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270B1 -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 Google Patents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270B1
KR101820270B1 KR1020170098411A KR20170098411A KR101820270B1 KR 101820270 B1 KR101820270 B1 KR 101820270B1 KR 1020170098411 A KR1020170098411 A KR 1020170098411A KR 20170098411 A KR20170098411 A KR 20170098411A KR 101820270 B1 KR101820270 B1 KR 10182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pump
pipe
mixed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호 filed Critical 최승호
Priority to KR102017009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B28C9/004Making slurries, e.g. with discharging means for injecting in a well or projecting against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6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comprising a multicompartment silo with the mixing device, e.g. a mixing screw, fitted directly at the underside of the silo, e.g. with proportioning means at the exit of the sil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는, 지하침출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른 레미콘의 품질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양생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고, 지하침출수가 원료이송장치의 세척이나 골재 이송 중 발생되는 비산 먼지의 감소 등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수자원이 절약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BATCHER PLANT USING DISCHARGED GROUND WATER}
본 발명은 레디믹스트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를 제조하는 배처플랜트(batcher plant)에 관한 것으로, 지하침출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배처플랜트는 물(혼합수), 시멘트, 골재(모래 및 자갈 등), 첨가제 등을 정해진 비율로 계량하고 혼합 및 반죽하여 굳지 않은 상태의 콘크리트(fresh concrete)를 제조하는 설비이다. 배처플랜트로부터 제조되어 굳기 전인 상태의 콘크리트는 생(生) 콘크리트 또는 레디믹스트콘크리트(이하, '레미콘'이라 함)라고 지칭된다.
다량의 레미콘이 사용되는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내에 배처플랜트를 설치하기도 하며, 배처플랜트를 설치하기 곤란하거나 비교적 소량의 레미콘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배처플랜트에서 제조된 레미콘을 믹서가 구비된 차량인 레미콘 차량(mixer truck)을 이용하여 운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배처플랜트에는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골재를 일정한 장소에 적재하고, 이들을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다른 원료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당량의 분진이 발생되므로 인근에 거주자가 많은 지역에서는 환경오염에 따른 분쟁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골재 적재소 및 골재를 이송하는 수단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의 비산이 감소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량의 수자원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골재와 혼합수 등이 야외에 배치되므로 기후에 따라 그 온도의 편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레미콘이 제조된 후 사용될 현장으로 운반되어 타설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적절한 온도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각종 결함이 발생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94757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에는 골재 및 혼합수를 지하에 저장하여 기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원료의 운반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약되도록 하고자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레미콘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료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골재 및 혼합수는 결국 수평운반 및 수직운반 되어야 하므로, 온도의 편차가 감소되는 효과는 얻을 수는 있으나 원료의 운반에 소요되는 동력이 감소되는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교량이나 댐의 건설과 같이 하천과 가까운 지역에서의 대규모 공사현장이나 도심의 고층 아파트단지 건설과 같이 상당량의 굴착이 필요한 공사현장에서는 인근 지층에 불투수층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다량의 지하침출수가 유출되는 경우가 많다.
지하침출수는 토압을 증가시켜 흙막이벽의 붕괴를 유발하거나, 각종 자재나 공구 등을 침수시켜 공사작업의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는 펌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지하침출수를 하수도로 유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하침출수는 계절과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교적 오염이 적은 유용한 자원이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94757호(발명의 명칭: 친환경 저탄소 배치 플랜트를 위한 레미콘 공장의 지하 골재 저장 장치, 등록일: 2012년 10월 19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데에 지하침출수를 열원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하침출수를 중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멘트, 모래, 자갈 및 혼합수를 혼합하고 반죽하는 콘크리트 혼합유닛과, 혼합수를 콘크리트 혼합유닛에 공급하는 혼합수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혼합수 공급유닛은 한 쌍의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사방전환밸브와 팽창밸브가 구비된 히트펌프와, 지중에 매설되어 지하침출수를 수집하는 취수부와, 취수부에 수집된 지하침출수가 히트펌프를 거쳐 유동되도록 하고 혼합수가 히트펌프를 거쳐 유동되도록 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며, 히트펌프는 지하침출수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혼합수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혼합수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지하침출수로 전달되도록 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취수부는 지중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거름관과, 지중에 매설되고 거름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거름층과, 하측이 거름관에 연결되고 내부가 빈 용기 형상을 갖는 취수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는, 상수도 및 히트펌프에 연결되어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청수(淸水, 맑은 물)를 혼합수로써 히트펌프로 유입되도록 하는 급수관과, 히트펌프 및 콘크리트 혼합유닛에 연결되어 히트펌프를 거친 혼합수가 콘크리트 혼합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혼합수관과, 취수부와 히트펌프를 연결하여 지하침출수가 히트펌프로 유동되도록 하는 취수관과, 취수부와 히트펌프를 연결하여 히트펌프를 거친 지하침출수가 취수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복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부는, 취수관에 설치되어 지하침출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 공급유닛은 취수관의 취수부와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고, 여과부는 밀폐된 용기 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여 취수관을 통하여 유동하는 지하침출수가 필터에 의해 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는, 필터에 의해 구획된 케이싱의 내부 중 필터에 의해 여과된 지하침출수가 유동되는 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수도에 연결된 세척수관과, 세척수관에 설치되어 세척수관을 개폐하는 세척밸브와, 세척수관에 설치된 가압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혼합수 공급유닛은 급수부에 설치된 중수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중수공급부는 복수관에 설치된 제1 전환밸브와, 제1 전환밸브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1 중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수공급부는 취수관 중 여과부 및 저수조 사이의 부분에 설치된 제2 전환밸브와, 취수관 중 여과부 및 제2 전환밸브 사이의 부분에 설치된 수질감지센서와, 제2 전환밸브와 혼합수관을 연결하는 제2 중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침출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른 레미콘의 품질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양생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침출수가 콘크리트의 원료인 혼합수로 이용되도록 하거나 원료이송장치의 세척이나 골재 이송 중 발생되는 비산 먼지의 감소 등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수자원이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를 간략하게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수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급수부의 일 실시예의 계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수부의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이하, '본 실시예'라고 함)를 간략하게 나타낸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1)에는 콘크리트 혼합유닛(10) 및 혼합수 공급유닛(30)이 포함된다. 콘크리트 혼합유닛(10)에는 원료이송장치(11), 원료투입구(13)가 형성된 복수의 사일로(silo), 믹서(15)가 구비된 믹싱호퍼(14) 및 저장호퍼(16)가 포함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혼합유닛(10)에는 자갈과 같은 골재(A)를 원료이송장치(11)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골재(A)가 원료투입구(13)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원료이송장치(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원료이송장치(11)와 보조원료이송장치(12)로는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원료투입구(13)로 골재(A)가 투입되면 사일로에 저장된 시멘트, 모래 및 첨가제 등이 미리 정해진 양만큼 믹싱호퍼(14)로 투입된다. 믹싱호퍼(14)에 설치된 믹서(15)는 이들 원료를 혼합하며 이때 아래에서 설명할 혼합수관(240)을 통하여 혼합수가 공급되어 상술한 원료들이 혼합 및 반죽되어 레미콘이 형성된다.
형성된 레미콘은 저장호퍼(17)로 이동되어 저장되었다가 레미콘 차량(20)에 구비된 레미콘투입부(21)를 통하여 레미콘이 레미콘 차량(20)으로 공급된다. 이후 레미콘 차량(20)은 레미콘이 사용될 장소로 이동한다.
레미콘 차량(20)은 레미콘을 운반하는 수단을 예시한 것으로, 콘크리트 혼합유닛(10)이 레미콘을 사용하는 현장과 매우 근접한 경우에는 레미콘 차량(20) 대신 컨베이어 벨트(도시되지 않음) 등의 운반수단에 의해 레미콘이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취수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취수부(100)에는 취수하우징(110), 거름관(120) 및 거름층(130)이 포함되며, 거름관(120)에는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다.
지하침출수(52)의 침출수위(WL)는 지역마다 상이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취수부(100)는 교량이나 댐의 건설현장과 같이 하천과 가까운 지역이나 수맥이 존재하는 지역일수록 지면(50)과 가까워질 수 있다.
만약 하천과의 거리가 멀거나 지면(50)이 경사진 경우, 지중(51)에 불투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지하침출수(52)의 침출수위(WL)가 변동될 수 있으나, 건축현장에 형성된 굴착공이 일정 깊이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 지하침출수(52)가 유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취수부(100)가 지중(52)에 설치되는 깊이는 지하침출수(52)의 침출수위(WL)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거름관(120)은 지중(51)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될 수 있고, 거름관(120)의 표면에는 그 내부로 지하침출수(52)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다.
거름층(130)은 자갈이나 굵은 모래와 같이 누적되었을 때 투수성이 높은 재료나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거름관(120)은 그 외주면이 거름층(130)에 의해 둘러싸여서 흙이나 진흙과 같은 이물질이 거름관(1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매설된다.
여기서 거름관(120)의 통공(121)은 거름층(130)을 이루는 재료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거름층(130)이 통공(121)을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취수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용기 형상을 가지며, 그 하측은 거름관(120)에 연결되도록 지중(52)에 매설된다. 지하침출수(52)는 거름층(130) 및 통공(121)을 통과하여 거름관(120) 내로 유입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하우징(110) 내에 수집된다.
취수하우징(1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취수관(210) 및 복수관(260)이 연결된다. 취수관(210)의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하우징(110)의 저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취수하우징(110) 내에 수집된 지하침출수(52)가 취수관(210)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지하침출수(52)에 의한 침수로 발생되는 여러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침출수(52)를 수집하여 하수도로 유동시키는 집수구조체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공항, 지하철역사, 지하철로, 백화점, 종합병원, 고층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에는 집수구조체가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취수부(100)는 공사가 완료된 후 철거되지 않고 집수구조체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집수구조체에 수집된 지하침출수(52)의 온도는 주위의 지중(51)의 온도와 같다. 따라서 지표면 부근에서는 지중(51)의 온도가 태양열이나 기온 등의 영향으로 일변화 또는 연변화가 발생된다.
그러나 지면(50)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8 내지 15미터보다 깊은 지중(51)에서는 지하침출수의 온도가 일변화 또는 연변화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깊이가 증가될수록 지하침출수(52)의 온도 또한 지중증온률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지하침출수(52)는 지중(51)에 형성된 지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비교적 수질 또한 양호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급수부(200)의 일 실시예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혼합수 공급유닛(30)에는 취수부(100), 급수부(200), 히트펌프(230), 여과부(300) 및 중수공급부(400)가 포함된다.
취수부(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며, 취수부(100)에 의해 지하침출수(52)가 수집된다.
급수부(200)는 취수부(100)에 수집된 지하침출수(52)가 히트펌프(230)를 거쳐 유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혼합유닛(10)으로 공급되는 혼합수가 히트펌프(230)를 거쳐 유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히트펌프(230, heat pump)는 일반적인 냉장고나 냉방기에 사용되는 냉각사이클과 같이 압축기, 한 쌍의 열교환기(증발기 및 응축기) 및 팽창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며, 냉매의 발열이나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현재 상당수의 히트펌프(230)가 냉방과 난방을 겸할 수 있도록 사방전환밸브(four-way valve)가 장착된다. 사방전환밸브에 의해 냉매의 유동이 전환됨에 따라 증발기는 응축기로 작용되고 응축기는 증발기로 작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트펌프(230)에 의한 냉방 및 난방이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1)에 포함된 히트펌프(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한 쌍의 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사방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이며, 이러한 히트펌프(230)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히트펌프(230) 자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1)에서 히트펌프(230)는 지하침출수(52)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혼합수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혼합수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지하침출수(52)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침출수(52)의 온도가 섭씨 18도이고 혼합수의 온도가 섭씨 5도인 경우, 히트펌프(230)에 의해 열에너지가 지하침출수(52)로부터 혼합수로 이동되도록 하여 혼합수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지하침출수(52)의 온도가 섭씨 18도이고 혼합수의 온도가 섭씨 30도인 경우에는 히트펌프(230)에 의해 열에너지가 혼합수로부터 지하침출수(52)로 이동되도록 하여 혼합수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30)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콘크리트 혼합유닛(10)으로 공급되는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급수부(200)에는 취수관(210), 저수조(220), 혼합수관(240), 급수관(250) 및 복수관(260)이 포함된다.
그리고 급수부(200)에는 취수관(210)에 설치된 취수밸브(213) 및 취수펌프(214)와, 저수조(220)에 연결된 저수관(221)과, 저수관(221)에 설치된 저수밸브(223)와 저수펌프(224)와, 혼합수관(240)에 설치된 혼합수온도센서(241)와 보조온도조절수단(242)과 혼합수밸브(243)와 혼합수펌프(244)와, 급수관(250)에 설치된 급수밸브(253)가 더 포함된다.
여과부(300)는 지하침출수(52)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여과수(53)가 생성되도록 한다. 여과부(300)에는 케이싱(310), 필터(320), 드레인관(330) 및 세척수관(350)이 포함된다.
그리고 여과부(300)에는 취수관(210)에 설치된 여과수밸브(363)와, 드레인관(330)에 설치된 드레인밸브(323)와, 세척수관(350)에 설치된 세척밸브(353)와 가압펌프(354)가 더 포함된다.
중수공급부(400)는 히트펌프(230)를 거친 여과수(53)를 원료이송장치(11)나 보조원료이송장치(12)의 세척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중수공급부(400)에는 복수관(260)에 설치된 제1 전환밸브(420)와, 제1 전환밸브(420)에 연결된 제1 중수관(410)이 포함된다. 그리고 중수공급부(400)에는 제1 중수관(410)에 설치된 중수밸브(413)와 중수펌프(414)와, 제1 중수관(410)의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환밸브(420)는 삼방향밸브(three-way valve)이다.
여과부(300)의 케이싱(3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외부가 밀폐된 용기의 형상을 갖는다. 케이싱(310)의 내부에는 필터(320)가 설치된다. 이때 필터(320)는 케이싱(310)의 내부공간을 둘로 구획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필터(320)는 지하침출수(52) 내에 포함된 이물질(P)을 거르기 위한 것으로, 필터(P)로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 메시(mesh),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된 직조물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필터(320)의 종류는 취수부(100)가 설치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이물질(P)의 양 및 종류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지하침출수(52)에 포함된 이물질(P)은 지중(51)에 서식하는 생물체, 모래, 흙 알갱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320)에 의해 내부공간이 구획된 케이싱(310)의 양측에는 취수관(210)이 연결된다. 즉, 취수관(210)을 통하여 유동되는 지하침출수(52)가 필터(320)를 통과하도록 케이싱(310)은 취수관(210)에 설치된다.
그리고 드레인관(330)의 일측은 필터(320)에 의해 내부공간이 구획되는 케이싱(310)의 양측 중 이물질(P)이 누적되는 측에 연결되며, 드레인관(330)의 타측에는 드레인(60)이 연결된다. 여기서 드레인(60)은 하수를 배출할 수 있는 하수도 또는 폐수처리장과 연결된 수로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취수밸브(213) 및 취수펌프(214)는 취수관(210) 중 취수부(100) 및 케이싱(3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취수관(210)을 통해 유동되는 지하침출수(52)가 여과부(300)를 통과한 후 저수조(220)로 유입되도록, 취수관(210)의 단부는 저수조(220)에 연결된다. 저수조(220)의 하측에는 저수관(22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저수관(221)의 타단부는 히트펌프(230)에 연결된다.
이때 여과수밸브(263)는 취수관(210) 중 케이싱(310) 및 저수조(2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취수밸브(213) 및 여과수밸브(363)가 개방되고 취수펌프(214)가 작동되면 취수부(100)에 수집된 지하침출수(52)는 취수관(210) 및 케이싱(310)과 필터(320)를 거쳐 저수조(220)로 유입된다.
여기서 필터(320)를 거치며 이물질(P)이 제거된 지하침출수(52)를 편의상 여과수(53)라 칭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침출수(52)는 대체로 수질이 양호하므로, 필터(320)를 거쳐 생성된 여과수(53)는 식수로는 부적합할 수 있으나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로서는 비교적 양호한 품질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저수조(220)에는 드레인(60)이 연결되어 저수조(220) 내에 저장된 여과수(42)의 양이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할 경우 여과수(53)가 드레인(6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필터(320)를 이용하여 다량의 지하침출수(52)를 여과하면 이물질(P)이 누적되어 필터(320)의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싱(310) 양단의 취수관(210)과 연결된 부분에 각각 압력계를 설치하고, 취수펌프(214)가 작동될 때 두 압력계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보다 커지면 필터(320)의 여과효율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케이싱(310)을 개방하여 필터(320)를 신품으로 교체하거나 아래에서 설명할 세척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세척수관(350)의 일측에는 급수구(71)가 연결된다. 여기서 급수구(71)는 청수를 공급하는 상수도에 연결된다. 세척수관(350)의 타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10)의 양측 중 여과수(53)가 유동되는 부분에 연결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취수관(210) 중 케이싱(310)과 여과수밸브(26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과수밸브(263)와 취수밸브(213)를 폐쇄하고 세척밸브(353)와 드레인밸브(333)를 개방하면 급수구(71)를 통하여 유입된 청수가 세척수관(350)을 거쳐 케이싱(310)의 내로 유입되어 필터(320)를 통과한 다음 드레인관(330)을 거쳐 드레인(60)으로 유동된다. 즉, 청수는 지하침출수(52)가 필터(320)를 통과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필터(320)를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필터(320)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P)이 청수의 유동에 의해 필터(320)로부터 분리되어 드레인(60)으로 유출되므로, 필터(320)의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만약 진흙과 같은 이물질(P)이 필터(320)에 고착되어 필터(320)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압펌프(354)를 작동시켜 청수가 고압으로 필터(32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고착된 이물질(P)이 탈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부(300)는 지하침출수(52)에 포함된 이물질(P)을 제거하며, 필터(320)에 누적된 이물질(P)을 정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여과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복수관(260)의 일단부는 히트펌프(23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취수하우징(110)에 연결된다. 저수밸브(223)가 개방되고 저수펌프(224)가 작동되면 저수조(220) 내에 저장된 여과수(53)는 히트펌프(230)로 유입된다. 그리고 히트펌프(230)로 유입된 여과수(53)는 복수관(260)을 통하여 다시 취수하우징(110) 내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지하침출수(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저수조(220)를 단열재 등으로 감싸서 여과수(53)의 온도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 히트펌프(230)로 유입되는 여과수(53)의 온도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여과수(53)가 장시간 저수조(220)에 저장될 경우에는 여과수(53)의 온도가 주변 대기의 온도에 따라 변하여 지하침출수(52)의 수온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히트펌프(230)의 작동을 중지하고 저수펌프(224)를 작동시켜 저수조(220) 내의 여과수(53)가 아래에서 설명할 제1 중수관(410)으로 유동되도록 하거나 복수관(260)을 통하여 취수부(100)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취수부(100)에 수집되는 지하침출수(52)의 양이 충분할 경우에는 취수관(210)이 직접 히트펌프(23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여과부(300)를 거친 여과수(53)가 직접 히트펌프(23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저수조(220)는 히트펌프(230)에 지하침출수(52) 또는 여과수(53)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퍼(buffer)이다. 즉, 저수조(220)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하침출수(52) 또는 여과수(53)가 중수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외에 히트펌프(230)에 지하침출수(52) 또는 여과수(53)가 공급되는 도중 일시적으로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급수부(200)는 취수부(100)에 수집되는 지하침출수(52)의 양에 따라 저수조(220)의 포함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수조(220)와 함께 저수관(221), 저수밸브(223) 및 저수펌프(224)의 포함여부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취수부(100)에 수집된 지하침출수(52)의 수질이 상당히 양호하여 필터(320)를 이용한 여과가 불필요할 경우에는 혼합수 공급유닛(30)에 여과부(30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취수관(210)에 여과부(300)의 설치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230)로 유입된 지하침출수(52) 또는 여과수(53)는 복수관(260)을 통하여 취수부(100)로 유동된다. 이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관(260)은 히트펌프(230) 및 취수부(1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히트펌프(230)에 복수관(260) 대신 드레인(60)이 연결되어 히트펌프(230)를 거친 지하침출수(52) 또는 여과수(53)가 드레인(60)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침출수(52)는 지중(51)의 지층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상당히 여과되므로 대부분 수질이 양호하다. 그리고 여과부(300)에 의해 이물질(P)이 제거된 여과수(53)의 품질은 상당히 양호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중수공급부(400)는 히트펌프(230)를 거친 여과수(52)를 중수(中水, graywater)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관(260)에는 제1 전환밸브(420)가 설치되고 제1 중수관(410)의 일단부는 제1 전환밸브(420)에 연결되며, 제1 중수관(410)에는 중수밸브(413) 및 중수펌프(414)가 설치되고 그 타단부에는 분사노즐(430)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환밸브(420)를 조절하여 히트펌프(230)를 거쳐 복수관(260)으로 유동되는 여과수(53)가 제1 중수관(410)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중수밸브(413)는 개방되고 중수펌프(414)가 작동되도록 하면 여과수(53)가 분사노즐(430)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참고로, 저수관(221)과 복수관(260)은 히트펌프(230)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배치가 되어 있을 뿐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히트펌프(230)가 작동 중이지 않을 경우에도 저수펌프(224)를 작동시키면 여과수(53)가 저수관(221)과 히트펌프(230)를 거쳐 복수관(260)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수관(210)이 저수조(220) 없이 히트펌프(230)에 직접 연결된 경우에도 취수펌프(214)를 작동시키면 지하침출수(52)가 히트펌프(230)를 거쳐 복수관(260)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1)와 같은 배처플랜트는 원료이송장치(11) 및 보조원료이송장치(12)로 자갈이나 모래 및 순환골재(재활용 골재)와 같은 골재(A)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분사노즐(430)을 이용하여 분진이 발생되는 부분에 여과수(53)가 분사되도록 하면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430)로부터 분사되는 여과수(53)가 원료이송장치(11) 및 보조원료이송장치(12)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이들에 부착된 각종 분진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사노즐(430) 대신 제1 중수관(410)의 타측이 화장실이나 청소시설 등에 연결되도록 하면 여과수(53)가 본 실시예(1)가 설치된 현장의 청소용수, 수세식 화장실의 세척수 등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1)는 지하침출수(52)를 중수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수자원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급수관(250)의 일단부는 급수구(7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히트펌프(230)에 연결된다. 여기서 급수구(70)는 앞에서 설명한 급수구(71)와 마찬가지로 청수가 공급되는 상수도에 연결된다. 혼합수관(240)의 일단부는 혼합수관(24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믹싱호퍼(14)에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밸브(253)와 혼합수밸브(243)가 개방되도록 하고 혼합수펌프(244)가 작동되도록 하면 급수관(250)을 통하여 유입된 청수가 히트펌프(230)를 거친 후 혼합수관(240)을 통하여 혼합수로써 믹싱호퍼(14)로 공급된다.
이때 히트펌프(230)는 열에너지가 지하침출수(52)로부터 혼합수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혼합수의 열에너지가 지하침출수(52)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히트펌프(230)의 작동을 조절함에 따라 급수관(250)을 통하여 히트펌프(230)를 거쳐 혼합수관(240)으로 유동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혼합수관(240)에 설치된 혼합수온도센서(24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믹싱호퍼(16)에 설치된 혼합온도센서(16)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히트펌프(230)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온도범위 내에서 레미콘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미콘 차량(20)이 레미콘을 운반할 거리와 기후를 함께 고려함에 따라 레미콘이 타설 될 때의 온도가 적절한 범위 내에 있도록, 레미콘 차량(20)에 투입되는 레미콘의 온도가 미리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절기에는 혼합수의 온도가 매우 낮아지도록 하여 레미콘이 타설될 때까지 온도가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하절기에는 레미콘에 혼합수와 함께 얼음을 첨가하기도 한다.
그리고 동절기에는 일반적으로 야외에 설치된 저장소에 보관되는 자갈, 모래 및 시멘트 등의 온도가 낮고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청수의 온도 또한 매우 낮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혼합수의 온도가 이들의 혼합이 적당한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혼합수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미콘 차량(20)으로 운반된 후 타설된 레미콘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각종 결함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경화된 콘크리트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온도조절수단(242)으로는 전열선과 같은 가열수단이나 냉동장치의 증발기와 같은 냉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보조온도조절수단(242)은 열교환기와 같이 혼합수관(240)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혼합수관(240)을 가열하거나 냉각함으로써 혼합수관(240)을 통하여 유동되는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온도조절수단(242)은 믹싱호퍼(14)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히트펌프(230)를 이용한 혼합수의 온도조절을 보조하여 더욱 정밀한 혼합수의 온도조절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혼합수 공급유닛(30)과 콘크리트 혼합유닛(10)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혹서기나 혹한기에 주변의 기온에 의해 혼합수관(240)을 통하여 유동되는 혼합수의 온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히트펌프(230)의 작동을 조절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보정하더라도 이미 혼합수관(240)을 통하여 유동 중인 혼합수의 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이때 보조온도조절수단(242)을 활용하여 혼합수의 온도가 믹싱호퍼(14)에 공급되기 직전에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수의 적절한 온도는 레미콘의 제조 시 미리 정해진 원료의 배합비, 레미콘을 타설한 후 경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콘크리트의 온도변화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다양한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상술한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도출된 값을 입력한 기억장치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 제어부가 혼합온도센서(16)와 혼합수온도센서(241) 외에 주변의 기후상태를 측정하는 온도계(도시되지 않음)와 습도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히트펌프(230) 및 보조온도조절수단(242)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온도를 갖는 혼합수가 믹싱호퍼(14)에 공급되도록 하는 과정이 완전히 자동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급수부(200)의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급수부(200)의 다른 실시예에는 제2 중수관(450), 제2 전환밸브(460) 및 수질감지센서(470)이 더 포함된다. 이들 외에 급수부(2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급수부(200)의 일 실시예와 그 구성과 작용이 대부분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전환밸브(460)는 취수관(210)에 설치되는데, 제2 전환밸브(460) 또한 제1 전환밸브(420)와 같은 삼방향밸브이다.
제2 중수관(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환밸브(460) 및 혼합수관(24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2 전환밸브(460)는 취수관(210) 중 여과부(300) 및 저수조(220) 사이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중수관(450)는 혼합수관(240)의 히트펌프(230) 및 혼합수펌프(도 1의 24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부(200)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본 실시예(1)를 운용하는 중 기후에 따라서는 히트펌프(230)를 이용한 혼합수의 온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즉,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기온차이가 큰 지역에서는 봄과 가을과 같은 간절기에 급수구(70)로부터 공급되는 청수의 온도 또는 여과수(53)의 온도가 혼합수로 사용하기 적합한 기간이 있다.
이럴 경우에는 히트펌프(230)를 작동시키지 않고 청수가 급수관(250)과 히트펌프(230)를 거쳐 혼합수관(240)으로 유동되도록 하거나, 제2 전환밸브(460)를 전환하여 여과부(300)를 거친 여과수(53)가 제2 중수관(450)을 거쳐 혼합수관(24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수조(220)에 장시간 보관된 여과수(53)의 온도가 혼합수로 사용하기 적합한 경우가 많을 경우에는 제2 전환밸브(460)가 저수관(221) 중 저수조(220) 및 히트펌프(2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여과수(53)에는 필터(320)로 여과할 수 없는 용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혼합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합성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수질감지센서(470)는 여과수(53)가 혼합수로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수질감지센서(470)는 취수관(210) 중 여과부(300) 및 제2 전환밸브(460) 사이에 설치된다.
콘크리트는 보통 pH(수소이온지수)가 12 내지 13 정도의 강염기성을 갖는다. 만약 콘크리트의 pH가 이보다 낮아질 경우 경화된 콘크리트의 부식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며, pH가 4이하의 산성을 띄게 될 경우에는 부식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어 건축물의 조기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
특히 철근이 포함된 철근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의 강염기성에 의해 부식이 방지되므로, 레미콘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혼합수에 pH가 낮아지도록 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중에 존재하는 염화이온(Cl-)은 시멘트의 수화반응, 강도발현, 수축 및 크리프(creep) 거동, 알칼리 골재반응, 철근의 부식 등 다양한 현상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레미콘 제조 시 혼합수에 염화이온(Cl-)이 허용범위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레미콘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수질감지센서(470)에는 취수관(210)을 통하여 유동되는 여과수(53)에 포함된 염화이온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여과수(53)의 pH를 측정하는 pH미터가 포함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암모니아, 나트륨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 등 다양한 감지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질감지센서(470)에 의해 측정된 결과값이 여과수(53)를 혼합수로 이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제2 중수관(450)을 통하여 여과수(53)가 혼합수관(2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혼합유닛(10)에서 제조되는 레미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1)는 지하침출수(52)를 히트펌프(230)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른 레미콘의 품질의 편차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양생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1)는 지하침출수(52)에 포함된 열에너지를 활용하므로 혼합수의 온도조절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중설비 및 한중설비에 의하여 골재와 혼합수 등의 온도를 관리하는 기존의 배처플랜트에 비하여, 본 실시예(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230)의 작동에 지하침출수(52)에 포함된 열에너지를 활용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므로 레미콘의 제조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이는 골재에 비하여 비열이 큰 혼합수에 포함되는 열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이 골재나 시멘트의 온도까지 관리하는 것보다 에너지 효율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1)는 지하침출수(52)가 원료이송장치(11)의 세척이나 골재(A) 이송 중 발생되는 비산 먼지의 감소 등에 사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하침출수(52)가 레미콘을 제조하는 혼합수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수자원이 크게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배처플랜트 10: 콘크리트 혼합유닛
11: 원료이송장치 12: 보조원료이송장치
13: 원료투입부 14: 믹싱호퍼
15: 믹서 16: 혼합온도센서
17: 저장호퍼 20: 레미콘 차량
21: 레미콘 투입부 30: 혼합수 공급유닛
50: 지면 51: 지중
52: 지하침출수 53: 여과수
60: 드레인 71, 72: 급수구
100: 취수부 110: 취수하우징
120: 거름관 200: 급수부
210: 취수관 220: 저수조
230: 히트펌프 240: 혼합수관
250: 급수관 260: 복수관
300: 여과부 310: 케이싱
320: 필터 330: 드레인관
350: 세척수관 400: 중수공급부
410: 제1 중수관 420: 제1 전환밸브
430: 분사노즐 450: 제2 중수관
460: 제2 전환밸브 470: 수질감지센서

Claims (8)

  1. 시멘트, 모래, 자갈 및 혼합수를 혼합하고 반죽하는 콘크리트 혼합유닛; 및 상기 혼합수를 상기 콘크리트 혼합유닛에 공급하는 혼합수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수 공급유닛은
    한 쌍의 열교환기, 압축기, 사방전환밸브 및 팽창밸브가 구비된 히트펌프;
    지중에 매설되어 지하침출수를 수집하는 취수부; 및
    상기 취수부에 수집된 상기 지하침출수가 상기 히트펌프를 거쳐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수가 상기 히트펌프를 거쳐 유동되도록 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지하침출수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상기 혼합수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상기 지하침출수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취수부는
    상기 지중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거름관;
    상기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거름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거름층; 및
    하측이 상기 거름관에 연결되고 내부가 빈 용기 형상을 갖는 취수하우징;을 포함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수도 및 상기 히트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청수를 상기 혼합수로써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도록 하는 급수관;
    상기 히트펌프 및 상기 콘크리트 혼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히트펌프를 거친 상기 혼합수가 상기 콘크리트 혼합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혼합수관; 및
    상기 취수부와 상기 히트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지하침출수가 상기 히트펌프로 유동되도록 하는 취수관; 및
    상기 취수부와 상기 히트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히트펌프를 거친 상기 지하침출수가 상기 취수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복수관;을 포함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침출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공급유닛은
    상기 취수관의 상기 취수부와 상기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밀폐된 용기 형상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취수관을 통하여 유동하는 상기 지하침출수가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도록 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에 의해 구획된 상기 케이싱의 내부 중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상기 지하침출수가 유동되는 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수도에 연결된 세척수관;
    상기 세척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관을 개폐하는 세척밸브; 및
    상기 세척수관에 설치된 가압펌프;를 더 포함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공급유닛은 상기 급수부에 설치된 중수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수공급부는
    상기 복수관에 설치된 제1 전환밸브; 및
    상기 제1 전환밸브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1 중수관;을 포함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수공급부는
    상기 취수관 중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저수조 사이의 부분에 설치된 제2 전환밸브;
    상기 취수관 중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제2 전환밸브 사이의 부분에 설치된 수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전환밸브와 상기 혼합수관을 연결하는 제2 중수관;을 더 포함하는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KR1020170098411A 2017-08-03 2017-08-03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KR10182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11A KR101820270B1 (ko) 2017-08-03 2017-08-03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11A KR101820270B1 (ko) 2017-08-03 2017-08-03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270B1 true KR101820270B1 (ko) 2018-01-18

Family

ID=6102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11A KR101820270B1 (ko) 2017-08-03 2017-08-03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49Y1 (ko) 2002-08-27 2002-11-29 강원구 톱밥과 왕겨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KR101132543B1 (ko) * 2011-09-23 2012-04-02 이석환 히트펌프시스템
KR101194757B1 (ko) * 2012-02-01 2012-10-25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친환경 저탄소 배치 플랜트를 위한 레미콘 공장의 지하 골재 저장 장치
KR101662267B1 (ko) 2016-05-16 2016-10-0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49Y1 (ko) 2002-08-27 2002-11-29 강원구 톱밥과 왕겨를 이용한 고액분리 장치
KR101132543B1 (ko) * 2011-09-23 2012-04-02 이석환 히트펌프시스템
KR101194757B1 (ko) * 2012-02-01 2012-10-25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친환경 저탄소 배치 플랜트를 위한 레미콘 공장의 지하 골재 저장 장치
KR101662267B1 (ko) 2016-05-16 2016-10-0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308B1 (ko) 스마트팜과 건축물 냉난방을 위한 단일 급수방식을 이용한 지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3723968B (zh) 核电站px泵房蜗壳泵结构用混凝土及其浇筑成型的方法
CN101962997A (zh) 超厚基础大体积混凝土施工方法
CN101975087B (zh) 矿井水综合处理利用技术
CN107816082A (zh) 一种海绵屋面雨水收集再利用***
CN111792779B (zh) 一种居住区水景***
KR101820270B1 (ko) 지하침출수를 이용하는 배처플랜트
CN110453676B (zh) 一种预制能源桩构造设计及施工方法
JP4417496B2 (ja) コンクリート用骨材の温度調整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用骨材の温度調整装置並びにコンクリート製造方法
CN207557065U (zh) 一种透水路面渗透系数原位检测仪
WO2007121732A2 (de) Künstlicher wasser-warmespeicher unter der erde
CN204195995U (zh) 一种绿色建筑移动砂浆搅拌站
CN106759772A (zh) 一种初期雨水径流污染防治***及方法
JP2007178071A (ja) 地中蓄熱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9946211A (zh) 一种透水路面渗透系数原位检测仪及方法
CN104309002A (zh) 一种绿色建筑移动砂浆搅拌站
CN205472961U (zh) 一种人工湿地用填料清洗装置
CN204964345U (zh) 透水路面***渗透系数原位测试仪
CN106968439A (zh) 一种大体积混凝土构件的分级调温冷却***及方法
CN111319115B (zh) 一种基于温度控制的预制混凝土沉管控裂方法
CN217439359U (zh) 一种具有净水功能的装配式种植模块和种植屋面结构***
KR101815690B1 (ko) 축열재가 내재된 모듈형 저류조를 이용한 지열시스템
CN215568522U (zh) 一种冬季混凝土施工用输料管
KR200473291Y1 (ko) 설치 및 운용이 용이한 관정형 히트펌프 시스템
KR200482630Y1 (ko) 설치 운용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관정형 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