-26 2006-11-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brator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80251364A1 (en) 2007-04-11 2008-10-16 Nokia Corporation Feedback on input actuator
US20080268874A1 (en) 2007-04-27 2008-10-30 David Pizzi Cellular phone with special GPS functions
KR101424259B1 (ko) 2007-08-22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US8306576B2 (en) * 2008-06-27 2012-11-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haptic eff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20110074333A (ko)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진동 발생 방법 및 장치
US8576171B2 (en) * 2010-08-13 2013-11-05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touch-sensitive input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7509A1 (en) * 2007-12-31 2009-07-02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91926A (zh) 2013-01-23
US9197737B2 (en) 2015-11-24
EP2549726A1 (en) 2013-01-23
CN102891926B (zh) 2015-03-18
KR20130011867A (ko) 2013-01-30
US20130021276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6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력 제어방법
CN105700776A (zh) 一种后台程序的切换装置和切换方法
CN104951206A (zh) 图标隐藏方法及装置
KR201200313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재생속도 제어 방법
CN104750420A (zh) 截屏方法及装置
CN105739693A (zh) 一种屏幕横竖转换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1799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력 관리방법
CN105260083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分屏的方法
KR1013367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커버 터치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CN105094812A (zh) 应用切换方法和装置
CN105094555A (zh) 一种通过滑动手势切换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05183323A (zh) 一种分屏切换方法及无边框终端
CN105353947A (zh) 一种移动终端及控制应用显示内容的方法
KR1017886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절전모드 관리방법
CN104915063A (zh) 控制智能终端的方法和装置
CN104915137A (zh) 基于无边框终端的音乐演奏方法和装置
CN104967949A (zh) 音效调节方法及装置
CN104731499A (zh) 启动后台应用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5722142A (zh) 移动终端及基于多链路的数据分流方法
CN105302441A (zh) 一种屏幕尺寸调节方法和终端设备
CN105159571A (zh) 控制页面滑动的方法及移动终端
CN105126339A (zh) 一种游戏控制装置和方法
CN104991697A (zh) 图标的页面切换方法和装置
KR1017083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모션 인식방법
KR2013000589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믹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