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926B1 -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926B1
KR101812926B1 KR1020170077680A KR20170077680A KR101812926B1 KR 101812926 B1 KR101812926 B1 KR 101812926B1 KR 1020170077680 A KR1020170077680 A KR 1020170077680A KR 20170077680 A KR20170077680 A KR 20170077680A KR 101812926 B1 KR101812926 B1 KR 10181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car
patter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은
Original Assignee
나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은 filed Critical 나승은
Priority to KR102017007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카 운행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카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패턴 데이터를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와,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패턴 비교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자체의 이상 유무를 보다 효율적이고도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이와 더불어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사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와 관련한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무 및 사고의 발생 여부 등을 감지하여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통상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엘리베이터카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설치되는 장소의 저층과 고층을 수직으로 이동하여, 인력 및 화물을 저층과 고층으로 수송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사용시간 누적과 부속품의 노후 또는 고장 등으로 종종 사고가 발생된다.
이에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및 고장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다양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수명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2098호에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시스템은 구동부, 전원공급부, 구동제어부 및 센싱부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구동부의 진동, 속도, 온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행하는 구동점검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와 상기 센싱부의 고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제어상황검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점검부, 전류감지부 및 제어상황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진단함으로써, 상기 진단된 데이터에 따라 고장진단과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수명(내구년한)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하는 것으로, 부품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어 미리 점검을 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점검을 미루거나 해당 부품의 교체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위험요소를 소지한 채 운행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관리자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점검이 이루어지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은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이므로, 조속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람(사용자)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함에 있어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행시키는 시스템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204호에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가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제어부와, 동력제어부와, 도어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정전 시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수 있도록 DC전원을 AC전원으로 전환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컨트롤러가 설치된 동력제어부, 상기 동력제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제어부가 엘리베이터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고장 상황의 감지에 의한 경우 다소 늦은 대처 또는 피동적인 대처에 머무를 수 밖에 없으며, 이를 감시하는 관리자의 부재시에는 이를 인지한 후 조치를 취해야하는 적기를 놓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장의 유무를 보다 능동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각종 사고의 발생 유무를 예측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알리는 수단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카 운행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카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패턴 데이터를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와,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패턴 비교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각 부품의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를 진단하는 진단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각각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소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수집하는 제2 소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 고장들의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을 포함하여 조합된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2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진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추정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의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한 고장 내역이 저장되는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고장에 대응하여 교체되거나 수리된 부품의 내역이 저장되는 부품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부품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정된 고정 유형에 대응하는 고장 이력과 부품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확률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관리부의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기 설정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1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유형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자체의 이상 유무를 보다 효율적이고도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이와 더불어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사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와 관련한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및 카 구동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카(110)와 카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10)는 승객을 태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10) 내에 구비된 제어 패널 등의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층 간을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카 구동부(150)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의 제어 패널의 입력에 따라 작동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운행하는 관련 구성들과 엘리베이터 카(110)의 안정과 관련된 구성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카 구동부(150)는 와이어 로프, 고정 도르레, 카 완충기 등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00)는 진동, 소음, 탑승자의 탑승 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안전관리부(300)는 작동 제어부(190) 등으로부터 전달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나 센싱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관리에 관한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또한 안전관리부(300)는 정보 제공부(400)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10) 내로 전송되는 광고 기타 정보들의 선택 또는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400)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에 구비되는 정보 제공장치 등에 표시될 정보들을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관련된 제품들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영상이나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매체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 공간에서 각종 정보와 광고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제공하는 양방향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인 동시에 방송, 통신, 광고, 인터넷, 공공서비스 같은 다양한 분야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광고의 융합 플랫폼이기도 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400)는 기 설정된 광고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주변의 층별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및 카 구동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카(110) 및 카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카(110)는 정보제공수단(103)과 제어 패널(101)을 포함한다. 정보제공수단(10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광고나 엘리베이터 주변의 CCTV 영상들을 전송하는 구성부이다.
또한 비상 시 안전관리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의 탑승객들에게 비상 상황의 대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비상 시의 탑승객들과의 양방향 소통을 위한 입출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 패널(101)은 엘리베이터에 구비되어 탑승객들이 목적하는 층 수를 입력받는 구성부이며, 기본적인 목적 층의 입력 이외에 도어의 개방 입력이나 폐쇄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관리자와의 통화를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 패널(101)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작동 제어부(190)로 전송되며, 작동 제어부(19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카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카 구동부(150)는 와이어 로프(151), 고정 도르레(153) 및 카 완충기(155) 등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 구동부(150)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의 제어 패널(101)의 입력에 따라 작동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운행하는 관련 구성들과 엘리베이터 카(110)의 안정과 관련된 구성들을 의미한다. 카 구동부(150)는 와이어 로프(151), 고정 도르레(153), 카 완충기(155) 등의 구성들 이외에도 종래의 알려진 엘리베이터 작동 및 안전에 관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카 구동부(150)와 엘리베이터 카(110)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200)는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싱부는 진단 센서(201), 진동센서(203) 및 소음센서(2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진단 센서(201)는 엘리베이터 카(110) 및 카 구동부(150)에 포함되는 각 부품들의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를 진단한다. 종래에는 다양한 진단 센서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각종 부품들의 이상 증후나 고장 여부들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센서(203)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각각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평 진동의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의 수평방향 이동이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으며, 수직 진동의 경우 무게 센서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와이어 로프에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충격을 측정함으로써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음센서(205)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을 측정하는 제1 소음센서와, 엘리베이터 카 외측의 소음, 특히 카 구동부(150)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제2 소음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소음센서가 감지하는 데이터의 경우 엘리베이터 내의 소음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또는 사건 등의 발생을 예측하는 데이터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제2 소음센서가 감지하는 데이터는 카 구동부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관련된 안전성을 예측하는 데이터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센싱부(200)는 이러한 감지된 데이터를 작동 제어부(190)로 전달하여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전관리부(300)로 전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안전관리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관리 제어부(301), 패턴 비교부(303) 및 패턴 조합부(305)를 포함한다. 안전관리부(300)는 작동 제어부(190), 엘리베이터(100)와 센싱부(2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달받아 엘리베이터(100)의 안전운행에 관한 상황판단 또는 엘리베이터 내 사건/사고 유무에 관한 상황판단을 하여 엘리베이터(100)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안전관리부(300)는 다양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관리부(300)는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 고장 이력 데이터베이스, 부품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는 두 가지 타입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첫째,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에는 엘리베이터 카와 카 구동부에 관련된 부품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 발생 고장들의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기 설정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장 유형별 기준 패턴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에 관련한 데이터의 진폭과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에 관련한 데이터의 진폭을 하나의 인자로 하고, 측정 시간을 하나의 인자로 하는 종합 패턴이 조합하여 저장된다.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사건 등의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급 환자의 발생에 따른 진동 및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의 발생을 미리 패턴화하여 저장하거나, 강력 사건의 유형 별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미리 패턴화하여 저장한 후 이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사고 및 사건의 판단의 기준 자료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 발생한 사건 및 사고의 경우 앞서 설명한 센싱부의 측정 데이터들을 다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는 기 발생한 고장 내역 및 수리 내역이 저장되며, 부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고장 내역에 관하여 교체, 수리 교환 등의 처리가 완료된 부품 별 이력 데이터가 저장된다.
패턴 조합부(305)는 작동 제어부(190), 센싱부(200) 및 엘리베이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앞서 설명한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가 가능하도록 패턴 데이터로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턴 비교부(303)는 기준 패턴 데이터와 측정 후 조합된 패턴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고장 등의 판별 또는 사건/사고 등의 유무 가능성을 판별하게 된다. 패턴 조합부(305)와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들은 복수의 데이터가 아닌 단일의 패턴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데이터, 소음 데이터 등을 개별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패턴 데이터, 예를 들면 그래프를 기반으로하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패턴의 비교 및 후술할 패턴 조합부(305)에 의한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패턴 조합부(305)는 하나하나의 개별적인 데이터 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데이터가 형성하는 패턴 데이터로 변환한 후 기준 패턴 데이터와 측정된 패턴 데이터의 일치 확률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턴 조합부(305)는 센싱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술한 제1 및 제2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패턴 비교부(303)는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패턴 비교부(303)는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고장 유형별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을 추정하는 경우, 센싱부(200)의 진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추정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의 확률을 산출 또는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패턴 비교부(303)는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부품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정된 고정 유형에 대응하는 고장 이력과 부품의 교체 등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확률을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교체 후 기간이 많이 경과되었거나, 고장 또는 교체가 잦은 부품일수록 비례하여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패턴 비교부(303)는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유형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종 고장 또는 고장 징후와 관련된 기준 패턴 데이터 및 사건/사고와 관련된 기준 패턴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패턴 데이터로 조합한 후 이를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고정 등의 구성면에서의 안전관리 뿐 아니라 사건 사고 등 엘리베이터 구성 외적인 면에서의 안전관리도 가능하다.
안전관리 제어부(301)는 패턴 비교부(303)에 의한 판정 결과 특정 고장유형이나 사고 유형이 일정한 수치 이상의 확률로 산출되는 경우 이를 특정한 담당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고장이 발생하거나 고장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이를 엘리베이터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 사건 또는 사고의 발생확률이 일정 이상이 되는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에는 그 결과를 엘리베이터 내부의 영상 등과 함께 보안 담당자나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관리 제어부(301)는 정보 제공부(4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상황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로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외부의 CCTV 등을 통하여 수집된 영상 정보와 함께 고장에 대응하는 대처 정보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제공할 수 있으나, 반대로 특정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일정 이상 확률이 산출되는 경우 내부로의 정보 제공을 일시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상황을 관리자 등에게 제공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등은 이러한 안전관리부(300)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안전관리 제어부(3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 관리자 또는 보안 관리자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으로 특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보 입출력에 대한 지시를 전달받아 수행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자 또는 보안 관리자의 경우 탑승객의 개인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모르는 경우에도 소유하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안전관리 제어부(301)에 접속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내의 제어 패널 또는 정보제공수단을 활용한 의사 소통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엘리베이터
110: 엘리베이터 카
101: 제어 패널
103: 정보제공수단
150: 카 구동부
151: 와이어 로프
153: 고정 도르레
155: 카 완충기
190: 작동 제어부
200: 센싱부
201: 진단 센서
203: 진동 센서
205: 소음센서
300: 안전관리부
301: 안전관리 제어부
303: 패턴 비교부
305: 패턴 조합부
400: 정보 제공부

Claims (8)

  1. 카 운행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카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패턴 데이터를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와,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패턴 비교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각 부품의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를 진단하는 진단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각각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소음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수집하는 제2 소음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 고장들의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을 포함하여 조합된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2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을 추정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진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추정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의 확률을 산출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한 고장 내역이 저장되는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고장에 대응하여 교체되거나 수리된 부품의 내역이 저장되는 부품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부품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정된 고정 유형에 대응하는 고장 이력과 부품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확률을 보정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부의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기 설정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1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유형을 추정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70077680A 2017-06-20 2017-06-20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1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680A KR101812926B1 (ko) 2017-06-20 2017-06-20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680A KR101812926B1 (ko) 2017-06-20 2017-06-20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926B1 true KR101812926B1 (ko) 2018-01-30

Family

ID=6107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680A KR101812926B1 (ko) 2017-06-20 2017-06-20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561A (ko) * 2018-07-24 2021-01-27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방문 관리 기능을 구비한 콘텐츠 배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468A (ja) * 2004-03-02 200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468A (ja) * 2004-03-02 200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561A (ko) * 2018-07-24 2021-01-27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방문 관리 기능을 구비한 콘텐츠 배포 장치
KR102445320B1 (ko) 2018-07-24 2022-09-21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방문 관리 기능을 구비한 콘텐츠 배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KR101266761B1 (ko) 엘리베이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414296B (zh) 用于运行电梯设备的方法以及根据这种方法工作的电梯控制装置
KR20190049602A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6479949B1 (ja) エレベータドアの異常診断システム及び異常診断方法
KR101940633B1 (ko) 철도차량 객실 실시간 감시 시스템
JP2019018987A (ja) エレベーター報知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報知制御方法
KR20180134992A (ko)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JP2004161195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集中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812926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JP2002316780A (ja) 地震発生時の作業報告システム
KR102162319B1 (ko) 엘리베이터 원격 점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68935B1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JP2007197117A (ja)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の異常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診断システム
KR101504607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24732B1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062152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20200270096A1 (en) Rescue/Evacuation Self-Testing System for Traction Elevators
KR102093615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7112511B2 (ja) 人数情報取得システム、人数情報取得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4509522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2006151678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運転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並びに地震後の復旧運転を可能にするための構造を持つエレベータ装置
KR102584711B1 (ko) 스마트 예방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53302B (zh) 一种电梯监测***
KR100349266B1 (ko) 주차 및 엘리베이터 원격통합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