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94B1 -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94B1
KR101831794B1 KR1020170001924A KR20170001924A KR101831794B1 KR 101831794 B1 KR101831794 B1 KR 101831794B1 KR 1020170001924 A KR1020170001924 A KR 1020170001924A KR 20170001924 A KR20170001924 A KR 20170001924A KR 101831794 B1 KR101831794 B1 KR 10183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pper cap
lower cap
wet tissu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옥
윤용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컴퍼니
김성옥
윤용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컴퍼니, 김성옥, 윤용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00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개폐에 사용되는 탄성체가 탈착되어 분실하거나 아이가 먹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물티슈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제작 효율이 향상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물티슈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고,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부 캡(100), 일단이 상기 하부 캡(100)의 일단과 이어지며,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덮거나,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여는 상부 캡(200) 및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또는 상부 캡(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의 양단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상부 캡(200)을 지지할 때, 상기 상부 캡(200)의 타단의 높이(H1)는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었을 때 타단의 높이(H2)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wet tissue case}
본 발명은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종래 개폐에 사용되는 탄성체가 탈착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물티슈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제작 효율이 향상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에서 많이 사용되는 물티슈는 합성섬유, 비스코스 섬유 또는 셀룰로즈 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작이 되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닐팩이나 플라스틱 케이스 안에 보관된다. 이때 상기 물티슈가 외부에 노출되면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제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밀폐수단이 물티슈 케이스의 중요한 과제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물티슈 케이스는, 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물티슈를 접혀진 상태로 보관하면서, 케이스 상측에 취출구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수기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어 상기 케이스 상측에는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의 취출수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발명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623613호("개폐 가능한 용기", 공개일 2011.07.28., 이하 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 1에 개시된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여 물티슈 케이스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행기술 1은 물티슈가 수용되되 상측에 취출구(24)를 갖는 용기 본체(11) 상기 취출구(24)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2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11)와 개폐 덮개(23) 사이에는 탄성 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가 해당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개폐 덮개(23)는 보다 용이하게 열릴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50)가 용기 본체(11) 및 개폐 덮개(23) 사이에서 복원력을 가하지만, 해당 제품을 사용 중에 탄성 부재(50)가 해당 위치에서 탈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사용자는 탈거된 탄성 부재(50)를 찾거나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며, 사용자가 어린 경우에는 탈거된 탄성 부재(50)를 먹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에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는다. 또한 탄성 부재를 분실했을 경우, 탄성 부재가 없는 상태로 물티슈 케이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물티슈 케이스의 개폐 덮개가 적절하게 개방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탄성부재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3613호("개폐 가능한 용기", 공개일 2011.07.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목적은 탄성부재가 없이도 물티슈 케이스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를 제공하고, 나아가 탄성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는, 물티슈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고,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부 캡(100), 일단이 상기 하부 캡(100)의 일단과 이어지며,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덮거나,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여는 상부 캡(200) 및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또는 상부 캡(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의 양단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상부 캡(200)을 지지할 때, 상기 상부 캡(200)의 타단의 높이(H1)는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었을 때 타단의 높이(H2)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300) 및 상기 상부 캡(2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300)와 맞닿아 상기 상부 캡(200)을 지지하는 제2돌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 또는 상부 캡(200)과 서로 일체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부 캡(200)의 일단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300)는 기둥 형상이고, 상면이 X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200)은 상기 하부 캡(100)을 덮을 때,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훅(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타단에 형성되고, 중단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훅(210)이 끼워지는 걸림홀(111)을 포함하는 스위치(110)를 포함하되,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110)를 눌러 상기 상부 훅(210)을 상기 스위치(110)와 분리시켜, 상기 상부 캡(200)의 응력에 의해 상기 상부 캡(200)을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는, 물티슈 케이스를 개폐하는 캡 자체의 탄성만으로 물티슈 케이스를 개폐하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물티슈 케이스를 용이하게 개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자체를 일체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가 이를 먹을 위험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종래의 물티슈 케이스 개폐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1실시예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1실시예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1실시예가 닫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2실시예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페구조의 제1실시예는 하부 캡(100), 상부 캡(200) 및 지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100)은 물티슈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고, 고정부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캡(100)은 환 형상인데, 환 형상의 내부에 물티슈 케이스의 취출구(미도시)가 위치하도록 물티슈 케이스가 결합된다. 상기 취출구에는 케이스 내부에 적층되는 물티슈의 습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취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상기 상부 캡(200)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어떠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하부 캡(100)은 환 형상을 가지는 판 형태이되, 내주측의 단부와 외주측의 단부에 상측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부분이 있는데, 이는 디자인적인 측면을 위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내주측 및 외주측에 각각 상기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부분 사이에 노출된 면을 이하 상면이라 한다.
상기 하부 캡(100)은 후술할 상기 상부 캡(200)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되, 재질 자체가 약간의 탄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100)에 형성되는 고정부는 하부 캡(100)과 후술할 상기 상부 캡(200)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부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캡(200)은 일단이 상기 하부 캡(100)의 일단과 이어지며,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덮거나,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여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캡(200)의 일단과 하부 캡(100)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를 통해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하부 캡(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200) 또한 상기 하부 캡(100) 및 연결부(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캡(100), 상부 캡(200) 및 연결부(20)는 합성수지와 같이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금형에서 상기 하부 캡(100), 상부 캡(200) 및 연결부(20)를 사출할 수 있어 각각의 구성을 따로 제조한 후 이를 조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서 생산 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캡(200)은 환 형상인 상기 하부 캡(100)과는 다르게 판 형상인데, 이는 상기 하부 캡(100)과 상부 캡(200)이 서로 결합되어 덮음으로써, 상기 하부 캡(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물티슈 케이스의 취출구가 외부에 노출되기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는 접히면서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하부 캡(100)의 상부로 덮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가 접히는 부분은 절곡단(10)이며, 상기 절곡단(10)이 상기 상부 캡(200)의 회전축이 된다. 상기 절곡단(10)에는 길이 방향으로 미세한 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하부 캡(100)을 덮도록 회전할 때, 상기 연결부(20)가 접히면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또는 상부 캡(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의 양단 사이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돌출부(300)와 제2돌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300)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300)는 종래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탄성부재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관하여는 다른 구성의 설명을 마친 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할 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300)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중, 상기 하부 캡(100)과 상부 캡(200)이 연결된 단부인 상기 연결부(20)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돌출부(300)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중 어느 위치라도 형성될 수 있되, 후술할 상기 제2돌출부(400)는 상기 제1돌출부(3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400)는 상기 상부 캡(2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300)와 맞닿아 상기 상부 캡(2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 또는 상부 캡(200)과 서로 일체화 된다. 즉, 상기 지지부 또한 상기 하부 캡(100), 상부 캡(200) 및 연결부와 일체화 되어, 금형을 통한 사출과 같이, 단일 단계에서 제작 가능하다.
도 2,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위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110)는 상기 하부 캡(100)의 타단 상면에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단에 관통 형성되는 걸림홀(111)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홀(111)은 상기 상부 캡(200)의 타단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훅(210)이 걸려 상기 상부 캡(200)과 고정부를 서로 체결시키는 부분이다.
이상 상술한 구성들의 결합관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하부 캡(100)의 상부로 회전하는 과정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절곡단(10)을 축으로 회전하여 지지부인 상기 제1돌출부(300)와 제2돌출부(400)가 서로 맞닿아 상기 상부 캡(200)을 처음으로 지지한 시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부 캡(200)의 타단을 눌러, 상기 훅(210)을 상기 걸림홀(111)에 끼워 결합시켜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하부 캡(100)을 완전히 덮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상부 캡(200)의 타단의 높이(H1)는 도 6b에 도시된 상기 캡(200)의 타단의 높이(H2)보다 높다. 즉, 사용자는 도 6a의 상태에서 상기 제1돌출부(300)와 제2돌출부(400)로 인해 상기 상부 캡(20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더라도, 상기 상부 캡(200)의 타단을 눌러 상기 상부 캡(200)이 휘어진 상태로 고정시켜 도 6b의 상태가 되게 하여, 상기 상부 캡(200)이 하부 캡(100)을 덮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상황에서 상기 상부 캡(200)은 어느 정도의 응력을 가지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10)를 눌러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스위치(1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훅(210)이 상기 스위치(110)와 분리되게 되고, 상기 상부 캡(200)은 상기 훅(210)이 스위치(110)와 분리됨에 따라 가지고 있던 응력이 해소되며, 상기 상부 캡(200)은 상기 하부 캡(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캡(100)을 열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300)와 제2돌출부(400) 각각의 높이, 즉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훅(210)이 상기 스위치(110)와 결합시 상기 상부 캡(200)이 적절한 응력을 가지도록 조절 가능한데,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 캡(200)의 길이,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상기 지지부 즉, 상기 제1돌출부(300)와 제2돌출부(400)는 상기 하부 캡(100)과 상부 캡(200)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형성되었지만,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어디에든 형성 가능하다. 단, X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상부 캡(200)의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높아져야 하는데,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상기 상부 캡(200)이 휘는 정도가 높이지기 때문에 상기 상부 캡(200)의 탄성 한계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300)는 상면이 상기 회전축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는 상기 상부 캡(200)은 상기 절곡단(10)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캡(100)을 덮기 때문에, 상기 상부 캡(200)의 회전 방향에 맞춰 상기 제1돌출부(300)의 상면이 기울어지고, 상기 제1돌출부(300)의 상면과 하면이 면접하는 상기 제2돌출부(400)역시 하면이 상기 제1돌출부(300)의 상면이 기울어진 것과 동일한 방향 및 정도로 기울어진다.
도 6b의 상황에서 상기 제1돌출부(300)의 상면과 상기 제2돌출부(400)의 하면은 서로 면접하여 각각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300) 또는 제2돌출부(400)가 구조적으로 약하면 서로 경사가 지도록 형성된 면접면이 서로 미끄러지며 상기 제1돌출부(300) 또는 제2돌출부(400)가 휘어지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돌출부(300)의 상면과 상기 제2돌출부(400)의 하면에 서로 맞물리는 형상의 요철부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면접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돌출부(300) 또는 제2돌출부(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는 뚜껑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 캡(200) 자체에 발생하는 응력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과 같이 별도의 탄성부재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종래 별도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조체 자체의 응력을 사용하여 물티슈 케이스를 개폐하는 구성은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하부 캡과 상부 캡의 사이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부피가 작되, 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두께가 비교적 얇았다. 즉, 종래 이러한 구조체는 파손의 위험성이 많은데 반해,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는 응력이 발생되는 구성이 비교적 크기가 큰 상부 캡(200)이기 때문에, 상부 캡(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도,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 캡(100)과 상부 캡(200)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의 차이이므로, 이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서로 동일하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캡(100)과 상부 캡(200)은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구성되며, 힌지부(30)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캡(200)은 상기 힌지부(30)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방식은 하부 캡(100)과 상부 캡(200)을 서로 별개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1실시예에 비해 경제적이지 않지만,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힌지부(30)를 통해 회전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즉, 제1실시예 같은 경우 상기 연결부(20)의 절곡단(10) 부분이 접히기 때문에 재질 자체의 피로 누적으로 인해 절단될 수 있는데 반해, 상기한 제2실시예는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절곡단
20 : 연결부
30 : 힌지부
100 : 하부 캡
110 : 스위치
111 : 걸림홈
200 : 상부 캡
210 : 훅
300 : 제1돌출부
400 : 제2돌출부

Claims (7)

  1. 물티슈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고,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부 캡(100);
    일단이 상기 하부 캡(100)의 일단과 이어지며,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덮거나, 타단이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하부 캡(100)을 여는 상부 캡(200); 및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 또는 상부 캡(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캡(100)에 대하여 상기 상부 캡(200)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상부 캡(200)을 지지할 때, 상기 상부 캡(200)의 타단의 높이(H1)는 상기 상부 캡(200)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었을 때 타단의 높이(H2)보다 높으며,
    상기 상부 캡(200)은 자체의 응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300) 및
    상기 상부 캡(2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300)와 맞닿아 상기 상부 캡(200)을 지지하는 제2돌출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캡(100) 또는 상부 캡(200)과 서로 일체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 캡(200)의 일단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300)는
    기둥 형상이고, 상면이 X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200)은
    상기 하부 캡(100)을 덮을 때,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훅(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캡(100)의 타단에 형성되고, 중단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훅(210)이 끼워지는 걸림홀(111)을 포함하는 스위치(110)를 포함하되,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110)를 눌러 상기 상부 훅(210)을 상기 스위치(110)와 분리시켜, 상기 상부 캡(200)의 응력에 의해 상기 상부 캡(200)을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KR1020170001924A 2017-01-05 2017-01-05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KR10183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924A KR101831794B1 (ko) 2017-01-05 2017-01-05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924A KR101831794B1 (ko) 2017-01-05 2017-01-05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794B1 true KR101831794B1 (ko) 2018-02-23

Family

ID=6138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924A KR101831794B1 (ko) 2017-01-05 2017-01-05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7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46B1 (ko) 2018-11-27 2019-05-28 홍서현 두루마리식 물티슈 조립체
KR20190113178A (ko) * 2018-03-28 2019-10-08 이승현 자동 열림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KR102069466B1 (ko) 2019-04-17 2020-01-22 이승현 역 아치형 넥의 포텐셜 에너지를 통한 자동 오픈 시스템
KR102164243B1 (ko) 2019-10-14 2020-10-12 이승현 역 아치형 넥의 포텐셜 에너지를 통한 자동 오픈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0061B2 (ja) * 1998-05-26 2003-11-25 憲司 中村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の取出し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0061B2 (ja) * 1998-05-26 2003-11-25 憲司 中村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の取出し部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78A (ko) * 2018-03-28 2019-10-08 이승현 자동 열림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KR102032049B1 (ko) * 2018-03-28 2019-10-14 이승현 자동 열림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KR101983246B1 (ko) 2018-11-27 2019-05-28 홍서현 두루마리식 물티슈 조립체
KR102069466B1 (ko) 2019-04-17 2020-01-22 이승현 역 아치형 넥의 포텐셜 에너지를 통한 자동 오픈 시스템
KR102164243B1 (ko) 2019-10-14 2020-10-12 이승현 역 아치형 넥의 포텐셜 에너지를 통한 자동 오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794B1 (ko)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KR101207508B1 (ko) 일체로 제조되는 깜짝 선물용 용기
JP5014351B2 (ja) サプライズコンテナー
KR200200762Y1 (ko) 화장품 용기
JP2004531436A (ja) ワイパー用ディスペンサー
JPH0958725A (ja) 蓋装置
JP2009078864A (ja) 第2の容器付きプッシュボタンフリップトップ
PL206579B1 (pl) Zawias do połączenia dwóch członów
US11261020B2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US11820561B2 (en) Contents container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102644937B1 (ko) 화장료 용기
JP7027397B2 (ja)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により製造された卵パック
KR102206253B1 (ko)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KR20070121160A (ko) 포장 용기
KR20100012090U (ko)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제 밀폐용기
JP5649339B2 (ja) 機能性付与容器
KR200384798Y1 (ko)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JP696002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2003095301A (ja) 蓋装置
KR200482041Y1 (ko) 수납 케이스
RU2373124C1 (ru) Емкость для "сюрприза"
JP3057705U (ja) 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