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78B1 -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 Google Patents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78B1
KR101835278B1 KR1020170105189A KR20170105189A KR101835278B1 KR 101835278 B1 KR101835278 B1 KR 101835278B1 KR 1020170105189 A KR1020170105189 A KR 1020170105189A KR 20170105189 A KR20170105189 A KR 20170105189A KR 101835278 B1 KR101835278 B1 KR 10183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r
wall surface
reaction tank
anaerobic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민
원영학
Original Assignee
서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민 filed Critical 서승민
Priority to KR102017010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46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UASB]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유입폐수를 반응조의 제1 벽면 방향으로 같이 배출하는 복수의 분배기, 반응조 내에서 복수의 분배기보다 높은 위치의 제1 벽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분배기로부터의 유입폐수와 반응조 내의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에 대해 반응조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을 차단하고 제2 벽면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제1 배플러 및 반응조 내에서 제1 배플러보다 높은 위치의 제2 벽면에 결합되고 제1 배플러에 의해 유도된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에 대해 반응조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을 차단하고 제2 벽면과는 다른 벽면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제2 배플러를 포함하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ANAEROBIC GRANULAR SLUDGE REACTOR}
본 발명은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반응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체류시간을 늘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에 의한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극대화하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활동과 인간활동에 의해 수많은 폐수가 생성된다. 바로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는 경우 생성된 폐수는 강이나 바다를 오염시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고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환경오염의 방지를 위해, 폐수는 폐수처리과정을 거쳐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된 상태에서 방류되도록 강제되고 있다.
폐수처리과정은 다양한 처리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수처리과정은 고형성 노폐물을 처리하는 전처리 과정을 가진다. 전처리 과정에서 크고 거친 고형성 노폐물을 기계적으로 제거하거나 작은 현탁성 고형 노폐물을 화학적 응고나 응집 작용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을 통해 폐수 BOD의 25~35% 정도가 개선된다.
폐수처리과정은 이후 미생물 처리 과정을 통해 90~98%가량의 BOD값을 내릴 수 있다. 미생물 처리 과정은 호기성(aerobic)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혐기성(anaerobic)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두 처리 과정은 오염물질이 분해되는 과정과 분해되는 부산물이 달라 폐수처리과정에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기성 슬러지 반응조(예를 들어, 폭기조(aeration tank)) 만을 이용할때 보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Anaerobic Granular Sludge Reactor)를 통해 오폐수를 선처리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그리고 환경 정화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의 한 예로서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타입의 반응조가 널리 활용된다. UASB 타입의 반응조는 반응조 저면에서 인입 폐수를 수압과 유량에 따라 상승시키고 폐수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입자를 가지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혐기성 미생물균과의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바이오가스를 배출한다. 바이오가스는 예를 들어 CO2와 CH4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UASB 타입의 반응조는 저면에서 인입되는 폐수가 배출 웨어(Weir)가 있는 상부 방향으로 수직 상승하고 쌓여 있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이 상승하는 폐수와 반응하여 폐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바이오가스를 생성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UASB 타입의 반응조는 저면의 유입폐수가 수직으로 상승하기에 반응조 내에서 유입폐수가 체류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점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유입폐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과 반응하거나 접촉할 시간이 짧아지며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비중이 약 1.1~ 1.2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보다는 비중이 높지만 유입폐수의 수압과 유량에 따른 상승유속으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부유하게 되고 유입폐수의 상승유속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배출 웨어를 통해 반응조 외부로 배출되어 새로운 환경오염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UASB 타입의 반응조는 유입폐수의 상승유속을 일정치 이하로 설정할 수밖에 없으나, 이는 반응조의 시간당 처리량을 제한하고 상승유속에 따른 미생물 슬러지층의 부유량이 제한되어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접촉에 따른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낮추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UASB 타입의 반응조의 기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가 필요하다.
10-1048673(B1), 2011년07월1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폐수에 대한 반응조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늘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반응에 따른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조 내에 구성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입폐수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에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공하고 각 벽면에서의 계층적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미생물 슬러지의 입상화를 촉진할 수 있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는 반응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유입폐수를 반응조의 제1 벽면 방향으로 같이 배출하는 복수의 분배기, 반응조 내에서 복수의 분배기보다 높은 위치의 제1 벽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분배기로부터의 유입폐수와 반응조 내의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에 대해 반응조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을 차단하고 제2 벽면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제1 배플러 및 반응조 내에서 제1 배플러보다 높은 위치의 제2 벽면에 결합되고 제1 배플러에 의해 유도된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에 대해 반응조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을 차단하고 제2 벽면과는 다른 벽면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제2 배플러를 포함한다.
상기한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있어서, 반응조 내에서 제1 배플러보다 높고 제2 배플러보다 낮은 위치의 제2 벽면에 결합되고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는 제1 가스 분리기를 더 포함하며, 제1 가스 분리기의 길이와 제1 배플러의 길이의 합은 반응조의 길이보다 더 크다.
상기한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있어서, 복수의 분배기 각각은 제1 벽면 방향으로 유입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배출홀을 구비하며, 배출홀의 단면적은 분배기의 유입폐수 원형 배관의 단면적과 동일하다.
상기한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있어서, 제1 배플러는 복수의 분배기에서 배출되는 유입폐수에 따라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반응조 외부 유실을 방지하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반응에 따라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가스 분리기로 유도하고 침강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복수의 분배기로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있어서, 저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복수의 슬로프 형상을 구비한 제1 배플러는 두 슬로프가 만나는 지점에 침강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복수의 분배기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홀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한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에 있어서, 반응조 내에서 제2 배플러보다 높은 위치의 제1 벽면에 결합되고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는 제2 가스 분리기를 더 포함하며, 제2 분리기의 길이와 제2 배플러의 길이의 합은 반응조의 길이보다 더 크며, 제2 가스 분리기는 제2 배플러에 의해 제1 벽면 방향으로 유도되고 제2 배플러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는 유입되는 폐수에 대한 반응조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늘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반응에 따른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는 반응조 내에 구성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입폐수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에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공하고 각 벽면에서의 계층적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미생물 슬러지의 입상화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의 예시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반응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들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의 개괄적인 입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의 내부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폐수를 포함하는 물질들의 반응조 내에서의 예시적인 유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의 예시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를 살펴보면,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혐기성 미생물균을 이용하여 유입폐수에 잔존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오염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고 정수 처리된 폐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내부에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다수 구비하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에 내장된 혐기성 미생물균과 유입폐수의 접촉으로 폐수의 오염 유기물을 분해하고 분해에 따라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는 예를 들어 CO2와 CH4 등일 수 있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폐수 처리장, 기업 등에 설치되어 가정 폐수나 산업 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물을 방류하거나 후속 폐수 처리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을 통해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하나 이상의 벽면(110), 복수의 분배기(120), 제1 배플러(130), 제2 배플러(140), 제1 가스 분리기(150), 제2 가스 분리기(160) 및 배출 웨어(170)와 각종 가스와 폐수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배관(180)들을 포함한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직육면체나 원통형(원주형)의 형상을 가지고 이 형상을 구성하기 위한 벽면(110)들을 가진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의 벽면(110)들은 그 형상에 따라 상면(Top), 저면(Bottom), 좌면(Left), 우면(Right), 전면(Front) 및 후면(Rear)의 6면으로 구성되거나 상면, 저면과 상면과 저면 사이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일체의 통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직육면체나 원통형 형상 외에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좌면, 우면, 전면 및 후면 등은 바라보는 위치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벽면(110)은 콘크리트, 철재 등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유입폐수를 임시로 저장하고 혐기성 미생물균에 의한 정수 처리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다수의 분배기(120)를 구비하여 배관(180)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반응조(100) 내부로 공급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비된 다수의 분배기(Distributor)(120)는 반응조(100) 저면에 골고루 분산 설치되어 유입폐수를 반응조(100)의 특정 벽면 방향으로 같이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분배기(120)는 반응조(100) 저면에서 다른 이웃 분배기(120)와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분배기(120)는 직사각형 형상의 배출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배출홀(121)은 반응조(100)의 하나의 벽면 방향으로 인입 폐수를 설계된 수압과 유량에 따라 배출할 수 있다. 모든 분배기(120)의 배출홀(121)들은 동일한 벽면 방향으로 인입 폐수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기(120)들은 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하나의 벽면(110)을 향해 인입 폐수를 같이 배출하여 유입폐수를 저면에 대해 수직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의 유입폐수 흐름을 먼저 유도한다.
배출되는 벽면 방향은 예를 들어 유입폐수를 공급하는 배관(180)과 반대편의 벽면 방향일 수 있다. 반응조(100)가 직육면체인 경우 벽면 방향은 하나의 벽면(110)으로 특정될 수 있으나 반응조(100)가 원통형인 경우 원통의 전체 통면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고 저면(원통)의 중심으로부터의 각도로 그 방향이 특정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기(120)의 배출홀(121)은 직사각형 형상을 띄고 직사각형의 긴면은 저면과 수평하고 짧은 면은 저면과 수직이다. 또한, 직사각형인 배출홀(121)의 단면적은 분배기(120)에 바로(직접) 연결된 유입폐수 원형의 배관(180)의 단면적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분배기(120)들은 저면 바닥에서부터 특정 한 벽면 방향으로 폐수를 분산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반응조(100)는 구비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 하부에 유동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혐기성 미생물균과 유입폐수 사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켜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슬러지의 입상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제1 배플러(baffler)(130)는 반응조(100) 내에서 분배기(120)들보다 수직방향으로 높은 위치의 벽면(110)에 설치되어 분배기(120)들로부터 배출되는 유입폐수, 분배기(120)들의 유입폐수의 수압과 유량에 따라 유동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 및 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에 따라 생성되는 바이오가스의 유동 흐름을 제어한다.
제1 배플러(130)는 분배기(120)가 배출하는 방향의 벽면(110)과 그 인접하는 벽면(110)들에 결합설치(고정)되어 제1 배플러(130)가 설치된 공간 영역(차단 영역)상을 통해 분배기(120)로부터의 유입폐수와 반응조(100) 내의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 및 바이오가스를 상면의 수직방향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다른 벽면 방향으로 그 흐름을 유도한다.
즉, 제1 배플러(130)는 폐수의 수압과 유량에 의해서 유동 흐름이 생긴 유입폐수와 부유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 및 접촉 반응에 따라 생긴 바이오가스를 수직방향으로의 상승을 차단하고 수평방향의 다른 벽면(110)(예를 들어, 분배기(120)의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의 벽면(110))으로 그 유동 물질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배플러(130)는 콘트리트, 철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유동 물질의 흐름을 수직 방향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2 배플러(140)는 반응조(100) 내에서 제1 배플러(130)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의 분배기(120)가 배출하는 방향의 벽면(110)과 다른 벽면(110)과 그 인접하는 벽면(110)들에 결합설치(고정)되어 제1 배플러(130)에 의해 흐름이 유도된 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 및 혐기성 미생물균에 의해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상면의 수직방향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다른 벽면 방향으로 유도한다.
예를 들어, 제2 배플러(140)는 제1 배플러(130)가 설치된 벽면(110)과 반대되는 벽면(110)과 그 인접 벽면(110)들에 고정되어 제1 배플러(130)에 의해서 흐름이 유도된 유입폐수, 부유하고 있는 미생물 슬러지를 수직방향으로의 배출을 차단하고 수평방향의 다른 벽면(110)(예를 들어, 분배기(120)의 배출 방향과 동일한 벽면(110)이거나 90도 각도를 가지는 다른 벽면(110))으로 그 유동 물질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배플러(140)는 콘트리트, 철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유동 물질의 흐름을 수직 방향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1 배플러(130)와 제2 배플러(140)는 서로 다른 벽면(110)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반응조(100)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배플러(130) 및 제2 배플러(140)는 수직방향으로의 유동 물질의 흐름을 차단하고 설치된(고정된) 벽면(110)과 다른 벽면 방향으로 유동 물질의 흐름을 유도한다.
그에 따라, 제1 배플러(130) 및 제2 배플러(140)는 유입폐수의 수압과 유량에 따라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반응조(100) 외부 유실을 방지하고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제1 배플러(130)와 제2 배플러(140)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 영역 상의 가스 분리기(150, 160)로 유도하고 유입폐수를 반응조(100)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제1 배플러(130)와 제2 배플러(140)는 부유후 침강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복수의 분배기(120)로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배플러(130, 140)의 좀 더 상세한 물리적인 구조는 도 3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제1 가스 분리기(150)는 반응조(100)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1 배플러(130)보다 높고 제2 배플러(140)보다 낮은 위치에 제2 배플러(140)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110)에 결합(고정)되어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보다 더 높은 위치에 고정되어 제1 배플러(130)를 통해 흐름이 유도되고 제1 배플러(130)에 의한 차단이 없는 공간상으로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에 의해 유도되고 제1 배플러(130)에 의한 차단 없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할 수 있도록, 흐름이 유도되는 양 벽면(110)(제1 배플러(130)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110)과 제2 배플러(140)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110)) 사이에서의 제1 배플러(130)의 길이와 제1 가스 분리기(150)의 길이의 합은 양 벽면(110) 사이의 반응조(100) 길이(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경우 한 벽면의 길이, 도 3 참조)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즉,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부 오브랩되도록 구성되어 제1 배플러(130)와 반대 벽면(110) 사이의 공간 영역(제1 배플러(130)가 설치되지 않아 상승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상에서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대부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가스 분리기(150)는 내부에 노출된 가스 배관(180)을 포함하고 가스 배관(180)을 통해 반응조(100) 외부로 바이오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되는 바이오가스는 CO2 및/또는 CH4 등일 수 있다.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철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가스 분리기(160)는 반응조(100) 내에서 제2 배플러(140)보다 더 높은 위치의 제1 배플러(130)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110)에 결합(고정)되어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수집한다.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철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고정되어 제2 배플러(140)(및 제1 배플러(130))에 의해 흐름이 유도되고 제2 배플러(140)에 의한 차단이 없는 공간상으로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에 의해 유도되고 제2 배플러(140)에 의한 차단이 없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할 수 있도록, 수집 흐름이 유도되는 양 벽면(110)(제1 배플러(130)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110)과 제2 배플러(140)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110)) 사이에서의 제2 배플러(140)의 길이와 제2 가스 분리기(160)의 길이의 합은 양 벽면(110)의 반응조(100) 길이(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경우 한 벽면의 길이, 도 3 참조)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즉,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부 오브랩되도록 구성되어 제2 배플러(140)와 반대 벽면(110) 사이의 공간 영역(제2 배플러(140)가 설치되지 않아 상승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상에서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대부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가스 분리기(160)는 내부에 노출된 가스 배관(180)을 포함하고 가스 배관(180)을 통해 반응조(100) 외부로 바이오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되는 바이오가스는 CO2 및/또는 CH4 등일 수 있다.
제1 배플러(130), 제2 배플러(140), 제1 가스 분리기(150) 및 제2 가스 분리기(160)의 입체 구조는 도 3을 통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배출 웨어(170)는 유입폐수에 대해서 혐기성 미생물균을 통한 생물학적 처리가 이루어진 폐수(물)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이다. 배출 웨어(170)는 본 발명에 따라 사류식 흐름(Diagonal-flow)을 통해 혐기성 처리가 이루어진 물을 담수하고 이를 반응조(100) 외부로 배수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된 물은 외부의 추가적인 정수 처리 시설에 의해서 더 정수 처리될 수 있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다수의 배관(180)을 더 구비한다. 복수의 분배기(120)에 연결된 배관(180)은 폐수를 반응조(100) 내로 공급하고, 가스 분리기(150, 160)에 연결된 배관(180)은 가스 분리기(150, 160)에 의해 수집된 바이오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플러(130, 140)에 연결된 배관(180)은 배플러(130, 140)에 의해 수집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복수의 분배기(120)를 통해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 내부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폐수를 공급하는 배관(180)과 배플러(130, 140)에 의해 침강된 슬러지를 반응조(10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180)은 결합되고 일정한 수압과 유량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도면 미도시)를 통해 일정 수압과 유량의 폐수와 침강된 슬러지가 반응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의 개괄적인 내부 입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도면은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 내의 배플러(130, 140) 및 가스 분리기(150, 160)의 3차원의 입체 배치 구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가 직육면체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배플러(130)는 복수의 분배기(120)보다 높은 위치의 분배기(120)가 폐수를 배출하는 방향의 벽면(110)에 고정 설치된다. 제1 배플러(130)는 수평 단면상에 배출 방향의 벽면(110)(예를 들어 우면, 설계 예에 따라 이 벽면(110)은 다른 벽면(110)일 수도 있음.)과 인접하는 두 면(전면 및 후면)으로 형성되는 L*l1(l1은 L보다 작고 1/2보다 긴 길이임) 만큼의 면적을 차지한다.
즉, 제1 배플러(130)는 특정 벽면(110)(우면)을 통해 폐수 등이 수직방향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특정 벽면(110)(우면) 전체와 전면 및 후면 일부(l1의 길이만큼)에 고정 설치되어 분배기(120)들에 의해 유입되는 폐수, 유입폐수에 따라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을 차단하고 수평 방향의 다른 벽면 방향(예를 들어 좌면)으로 흐름을 유도한다.
제1 배플러(13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수평 단면에는 제1 배플러(130)에 의한 차단 영역(예를 들어, 우면의 전체 길이(L)와 전후면의 l1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과 수직방향으로의 폐수, 바이오가스, 슬러지 등의 수직방향으로의 흐름이 가능한 유도 영역(예를 들어, 좌면의 전체 길이(L)과 전후면의 (L-l1)에 의해서 형성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제1 배플러(130)는 이 유도 영역으로 유동중인 각종 물질의 흐름을 유도한다.
제1 배플러(130)의 하부 구조는 저면과 평행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어 각종 부유(유동) 물질을 다른 벽면(110)으로 유도하고 제1 배플러(130)의 상부 구조는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슬로프 형상을 구비한다. 제1 배플러(130)는 두 슬로프 형상이 만나는 지점 라인(예를 들어 밸리(valley) 부분)을 구비하고 이 만나는 지점 라인상에는 하나 이상의 순환홀(131)을 구비한다.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침강할 수 있다. 침강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경사를 가지는 슬로프를 통해 순환홀(131)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배플러(130)는 순환홀(131)에 연결된 배관(180)으로 침강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유입되는 폐수와 함께 복수의 분배기(120)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 배플러(130)는 제1 배플러(130)에 침강된 미생물 슬러지를 반응조(10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홀(131)을 구비한다.
수직방향으로 제1 배플러(130)보다 높은 위치에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제1 가스 분리기(150)를 구비한다.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가 흐름을 유도하는 방향의 벽면(110)(예를 들어 반대 벽면(110)인 좌면)에 고정 설치되어 유도 영역을 통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의 반대되는 벽면(110)인 좌측 벽면(110)에 고정되고 유도 영역을 통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상 유도 영역을 커버하는 더 큰 수집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의 반대 벽면(110)인 좌측 벽면(110)과 좌측 벽면(110)으로부터 시작하는 전후면에 설치되고 좌측 벽면(110)의 길이(L)와 전후면의 길이 l2 만큼의 바이오가스 수집 면적(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제1 배플러(130)에 의해서 유도 영역으로 흐름이 유도되고 유도 영역을 통해 이후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한다.
한편, 수평 방향으로 제1 가스 분리기(150)와 제1 배플러(130)는 일부 오브랩되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 방향으로의 제1 배플러(130)의 길이(l1)와 제1 가스 분리기(150)의 길이(l2)의 합은 수평 방향의 벽면(110)(전면 및/또는 후면)의 길이(L)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가스 분리기(150)는 유도 영역을 통해 상승하는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l1은 l2보다 더 길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제1 가스 분리기(150)보다 높은 위치에 제2 배플러(140)를 구비한다. 제2 배플러(140)는 제1 배플러(130)가 유도하는 벽면 방향상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2 배플러(140)는 제1 배플러(130)와 반대되고 제1 가스 분리기(150)가 설치되는 동일한 벽면(110)상에 고정 설치된다. 제2 배플러(140)는 수평 단면상에 유도 방향의 벽면(110)(예를 들어, 좌면)과 인접하는 두 면(전면 및 후면)으로 형성되는 L*l1(l1은 L보다 작고 1/2보다 큰 길이임) 만큼의 면적을 차지한다.
즉, 제2 배플러(140)는 제1 배플러(130)에 의해 유도된 폐수와 부유하고 있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을 차단하고 제2 배플러(140)가 고정된 벽면(110)(예를 들어 좌면)과는 다른 벽면 방향(예를 들어, 반대 벽면(110), 설계 변형에 따라 다른 벽면(110)일 수도 있음)으로 흐름을 유도한다.
제2 배플러(14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수평 단면에는 제2 배플러(140)에 의한 차단 영역(예를 들어, 좌면의 전체 길이(L)와 전후면의 l1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과 수직방향으로의 폐수, 바이오가스, 슬러지 등의 흐름이 가능한 유도 영역(예를 들어, 우면의 전체 길이(L)와 전후면의 L-l1에 의해서 형성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제2 배플러(140)는 이 유도 영역으로 각종 물질의 흐름을 유도한다.
제2 배플러(140)의 하부 구조는 제1 배플러(130)의 하부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2 배플러(140)의 하부 구조는 저면과 평행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어 각종 부유 물질을 다른 벽면(110)으로 유도하고 제2 배플러(140)의 상부 구조는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슬로프 형상을 구비한다. 제2 배플러(140)는 두 슬로프 형상이 만나는 지점들의 라인(예를 들어 밸리(valley) 부분)을 구비하고 이 지점 라인에는 하나 이상의 순환홀(141)을 구비한다.
두 슬로프에 의해, 부유하고 있던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더 아래로 침강할 수 있다. 제2 배플러(140)는 순환홀(141)에 연결된 배관(180)으로 침강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유입되는 폐수와 함께 복수의 분배기(120)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2 배플러(140)는 제2 배플러(140)에 침강된 미생물 슬러지를 반응조(10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홀(141)을 구비한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제2 배플러(140)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제2 가스 분리기(160)를 구비한다.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가 흐름을 유도하는 방향의 벽면(110)(예를 들어 우측 벽면(110))에 고정 설치되어 제2 배플러(140)의 유도 영역을 통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와 반대되는 벽면(110)인 우측 벽면(110)에 고정되고 유도 영역을 통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 상 유도 영역을 커버하는 더 큰 수집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의 반대 벽면(110)인 우측 벽면(110)과 우측 벽면(110)으로부터 시작하는 전후면에 설치되고 우측 벽면(110)의 길이(L)와 전후면의 길이 l2 만큼의 수집 면적(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제2 배플러(140)에 의해서 유도 영역으로 흐름이 유도되고 유도 영역을 통해 이후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한다.
수평 방향으로 제2 가스 분리기(160)와 제2 배플러(140)는 일부 오브랩되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 방향으로의 제2 배플러(140)의 길이(l1)와 제2 가스 분리기(160)의 길이(l2)의 합은 수평 방향의 벽면(전면 또는 후면) 길이(L)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2 가스 분리기(160)는 유도 영역을 통해 상승하는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할 수 있다.
도 3의 설명은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가 직육면체임을 가정한 내용이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가 원통형인 경우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360도 원통면에서 분배기(120)가 폐수를 배출하는 특정 방향에 제1 배플러(130) 및 제2 가스 분리기(160)를 고정하고 반대 방향에 제 2 배플러 및 제1 가스 분리기(15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배플러(130) 및 제2 배플러(140)는 각 방향에서 원형의 단면적에서 반지름 이상의 길이(l1)를 가져 1/2 이상의 차단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1 배플러(130)와 제1 가스 분리기(150)의 길이의 합은 원통의 길이(지름)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배플러(140)와 제2 가스 분리기(160)의 길이의 합은 원통의 지름(길이)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그 외 다른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살펴본 것 같은 반응조(100)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의 내부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폐수를 포함하는 물질들의 반응조(100) 내에서의 예시적인 유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내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다수의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구비하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2~3m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폐수와 순환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복수의 분배기(120)를 통해 한쪽 벽면 방향으로 설정된 수압과 유량에 따라 분출된다. 유입폐수의 한쪽 벽면 방향으로의 분출에 따라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층은 수압과 유량에 따라 부유하고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한쪽 벽면(110)과 제1 배플러(130)의 구조(차단 영역)에 의해 다른쪽(반대쪽) 벽면 방향으로 유동(①)한다. 이 과정에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폐수와 접촉하고 혐기성 미생물균은 폐수와 반응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바이오가스 역시 제1 배플러(130)의 구조에 의해 다른쪽 벽면 방향으로 이동(유동)한다.
유도 영역에 이르게 됨에 따라, 유동되는 물질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②)할 수 있다. 그 중 바이오가스는 제1 가스 분리기(150)에 의해서 수집된다. 바이오가스는 수직으로 상승하는 성질로 인해 제1 가스 분리기(150)의 상측에 수집되고 상측에 구비된 가스 배관(180)을 통해 반응조(100) 외부로 배출된다. 제1 가스 분리기(150)의 수집 면적은 유도 영역보다 동일하거나 더 크고 유도 영역과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반응을 통해 생성된 대부분의 바이오가스를 제1 가스 분리기(150)가 수집할 수 있다.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폐수는 제1 가스 분리기(150) 옆 공간을 통해 상승하거나 흐름이 이동하고 제2 배플러(140)에 의해 상승 흐름이 차단된다.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폐수는 제2 배플러에 의해 제1 가스 분리기(150)의 벽면(110)과 반대되는 벽면(110)으로 그 흐름이 유도(③)된다. 이 과정에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가 침강할 수 있다.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물보다 좀 더 높은 비중을 가지고 있어 수압과 유량의 크기나 제1 배플러(130) 및/또는 제2 배플러(140) 등에 의한 간섭(방해, 차단, 블록, 마찰) 등으로 침강할 수 있다.
구비한 슬로프 형상을 통해 침강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제1 배플러(130)의 슬로프가 만나는 지점( 라인)에 구비된 순환홀(131)로 슬로프의 경사에 의해 이동한다. 순환홀(131)은 외부 순환 배관(180)에 연결되어 분배기(120)로 침강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재순환시킬 수 있다.
제2 배플러(140)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 영역에 이르게 됨에 따라, 유동되는 물질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④ 참조)할 수 있다. 그 중 ③의 흐름에서 생성되거나 잔여 바이오가스는 제2 가스 분리기(160)에 의해서 수집된다. 바이오가스는 수직으로 상승하는 성질로 인해 제2 가스 분리기(160)의 상측에 수집되고 상측에 구비된 가스 배관(180)을 통해 반응조(100) 외부로 배출된다. 제2 가스 분리기(160)의 수집 면적은 제2 배플러(140)에 의해 구성되는 유도 영역보다 동일하거나 더 크고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반응을 통해 생성된 대부분의 바이오가스를 제2 가스 분리기(160)가 수집할 수 있다.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폐수는 제2 가스 분리기(160) 옆 공간을 통해 그 흐름이 유도되거나 상승(⑤ 참조)한다. 이 과정에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침강할 수 있다. 구비한 슬로프 형상을 통해 침강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는 제2 배플러(140)의 슬로프가 만나는 지점상에 구비된 순환홀(141)로 슬로프의 경사에 의해 이동한다. 순환홀(141)은 외부 순환 배관(180)에 연결되어 분배기(120)로 침강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재순환시킬 수 있다.
혐기성 미생물균에 의해 처리된 유입폐수는 배출 웨어(170)에 채워지고 배출 웨어(17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2개 이상의 배플러(130, 140)를 구비하고 각각의 배플러(130, 140)는 서로 다른 벽면(110)에 고정 설치되어 유동 물질의 흐름을 수직 방향이 아니라 수평 방향의 벽면(110)으로 유도한다. 그에 따라 반응조(100) 내에서 폐수의 체류시간을 늘려 혐기성 미생물균에 의한 처리효율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적어도 대각선 방향의 유동 흐름을 야기하여 폐수의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구성되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입상화를 더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100)는 2개 이상의 가스 분리기(150, 160)를 구비하고 각각의 가스 분리기는 배플러(130, 140)의 유도 영역보다 더 큰 수집 영역을 가져 유도 영역을 통해 수직 상승하는 바이오가스를 대부분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플러(130, 140)는 두 개 이상의 슬로프 형상을 각각 구비하여 침강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외부 유출 없이 수집하여 재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110 : 벽면
120 : 분배기 121 : 배출홀
130 : 제1 배플러 131 : 순환홀
140 : 제2 배플러 141 : 순환홀
150 : 제1 가스 분리기 160 : 제2 가스 분리기
170 : 배출 웨어 180 : 배관

Claims (6)

  1. 반응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유입폐수를 반응조의 제1 벽면 방향으로 같이 배출하는 복수의 분배기;
    반응조 내에서 상기 복수의 분배기보다 높은 위치의 제1 벽면 및 인접하는 두 벽면에 결합되는 제1 배플러로서, 상기 복수의 분배기로부터 상승하는 유입폐수, 상기 반응조 내의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 및 상기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바이오가스의 흐름을 상기 제1 벽면의 길이(L) 및 인접 두 벽면에서의 설치 길이(l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배플러의 수평 단면상의 차단 영역(L*l1)에 의해 제2 벽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배플러;
    반응조 내에서 상기 제1 배플러보다 높은 위치의 제2 벽면과 인접 두 벽면에 결합되고 반응조의 상기 수평 단면상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차단 영역을 제외한 유도 영역을 통해 상승하는 상기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는 제1 가스 분리기; 및
    반응조 내에서 상기 제1 가스 분리기보다 높은 위치의 제2 벽면 및 인접하는 두 벽면에 결합되는 제2 배플러로서, 상기 유도 영역을 통해 상승하는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흐름을 상기 제2 벽면의 길이 및 인접 두 벽면에서의 설치 길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2 배플러의 수평 단면상의 차단 영역에 의해 제1 벽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배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스 분리기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도 영역과 오브랩되고 상기 유도 영역보다 더 큰 수집 영역을 통해 수집된 바이오가스를 제1 가스 분리기 내부에 구비된 가스 배관을 통해 반응조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제1 배플러는, 저면에 대해 수평한 하부면 및 저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복수의 슬로프 형상을 구비하고 슬로프가 만나는 지점에 침강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복수의 분배기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홀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복수의 분배기에서 배출되는 유입폐수에 따라 부유하는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반응조 외부 유실을 방지하고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와 유입폐수의 반응에 따라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가스 분리기로 유도하고 침강된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상기 복수의 분배기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기 각각은 제1 벽면 방향으로 유입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배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홀의 단면적은 분배기의 유입폐수 원형 배관의 단면적과 동일한,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반응조 내에서 상기 제2 배플러보다 높은 위치의 제1 벽면과 인접 두 벽면에 결합되고 반응조의 상기 수평 단면상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제2 배플러의 차단 영역을 제외한 유도 영역을 통해 상승하고 유입폐수와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수집하는 제2 가스 분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스 분리기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배플러의 상기 유도 영역과 오브랩되고 상기 유도 영역보다 더 큰 수집 영역을 통해 수집된 바이오가스를 제2 가스 분리기 내부에 구비된 가스 배관을 통해 반응조 외부로 배출하는,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KR1020170105189A 2017-08-21 2017-08-21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KR10183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89A KR101835278B1 (ko) 2017-08-21 2017-08-21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89A KR101835278B1 (ko) 2017-08-21 2017-08-21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278B1 true KR101835278B1 (ko) 2018-03-06

Family

ID=6172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189A KR101835278B1 (ko) 2017-08-21 2017-08-21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0721A (zh) * 2021-12-23 2022-03-15 湖南子宏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养殖废水污水处理装置及工艺
CN115818833A (zh) * 2022-12-05 2023-03-21 华夏碧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厌氧三相分离器及废水处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4619A (ja)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Ihi 嫌気性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4619A (ja)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Ihi 嫌気性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0721A (zh) * 2021-12-23 2022-03-15 湖南子宏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养殖废水污水处理装置及工艺
CN114180721B (zh) * 2021-12-23 2023-10-31 湖南子宏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养殖废水污水处理装置及工艺
CN115818833A (zh) * 2022-12-05 2023-03-21 华夏碧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厌氧三相分离器及废水处理***
CN115818833B (zh) * 2022-12-05 2024-02-20 华夏碧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厌氧三相分离器及废水处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27174B2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1815246B1 (ko)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KR101156190B1 (ko)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중수 처리 장치
KR101835278B1 (ko) 혐기성 그래뉼 슬러지 반응조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
CA2835304C (en) Biofilter for waste water digestion
CN111825269A (zh) 一种工业废水深度处理***
KR100533523B1 (ko)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KR102058956B1 (ko)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100092115A (ko)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 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CN209161813U (zh) 一种生物强化型化粪池
KR101106761B1 (ko) 격막 순환식 활성슬러지 포기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RU1196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 очистки трапных вод
CN109336349A (zh) 一种新型化粪池
KR100481821B1 (ko) 기체용해 및 물질분리에 의한 수처리 장치
CN215756915U (zh) 沉淀池及污水处理***
JPH1157769A (ja) 有機性排水の嫌気性処理装置
RU84838U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стоков
CN102992488B (zh) 大型湿地简易水处理回收方法
CN210915528U (zh) 一种可随水位浮动的点源处理装置
RU213772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0697232B1 (ko) 에스비알 반응용 소형 정화조
KR20100091925A (ko) 폐수의 혐기성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US11186504B2 (en) Waste water treatment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