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89B1 -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89B1
KR101828289B1 KR1020160154130A KR20160154130A KR101828289B1 KR 101828289 B1 KR101828289 B1 KR 101828289B1 KR 1020160154130 A KR1020160154130 A KR 1020160154130A KR 20160154130 A KR20160154130 A KR 20160154130A KR 101828289 B1 KR101828289 B1 KR 10182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holder
bending portion
direction adjus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원
이청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6015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289B1/ko
Priority to PCT/KR2017/007999 priority patent/WO2018093013A1/ko
Priority to US16/462,220 priority patent/US201903290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1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using materials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025/0161Tip steering devices wherein the distal tips have two or more deflection reg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부,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삽입부에 고정되어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방향조절와이어에 구비되며, 복수의 벤딩부가 방향조절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각 벤딩부가 순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는 180도 이상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벤딩부를 순차적으로 벤딩시킬 수 있어 특정 조직에 최적화된 각도로 조향이 가능하여 수술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THE FLEXIBLE CATHETER USING WIRES}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며 복수의 부분에 벤딩이 이루어지는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주로 외과 시술시 체강 또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기구이며, 프로브(Prove)라고도 한다. 카테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중 경도에 따라 딱딱한 경성 카테터와 탄성이 있는 연성 카테터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터는 내부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광섬유를 삽입하여 신체기관 내부를 촬영하거나, 처치구를 삽입하여 적절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병변부위에 대한 적절한 각도로 접근할 수 있도록 카테터 끝단에 조향이 이루어지며, 조향을 위해 와이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전술한 연성 카테터와 관련하여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1,523호가 공개되어 있다.
특히 족관절과 같이, 좁은 체강내부로 삽입되는 세경 카테터의 경우종래의 연성 카테터는 180도 이상의 조향각을 갖기 어려웠으며, 단계적으로 조향각을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1,52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연성 카테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부,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삽입부에 고정되어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방향조절와이어에 구비되며, 복수의 벤딩부가 방향조절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각 벤딩부가 순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성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벤딩부는 삽입부의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제1 벤딩부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며, 제1 벤딩부 및 제2 벤딩부는,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제1 벤딩부가 벤딩되며, 제2 구간 동안 제2 벤딩부가 벤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벤딩부는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부의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약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는 제1 벤딩부와 제2 벤딩부 사이에 고정설치되며, 리미터는 홀더가 설치된 위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홀더와 리미터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제2 구간 동안 홀더가 리미터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에 방향조절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다.
나아가 홀더는 와이어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 채널에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조절와이어는, 복수의 벤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조절와이어는, 제1 벤딩부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홀더로부터 조작부 까지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는 단면의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방향조절와이어는 복수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워킹채널의 주위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는 180도 이상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벤딩부를 순차적으로 벤딩시킬 수 있어 특정 조직에 최적화된 각도로 조향이 가능하여 수술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연성 카테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동작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나타낸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되거나 일부요소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권리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연성 카테터(10)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카테터(10)는 삽입부(100), 조작부(200), 방향조절와이어(300), 리미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0)는 조직이나 체강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심부에 있는 체강 또는 조직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00)는 복수개의 워킹채널(1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워킹채널(130)은 체강 내를 촬영하는 광파이버 또는 병변부위를 처치하는 처치부가 후술할 조작부(200)로부터 진입하여 삽입부(100)의 끝단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조작부(200)의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00)의 원활한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부(100)의 직경은 3m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0)는 복수의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조향각이 결정되며, 벤딩부위가 순차적으로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의 조작 및 조향각에 대하여는 차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200)는 삽입부(1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수술자는 조작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수술 또는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작부(200)는 하우징, 조향레버(210), 연결포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조작부(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손으로 파지가 용이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성 카테터(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직 내외부로 진퇴동작을 수행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소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조향레버(210)가 구비된다. 조향레버(210)는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으로 삽입부(100)를 벤딩시킬 수 있도록 레버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다. 조향레버(210)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조향레버(210)의 일측은 방향조절와이어(300)가 거치되어 있어, 조향레버(210)의 회전량에 따라 삽입부(100)의 조향각이 결정된다. 이때, 조향레버(210)의 조작의 한계치는 삽입부(100)의 벤딩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조향레버(210)의 구성은 캠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기구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결포트(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워킹채널(130)과 연결되어 처치구 또는 광파이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포트(220)는 워킹채널(130)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석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외부의 기기와 연결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외부 장치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포트(220)의 외측에 나사산과 같은 체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카테터(10)의 삽입부(1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0)는 제1 벤딩부(110), 제2 벤딩부(120), 워킹채널(130), 와이어 채널(140), 방향조절와이어(300), 리미터(320), 홀더(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벤딩부(110) 및 제2 벤딩부(120)는 삽입부(100)의 삽입되는 끝단으로부터 차례대로 형성되며,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벤딩부(110)와 제2 벤딩부(120)는 삽입부(100)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적 강성이 낮아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100) 전체는 연성이나, 상대적으로 제1 벤딩부(110) 및 제2 벤딩부(120)의 연성(flexibility)이 커 방향조절와이어(300)의 조작시 각 벤딩부가 집중적으로 조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벤딩부(110)는 제2 벤딩부(120)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어 제1 벤딩부(110) 및 제2 벤딩부(120)가 순차적으로 벤딩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삽입부(100)의 끝단은 제1 벤딩부(110) 및 제2 벤딩부(120)보다 높은 강성의 재질로 구성되며, 삽입시 끝단에 충격이 마찰, 접촉이 있더라도 큰변화없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워킹채널(130)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처치구 또는 내시경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삽입부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처치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채널이 2개로 구성된 경우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b)를 다시 살펴보면 두 개의 워킹채널(130)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와이어 채널(140)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공간적으로 컴팩트하게 다수의 채널이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140)은 후술할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방향조절와이어(300)의 직경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140)은 삽입부의 끝단측에서부터 조작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조작레버(2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삽입부의 끝단측으로는 관통되지 않아 외부로부터의 오염등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채널(140) 중 후술할 리미터(330)가 왕복운동하는 부분에는 홀더의 움직임이 원활할 수 있도록 다소 큰 내경(d)을 가진 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향조절와이어(300)는 두 개로 구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방향조절와이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워킹채널(130)의 주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채널(140)에 배치된다.
방향조절와이어(300) 중 제1 벤딩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일 지점에 리미터(320)가 구비된다. 리미터(320)는 제1 벤딩부(110)와 제2 벤딩부(120)가 방향조절와이어(300)를 당김에 따라 순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벤딩부(110)와 제2 벤딩부(120) 사이에는 리미터(3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홀더(330)가 구비된다. 한편 홀더(3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방향조절와이어(300)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리미터(320)를 특정위치 이상으로 이동시키지 않기 위해 와이어 채널(140) 내부에 돌출되어 구성되는 돌출부 등으로 구성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각 벤딩부가 벤딩되는 순서가 나타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이어 채널(140)의 내경은 모두 리미터(320)의 직경보다 크게 나타내었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 방향조절와이어(300)의 리미터(320)와 삽입부(100)에 고정된 홀더(330)는 제1 구간(L) 만큼 이격되어 있다(a).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제1 구간동안 당기기 시작하면 고정부(310)가 고정되어 있어 위쪽으로 벤딩이 시작된다. 이때 주된 벤딩은 제1 벤딩부(110)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리미터(320)는 홀더(3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방향조절와이어(300)를 더 당기게 되면 리미터(320)는 홀더(330)와 접촉하며, 홀더(330)가 리미터(320)를 지지하게 된다(c). 이때 제1 벤딩부(110) 내측에서는 더 이상 고정부(310)를 당기지 않게 되며 특정 곡률 r1으로 고정된다. 이후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제2 구간동안 더 당기게 되면 리미터(320)가 홀더(330)를 지지하며 제2 벤딩부(120)의 벤딩이 시작된다(d). 즉 리미터(320)가 홀더(330)에 지지되는 순간부터는 제1 벤딩부(110)의 굽힘정도가 고정이 된 채로 제2 벤딩부(120)의 벤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잡아당기는 정도에 따라 제2 벤딩부(120)의 곡률 r2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최대 벤딩 가능한 조향각은 제1 벤딩부(110)에서 약 180도, 제2 벤딩부(120)에서 약 180도가 될 수 있어 360도에 근접한 조향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당겼던 방향조절와이어(300)를 푸는 경우에는 전술한 순서와 역순의 모션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작동상태는 하나의 방향조절와이어(300)에 대한 설명이며, 반대방향으로의 조향이 가능하고, 방향조절와이어(300)가 3개 이상으로 구성된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벤딩이 가능하다.
또한 벤딩부가 복수로 구성되어 3지점 이상에서 벤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홀더(330)와 리미터(320)는 벤딩부의 수에 대응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카테터(10)의 변형예 및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30)와 리미터(320) 간의 간격이 각각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L1<L2<L3). 홀더(330)와 리미터(320) 사이의 간격은 제1 벤딩부(110)가 벤딩되는 각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잡아당김에 따라 리미터(320)와 홀더(330)가 접촉하여 지지될 때 제1 벤딩부(110)의 벤딩의 최대치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제1 구간의 길이가 길어지며, 더 큰 각도로 제1 벤딩부(110)를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제1 벤딩부(110)의 벤딩각의 최대치를 구조적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제2 벤딩부(120) 길이 및 벤딩각의 길이를 한정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로 벤딩된 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정 조직에 특화되어 최적화된 벤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이 나타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절와이어(300)의 일부는 삽입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삽입부(100)를 휘감으며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를 삽입한 상태에서 벤딩 뿐 아니라 비틀림이 필요한 경우에 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도 5 (a)를 살펴보면 방향조절와이어(300)는 제1 벤딩부(110)가 위치한 부분에서는 나선형으로 휘감으면서 배치되어 있으며, 홀더(330)를 통과한 이후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 (b)를 살펴보면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리미터(320)가 홀더(33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 벤딩부(110)는 고정부(310)가 홀더(330)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θ) 벤딩이 이루어지며, 이때, 소정각도(φ)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처치구를 벤딩시키면서 회전이 가능하며, 고정부(310)와 홀더(330)가 배치된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의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벤딩부(110)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특정 구간에 비틀림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 벤딩부(120) 또는 다른 벤딩부에 구비된 홀더(330)간 각도를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다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벤딩이 될 수 있도록 방향조절와이어가 상하좌우의 4방향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 경우 조작부가 4개의 방향조절와이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거나, 조이스틱과 같은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방향조절와이어 중 일부의 리미터의 위치가 다른 리미터의 위치와 다르게 구성되어 제1 벤딩부(110)의 벤딩량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홀더(331)와 제1 리미터(321)의 간격이 제2 홀더(332)와 제2 리미터(322)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이 된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를 당기더라도 홀더가 리미터에 지지되는 지점이 다르기 때문에 거리가 더 먼 하측방향으로의 조향각이 더 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벤딩부(110)는 제1 홀더(331)와 제1 리미터(321) 또는 제2 홀더(332)와 제2 리미터(322)가 지지된 후부터는 조향각이 고정되므로 도 7과 같이 최대로 당겼을 때에 조향각 또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특정각도로 벤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카테터를 회전하여 특정각도로 조향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카테터(10)는 삽입부(100)에 복수의 벤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미터(320)와 홀더(330)가 구비되어 복수의 벤딩부를 순차적으로 벤딩시킬 수 있어 다양한 각도의 벤딩이 가능하며, 180도 이상의 벤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연성 카테터
100: 삽입부
110: 제1 벤딩부
120: 제2 벤딩부
130: 워킹채널
140: 와이어 채널
200: 조작부
210: 조향레버
220: 연결포트
300: 방향조절와이어
310: 고정부
320: 리미터
321: 제1 리미터
322: 제2 리미터
330: 홀더
331: 제1 홀더
332: 제2 홀더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상기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및
    상기 방향조절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벤딩부가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각 벤딩부가 순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끝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강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성 카테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제1 벤딩부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제1 구간 동안 제1 벤딩부가 벤딩되며, 상기 제1 구간 이후 당겨지는 제2 구간 동안 제2 벤딩부가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3. 제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벤딩부는 벤딩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약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벤딩부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미터는 상기 홀더가 설치된 위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홀더와 상기 리미터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상기 제2 구간 동안 상기 홀더가 상기 리미터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와이어 채널 내측에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벤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삽입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는,
    상기 제1 벤딩부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조작부 까지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단면의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는 복수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상기 워킹채널의 주위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KR1020160154130A 2016-11-18 2016-11-18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KR10182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30A KR101828289B1 (ko) 2016-11-18 2016-11-18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PCT/KR2017/007999 WO2018093013A1 (ko) 2016-11-18 2017-07-25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US16/462,220 US20190329004A1 (en) 2016-11-18 2017-07-25 Flexible catheter using wi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30A KR101828289B1 (ko) 2016-11-18 2016-11-18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289B1 true KR101828289B1 (ko) 2018-02-13

Family

ID=6123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130A KR101828289B1 (ko) 2016-11-18 2016-11-18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29004A1 (ko)
KR (1) KR101828289B1 (ko)
WO (1) WO20180930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35A1 (ko) * 2018-08-31 2020-03-05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연성 메커니즘
KR20200028289A (ko) * 2018-09-06 2020-03-16 한국과학기술원 조향 가이드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조향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1437A1 (en) * 2019-12-06 2021-06-09 Basecamp Vascular Anchoring elements for a steerable device
CN117258115B (zh) * 2023-09-27 2024-03-01 深圳麦普奇医疗科技有限公司 导丝导管组件及具有其的介入***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7407B2 (ja) * 1996-04-02 2005-12-14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チューブ
US8376990B2 (en) * 2005-05-19 2013-02-19 Biosense Webster, Inc. Steerable catheter with distal tip orientation sheaths
JP4897077B1 (ja) * 2010-09-28 2012-03-1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KR101225194B1 (ko) * 2010-10-20 2013-01-22 서수원 배액 카테터
KR101498794B1 (ko) * 2013-06-19 2015-03-05 (주)세원메디텍 가동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35A1 (ko) * 2018-08-31 2020-03-05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연성 메커니즘
KR20200028289A (ko) * 2018-09-06 2020-03-16 한국과학기술원 조향 가이드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조향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4022B1 (ko) * 2018-09-06 2021-05-20 한국과학기술원 조향 가이드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조향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US11642493B2 (en) 2018-09-06 2023-05-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teerable guide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rable guidewire, steerable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rable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9004A1 (en) 2019-10-31
WO2018093013A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289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JP5981080B1 (ja) 内視鏡用湾曲管及びこの内視鏡用湾曲管を具備した内視鏡
US10149608B2 (en) Bending portion for endoscope and endoscope including bending portion for endoscope
JP4441496B2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US8777843B2 (en) Multi-bendable medical device
KR101364053B1 (ko) 미세수술기구용 가이드 튜브
WO2016147465A1 (ja)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JP6180679B2 (ja) 内視鏡
JP2021532910A (ja) ジョイント
KR102018860B1 (ko)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JP6076562B2 (ja) 挿入機器の可撓管及び挿入機器
EP2386255A2 (en)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JP569727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6203132B2 (ja) ガイド装置および手術システム
WO2014162442A1 (ja) 作動部材、および医療器具
WO2013141011A1 (ja) 医療用チューブの制御ハンドルおよび医療用チューブ装置
KR101860906B1 (ko)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JP6284182B2 (ja) 屈曲処置具用操作部
JP6091252B2 (ja) 内視鏡
KR101929318B1 (ko) 워킹채널 내 도구 정렬기능을 갖는 카테터
JP5137754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3776858B2 (ja) 内視鏡
WO2020105158A1 (ja) ガイドチューブ、処置システムおよびガイドチューブの取付方法
JP3772138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20124394A (ja) 先端可動シ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