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15B1 -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 Google Patents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715B1
KR101816715B1 KR1020160114533A KR20160114533A KR101816715B1 KR 101816715 B1 KR101816715 B1 KR 101816715B1 KR 1020160114533 A KR1020160114533 A KR 1020160114533A KR 20160114533 A KR20160114533 A KR 20160114533A KR 101816715 B1 KR101816715 B1 KR 10181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upport
stacker
le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주
Original Assignee
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주 filed Critical 강용주
Priority to KR102016011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전동 스태커는, 하측이 지면과 맞닿아 지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와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일측이 파렛트(10)에 삽입되어 상기 파렛트(10)를 들어 올리도록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형성된 적재구동부(200) 및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100)와 별도로 이동하는 다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와 힌지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지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Stacker for bifacial pallet}
본 발명은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전동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 전동 스태커가 들어 올리는 파렛트의 종류 중, 양면이 모두 형성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전동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스태커(Stacker)란 물류 창고에서 짐을 높은 곳에 쌓아 올리거나 내릴 때 쓰는 기계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형화 되고 컴팩트한 지게차라고 할 수 있다. 스태커에 상하방향으로 짐을 움직이는 적재구동부는 전력 또는 유압으로 구동되고, 이동은 인력 또는 전동으로 구동된다. 스태커는 전후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는데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스태커는 무게중심이 앞에 있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가 적재구동부와 같은 위치에서 형성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스태커에 짐이 실렸을 때,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스태커가 움직이는 상품은 주로 파렛트라고 불리는 규격화 된 판 위에 적재되고, 스태커가 이 파렛트에 적재구동부를 삽입 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태커가 이동시키는 이 파렛트는 파렛트를 형성하는 재질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대표적인 예는 지면과 맞닿는 하면의 존재 여부이다. 이는 다시 말해, 상면과 하면이 기둥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받침부로 연결되어 양면이 존재하는 양면 파렛트와, 상기 양면 파렛트의 구성 중, 하측에 면이 빠진 단면 파렛트로 나뉘는데, 도 1은 상술한 두 종류의 파렛트의 사진이으로 도 1의 상측은 도 1의 상측은 하면이 없는 단층 파렛트를, 도 1의 하측은 상면과 하면이 서로 연결된 양면 파렛트의 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 길이가 짧게 소형화된 스태커의 경우, 스태커를 지지하는 다리부가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스태커는 도 1의 하측에 도시된 양면 파렛트를 이동시키려고 할 경우, 스태커의 적재구동부와 다리부가 파렛트의 홀에 함께 삽입되어, 이 상태로 적재구동부를 들어 올리면 양면 파렛트가 파손되어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스태커에 관해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2440("이동식 전동 스태커", 2014.08.22.)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2440("이동식 전동 스태커", 2014.08.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태커를 지지하는 다리부가 전방으로 형성된 소형 스태커를 있어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전동 스태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전동 스태커는, 하측이 지면과 맞닿아 지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와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일측이 파렛트(10)에 삽입되어 상기 파렛트(10)를 들어 올리도록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형성된 적재구동부(200) 및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100)와 별도로 이동하는 다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구동부(20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와 힌지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지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300)의 폭은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기 파렛트(10)에 삽입된 후 또는 삽입되면서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기 파렛트(1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210)에 의해 상승한 뒤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렛트(10)와 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에 중단이 제1힌지부(21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는 지지대(211), 상기 지지대(211)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바퀴(212) 및 상기 지지대(211)의 일측 끝단과 제2힌지부(215)에 의해 결합되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11)는 연장되거나, 축소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10)는 유압 또는 전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를 이용하면, 양면 파렛트를 용이하게 적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형태로 분류한 파렛트의 두 종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의 제1단계 동작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의 제4단계 동작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의 제5단계 동작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의 제7단계 동작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의 지지부의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전동 스태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의 일실시예는 몸체(100), 적재구동부(200) 및 다리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하면이 지면과 맞닿아 지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이고, 후술할 상기 적재구동부(200)와 다리부(30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와 다리부(300)와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와 다리부(300)에 대하여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계가 포함되며,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는 이를 제어하기 이한 조작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판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스태커의 구동방향은 일반적으로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형성된 방향인 전방과 그 반대방향인 후방이므로, 상기 조작판은 상기 몸체(100)의 후면에 구비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계는 유압 또는 전동으로 구동하는데, 통상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는 작은 사이즈로, 면적이 좁은 물류창고와 같은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유압보다는 전동으로 구동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구동부(200)는 상기 몸체(100)와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일측이 파렛트(10)에 삽입되어 상기 파렛트(10)를 들어 올리도록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즉 상기 적재구동부(200)는 일반적인 지게차의 전방에 형성되어 짐을 들어 올리는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적재구동부(200)에 끼워진 상기 파렛트(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파렛트(10)의 상부에 적재될 물품을 높은 곳에 쌓거나 이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적재구동부(200)에 끼워지는 상기 파렛트(10)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하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듯 양면 파렛트이다. 따라서 상기 파렛트(1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삽입되는 구멍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렛트(10)에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삽입되는 방식은 사용자가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상기 파렛트(10)에 관통형성된 구멍과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강시킨 후에,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상기 파렛트(10)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몸체(100)를 전진시켜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상기 파렛트(10)에 삽입하는 방식이다.
상기 적재구동부(20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와 힌지 결합하여 회동하며, 전동 또는 유압으로 동작하는 지지부(21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10)는 지지대(211), 바퀴(212) 및 실린더부(213)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11)는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에 중단이 제1힌지부(21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한다. 상기 지지대(211)가 회동하는 동작은 도 7a, 7b, 7c에 차례대로 도시되어 있으며, 회동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적재구동부(200) 자체를 들어 올리는 높이가 달라진다. 상기 지지대(211)의 동작 예시는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구동부(200) 및 상기 적재구동부(200)에 끼워진 파렛트(10)를 지지하며, 회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적재구동부(200) 및 파렛트(10)를 더 들어올리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대(211)는 연장되거나, 축소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는 대표적으로 다단 피스톤과 같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214)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이는 후술할 상기 실린더부(213)와 제2힌지부(215)에 의해 회동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지지대(211)가 회동하는 범위는, 상기 지지대(211)와 적재구동부(200)가 이루는 각도로 표현하며, 상기 지지대(211)가 회동하는 범위는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기준 0도에서 90도까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212)는 상기 지지대(211)의 타측 끝단에 결합한다. 상기 바퀴(212)는 상기 지지대(211)가 회동하여 상기 적재구동부(200) 및 파렛트(10)를 지지했을 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바퀴(212)가 지면에 맞닿아 상기 적재구동부(200) 및 파렛트(10)를 지지할 때, 상황에 상기 바퀴(212)가 이동하여, 스태커 자체가 미끄러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전동 또는 유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 또는 유압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저항이 커 상기 바퀴(212)가 스스로 돌아가지 않아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실린더부(213)는 유압 또는 전동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로써, 동작여부에 따라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 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211)의 일측 끝단과 제2힌지부(215)에 의해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시킨다. 이 과정은 도 7a 내지 7c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는 상기 실린더부(213)가 우측에 위치했을 때이고, 도 7b는 상기 실린더부(213)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시켰을 때이며, 도 7c는 상기 실린더부(213)가 완전히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211)와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제1힌지부(214)는 고정되어 있는데 반해, 상기 제2힌지부(215)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지지대(211)와 실린더부(213)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힌지부(214)와 제2힌지부(215)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를 연결하는 구성 도 7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피스톤 구조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지지부(210)의 동작 이유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때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300)는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100)와 별도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다리부(300)는 지면과 맞닿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으나, 통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가 결합되어 지면상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다리부(300)가 지면과 이격되거나 맞닿도록 조정 가능한 이격장치를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일측이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끼워지고,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타측이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100)와 별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타측이 돌출된 것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몸체(100)와 다리부(300)가 함께 이동하고자 할 때, 상기 다리부(300)가 따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100)와 다리부(300)간의 결합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와 다리부(300)가 함께 이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고정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몸체(100)와 다리부(30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리부(300)만 따로 이동할 때에는 반대로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중 일부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의 이용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7단계로 나뉜다.
도 3은 상기 제1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구동부(200)는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다리부(300)와 면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구동부(200) 및 다리부(300)의 전방에는 상기 파렛트(10)가 위치한다. 즉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파렛트(10)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가 서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준비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스태커를 지지하는 부분 A와 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300)에 형성된 바퀴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바퀴이다.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몸체(10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렛트(10)에 상기 적재구동부(200) 및 다리부(30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파렛트(10)의 경우 하면이 얇은 형태이고, 상기 다리부(300)에 형성된 바퀴가 지면과 맞닿더라도 상기 파렛트(10)의 하면을 타고 올라가 상기 파렛트(10)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파렛트(10)의 하면이 두꺼운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상술한 상기 다리부(300)와 지면의 이격을 조절할 수 있는 상기 이격장치를 통해 상기 다리부(300)를 지면과 이격시킨 후,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파렛트(10) 안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별도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으며, 후술할 제3단계와 함께 도면으로 표현한다.
제3단계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전방 끝단에 형성된 지지부(210)를 하측으로 연장해 지면과 맞닿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지부(210)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맞닿으면,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를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바퀴와 상기 지지부(210)의 하측 끝단이 된다. 이러면,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몸체(100)와 따로 이동하는데 큰 마찰이 생기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다리부(300)를 이동시키는 단계가 제4단계이다.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지지부(210)를 하측으로 연장시키는 방법은 상기 실린더부(213)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211)와 지면 또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와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상기 지지대(211)가 다 펴지지 않은 상태이다.
도 4는 상기 제2단계,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거친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를 지지하는 부분 A와 A'는 상기 지지부(210)의 하측 끝단인 바퀴(212)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바퀴가 되게 된다.
상기 제2단계,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간략화 해서, 상기 다리부(3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기 파렛트(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300)의 끝단에는 거리센서(310)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00)가 상기 거리센서(310)를 포함할 경우, 상기 다리부(300)의 작동은 이렇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적재구동부(200)와 다리부(300)는 서로 면접한다. 이 상태로 상기 제2단계를 진행하면, 상기 적재구동부(200)와 다리부(300)는 함께 상기 파렛트(10)를 향해 전진하는데, 상기 거리센서(310)는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파렛트(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경보음과 같은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는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태커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제5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지지부(210)를 하측으로 더 연장시켜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승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5단계를 하는 이유는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승강시켜 상기 다리부(300)를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5단계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태커를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210)의 하측 끝단의 바퀴(212)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바퀴이며, 따라서 이때에도 상기 다리부(300)의 이동은 자유롭다.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제3단계 또는 제4단계 보다 더 들어올리려면,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시켜 상기 지지대(211)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게 하면 된다.
도 6은 제6단계 및 제7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렛트(10)의 아래로 위치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제7단계는 상기 적재구동부(200)를 더 승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다리부(300)가 상기 파렛트(10)의 아래로 위치시킨 후, 상기 제7단계에 따라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210)가 연장 가능한 길이 즉, 상기 지지대(211)의 길이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210)의 하측 끝단인 바퀴(213)는 지면과 떨어지게 되고,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를 지지하는 부분 A 및 A'는 상기 다리부(300)에 형성된 바퀴 및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바퀴로 옮겨간다. 상기 지지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구동부(200)에 수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파렛트
100 : 몸체
200 : 적재구동부
210 : 지지부
211 : 지지대
212 : 바퀴
213 : 실린더부
214 : 제1힌지부
215 : 제2힌지부
300 : 다리부
310 : 센서부
A, A' : 지지부분

Claims (4)

  1. 하측이 지면과 맞닿아 지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와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일측이 파렛트(10)에 삽입되어 상기 파렛트(10)를 들어 올리도록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형성된 적재구동부(200); 및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100)와 별도로 이동하는 다리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구동부(20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와 힌지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지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300)의 폭은 상기 적재구동부(200)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기 파렛트(10)에 삽입된 후 또는 삽입되면서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적재구동부(200)가 상기 파렛트(1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210)에 의해 상승한 뒤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렛트(10)와 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적재구동부(200) 내부에 중단이 제1힌지부(21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는 지지대(211),
    상기 지지대(211)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바퀴(212) 및
    상기 지지대(211)의 일측 끝단과 제2힌지부(215)에 의해 결합되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211)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부(2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1)는
    연장되거나, 축소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0)는
    유압 또는 전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KR1020160114533A 2016-09-06 2016-09-06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KR10181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33A KR101816715B1 (ko) 2016-09-06 2016-09-06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33A KR101816715B1 (ko) 2016-09-06 2016-09-06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715B1 true KR101816715B1 (ko) 2018-01-09

Family

ID=6100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33A KR101816715B1 (ko) 2016-09-06 2016-09-06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15A (ko) 2018-08-16 2020-02-26 김창수 진공 흡착 장치가 구비된 스태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266A (ja) * 2004-03-09 2005-09-22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266A (ja) * 2004-03-09 2005-09-22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15A (ko) 2018-08-16 2020-02-26 김창수 진공 흡착 장치가 구비된 스태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1819A (ko) 핸들링 로봇
WO2022134722A1 (zh) 搬运装置、仓储物流***及托盘搬运方法
JP2013047150A (ja) 物品移載装置
KR20200001323U (ko) 반전장치 및 보관함
JP2012046315A (ja) ワーク反転装置
KR101816715B1 (ko)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WO2011001472A1 (ja) 移載装置
JP2011020794A (ja) 移載装置
KR20220138671A (ko) 핸드 파렛트 지게 트럭장치
KR101457023B1 (ko) 로봇을 이용한 물건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방법
JP2009269698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移載装置
JP2000238904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3896373B2 (ja) パレット利用の荷搬送装置
JP3222203U (ja) 物品搬送機
CN210594280U (zh) 堆叠装置
KR20090093784A (ko) 위치결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치대
JPH0912284A (ja) リフト装置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JP3222277U (ja) 物品搬送機
US9121867B2 (en) Sensor and transpor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277293B2 (ja) 垂直式荷受台昇降装置
KR200343101Y1 (ko) 목재 투입 및 적재장치
JP4424172B2 (ja) 物品移載装置
JP2000351410A (ja) 物品格納装置
KR200443186Y1 (ko) 다리부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팔레트 스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