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419B1 - 트랜스퍼 케이스 - Google Patents

트랜스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419B1
KR101804419B1 KR1020170032177A KR20170032177A KR101804419B1 KR 101804419 B1 KR101804419 B1 KR 101804419B1 KR 1020170032177 A KR1020170032177 A KR 1020170032177A KR 20170032177 A KR20170032177 A KR 20170032177A KR 101804419 B1 KR101804419 B1 KR 10180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input
pow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봉
진영진
김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씨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씨, 이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씨
Priority to KR102017003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52Axle units; Transfer casings for four wheel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용 엔진의 구동력을 통해 작업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트랜스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아이들축과, 상기 아이들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구동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며, 고속모드와 저속모드로 선택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초저속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들축을 초저속모드로 구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입력축의 동력이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으로 전달될 때, 상기 초저속 출력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이 가동되는 동안 유체를 펌핑하여 작업장치로 전달하는 제2 유압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퍼 케이스 {Transfer Case}
본 발명은 트랜스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용 엔진의 구동력을 통해 작업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트랜스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 차량은 험로주행시 한쪽바퀴의 구동력이 상실되더라도 동력전달이 가능하며, 눈길이나 모래길에서도 어려움 없이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심한 언덕길이나 내리막길 주행시 무게중심 변동에 따른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고, 4륜 토크 배분으로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타이어 그립력을 향상시켜 직진성이 향상되며, 4륜 토크 배분으로 선회시 코너링의 안전도가 급속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4륜 구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트랜스퍼 케이스이다.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는 4륜 구동을 작동시키기 위한 목적의 전후륜 구동 전달장치이자 트랜스미션 이외에 구비된 또 하나의 변속장치이다.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는 주철이나 알미늄의 재질로 만들어진 케이스내에 전후륜 구동을 위한 기어장치들이 구성되어진 기계장치로서,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후륜으로 보내는 동시에 전륜드라이브축과 조향축인 전륜 액슬을 통해 앞 바퀴로 동력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설, 제초, 청소 등의 작업차량의 경우 엔진의 구동력을 바퀴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를 이용하는데, 종래에는 엔진의 구동력은 차량의 주행을 위한 동력원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으며, 작업장치의 경우 별도의 동력원을 추가로 장착해 작업장치의 구동을 실시해야 하였다.
따라서 별도 동력원의 장착에 따른 비용 부담이 있었으며,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8467호: 4륜 구동차량용 트랜스퍼 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특수 목적을 위한 작업용 차량이 초저속 주행을 하는 동안 엔진의 구동력을 통해 차량의 주행 뿐 아니라 작업장치의 구동 동력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트랜스퍼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아이들축과, 상기 아이들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구동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며, 고속모드와 저속모드로 선택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초저속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들축을 초저속모드로 구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입력축의 동력이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으로 전달될 때, 상기 초저속 출력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이 가동되는 동안 유체를 펌핑하여 작업장치로 전달하는 제2 유압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입력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속모드 주행을 위해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는 고속전달부와, 상기 입력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속모드 주행을 위해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는 저속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상기 고속전달부, 저속전달부 또는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초저속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초저속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유압탱크의 유체를 펌핑하는 제1 유압펌프와, 상기 제1 유압펌프에서 펌핑되는 유체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는 서브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동력전달부는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서브 축과, 상기 서브 축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제1 피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 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전달부는 상기 선택연결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입력기어와, 상기 제1 입력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제1 피동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속전달부는 상기 선택연결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입력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제2 피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입력기어 및 제2 피동기어는 기어비가 상기 제1 입력기어 및 제1 피동기어의 기어비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구동축은 상기 차량의 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방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구동축과, 상기 차량의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후방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들축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전방구동축 및 후방구동축으로 분배하는 디퍼렌셜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디퍼렌셜유닛은 상기 제1 피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전방구동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브기어와, 상기 드라이브기어를 상기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방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방구동축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아웃풋 클러치와, 상기 드라이브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후방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웃풋 클러치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전방구동축과의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후방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전방구동축으로 전달되는 구동력과 상이한 크기의 구동력을 후방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유성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회전하는 캐리어와, 상기 전방구동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성기어와, 상기 후방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 및 전방구동축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성기어에 대향되는 상기 전방구동축의 단부에 고정된 선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는 제설, 제초, 청소와 같은 특수목적용 차량의 작업장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 없이, 차량의 주행을 위한 엔진의 구동력을 통해 차량의 주행 및 작업장치의 구동이 모두 이루어져 작업장치용 엔진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에 비해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랜스퍼 케이스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트랜스퍼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4는 제2 동력전달유닛의 서브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 케이스의 고속모드와 저속모드 및 초저속모드에 대한 각각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흐름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트랜스퍼 케이스(10)는 차량에 설치된 하우징(100)과, 상기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200)과,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아이들축(300)과, 상기 아이들축(300)과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구동축(400)과, 상기 아이들축(30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주행구동축(400)을 구성하는 전방구동축(410) 및 후방구동축(420)으로 분배하는 디퍼렌셜유닛(500)과, 상기 입력축(200)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300)에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유닛(700), 그리고 제2 동력전달유닛(700)을 통해 주행 바퀴가 구동할 때 작업장치(910)의 가동을 위해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유압펌프(9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입력축(200), 아이들축(300), 주행구동축(400), 디퍼렌셜유닛(500) 및 제1 동력전달유닛(600)과 제2 동력전달유닛(700)이 설치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입력축(2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단부가 각각 하우징(100)에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입력축(200)의 전단부에는 엔진의 변속기에 연결된 출력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는 입력축(20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력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기에서 연장되는 출력축이 상기 입력축(200)과 연결된다.
아이들축(300)은 입력축(200)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아이들축(300)은 입력축(200)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구동축(400)은 아이들축(300)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연장되 관통하는 전방구동축(410) 및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후방구동축(420)을 포함한다.
전방구동축(410)은 차량의 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후방구동축(420)은 전방구동축(41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단부가 하우징(100)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후방구동축(420)은 회전중심이 상기 전방구동축(410)의 회전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퍼렌셜유닛(500)은 후술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600)의 제1 피동기어(612)와 치합되며, 상기 전방구동축(4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브기어(510)와, 상기 드라이브기어(510)를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방구동축(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방구동축(410)에 연결하거나 상기 전방구동축(410)으로부터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아웃풋 클러치(520)와, 상기 드라이브기어(510)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후방구동축(42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웃풋 클러치(520)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510)가 상기 전방구동축(410)과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후방구동축(42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전방구동축(410)으로 전달되는 구동력과 상이한 크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성기어부(530)를 구비한다.
드라이브기어(510)는 중앙에 전방구동축(4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1 피동기어(61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는 드라이브기어(510)가 전방구동축(4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구동축(41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풋 클러치(520)는 전방구동축(410)과 드라이브기어(5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510)를 선택적으로 전방구동축(410)에 연결한다. 상기 아웃풋 클러치(52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그 클러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성기어부(530)는 상기 드라이브기어(510)에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510)와 회전하는 캐리어(531)와, 상기 전방구동축(4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캐리어(5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성기어(532)와, 상기 후방구동축(42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532) 및 전방구동축(410)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5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된 링기어(533)와, 상기 유성기어(5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성기어(532)에 대향되는 상기 전방구동축(410)의 단부에 고정된 선기어(534)를 구비한다.
캐리어(531)는 후단부가 상기 후방구동축(420)의 전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535)와, 상기 본체(535)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510)의 후단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36)를 구비한다.
본체(535)는 후단부가 후방구동축(420)의 전단면에 인입되어 후방구동축(420)에 결합되는데, 회전중심이 후방구동축(420)의 회전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36)는 본체(535)의 전단부에, 본체(535)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536)는 가장자리에 드라이브기어(510)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5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537)는 고정부재(53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드라이브기어(510)의 후단면에 각각 볼팅된다. 상기 고정돌기(537)에 의해 캐리어(531)는 드라이브기어(510)와 함께 회전한다.
유성기어(532)는 상기 고정돌기(53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성기어(532)는 차량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고정돌기(537)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링기어(533)는 후단부가 후방구동축(42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유성기어(532), 캐리어(531) 및 전방구동축(410)의 후단부가 인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캐리어(531)의 후단부는 링기어(533)를 관통하여 후방구동축(420)에 고정된다.
링기어(533)의 내주면에는 유성기어(532)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캐리어(531)의 본체(535)는 베어링에 의해 상기 링기어(533)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선기어(534)는 링기어(533) 내측으로 인입된 전방구동축(410)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유성기어(532)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퍼렌셜유닛(5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구동축(410)과 후방구동축(420)에 동일한 구동력을 전달할 경우, 아웃풋 클러치(520)를 작동시켜 드라이브기어(510)가 전방구동축(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드라이브기어(510)를 전방구동축(410)에 고정시킨다. 아이들축(300)의 구동력은 제1 피동기어(612) 및 드라이브기어(510)를 통해 전방구동축(410)에 전달되고, 동일한 구동력이 드라이브기어(510) 및 유성기어부(530)를 통해 후방구동축(420)에도 전달된다.
다음, 전방구동축(410)과 후방구동축(420)에 각가 상이한 구동력을 전달할 경우, 아웃풋 클러치를 통해 드라이브기어(510)가 전방구동축(410)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전방구동축(410)에 대한 드라이브기어(5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아이들축(300)의 구동력은 제1 피동기어(612)를 통해 드라이브기어(510)에 전달되고, 드라이브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캐리어(531)가 회전한다. 캐리의 회전에 따라 유성기어(532)가 회전하며 링기어(533)를 회전시키고, 링기어(533)의 회전에 따라 후방구동축(420)이 회전한다. 또한, 유성기어(532)의 회전에 따라 선기어(534)도 회전되며, 선기어(534)와 함께 전방구동축(410)이 회전한다. 이때, 전방구동축(410)과 후방구동축(420)은 유성기어부(530)를 이루는 기어들의 기어비에 따라 상호 상이한 구동력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구동축(400)이 4륜 구동을 위해 전방과 후방의 구동바퀴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도록 전방구동축(410)과 후방구동축(420)을 포함하고, 각 구동축으로 동력의 배분을 디퍼렌셜유닛(500)이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행구동축(400)은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 중 어느 한쪽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디퍼렌셜유닛(5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동력전달유닛(600)은 상기 입력축(200)을 통해 입력되는 구동력을 아이들축(300)으로 전달하되, 고속모드 또는 저속모드를 선택하여 아이들축(300)이 회전하는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제1 동력전달유닛(600)은 고속모드 선택시 입력축(200)의 동력을 고속으로 아이들축(300)으로 전달하는 고속전달부(610)와, 저속모드 선택시 입력축(200)의 동력을 저속으로 아이들축(300)으로 전달하는 저속전달부(620)를 구비한다.
고속전달부(610)와 저속전달부(620)는 모두 후술하는 선택연결부(800)에 의해 입력축(200)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될 수 있으며, 고속전달부(610)가 입력축(200)에 연결되면 저속전달부(620)의 연결이 해제되고, 반대로 저속전달부(620)가 입력축(200)과 연결되면 고속전달부(610)의 연결이 해제된다.
물론 선택연결부(800)는 후술하는 제2 동력전달유닛(700)으로 입력축(200)의 동력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고속전달부(610) 및 저속전달부(620)가 모두 입력축(200)과 연결해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속전달부(610)는 상기 선택연결부(800)에 의해 상기 입력축(200)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2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입력기어(611)와, 상기 제1 입력기어(61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300)에 설치된 제1 피동기어(612)를 구비한다.
제1 입력기어(611)는 중앙부에 상기 입력축(2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는 제1 입력기어(611)가 입력축(200)에 대해 상대 회전되도록 입력축(20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동기어(612)는 아이들축(3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1 입력기어(611)에 대향되는 아이들축(300)에 고정되며, 제1 입력기어(611) 및 드라이브기어(510)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피동기어(612)는 제1 입력기어(611)의 기어잇수보다 더 작은 기어잇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속전달부(620)는 상기 선택연결부(800)에 의해 상기 입력축(200)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2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입력기어(621)와, 상기 제2 입력기어(62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300)에 설치된 제2 피동기어(622)를 구비한다.
제2 입력기어(621)는 중앙부에 상기 입력축(2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3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관통구는 제2 입력기어(621)가 입력축(200)에 대해 상대회전 되도록 입력축(20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입력기어(621)는 제1 입력기어(611)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입력축(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피동기어(622)는 아이들축(3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2 입력기어(621)에 대향되는 아이들축(300)에 고정되며, 제2 입력기어(621)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 피동기어(622)는 제2 입력기어(621)의 기어잇수보다 더 큰 기어잇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입력기어(621) 및 제2 피동기어(622)는 아이들축(300)으로 구동력을 전달시 고속전달부(610)보다 작은 속도로 상기 아이들축(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비가 상기 제1 입력기어(611) 및 제1 피동기어(612)의 기어비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동력전달유닛(700)은 상기 선택연결부(800)에 의해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20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초저속 출력축(731)과, 상기 초저속 출력축(73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초저속 출력축(731)이 상기 입력축(200)에 연결될 때, 상기 초저속 출력축(731)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제1 유압펌프(732)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유압펌프(732)로부터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733)와, 상기 유압모터(73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아이들축(300)으로 전달하는 서브 동력전달부(734)를 구비한다.
상기 초저속 출력축(73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입력축(200)의 후단부에 전단부가 인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초저속 출력축(731)은 회전중심이 입력축(200)의 회전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저속 출력축(731)은 선택연결부(800)에 의해 입력축(200)에 연결되거나 입력축(200)으로부터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제1 유압펌프(732)는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초저속 출력축(731)에 연결되어 초저속 출력축(73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1 유압펌프(732)는 초저속 출력축(731)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차량에 설치된 유압탱크(미도시)로부터 작동유체를 펌핑한다. 상기 작동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모터(733)는 복수개가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유체공급관(미도시)를 통해 제1 유압펌프(732)에 연결된다. 유압모터(733)는 상기 제1 유압펌프(732)로부터 공급된 유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유압모터(733)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유압탱크와 유압모터(733) 사이에 연결된 유체배출관(미도시)을 통해 차량의 유압탱크로 배출된다.
서브 동력전달부(734)는 상기 유압모터(73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서브 축(735)과, 상기 서브 축(735)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축(735)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736)와, 상기 구동기어(736) 및 상기 아이들축(300)에 설치된 제1 피동기어(612)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기어(737)를 구비한다.
서브 축(735)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모터(733)의 회전축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브 클러치(미도시)에 의해 유압모터(733)의 회전축에 연결되거나 회전축에 대한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서브 축(735)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단부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클러치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가 서브 축(735)과 유압모터(733)의 회전축을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기어(736)는 서브 축(735)과 함께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서브 축(735)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아이들 기어(737)는 구동기어(736)와 제1 피동기어(612) 사이의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기어(736)와 제1 피동기어(612)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동력전달유닛(700)은 구동력을 아이들축(300)에 전달할 때, 상기 저속전달부(620)보다 낮은 초저속으로 아이들축(3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저속전달부(620)보다 감속비가 크도록 상기 구동기어(736), 아이들 기어(737) 및 제1 피동기어(612)의 기어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동력전달유닛(700)은 설치된 제1 유압펌프(732) 및 유압모터(733)의 용량 및 설정 값에 따라 감속비를 보다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연결부(800)는 입력축(200)에 제1 입력기어(611)를 고정시키거나 입력축(200)에 대한 제1 입력기어(6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입력축(200)과 제1 입력기어(611) 사이에 설치된 제1 클러치(810)와, 입력축(200)에 제2 입력기어(621)를 고정시키거나 입력축(200)에 대한 제2 입력기어(62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입력축(200)과 제2 입력기어(621) 사이에 설치된 제2 클러치(820)와, 입력축(200)에 초저속 출력축(731)을 고정시키거나 입력축(200)에 대한 서브 축(735)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입력축(200)과 초저속 출력축(731) 사이에 설치된 제3 클러치(830)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클러치(810,820,830)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를 통해 입력축(200)과 제1 또는 제2 입력기어(611,621)를 연결 또는 분리하거나, 서브 축(735)과 초저속 출력축(731)을 연결 및 분리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1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아이들축(300)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부(10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속도센서부(1000)는 상기 아이들축(300)의 단부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감지돌기(1011)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임펄스 스페이서(1010)와, 상기 임펄스 스페이서(1010)에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돌기(1011)를 감지하여 상기 아이들축(300)의 회전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감지센서(1020)를 구비한다.
임펄스 스페이서(1010)는 아이들축(300)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감지돌기(1011)는 임펄스 스페이서(1010)의 외주면에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임펄스 스페이서(1010)의 원주방향을 따라 8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속도 감지센서(1020)는 임펄스 스페이서(1010)에 대해 전방의 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된다. 이때, 속도 감지센서(1020)는 임펄스 스페이서(1010)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아이들축(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돌기(1011)를 감지하여 아이들축(300)의 회전속도를 산출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속도센서부(1000)는 임펄스 스페이서(1010)와 속도 감지센서(1020)에 의해 아이들축(300)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속도센서부(100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축(300)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속도센서부(1000)에 의해 산출된 아이들축(300)의 회전속도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된다. 상기 속도센서부(1000)에 의해 아이들축(300)의 회전속도 정보가 운전자에게 제공되므로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용이하게 트랜스퍼 케이스(10)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유압펌프(900)는 제1 유압펌프(732)의 후방에 설치되며, 초저속 출력축(731)에 의해 작동유체를 펌핑하여 작업장치(9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선택연결부(800)에 의해 제2 동력전달유닛(700)으로 입력축(200)의 동력이 연결되면, 상술한 것처럼 제1 유압펌프(732)에 의해 펌핑된 작동유체가 유압모터(733)와 서브 동력전달부(734)를 통해 아이들축(300)을 초저속으로 회전시켜 초저속 주행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때, 초저속 출력축(731)은 제2 유압펌프(900)를 구동해 작업장치(910)로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청소, 제설, 제초 작업과 같이 특수 목적을 위해 제작된 작업차량은 초저속 주행이 이루어지는 동안 작업장치(910)로 전달된 구동력을 통해 작업장치(910)를 가동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퍼 케이스(10)는 상기 작업장치(910)로 공급되는 구동력이 차량의 주행을 위한 입력축(200)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장치(910)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랜스퍼 케이스(10)의 작동을 위한 동력 전달 과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모드에서는 엔진의 구동력을 아이들축(300)으로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1 클러치(810)를 작동시켜 제1 입력기어(611)를 입력축(200)에 연결하고, 제2 클러치(820) 및 제3 클러치(830)를 이용하여 입력축(200)에 대한 제2 입력기어(621) 및 초저속 출력축(731)의 연결은 해제한다. 입력축(200)에 입력된 구동력은 제1 입력기어(611) 및 제1 피동기어(612)를 통해 아이들축(300)에 전달되고, 상기 아이들축(300)은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여 구동력을 주행구동축(400)으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저속으로 주행하는 저속모드에서는 엔진의 구동력을 아이들축(300)으로 저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클러치(820)를 작동시켜 제2 입력기어(621)를 입력축(200)에 연결하고, 제1 클러치(810) 및 제3 클러치(830)를 이용하여 입력축(200)에 대한 제1 입력기어(611) 및 초저속 출력축(731)의 연결을 해제한다. 입력축(200)에 입력된 구동력은 제2 입력기어(621) 및 제2 피동기어(622)를 통해 아이들축(300)에 전달되고, 상기 아이들축(300)은 고속전달부(610)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하여 구동력을 주행구동축(4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작업장치(910)의 가동이 이루어지고 차량이 초저속으로 주행하는 작업모드에서는 엔진의 구동력을 아이들축(300)으로 초저속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3 클러치(830)를 통해 초저속 출력축(731)을 입력축(200)에 연결하고, 제1 클러치(810) 및 제2 클러치(820)를 이용하여 입력축(200)에 대한 제1 입력기어(611) 및 제2 입력기어(621)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때, 서브 클러치도 작동시켜 유압모터(733)의 회전축과 서브 축(735)을 상호 연결한다.
입력축(200)에 입력된 구동력은 초저속 출력축(731)을 통해 제1 유압펌프(732)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유압펌프(732)는 유압탱크에 수용된 작동유체를 유압모터(733)로 펌핑한다. 제1 유압펌프(732)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은 유압모터(733)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유압모터(733)의 회전력은 서브 동력전달부(734)를 통해 아이들축(300)에 전달되어 아이들축(30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아이들축(300)은 저속전달부(620)보다 낮은 속도록 회전하여 구동력을 주행구동축(4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초저속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초저속 출력축(731)이 제2 유압펌프(900)도 함께 구동하여 작동유체를 작업장치(910)로 펌핑하며, 작업장치(910)는 제2 유압펌프(900)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해 구동한다.
따라서 차량은 초저속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장치(910)가 가동하여 설정된 목적에 맞는 작업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10)는 제1 유압펌프(732) 및 유압모터(733)로 이루어진 제2 동력전달유닛(700)에 의해 초저속으로 차량이 주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작업장치(910)의 구동을 위한 제2 유압펌프(900)가 함께 구동하면서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 차량의 주행과 작업장치(910)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트랜스퍼 케이스
100: 하우징 200: 입력축
300: 아이들축 400: 주행구동축
410: 전방구동축 420: 후방구동축
500: 디퍼렌셜 유닛 510: 드라이브 기어
520: 아웃풋 클러치 530: 유성기어부
531: 캐리어 532: 유성기어
533: 링기어 534: 선기어
600: 제1 동력전달유닛 610: 고속전달부
611: 제1 입력기어 612: 제1 피동기어
620: 저속전달부 621: 제2 입력기어
622: 제2 피동기어 700: 제2 동력전달유닛
731: 초저속 출력축 732: 제1 유압펌프
733: 유압모터 734: 서브 동력전달부
735: 서브 축 736: 구동기어
737: 아이들 기어 800: 선택 연결부
810: 제1 클러치 820: 제2 클러치
830: 제3 클러치 900: 제2 유압펌프
910: 작업장치 1000: 속도센서부

Claims (9)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아이들축과;
    상기 아이들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구동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며, 고속모드와 저속모드로 선택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초저속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들축을 초저속모드로 구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입력축의 동력이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으로 전달될 때, 상기 초저속 출력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이 가동되는 동안 유체를 펌핑하여 작업장치로 전달하는 제2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입력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속모드 주행을 위해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는 고속전달부와,
    상기 입력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속모드 주행을 위해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는 저속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상기 고속전달부, 저속전달부 또는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초저속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초저속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유압탱크의 유체를 펌핑하는 제1 유압펌프와, 상기 제1 유압펌프에서 펌핑되는 유체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아이들축으로 전달하는 서브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동력전달부는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서브 축과,
    상기 서브 축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제1 피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전달부는
    상기 선택연결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입력기어와,
    상기 제1 입력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제1 피동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전달부는 상기 선택연결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입력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에 설치된 제2 피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입력기어 및 제2 피동기어는 기어비가 상기 제1 입력기어 및 제1 피동기어의 기어비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동축은 상기 차량의 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방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구동축과, 상기 차량의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후방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들축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전방구동축 및 후방구동축으로 분배하는 디퍼렌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유닛은
    상기 제1 피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전방구동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브기어와,
    상기 드라이브기어를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방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방구동축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는 아웃풋 클러치와,
    상기 드라이브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후방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웃풋 클러치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전방구동축과의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후방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전방구동축으로 전달되는 구동력과 상이한 크기의 구동력을 후방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유성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회전하는 캐리어와,
    상기 전방구동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성기어와,
    상기 후방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 및 전방구동축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성기어에 대향되는 상기 전방구동축의 단부에 고정된 선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케이스.

KR1020170032177A 2017-03-15 2017-03-15 트랜스퍼 케이스 KR10180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177A KR101804419B1 (ko) 2017-03-15 2017-03-15 트랜스퍼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177A KR101804419B1 (ko) 2017-03-15 2017-03-15 트랜스퍼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419B1 true KR101804419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177A KR101804419B1 (ko) 2017-03-15 2017-03-15 트랜스퍼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213B1 (ko) * 2023-02-07 2023-03-23 리텍 주식회사 전기시스템 통합 구동방식 기술이 적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513217B1 (ko) * 2023-02-07 2023-03-23 리텍 주식회사 유압시스템 통합 구동방식 기술이 적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213B1 (ko) * 2023-02-07 2023-03-23 리텍 주식회사 전기시스템 통합 구동방식 기술이 적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513217B1 (ko) * 2023-02-07 2023-03-23 리텍 주식회사 유압시스템 통합 구동방식 기술이 적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574B2 (en) Transmission having simple construction
JP6309956B2 (ja) 駆動軸から駆動軸へのトルク伝達による油圧アシストを備える車両
KR101804419B1 (ko) 트랜스퍼 케이스
CN105570392A (zh) 一种纯电动两档变速器
US7083541B2 (en) Axle drive block with a differential lock
KR101795693B1 (ko) 트랜스퍼 케이스
KR101807248B1 (ko) 트랜스퍼 케이스
US6491600B1 (en) Two stage planetary final device
US4887487A (en) Hydro-planetary power division system
KR101857713B1 (ko)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US20120018275A1 (en) Rear Driveline Disconnect Apparatus
JP5123260B2 (ja) 作業機の油圧ポンプ装置
CN101209671A (zh) 挖掘机可分离前桥驱动结构
JP2011020515A (ja) 作業車両
JP6539888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102889353A (zh) 刹车鼓差速分动器
KR101982179B1 (ko)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CN207539280U (zh) 双速齿轮组件
CN101353014A (zh) 一种用油马达驱动的拖车专用车桥
CN201034151Y (zh) 拖拉机前后驱动传动机构
FI56648C (fi) Extra vaexellaoda foer sjaelvgaoende maskiners krafttransmissystem
CN212353614U (zh) 一种拖拉机用多级动力分配装置
CN209067811U (zh) 一种拖拉机用分动箱
KR10089343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사륜 구동 장치
JP4449069B2 (ja) 乗用管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