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830B1 -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830B1
KR101747830B1 KR1020160041540A KR20160041540A KR101747830B1 KR 101747830 B1 KR101747830 B1 KR 101747830B1 KR 1020160041540 A KR1020160041540 A KR 1020160041540A KR 20160041540 A KR20160041540 A KR 20160041540A KR 101747830 B1 KR101747830 B1 KR 10174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liding
lifting
pla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포
김일권
구형삼
Original Assignee
(주)한성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중공업 filed Critical (주)한성중공업
Priority to KR102016004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량물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해 기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와,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랙 및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베이스부와, 상기 이송베이스부와 연동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혹은 수축되어 승강 조절을 수행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이송베이스부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조절부에 이동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베이스부에 구비된 구동바퀴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부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장되며, 상기 승강조절부에 구비된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을 통해 상기 적재부가 상승하여 상기 중량물을 안착시키고, 기 설정된 간격만큼 쉬프트된 후, 상기 구동바퀴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부가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축되며, 상기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을 통해 상기 적재부가 하강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한 후 원래의 위치로 쉬프트되는 이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사블록을 통한 승강 동작에 따라 중량물을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 장치{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사블록을 통한 승강 동작에 따라 중량물을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 현장에서 중량물을 운반(이송)하기 위한 장비로서, 지게차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통상 지게차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고 내려주는 기능과 함께 기동성도 있어 중량물을 운반(이송)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생산라인, 주물공장 등과 같은 한정된 장소에서 각종 중량물을 이송하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효율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산업 현장에서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리프트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리프트 장치는 대부분 유압을 동력원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구동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압으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응답시간이 길어 작업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유압펌프를 비롯하여 오일탱크 등이 구비된 유압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한정된 공간에서 중량물을 어느 한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 적재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등록특허 제10-0397985호(2003.09.01.등록) : 이송 캐리어 시스템 2. 등록특허 제10-1272304호(2013.05.31.등록) : 이송대차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사블록을 통한 승강 동작에 따라 중량물을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위치 범위에서 이송베이스플레이트를 일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타측방향으로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승강조절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타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조절경사블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중량물을 안착시킨 후, 이송베이스플레이트를 타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승강조절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일단방향으로 수축되는 승강조절경사블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재함으로써, 이송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해 기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와,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랙 및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베이스부와, 상기 이송베이스부와 연동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혹은 수축되어 승강 조절을 수행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이송베이스부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조절부에 이동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베이스부에 구비된 구동바퀴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부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장되며, 상기 승강조절부에 구비된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을 통해 상기 적재부가 상승하여 상기 중량물을 안착시키고, 기 설정된 간격만큼 쉬프트된 후, 상기 구동바퀴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부가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축되며, 상기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을 통해 상기 적재부가 하강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한 후 원래의 위치로 쉬프트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사블록을 통한 승강 동작에 라 중량물을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데, 기 설정된 위치 범위에서 이송베이스플레이트를 일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타측방향으로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승강조절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타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조절경사블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중량물을 안착시킨 후, 이송베이스플레이트를 타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승강조절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일단방향으로 수축되는 승강조절경사블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재함으로써, 이송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는 슬라이딩부(110), 이동레일부(120), 이송베이스부(130), 승강조절부(140), 적재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단(일측)은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이고, 타단(타측)은 도면에서 왼쪽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슬라이딩부(110)는 중량물(W)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해 기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슬라이딩영역(111), 슬라이딩레일(112), 슬라이딩플레이트(113), 슬라이딩구(114), 랙기어(115), 제1스토퍼(116), 제2스토퍼(1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딩영역(111)은 중량물(W)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한 장소에 구비되며, 중량물(W, Weight)을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바닥면(B, Bottom)의 하부로 오목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영역(111)의 바닥면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딩레일(112)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레일(112)에 맞물려 이동되는 슬라이딩구(114)를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113)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딩구(114)는 슬라이딩레일(112)에 대응하여 다양한 롤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상부에는 랙기어(1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랙기어(115)는 구동바퀴(132)에 구비된 피니언기어(133)과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슬라이딩플레이트(113)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스토퍼(116)와 제2스토퍼(117)는 기 설정된 위치 범위의 일단 및 타단의 끝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슬라이딩레일(112)에 슬라이딩구(114)가 맞물려 슬라이딩플레이트(113)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정할 수 있다.
이동레일부(120)는 바닥면(B)에 구비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바닥면(B)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레일(도시 생략됨)이 구비됨으로써, 이동바퀴(134)의 외주에 형성된 이동가이드구(135)를 안내하여 이송베이스부(130)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베이스부(130)는 슬라이딩부(110)에 랙 및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이동레일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송베이스플레이트(131), 구동바퀴(132), 피니언기어(133), 이동바퀴(134), 이동가이드구(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베이스플레이트(131)는 수평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중량물(W)의 이송을 위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며, 그 하부에는 슬라이딩부(110)의 랙기어(115)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33)가 형성된 구동바퀴(132)가 구비될 수 있고, 구동바퀴(132)는 그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도시 생략됨)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바퀴(132)는 외주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33)와 맞물리는 슬라이딩부(110)의 랙기어(115)를 통해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상부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34)가 구비될 수 있고, 이동바퀴(134)의 외주에는 이동레일부(120)에 구비된 이동레일에 맞물려 회전되어 이송베이스플레이트(131)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가이구(13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승강조절부(140)의 제1경사블록(146)과 제2경사블록(148)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36)이 구비될 수 있다.
승강조절부(140)는 이송베이스부(130)와 연동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혹은 수축되어 승강 조절을 수행하는 것으로, 승강조절플레이트(141), 랙기어(142), 고정실린더(143), 신축실린더로드(144), 제1연결구(145), 고정구(146), 제1경사블록(147), 제2연결구(148), 제2경사블록(1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조절플레이트(141)는 구동바퀴(132)의 피니언기어(133)에 맞물리는 랙기어(142)가 하부에 형성되어 구동바퀴(132)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실린더(143)는 별도의 위치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마련된 중공부에 신축실린더로드(144)가 삽입되거나 돌출됨으로써, 타단으로 연장되거나 일단으로 수축됨으로써, 제1연결구(145) 및 제2연결구(148)를 통해 연결된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이 일단방향 또는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승강조절플레이트(141)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제1연결구(145)에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구(146)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바퀴(132)의 일방향(반시계방향) 회전 또는 타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승강조절플레이트(141)가 타단으로 이동하거나 일단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축실린더로드(144)가 고정실린더(143)에서 돌출되어 타단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고정실린더(143)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단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한편, 제1경사블록(147)과 제2경사블록(149)은 상부면이 타단방향으로 경사진 영역과 일단방향으로 평평한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데, 제1연결구(145) 및 제2연결구(148)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이송베이스플레이트(131)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36)을 따라 타단방향 또는 일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부(150)에 구비된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의 각 경사진 영역과 맞닿아 안착플레이트(153)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적재부(150)는 이송베이스부(13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승강조절부(140)에 이동에 따라 승강되어 중량물을 적재하는 것으로, 승강실린더(151), 승강실린더로드(152), 안착플레이트(153), 제1승강경사블록(154), 제2승강경사블록(1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실린더(151)는 이송베이스플레이트(131)에 하부가 고정 지지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며, 그 내부 중공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실린더로드(15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실린더로드(152)의 상부에는 중량물(W)을 안착,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는 안착플레이트(153)가 구비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153)의 하부에는 제1경사블록(147)과 제2경사블록(149)에 대응하여 제1승강경사블록(154)과 제2승강경사블록(15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은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경사진 영역에 대응하여 그 하부면이 일단방향으로 경사진 영역과 타단방향으로 평평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경사진 영역에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의 경사진 영역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일단방향 이동 또는 타단방향 이동에 따라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이 경사지게 하강 또는 상승됨으로써, 그 상부에 구비되는 안착플레이트(153)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타단 끝단부가 제2스토퍼(117)에 맞닿아 있고, 승강조절플레이트(141)의 일단 끝단부의 위치가 제1스토퍼(116)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기준선에 맞닿아 있으면서 피니언기어(133)과 랙기어(115, 142)를 통해 서로 구동바퀴(132)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구동바퀴(132)가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송 장치가 스키드라인(S.L, SKID LINE)에 적재되어 있는 중량물(W)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바퀴(132)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구동바퀴(132)에 연결된 슬라이딩플레이트(113)는 일단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조절플레이트(141)는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조절플레이트(141)의 타단방향 이동에 따라 고정구(146)와 연결된 제1연결구(145)가 고정실린더(143)와 고정실린더로드(144)를 이용한 실린더 방식으로 수평 연장되어 타단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타단에 연결된 제1경사블록(147), 제2연결구(148) 및 제2경사블록(149)이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경사진 상부면에 맞닿아 있는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의 경사진 하부면을 통해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을 경사지게 밀어올리고, 이에 따라 안착플레이트(153)가 스키드라인(S.L)의 높이를 향해 상승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바퀴(132)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일단 끝단부가 제1스토퍼(116)에 도달하면서 승강조절플레이트(141)의 타단 끝단부의 위치가 제2스토퍼(117)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기준선에 맞닿아 있는 위치에 도달할 경우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과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이 서로 경사지게 이동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153)가 스키드라인(S.L)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중량물(W)을 안착플레이트(153)의 상부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바퀴(132)가 계속 회전할 경우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타단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하면서 승강조절플레이트(141)의 일단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구동바퀴(132)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구(146)와 연결된 제1연결구(145)가 고정실린더(143)와 고정실린더로드(144)를 이용한 실린더 방식으로 수평 연장되어 타단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되며, 그 타단에 연결된 제1경사블록(147), 제2연결구(148) 및 제2경사블록(149)이 타단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이송베이스플레이트(131)가 타단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구비된 적재부(150)의 안착플레이트(153)도 기 설정된 간격만큼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안착플레이트(153)는 도 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로 상승하며,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평평한 상부면에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의 평평한 하부면이 맞닿은 상태가 되면서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2와 도 3의 과정에서, 안착플레이트(151)에 안착된 중량물(W)은 상부에서 보는 전후방향 기준으로 일정 거리만큼 쉬프트되면서 스키드라인(S.L)에 위치하는 중량물(W)을 안착플레이트(153)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구동바퀴(132)가 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구동바퀴(132)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조절플레이트(141)는 일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프레이트(113)는 타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경사진 상부면에 맞닿아 있는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의 경사진 하부면을 통해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을 경사지게 내려가게 되며, 이에 따라 안착플레이트(153)가 하강하고, 이 과정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중량물(W)을 적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바퀴(132)가 계속 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슬라이딩플레이트(113)의 타단 끝단부가 제2스토퍼(117)에 도달한 후, 승강조절플레이트(141)는 계속 일단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실린더(143)에 신축실린더로드(144)가 삽입되면서 제1경사블록(147) 및 제2경사블록(149)의 경사진 상부면에 맞닿아 있는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의 경사진 하부면을 통해 제1승강경사블록(154) 및 제2승강경사블록(155)을 경사지게 내려가게 되며, 이에 따라 안착플레이트(153)가 하강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도 1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후, 도 1 내지 도 5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중량물(W)을 스키드라인(S.L)의 어느 하나의 위치(즉, 원래 적재된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즉,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사블록을 통한 승강 동작에 따라 중량물을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위치 범위에서 이송베이스플레이트를 일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타측방향으로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승강조절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타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조절경사블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중량물을 안착시킨 후, 이송베이스플레이트를 타측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승강조절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일단방향으로 수축되는 승강조절경사블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재함으로써, 이송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슬라이딩부 111 : 슬라이딩영역
112 : 슬라이딩레일 113 : 슬라이딩플레이트
114 : 슬라이딩구 115 : 랙기어
116 : 제1스토퍼 117 : 제2스토퍼
120 : 이동레일부 130 : 이송베이스부
131 : 이송베이스플레이트 132 : 구동바퀴
133 : 피니언기어 134 : 이동바퀴
135 : 이동가이드구 136 : 가이드레일
140 : 승강조절부 141 : 승강조절플레이트
142 : 랙기어 143 : 고정실린더
144 : 신축실린더로드 145 : 제1연결구
146 : 고정구 147 : 제1경사블록
148 : 제2연결구 149 : 제2경사블록
150 : 적재부 151 : 승강실린더
152 : 승강실린더로드 153 : 안착플레이트
154 : 제1승강경사블록 155 : 제2승강경사블록

Claims (5)

  1. 중량물을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해 기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와,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랙 및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베이스부와,
    상기 이송베이스부와 연동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혹은 수축되어 승강 조절을 수행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이송베이스부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승강조절부에 이동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베이스부에 구비된 구동바퀴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부가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장되며, 상기 승강조절부에 구비된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을 통해 상기 적재부가 상승하여 상기 중량물을 안착시키고, 기 설정된 간격만큼 쉬프트된 후, 상기 구동바퀴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부가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축되며, 상기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을 통해 상기 적재부가 하강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한 후 원래의 위치로 쉬프트되는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딩구가 구비된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이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상기 일단방향 또는 타단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실린더 방식으로 신장되고, 상기 구동바퀴에 형성된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승강조절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플레이트를 상기 일단방향 또는 타단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경사블록의 경사진 상부면과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승강경사블록의 경사진 하부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경사블록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진 상부면 및 경사진 하부면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이송 장치.
KR1020160041540A 2016-04-05 2016-04-05 이송 장치 KR10174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40A KR101747830B1 (ko) 2016-04-05 2016-04-05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40A KR101747830B1 (ko) 2016-04-05 2016-04-05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830B1 true KR101747830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540A KR101747830B1 (ko) 2016-04-05 2016-04-05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8080A (zh) * 2022-05-07 2022-09-02 铜陵有色兴铜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同步式的过渡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678U (ja) 1997-10-31 1998-07-31 武 林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
JP2000191291A (ja) 1998-12-24 2000-07-11 Kyushu Sanki Kk 重量物搬送台車及び重量物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KR20110000864A (ko) 2009-06-29 2011-01-06 윤영만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678U (ja) 1997-10-31 1998-07-31 武 林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
JP2000191291A (ja) 1998-12-24 2000-07-11 Kyushu Sanki Kk 重量物搬送台車及び重量物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KR20110000864A (ko) 2009-06-29 2011-01-06 윤영만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8080A (zh) * 2022-05-07 2022-09-02 铜陵有色兴铜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同步式的过渡台
CN114988080B (zh) * 2022-05-07 2023-09-29 铜陵有色兴铜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同步式的过渡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KR2017010681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JP5963183B1 (ja) ベルトコンベヤー装置
JP2023540634A (ja) 搬送装置、倉庫物流システム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US20090127001A1 (en) Pipehandler
KR2017010694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834501B1 (ko) 손수레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863837B1 (ko) 이송 장치
CN110155856B (zh) 安葬工作***及运载平台对位方法
CN110612261B (zh) 容器更换设备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KR101738810B1 (ko)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101567462B1 (ko) 중량물 이송정렬장치
CN209922810U (zh) 搬运车
KR102006394B1 (ko)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CN112079295A (zh) 可上车式电动堆高机
JP6740811B2 (ja) バンニング・デバンニング装置
KR20160101512A (ko)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