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581B1 -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581B1
KR101822581B1 KR1020110089563A KR20110089563A KR101822581B1 KR 101822581 B1 KR101822581 B1 KR 101822581B1 KR 1020110089563 A KR1020110089563 A KR 1020110089563A KR 20110089563 A KR20110089563 A KR 20110089563A KR 101822581 B1 KR101822581 B1 KR 101822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pplication
attribute
movemen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137A (ko
Inventor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581B1/ko
Priority to US13/604,541 priority patent/US9413870B2/en
Priority to EP20120183215 priority patent/EP2566142A1/en
Publication of KR2013002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는,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 측정부; 단말의 움직임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속성 매핑부; 단말의 움직임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활성화하는 속성 조절부; 및 속성 조절부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조절이 활성화되며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단말의 움직임이 측정되면, 측정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속성 매핑부에 매핑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pplication Property based on Mo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움직임 측정센서를 탑재하며, 탑재된 움직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단말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가 이동 중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음악, 어학 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된 입력 키(key)를 이용하거나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그 속성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플레이어나 음향 플레이어의 경우, 좌우 방향키를 눌러 재생시점을 포워드(Forward)하거나 백워드(Backward)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키를 눌러 볼륨(volume)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된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에 대하여 재생 스크롤바(scroll bar) 또는 볼륨 스크롤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재생 시점을 조절하거나 볼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이로스코프(gyroscope)와 같은 움직임 측정센서를 탑재하며, 탑재된 움직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움직임 측정센서를 탑재하며, 탑재된 움직임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단말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는,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 측정부; 단말의 움직임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속성 매핑부; 단말의 움직임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활성화하는 속성 조절부; 및 속성 조절부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조절이 활성화되며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단말의 움직임이 측정되면, 측정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속성 매핑부에 매핑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는,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애플리케이션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성 매핑부는,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재생(Play), 일시정지(Pause), 볼륨(volume)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속성 매핑부는,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범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의 포워드/백워드에 대한 이동간격, 재생위치, 볼륨의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속성 매핑부는, 레이싱 게임(Racing Game)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하며, 해당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에 대한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은, 단말의 움직임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과정;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조절을 활성화하는 과정;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매핑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은,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핑 과정은,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재생(Play), 일시정지(Pause), 볼륨(volume)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매핑 과정은,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범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의 포워드/백워드에 대한 이동간격, 재생위치, 볼륨의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도 있다.
또한, 매핑 과정은, 레이싱 게임(Racing Game)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하며, 해당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에 대한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탑재된 움직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 키의 수 또는 화면상의 터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한된 크기 내에서 화면의 크기를 보다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단말기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단말기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레이싱 게임에 적용된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 활성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100)는, 움직임 측정부(110), 속성 매핑부(120), 속성 조절부(130), 제어부(140) 및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형태별로 구분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과, 통신 방식별로 구분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동영상 또는 음향의 재생이나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그에 따라 동영상 또는 음향의 재생이나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 Station Portable) 등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움직임 측정부(110)는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움직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 측정센서에 의한 움직임 측정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따르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속성 매핑부(120)는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속성 매핑부(120)는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말기(100)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재생(Play), 일시정지(Pause), 볼륨(volume) 등과 같은 속성 종류를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속성 매핑부(120)는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범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의 포워드/백워드에 대한 이동간격, 재생위치, 볼륨의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화면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x축 방향, 좌우 방향의 y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z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속성 매핑부(120)는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이와 같은 여섯 개의 방향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속도를 0 내지 0.5 m/s의 1단계, 0.5 내지 1 m/s의 2단계, 1 m/s 보다 큰 경우의 3단계로 움직임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영상 플레이어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말기의 우측 움직임 방향에는 포워드(Forward) 속성을 매핑하며, 좌측 움직임 방향에는 백워드(Backward) 속성을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움직임 방향 또는 좌측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속도가 1단계인 경우에는 10초 전후의 영상으로 포워드 또는 백워드하여 재생하며, 속도가 2단계인 경우에는 30초 전후의 영상으로 포워드 또는 백워드하여 재생하고, 속도가 3단계인 경우에는 1분 전후의 영상으로 포워드 또는 백워드하여 재생하도록 포워드 또는 백워드의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포워드 또는 백워드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고,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의 움직임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포워드 또는 백워드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상하 움직임 방향에는 볼륨 속성을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움직임 방향 또는 하측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속도가 1단계인 경우에는 복수의 단계로 분류된 볼륨 크기의 조절 강도에 대하여 1단계씩 볼륨이 업(UP) 또는 다운(DOWN) 되도록 매핑하며, 속도가 2단계인 경우에는 2단계씩 볼륨이 업 또는 다운 되도록 매핑하고, 속도가 3단계인 경우에는 3단계씩 볼륨이 업 또는 다운 되도록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볼륨 업 또는 다운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고,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의 움직임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볼륨 업 또는 다운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후방향의 움직임에는 일단 멈춤 속성이 매핑될 수 있으며, 전방향의 움직임에는 재생 속성이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후 방향의 속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만 일단 멈춤 또는 재생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한 단말기의 속도에 대한 움직임 정도는 예시일 뿐이며,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이동거리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단계로 움직임 정도가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의 매핑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가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정도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움직임방향은 단말기의 전후 방향에 대한 x축을 중심으로 왼쪽 회전방향 및 오른쪽 회전방향, 단말기의 좌우 방향에 대한 y축을 중심으로 왼쪽 회전방향 및 오른쪽 회전방향, 및 단말기의 상하 방향에 대한 z축을 중심으로 왼쪽 회전방향 및 오른쪽 회전방향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속도 또는 기울기의 변화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회전방향에 대한 움직임 정도는 회전각 또는 각속도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분류된 각각의 회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가 매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을 이용하여, 속성 매핑부(120)는 레이싱 게임(Racing Game)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 등의 속성의 종류를 매핑하고,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등에 따라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 등에 대한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화면에 자동차 운전석 및 자동차 전방의 거리 영상을 표시하고, 운전석 영상의 핸들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단말기를 전후 방향에 대한 x축을 중심으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기를 변화함에 따라 자동차 전방의 영상이 좌우 방향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매핑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좌우 방향의 기울기 변화량에 따라 방향전환 정도가 비례하여 변환되어 표시되도록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좌우 방향에 대한 y축을 중심으로 앞쪽 방향 또는 뒤쪽 방향으로 기울기를 변화함에 따라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속되도록 매핑할 수 있다. 이 경우, 속도의 증가 또는 감속되는 정도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지속적으로 볼 수 있는 기울기의 범위 내에서 기울기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한 분류는 도 2의 경우와 도 3의 경우를 결합하여 복합적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즉, 단말기가 도 2의 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3의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따라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도 있다.
속성 조절부(130)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활성화한다. 이때, 속성 조절부(130)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입력 키들 중에서 지정된 특정 키 이거나, 터치 화면상에 설정된 특정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플레이어,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실행되는 경우에 그 하단에 백워드(Backward)(510), 재생(Play)(520), 포워드(Forward)(530), 볼륨(Volume)(540) 등의 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지점을 표시할 수 있으며, 속성 조절부(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 선택지점을 터치하거나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면 단말기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다양한 속성 선택지점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화면에는 하나의 속성 선택지점이 표시되며 사용자의 터치회수, 또는 속성 선택지점을 누르면서 단말기를 움직이는 동작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속성이 변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속성 조절부(130)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속성 조절이 실행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움직임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움직임 값을 수신한다. 이때, 움직임 측정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값은 움직임방향,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움직임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의 움직임 값에 대응하여 속성 매핑부(120)로부터 매핑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검색하며, 검색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한다.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현재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입력 키들 중 지정된 특정 키 이거나, 속성 조절부(130)와 마찬가지로 터치 화면상에 설정된 특정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속성 조절부(130)와 동일한 키로 설정되며, 입력 횟수 또는 누름시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된 입력 키 또는 터치 지점을 설정된 시간 이내로 짧게 누르면, 제어부(140)는 해당 입력 키 또는 터치 지점을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로 인식하고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입력 키 또는 터치 지점을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면, 제어부(140)는 해당 입력 키 또는 터치 지점을 속성 조절부(130)로 인식하고 움직임 측정부(110)로부터 단말기(100)에 대한 움직임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단말기(100)의 분류된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 중의 어느 하나에 매핑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좌우 방향에 대한 y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값 이상의 회전 각속도로 단말기(100)를 뒤쪽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140)는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화면에 애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속성 매핑부(120)는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610). 이때, 속성 매핑부(120)는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말기(100)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재생(Play), 일시정지(Pause), 볼륨(volume) 등과 같은 속성 종류를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속성 매핑부(120)는 각각의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범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의 포워드/백워드에 대한 이동간격, 재생위치, 볼륨의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강도를 매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현재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620). 이때,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입력 키들 중 지정된 특정 키 이거나, 터치 화면상에 설정된 특정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선택부(150)는 속성 조절부(130)와 동일한 키로 설정되며, 입력 횟수 또는 누름시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속성 조절부(130)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활성화한다(630). 이때, 속성 조절부(130)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입력 키들 중에서 지정된 특정 키 이거나, 터치 화면상에 설정된 특정 지점일 수 있다. 속성 조절부(130)가 터치 화면상에 특정 지점으로 표시되는 경우, 속성 조절부(130)는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의 종류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점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 회수, 또는 터치 및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순차적으로 속성의 종류가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의 선택 또한 속성 조절부(130)의 터치 및 단말기의 움직임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속성 조절부(130)를 선택하면서 단말기(100)를 움직이면, 움직임 측정부(110)는 단말기(100)의 움직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대한 움직임방향 및 움직임 정도를 측정한다(640). 이때, 속성 조절부(130)의 선택에 의해 제어부(140)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속성 조절이 실행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움직임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움직임 값을 수신한다. 이 경우, 움직임 측정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값은 움직임방향,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움직임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의 움직임 값에 대응하여 속성 매핑부(120)로부터 매핑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검색하며, 검색된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함으로써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6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 측정부;
    상기 단말의 움직임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상기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상기 움직임방향 및 상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속성 매핑부;
    상기 단말의 움직임에 기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활성화하는 속성 조절부; 및
    상기 속성 조절부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이 활성화되며 상기 움직임 측정부를 통해 상기 단말의 움직임이 측정되면, 측정된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속성 매핑부에 매핑된 상기 속성 종류 및 상기 조절 강도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고, 일정한 속도의 움직임이 지속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중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애플리케이션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매핑부는,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재생(Play), 일시정지(Pause), 볼륨(volume)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매핑부는,
    각각의 상기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범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상기 범위에 대응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의 포워드/백워드에 대한 이동간격, 재생위치, 볼륨의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매핑부는,
    레이싱 게임(Racing Game)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하며, 해당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에 대한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6. 단말의 움직임방향을 분류하며, 각각의 상기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상기 움직임방향 및 상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종류 및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조절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된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매핑된 상기 속성 종류 및 상기 조절 강도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조절하는 과정은,
    일정한 속도의 움직임이 지속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속성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중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과정은,
    동영상 플레이어, 음향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따라 포워드(Forward), 백워드(Backward), 재생(Play), 일시정지(Pause), 볼륨(volume)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과정은,
    각각의 상기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범위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상기 범위에 대응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음향 플레이어의 포워드/백워드에 대한 이동간격, 재생위치, 볼륨의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과정은,
    레이싱 게임(Racing Game)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움직임방향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종류를 매핑하며, 해당 움직임방향에서의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기울기 변화량, 이동거리 변화량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방향전환, 가속 및 감속에 대한 조절 강도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속성 조절방법.
KR1020110089563A 2011-09-05 2011-09-05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82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563A KR101822581B1 (ko) 2011-09-05 2011-09-05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US13/604,541 US9413870B2 (en) 2011-09-05 2012-09-05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EP20120183215 EP2566142A1 (en) 2011-09-05 2012-09-05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563A KR101822581B1 (ko) 2011-09-05 2011-09-05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37A KR20130026137A (ko) 2013-03-13
KR101822581B1 true KR101822581B1 (ko) 2018-01-26

Family

ID=4717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563A KR101822581B1 (ko) 2011-09-05 2011-09-05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3870B2 (ko)
EP (1) EP2566142A1 (ko)
KR (1) KR101822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9204B2 (en) * 2012-11-15 2019-05-14 Quantum Interface, Llc Apparatuses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and software progra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BR112016024806A2 (pt) * 2014-04-24 2018-06-19 Idis Tech Ip Ltd aplicativo de mensagem privada e métodos associado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7692A1 (en) * 2000-10-02 2006-01-26 Wehrenberg Paul J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308B (fi) 2004-02-06 2006-08-31 Nokia Corp Eleohjausjärjestelmä
KR100646347B1 (ko) 2005-06-29 2006-11-23 주식회사 팬택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한 메뉴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265671A1 (en) 2008-04-21 2009-10-22 Invensense Mobile devices with motion gesture recognition
US20090235192A1 (en) * 2008-03-17 2009-09-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pparatus, and apparatus
KR101505198B1 (ko) * 2008-08-18 201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EP2472374B1 (en) * 2009-08-24 2019-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 ui using motions
KR20110058182A (ko) 2009-11-26 2011-06-01 정기현 움직임 감지 센서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 구동방법
JP5316387B2 (ja) * 2009-12-04 2013-10-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86629A1 (en) * 2010-10-07 2012-04-12 Thoern Ola Electronic device having movement-based user input and method
US20120185798A1 (en) * 2011-01-14 2012-07-19 Louch John O Application view region
US10146329B2 (en) * 2011-02-25 2018-12-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 effects for different motion gestures and motion proper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7692A1 (en) * 2000-10-02 2006-01-26 Wehrenberg Paul J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37A (ko) 2013-03-13
US20130067422A1 (en) 2013-03-14
US9413870B2 (en) 2016-08-09
EP2566142A1 (en)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CN110618800B (zh) 一种界面显示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945485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changing into augmented reality service screen
CN100553270C (zh) 一种控制移动站中的扬声器的控制装置及方法
US9678573B2 (en) Interaction with devices based on user state
US20110150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to a loudspeaker array
US20100013651A1 (en) Device with display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movement
KR100981200B1 (ko) 움직임 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EP2911050A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8662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ovement-based user input and method
KR201701249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2014046867A (ja) 入力装置
KR2009010173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얼굴 인식을 이용한 표시정보의 표시방법
KR10212739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858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ze tracking
JP2014002748A (ja) 遠隔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372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US10031581B1 (en) Virtual artifacts using mobile devices
JP2006268665A (ja) カーソル移動装置、カーソルの移動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22581B1 (ko) 움직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속성의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84054B1 (ko) 부가 기능 실행 중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050B1 (ko)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6991A (ko) 프레젠테이션 메커니즘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646141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