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36B1 -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36B1
KR101805036B1 KR1020160172305A KR20160172305A KR101805036B1 KR 101805036 B1 KR101805036 B1 KR 101805036B1 KR 1020160172305 A KR1020160172305 A KR 1020160172305A KR 20160172305 A KR20160172305 A KR 20160172305A KR 101805036 B1 KR101805036 B1 KR 10180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ver
frame
slider
battery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6017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9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post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 단자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연결된 레버 바를 구비한 회전 가능한 레버, 양측 일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양측 타면에 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끼워지는 이탈방지홈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LEVER TYPE BATTERY POST TERMINAL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포스트 단자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를 회전시켜 배터리 포스트 연결단자가 배터리 포스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포스트 단자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 전원 및 전장 부품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케이블에 연결된다. 전원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하여 배터리는 포스트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포스트에 배터리 포스트 연결단자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전원케이블에 체결되어 전원을 인가한다.
종래의 배터리 포스트 연결단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에 따라 포스트에 마운팅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 등의 부품이 별도로 필요하여, 관리해야 할 부품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때 작업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9897호 (등록일 2005년 10월 24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볼트와 너트 등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은 레버 타입의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 단자 체결구조는 양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연결된 레버 바를 구비한 회전 가능한 레버, 양측 일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양측 타면에 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끼워지는 이탈방지홈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 및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단자와 제2 단자로 구성되어 배터리 포스트에 고정되는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전부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슬라이더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전부 또는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제1 단자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누름바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프레임의 누름바를 받치는 받침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는 볼트와 너트 등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은 레버 타입의 배터리 포스트 단자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향상되고 부품 비용이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레버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연결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레버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연결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 단자 체결구조는 레버(20), 프레임(30) 및 슬라이더(4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0), 탄성체(50) 또는 연결단자(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20)는 피니언 기어(22)와 레버 바(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2)는 양측에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22)와 일체로 레버 바(23)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바(23)는 양측에 형성된 각 피니언 기어(22)를 연결하며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23)에 외력을 가하여 레버(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20)는 걸림홈(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21)은 피니언 기어(22)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1)은 후술할 커버(10)와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40)는 랙기어(42)와 이탈방지돌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랙기어(42)는 피니언 기어(22)에 맞물리게 위치할 수 있다. 랙기어(42)와 피니언 기어(22)의 결합에 따라 레버(2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슬라이더(40)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43)는 슬라이더(40)가 레버(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후술할 이탈방지홈(33)에 끼워져서 슬라이더(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40)는 단자 삽입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삽입부(41)는 후술할 연결단자(60)의 케이블 연결부(66)가 프레임(40)의 외부에 위치하여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 연결부(60)를 삽입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레임(30)은 가이드슬롯(32)과 이탈방지홈(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슬롯(32)은 슬라이더(4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40)는 가이드슬롯(32)을 따라 안내되어 프레임(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탈방지홈(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43)가 끼워져서 슬라이더(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탈방지홈(33)은 슬라이더(40)가 프레임(30)에 최소한 삽입되었을 때와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에 각각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각 위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은 누름바(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바(31)는 후술할 연결단자(60)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받침턱(65)은 두개의 턱을 생성하며 턱 사이에 홈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누름바(31)가 받침턱(65)의 홈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누름바(31)로 인하여 연결단자(60)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40)의 이동에 따른 연결단자(60)와 배터리 포스트 결합을 더욱 단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30)은 단자 관통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 관통부(34)는 연결단자(60)의 제1 단자(61)가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임(30)은 고정홈(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35)은 상술한 커버(10)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고정홈(35)은 고정돌기(12)에 끼워져서 커버(10)와 프레임(30)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홈(35)은 커버(1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프레임(30)의 각 모서리마다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는 걸림돌기(11)와 고정돌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10)는 프레임(30) 또는 연결단자(60)를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10)는 배터리 포스트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이다. 또한, 커버(10)는 레버(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걸림돌기(11)는 레버(20)의 걸림홈(21)과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레버(20)는 커버(10)와 결합하여 피니언 기어(22)와 랙기어(42)가 맞물린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커버(10)는 레버(20)와 슬라이더(40)의 안정적인 구동을 도와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돌기(12)는 프레임(30)의 고정홈(35)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홈(35)에 고정돌기(12)가 끼워져서, 커버(10)와 프레임(3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결단자(60)는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는 각각 제1 결합부(63)와 제2 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63)와 제 2 결합부(64)는 결합하여 배터리 포스트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제1 결합부(63)와 제2 결합부(64)는 반원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63)와 제2 결합부(64)가 완전히 밀착하게 되는 경우 원과 같은 형태의 홀을 형성하고 홀에 배터리 포스트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63)와 제2 결합부(64)는 각각 내측면에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로 인하여 배터리 포스트를 더욱 강하게 조여줄 수 있다.
제2 단자(62)는 프레임(30) 내부에 전부 삽입되어 위치하고, 제1 단자(61)는 슬라이더(40) 일측에 접촉되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프레임(30) 내부에 전부 또는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제1 단자(61)는 슬라이더(40) 일측에 접촉되어, 슬라이더(40)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즉,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단자(61)는 프레임(30) 내부에 일부만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의 (b)와 같은 경우에는 레버(20)를 조금 회전시켜 슬라이더(40)가 프레임(30) 내부에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단자(61)가 도 8의 (a)의 상태보다는 조금 더 프레임(3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c)와 같은 경우에는 레버를 완전히 바닥까지 회전시켜서 제1 단자(61)가 프레임(3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는 완전히 밀착되어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결단자(60)는 받침턱(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누름바(31)가 받침턱(65)을 눌러서 연결단자(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단자(60)를 고정시킨다는 것은 제1 단자(61)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단자(61)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2 단자(62)와 밀착되어 배터리 포스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받침턱(65)은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받침턱(65)은 두개의 턱을 생성하며 턱 사이에 홈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누름바(31)가 받침턱(65)의 홈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단자(60)는 케이블 연결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부(66)은 제1 단자(6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연결부(66)에는 케이블이 볼트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부(66)는 단자 삽입부(41)에 삽입되어 커버(10)의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다.
탄성체(50)는 프레임(30)과 제2 단자(6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체(50)는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가 접촉하였을 때 제2 단자(62)를 제1 단자(61)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켜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50)에 의하여 연결단자(60)까 배터리 포스트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의 체결 과정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단자(60)와 프레임(30)을 결합시킨다. 탄성체(50)를 연결단자(60)의 제2 단자(62)와 프레임(30)의 사이에 끼워서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더(40)를 프레임(30)에 결합시킨다. 프레임(30)의 가이드슬롯(32)에 슬라이더(40)를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10)를 프레임(30)에 결합시킨다. 커버(10)의 고정돌기(12)를 프레임(30)의 고정홈(35)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20)를 커버(10)에 결합시킨다. 레버(20)의 걸림홈(21)에 커버(10)의 걸림돌기(11)가 걸려서 결합시킬 수 있다.
레버(20)를 처음에 커버(10)와 결합시킬 때, 레버(20)의 위치는 레버 바(23)가 수직면을 기준으로 제2 단자(62)의 위치에 가깝게 기울어져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 바(23)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자(62)의 위치에 가깝게 기울어져 있을 때, 레버(20)가 회전하는 방향은 제1 단자(61)의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레버 바(23)를 제1 단자(61)의 위치 쪽을 당길 수 있다.
레버(20)가 제1 단자(61)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제1 단자(61)는 제2 단자(62)와 밀착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레버(20)의 회전으로 제1 단자(61)가 프레임(3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는 완전히 밀착되어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결단자(60)의 케이블연결부(66)에 케이블을 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앞선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커버
11: 걸림돌기
12: 고정돌기
20: 레버
21: 걸림홈
22: 피니언 기어
23: 레버 바
30: 프레임
31: 누름바
32: 가이드슬롯
33: 이탈방지홈
34: 단자 관통부
35: 고정홈
40: 슬라이더
41: 단자 삽입부
42: 랙기어
43: 이탈방지돌기
50: 탄성체
60: 연결단자
61: 제1 단자
62: 제2 단자
63: 제1 결합부
64: 제2 결합부
65: 받침턱
66: 케이블연결부

Claims (5)

  1. 양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연결된 레버 바를 구비한 회전 가능한 레버;
    양측 일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양측 타면에 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끼워지는 이탈방지홈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 단자와 제2 단자로 구성되어 배터리 포스트에 고정되는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전부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슬라이더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전부 또는 일부 삽입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 및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촉하였을 때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제1 단자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누름바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프레임의 누름바를 받치는 받침턱이 구비된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KR1020160172305A 2016-12-16 2016-12-16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KR10180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05A KR101805036B1 (ko) 2016-12-16 2016-12-16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05A KR101805036B1 (ko) 2016-12-16 2016-12-16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036B1 true KR101805036B1 (ko) 2017-12-12

Family

ID=6094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05A KR101805036B1 (ko) 2016-12-16 2016-12-16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53B1 (ko) * 2018-02-13 2019-08-02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CN114361722A (zh) * 2020-10-12 2022-04-15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305A (ja) * 2001-03-27 2008-11-13 Fci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305A (ja) * 2001-03-27 2008-11-13 Fci 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53B1 (ko) * 2018-02-13 2019-08-02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CN114361722A (zh) * 2020-10-12 2022-04-15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4924B2 (en) DIN rail mounted enclosur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4572465A (en) Device for installing automobile radios on automobile dash panels by frontal application and without the use of screws
EP2639943B1 (de) Elektromotor
DE102013015719A1 (de) Hebeltypverbinder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desselben
KR101805036B1 (ko) 레버 타입 배터리 포스트단자 체결구조
JP2000106066A (ja) キースイッチ
CN111435261A (zh) 固定机构及其相关电子设备
US10263399B2 (en) Multiple latching feet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2044644B (zh) 电池盖锁持机构
EP2784884B1 (en)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fastener
US7811114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mechanism
US5697814A (en) Electrical connector
JP6521066B2 (ja) コネクタ
JPH0329935Y2 (ko)
JP5993855B2 (ja) 筐体内にモジュールをロックするシステム及び取付方法
CN112448273A (zh) 一种闭锁滑动装置及双电源开关柜
DE1901074B2 (de) Elektrisches Schaltgerät oder Relais
CN206301703U (zh) 锁扣和面板开关
US7440292B2 (en) La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200492436Y1 (ko) 축 장착장치
CN213816750U (zh) 一种闭锁滑动装置及双电源开关柜
CN209883509U (zh) 一种衣柜掩门把手
JP3601873B2 (ja) 引違いガラス戸のはずれ防止装置
KR101702368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JPH05179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