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94B1 -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894B1
KR101812894B1 KR1020160119359A KR20160119359A KR101812894B1 KR 101812894 B1 KR101812894 B1 KR 101812894B1 KR 1020160119359 A KR1020160119359 A KR 1020160119359A KR 20160119359 A KR20160119359 A KR 20160119359A KR 101812894 B1 KR101812894 B1 KR 10181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fiber
block copolymer
polypropylene resin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희
장병각
이승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894B1/ko
Priority to JP2019512786A priority patent/JP2019529620A/ja
Priority to PCT/KR2017/010212 priority patent/WO2018052265A2/ko
Priority to EP17851139.0A priority patent/EP3517567A4/en
Priority to US16/331,907 priority patent/US10889707B2/en
Priority to CN201780056915.6A priority patent/CN1097903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2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3/3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7Copolymers of propene with monomer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섬유복합재료에 있어,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켜 수지와 유리섬간의 계면 접착력이 극대화시키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60~93중량%; (B)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1~30중량%; 및 (C)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1~10중량%;를 포함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GLASS FIBER-REINFORCED HIGH IMPACT POLYPROPYLENE RESIN}
본 발명은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치수 안정성, 내열성 및 강성이 낮기 때문에 고강도 및 정밀성을 요구하는 부품의 소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 충진재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보강재와 수지간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 결합력이 저하되면,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가해지는 응력이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에 작용하여, 계면을 중심으로 파괴가 진행되므로, 목표로 하는 강성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종래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 제조 시, 무수 말레인산 또는 실란 화합물을 그라프트시킨 폴리올레핀을 적용하여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충분한 계면 접착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 중국공개특허 제101735398호(2010.06.16.)
- 한국공개특허 제2008-0048473호(2008.06.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에 있어,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켜 수지와 유리섬유간의 계면 접착력이 극대화시키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60~93중량%; (B)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1~30중량%; 및 (C)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1~10중량%;를 포함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이용하여 사이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무수 말레인산 함량이 0.5~3중량%이고,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 함량이 0.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에 대하여 (D)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를 5~2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옥텐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terpolymer) 및 에틸렌/헥센 블록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수 말레인산과 실란기를 동시 그라프트시킨 변성 폴리올레핀과 표면에 실란 사이징 처리된 유리섬유를 적용함으로써 수지와 유리섬유간의 계면 접착력이 향상되어 기존 대비 충격강도가 월등히 개선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 60~93중량%; (B)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1~30중량%; 및 (C)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1~10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에 대하여 (D)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를 5~2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종래 고강도 및 정밀성을 요구하는 부품 소재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에틸렌, 부틸렌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단량체가 중합된 랜덤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사용될 경우 강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60~93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80~90중량% 포함된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성분 함량과의 조합으로 유리섬유의 분산성 및 함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B)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는 강화재로서 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것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직경이 5~50㎛이고 2~8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촙(chopped) 유리섬유가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1~30중량%로 사용되고, 다른 성분 함량과의 조합으로 유리섬유의 분산성 및 함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5~15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리섬유 커플링제는 일반적으로 섬유 제조 시 또는 후공정에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실란 화합물로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C)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에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베이스 수지와 유리섬유간의 상용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이 동시에 그라프트된 상용화제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화합물로 사이징된 유리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유리섬유의 분산성 및 함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과 무수 말레인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 및 과산화물 개시제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인산 및 과산화물 개시제를 메인 피더에 동시에 투입하고,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은 액상 피더로서 사이드 피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 중 상기 무수 말레인산은 0.5~3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은 0.5~5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는 0.01~0.1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수 말레인산 함량이 0.5중량% 미만이거나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 함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 극성도가 낮아 유리섬유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무수 말레인산 함량이 3중량%를 초과하거나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할 경우 극성도가 너무 높아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라디칼을 생성시켜 해당 폴리프로필렌에 무수 말레인산 등의 그라프트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화합물로서, 중합 또는 공중합 반응에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개시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소 과산화물, 케톤 과산화물, 메틸에틸케톤 과산화물, 시클로헥산온 과산화물, 메틸이소부틸케톤 과산화물, 디아실 과산화물, 라우로일 과산화물, 이소부티릴 과산화물, 아세틸 과산화물, 2,4-디클로로벤조일 과산화물, 숙신산 과산화물, 데카노일 과산화물, 디이소노나노일 과산화물, 퍼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DTBPH,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또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수 말레인산 등과의 충분한 그라프트 반응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으며, 효과 대비 바람직한 공정 비용 확보 측면에서는 0.1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10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2~8중량% 포함된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성분 함량과의 조합으로 유리섬유의 분산성 및 함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
본 발명에서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는 향상된 유리섬유의 분산성을 유지시키면서 베이스 수지와 유리섬유의 상용성을 증가시켜 최종 제조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의 충격강도 등 전체적인 기계적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로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옥텐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terpolymer) 또는 에틸렌/헥센 블록 코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용성 향상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밀도가 0.86~0.90g/㎤이고, 용융유속(MFR, 230℃, 2.16kg 하중)이 1~15g/10min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는 상기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에 대하여 5~20중량부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15중량부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A) 폴리프로필렌 60~93중량%; (B)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1~30중량%; (C)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1~10중량%; 및 상기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에 대하여 (D)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를 5~20중량부;를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용융압출은 혼합물을 단축압출기, 이축압출기 또는 니더를 이용하여 스크류 회전속도 50~500rpm, 압출온도 150~220℃의 조건 하에서 체류시간 5~90초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도 작업자의 의도나 최종 제품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능성 첨가제의 예로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핵제, 열안정제, 슬립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각각 유리섬유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범위 내에서 전체 제조량 및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최적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술한 성분들을 혼합하는 단계에서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단계로 혼련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A) 폴리프로필렌 수지(JM-370, 롯데케미칼) 85중량%, (B) 유리섬유(직경 10~15㎛, 길이 3~4mm인 촙 유리섬유,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이용하여 침지법으로 표면 사이징됨) 10중량% 및 (C)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호모 폴리프로필렌 95.5중량%, 무수 말레인산 1중량%,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1중량% 및 DTBPH 2.5중량%) 5중량% 조성으로 헨셀 믹서로 3분 동안 혼합하여 2축 압출기(screw diameter 30mm, L/D 40)로 160~200℃, 스크류 회전속도 400rpm의 압출 조건으로 압출하여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을 호모 폴리프로필렌 93중량%, 무수 말레인산 1중량%,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1중량% 및 DTBPH 5중량%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을 호모 폴리프로필렌 91중량%, 무수 말레인산 1중량%,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중량% 및 DTBPH 5중량%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표면이 사이징되지 않은 유리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에틸렌 함량 8중량%) 10중량부를 함께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에틸렌 함량 8중량%) 10중량부를 함께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부 기준으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에틸렌 함량 8중량%) 10중량부를 함께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4에서 표면이 사이징되지 않은 유리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인장강도, 충격강도, 굴곡탄성률, 굴곡강도 및 밀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인장강도 : ASTM 평가법 D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충격강도 : ASTM 평가법 D256에 따라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률 및 굴곡강도 : ASTM 평가법 D790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6090355216-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및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최적 조합 구성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충격강도를 포함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를 최적 함량으로 더욱 첨가하여 제조할 경우(실시예 4 내지 6) 현저한 물성 향상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로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최적 함량으로 사용하더라도 실란기로 사이징되지 않은 일반 유리섬유를 적용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폴리프로필렌 60~93중량%; (B) 실란기로 사이징된 유리섬유 1~30중량%; 및 (C) 무수 말레인산 및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이 동시에 그라프트되어 변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1~1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이용하여 사이징된 것이고,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무수 말레인산 함량이 0.5~3중량%이고, 상기 메타크릴옥시실란계 화합물 함량이 0.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D)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를 5~2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옥텐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terpolymer) 및 에틸렌/헥센 블록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KR1020160119359A 2016-09-19 2016-09-19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KR10181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59A KR101812894B1 (ko) 2016-09-19 2016-09-19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JP2019512786A JP2019529620A (ja) 2016-09-19 2017-09-18 衝撃強度が向上されたガラス繊維複合材料造成物
PCT/KR2017/010212 WO2018052265A2 (ko) 2016-09-19 2017-09-18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EP17851139.0A EP3517567A4 (en) 2016-09-19 2017-09-18 FIBERGLASS COMPOSITE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US16/331,907 US10889707B2 (en) 2016-09-19 2017-09-18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CN201780056915.6A CN109790325B (zh) 2016-09-19 2017-09-18 具有提高的冲击强度的玻璃纤维复合材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59A KR101812894B1 (ko) 2016-09-19 2016-09-19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894B1 true KR101812894B1 (ko) 2018-01-30

Family

ID=6107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59A KR101812894B1 (ko) 2016-09-19 2016-09-19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89707B2 (ko)
EP (1) EP3517567A4 (ko)
JP (1) JP2019529620A (ko)
KR (1) KR101812894B1 (ko)
CN (1) CN109790325B (ko)
WO (1) WO201805226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308B1 (ko) 2019-12-24 2020-09-08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나노셀룰로오스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1221B (zh) * 2019-07-08 2022-01-11 上海圆暖高分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低气味的玻璃纤维增强聚丙烯复合材料
CN113549322B (zh) * 2021-08-02 2023-08-15 安徽省华晟塑胶股份有限公司 一种轻量化减震器弹簧垫
CN114044997B (zh) * 2021-12-18 2022-12-02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热塑性管道用的聚乙烯复合材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769B1 (ko) 2005-10-17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계 장섬유 강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도어 쉴드 모듈 플레이트 성형품
KR100854322B1 (ko) 2007-04-30 2008-08-2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JP2014208807A (ja) * 2013-03-29 2014-11-06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529A (en) * 1976-03-29 1979-03-27 Toa Nenryo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odified polyolefin
JPS58103556A (ja) * 1981-12-15 1983-06-20 Mitsubishi Petrochem Co Ltd 耐衝撃性ポリフエニレンエ−テル組成物
JPS601235A (ja) * 1983-06-20 1985-01-07 Asahi Chem Ind Co Ltd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S601236A (ja) * 1983-06-20 1985-01-07 Asahi Chem Ind Co Ltd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S61276846A (ja) 1985-06-03 1986-12-06 Mitsui Toatsu Chem Inc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689176B2 (ja) * 1989-05-30 1994-11-09 宇部興産株式会社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21208B2 (ja) * 1990-05-21 1994-03-23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TW278088B (ko) * 1992-06-24 1996-06-11 Himont Inc
DE19724835A1 (de) 1996-09-04 1998-03-05 Huels Chemische Werke Ag Verwendung von silangepfropften amorphen Poly-alpha-Olefinen als feuchtigkeitsvernetzender Klebrohstoff oder Klebstoff
CN1177623A (zh) * 1996-09-04 1998-04-01 希尔斯股份公司 硅烷接枝的无定形聚α-烯烃作为湿潮交联的粘性材料或胶粘剂的用途
JP3381535B2 (ja) * 1996-11-07 2003-03-04 チッソ株式会社 長短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複合構造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05126601A (ja) * 2003-10-24 2005-05-19 Idemitsu Kosan Co Ltd 繊維強化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EP1920001A1 (en) 2005-08-31 2008-05-14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Molding-compositions composed of filler-reinforced thermoplastic material with very good scratch resistance and soft-touch feel
EP2062936A1 (en) * 2007-11-20 2009-05-27 Borealis Technology OY Improved 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N101735398A (zh) 2009-12-14 2010-06-16 东北林业大学 一种木塑复合材料用界面相容剂及其制备方法
JP6094049B2 (ja) * 2012-04-10 2017-03-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充填材含有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9523171B2 (en) * 2013-01-25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3146075A (zh) 2013-04-10 2013-06-12 苏州旭光聚合物有限公司 一种玻纤阻燃聚丙烯及其生产方法
CN104877272B (zh) 2015-06-12 2017-01-25 广东省微生物研究所 一种抗藻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769B1 (ko) 2005-10-17 200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계 장섬유 강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도어 쉴드 모듈 플레이트 성형품
KR100854322B1 (ko) 2007-04-30 2008-08-2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JP2014208807A (ja) * 2013-03-29 2014-11-06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308B1 (ko) 2019-12-24 2020-09-08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나노셀룰로오스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2265A2 (ko) 2018-03-22
EP3517567A2 (en) 2019-07-31
US10889707B2 (en) 2021-01-12
CN109790325A (zh) 2019-05-21
EP3517567A4 (en) 2020-04-01
US20190203024A1 (en) 2019-07-04
JP2019529620A (ja) 2019-10-17
WO2018052265A3 (ko) 2018-08-09
CN109790325B (zh)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831B2 (en)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hollow glass microspheres
KR101812894B1 (ko) 충격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복합재료 조성물
KR101646396B1 (ko) 고유동, 고충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US10385193B2 (en) Polyolefin composition including hollow glass microsphe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287599B1 (ko)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조성물
AU617482B2 (en) High-melt-flow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EP1939246B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containing filler
CN109627582A (zh) 一种轻量化、高韧性和高刚性的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40220325A1 (en) Fiber-polypropylene resin composite and its pellet, and fiber-reinforced resin articles made therefrom
JPS63305148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
JP2021161315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3321059B2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S58217532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インの製造方法
JPS601236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425291B2 (ko)
JPS6381147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TWI658082B (zh) 一種輕量化高韌性高剛性聚丙烯組合物及其製法
JPH02103245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24516214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の作成方法
Yu et al. Effect of Pre-Molding Process and Additive of Injection Molded Wood/PP Composites
WO201721591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JPS601235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H0428742A (ja)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26545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S6097814A (ja) オレフイン系重合体組成物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