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99B1 -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999B1
KR101800999B1 KR1020170046288A KR20170046288A KR101800999B1 KR 101800999 B1 KR101800999 B1 KR 101800999B1 KR 1020170046288 A KR1020170046288 A KR 1020170046288A KR 20170046288 A KR20170046288 A KR 20170046288A KR 101800999 B1 KR101800999 B1 KR 10180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besity
citron
citra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605A (ko
Inventor
김태주
김행근
권영인
이종욱
Original Assignee
김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근 filed Critical 김행근
Priority to KR102017004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9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식이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탄수화물의 소장내 흡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열량제한 유도를 통해 칼로리 증가를 막고 이를 통해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체중증가의 억제효과를 제공하여 비만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OBESITY INHIBITING COMPOSITION COMPRISING POWDER OF ENTIRE TANGERINE CULTIVATED BY ECO FRIENDLY METHOD}
본 발명은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를 이용하여 종자와 과육, 과피를 모두 포함하는 가공공정을 통해 제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또는 식품조성물로써, 식이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탄수화물의 소장내 흡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열량제한(Calorie restriction) 유도를 통해 칼로리 증가를 막고 이를 통해 체중증가의 억제효과를 가져다주는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단순히 비만자체의 심각성 보다 이로 인해 유발되는 당뇨병,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과 고지혈증 등과 같은 대사성질환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 사이 우리 국민의 신체활동량은 줄고 비만 관련 질환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BMI 25 이상인 비만자의 경우 특히 남성에서 36.2 %로 1.5 % 증가했으며(10년간 11.1 % 증가) BMI 30 이상의 고도비만율도 4.1 %로 0.6 % 증가하였다.
비만은 체내 잉여 에너지가 중성지방 및 기타 지방대사물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저장됨으로서 일차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에너지 대사의 불균형에 따른 종합적인 대사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써 식이조절뿐만 아니라 식욕조절 호르몬 대사, 지방세포분화, 지방합성 및 분해과정 그리고 열생성반응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아 청소년 비만 유병률도 증가추세였으며 비만과 관련된 고지혈증도 지속적으로 늘어 10.8 %로 2.7 %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항비만 소재개발 연구는 식욕억제 물질인 렙틴(leptin)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시그날링 3 서프레서(cytokine signaling 3 suppressor),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음식 섭취 조절에 관여하는 카나비노이드 리셉터 1 길항제(cannabinoid receptor 1 antagonist), 식욕 촉진을 일으키는 뉴로펩타이드 Y(neuropeptide Y) 길항제 등 식욕을 억제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성장 호르몬 합성물 (AOD9604), 지방대사 촉진 및 대사율 증가 활성을 지닌 β3-adrenergic receptor agonist, UCP 과다발현을 통해 에너지 소비 촉진에 관여하는 PPARδ 등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비만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들은 대개 효과에 비해 부작용이 심각한 문제가 있어서, 최근 항비만 효과는 높으면서 부작용 내지 독성이 적은 천연소재의 새로운 작용기전을 갖는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제주도 재래 감귤류의 당유자(Citrus grandis Osbeck)는 제주에서 왕귤 또는 뎅유지라고 불리는 제주 재래 감귤로서, 분류학상 운향과, 감귤아과에 속하는 과수이며 인체에 기능성을 가지는 성분으로 리몬(limone), 오바큐논(obacunone), 노밀린(nomiline), 나린진(naringin),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 등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등자피(橙子皮)"로 기재되어 있는 동의보감에 따르면"당유자는 성질이 따스하고 맛이 쓰고 매우며 독이 없으니 먹은 것을 소화시키고 장과 위 속의 악기와 부풍을 흩어 버린다"고 전하고 있다 (허준,1995). 최근에는 당유자의 효능이 검증되고 있는데, 당유자 미숙과는 항염증(Kor J Pharmacogn 37:74-80, 2006), 항산화 효과를 지니는 것이 보고 되었으며 (Food Sci Biotechnol 15:312-316, 2006), 제주 재래종 감귤류 미숙과 중 당유자 미숙과에서 네오헤스페리딘과 나린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성숙해 질수록 이들의 함량이 점점 감소된다고 보고 있지만(Korean J Food Sci Technol 34:132-135, 2002), 현재까지 연구 성과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현재까지 감귤류를 이용한 비만 억제제 개발은 제주도에서 생식용으로 주로 재배되는 온주밀감이 주요한 재료로 이용한 사례들이 있다. 감귤류 과피에서 순수 분리 동정된 탄저레틴, 노빌레틴 등 폴리메톡시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조성물"(특허출원번호 10-2007-0082474), 온주밀감미성숙과를 이용한 에탄올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생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특허출원번호 10-2008-0007278), 감귤 즙과 감귤로부터 추출된 플로노이드, 알로에즙 등이 혼합된 "감귤로부터 추출된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특허출원번호 10-2008-0016812)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위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제주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일본 유래 재배 품종인 온주밀감을 이용하고 타 과일에 비해 감귤류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를 활용하기 위해 미숙과를 활용하거나 에탄올 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혈중 지질 개선 등 항비만 기능성을 서술한 측면이 많다. 하지만 외래종인 온주밀감은 병해충에 약해 화학 합성 농약 사용이 불가피하고 유기 용매 추출 등의 방법은 생리활성기능 물질의 집적에는 도움이 되지만 추출과정에서 항비만 효과가 있는 섬유질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주 재래 감귤인 당유자를 이용하여 식품 안전성을 높이고 비만 억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약제학적 또는 식품조성물로써 식이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탄수화물의 소장내 흡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열량제한 유도를 통해 칼로리 증가를 막고 이를 통해 체중증가의 억제효과를 가져다 주는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당유자 통밀감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첨가제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4) 상기 (1)에 있어서,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0.1~99.9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5) 상기 (1)에 있어서,
당유자추출물은 미성숙 당유자 또는 성숙 당유자를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분쇄한 것을 원료로 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탄수화물 흡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7)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8)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HDL-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9) 상기 (1)에 있어서,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당밀감 통밀감의 분쇄물에 티벳버섯을 접종한 후 2~3일간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약제학적 또는 식품조성물로써 제형화가 가능하고, 식이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탄수화물의 소장내 흡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열량제한 유도를 통해 칼로리 증가를 막고 이를 통해 체중증가의 억제효과를 제공하여 비만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효과 시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성숙과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포도당 농도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숙과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포도당 농도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성숙과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식이섭취량을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숙과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식이섭취량을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성숙과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체중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숙과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체중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 고밀도콜레스테롤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 저밀도콜레스테롤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 GOT의 농도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중 혈중 GPT의 농도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본 발명은 당유자 통밀감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식이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탄수화물의 소장내 흡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열량제한 유도를 통해 칼로리 증가를 막고 이를 통해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체중증가의 억제효과를 제공하여 비만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당유자는 제주 재래 감귤로 친환경농업(무농약인증)에의거 재배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농약 인증은 화학합성 농약의 사용이 엄격히 관리되며, 친환경 농자재로 공시된 자재에 한해 재배 생산된 농산물에 인증해 주는 제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당유자는 미성숙 당유자과 및 성숙 당유자과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종자, 껍질(과피)과 과육을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분쇄한 후, 이를 동결건조 혹은 진공건조 방식으로 처리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당유자 통밀감의 분쇄물에 티벳버섯을 접종한 후 2~3일간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 경우 면역활성물질이 풍부하면서도 항산화활성이 보다 증대된 물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당유자 통밀감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외에 첨가되는 성분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다당류,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다양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당유자 통밀감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001 내지 5g의 양을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흡수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실시예 1] 당유자친환경 재배
당유자 재배는 제주도 도련에 위치한 농장에서 친환경 무농약 재배 방법에 준해 이루어졌다. 당유자의 수령은 약 30년이었으며 무농약 재배를 위한 병해충 방제는 다음과 같이 시행되었다.
식물병 방제를 위해 석회보르도액을 4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6회 처리하였고, 응애 방제 등 해충 방제를 위해 기계유제를 80배에서 500배액으로 희석하여 4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월 1회 살포하여 총 3회 처리하였다. 또한 친환경 농자재로 등록된 참조아(식물병해방제용)를 위 약재 살포시 500배 희석액으로 함께 엽면 살포 하였다. 7월에서 9월까지는 참조아 250배 희석액으로 20일 간격으로 총 4회 살포하여 병해충을 예방하였다.
[실시예 2]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수득
미성숙 당유자(7월 하순 수확) 및 성숙 당유자(2월 상순 수확) 일정량을 세척기(HWM005)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된 당유자를 습식분쇄기(KCM-12500)를 이용하여 과실 통째로 분쇄하였다. 분쇄물 전체를 2일 동결건조(PVTFP 500R) 완료 후 다시 조분쇄하여 당유자통밀감분말을 수득하고 4℃ 냉장보관 하였다.
[실시예 3] 발효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수득
실시예 2의 당유자 통밀감의 분쇄물에 티벳버섯 2 중량%를 첨가한 후 2일 동안 상온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을 동결건조(PVTFP 500R) 완료 후 다시 조분쇄하여 발효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수득하고 4℃ 냉장보관 하였다.
[실험예 1]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위해 분말 0.2g을 취해 증류수와 디메틸옥사이드가 50:50(v/v)로 혼합된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으로 여과 희석한 후 HPLC 방법으로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나린진, 네오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폴리메톡시플라본의 일종인 탄제리틴과 노빌레틴도 검출되었다. 미숙과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은 28.9%로 성숙과 바이오플라보노이드함량 3.5%로 8배 이상 높았다(도 1).
[실험예 2]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효과 시험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탄수화물 소화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쥐 유래 글루코시데이즈, 돼지 췌장 유래 아밀라아제 효소 활성 억제효과를 시험관 시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글루코시데이즈 효소 억제는 미숙과 분말 24.6%, 성숙과 분말 21.6%로 비슷하였지만 아밀라아제 효소 활성은 미숙과 분말 -41%, 성숙과 분말 111%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탄수화물 소화 흡수에 관여하는 두 가지 주요한 효소 시험에서 효소 억제는 당의 체내 흡수를 방해하는 기능을 보이기 되는데 글루코시데이즈 효소 억제 활성은 비슷하였지만 아밀레이지 효소 억제 효과는 성숙과 분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통밀감분말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함량과는 상이한 결과로 효소 억제 효과에는 또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
또한, 실시예 3의 발효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에 따라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효과 시험을 수행한 결과에서 글루코시데이즈 효소 억제는 27.5%, 아밀라아제 효소 활성은 125%로 나타나 티벳버섯의 발효물이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생후 5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SD) 래트(Rat)를 (주)라온바이오부터 구입하여 일반 고형사료 (삼양사료)를 먹이면서 3일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동물에게 High-fat diet (30% fat) 21일간 공급하였으며 High-fat diet 조성은 표 1과 같다. 체중에 따라 난괴법으로 총 5군으로 분리하였다 (n = 10 per group).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매일 정해진 양을 하루 오전 9시~10시, 오후 4~5시 2번씩 3주간 공급하였다. 식이 섭취량은 매일 오전 9~10시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였다. 사육장은 인공조명에 의하여 조명시간을 아침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12시간으로 조절하였으며 실내온도 25ㅁ3℃, 상대습도 50ㅁ10%로 유지하였다. 급수는 정수된 일반 식수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급수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매일 오전 9~10시 정해진 시간에 공급해 주었다.
실험군의 분류
Ⅰ군 : 비투여군
Ⅱ군 : Unripened tangerine) 100 ㎎/㎏ body weight /day (미성숙과 0.1 g/kg-body weight)
Ⅲ군 : Unripened tangerine 500 ㎎/㎏ body weight /day (미성숙과 0.5 g/kg-body weight)
Ⅳ군 : Ripened tangerine 100 ㎎/㎏ body weight /day (성숙과 0.1 g/kg-body weight)
Ⅴ군 : Ripened tangerine 500 ㎎/㎏ body weight /day (성숙과 0.5 g/kg-body weight)
실험식이의 조성(g/kg, 고지방식이 조성)
고지방식이 g/kg-식이
카제인 200
콘스타치 321
수크로스 100
콘오일 100
라드(Lard) 200
셀룰로오스 30
DL-메티오닌 2
미네랄믹스* 35
비타민믹스** 10
콜린 바이타트레이트 2
* 미네랄믹스: AIN-93G
** 비타민믹스: AIN-93VX
[실험예 4] 혈중 포도당 농도 변화
고지방 식이로 과체중을 유도한 SD-래트에 대한 당유자 통밀감분말 급여에 따른 혈당조절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군을 상기 실험예 2와 같이 Ⅰ~Ⅴ의 5군으로 구분하고 각 군당 10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을 자율섭식 시켰으며,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효능평가를 위해 시료는 2 g/마리로 하루 섭취량을 오전과 오후 두 번에 나누어 매일 3주간 급여하였다. 혈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래트의 꼬리 끝을 멸균된 메스를 이용하여 살짝 절개 후 약 0.5 ul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 스트립에 흡수시켜 혈당측정기(Caresens Ⅱ)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 일반동물 (SD-Rat)의 혈중 포도당의 농도는 도 1 및 도 2와 같았다. 즉,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함유 식이섭취 3주 후 비투여군의 경우, 169.2ㅁ12.8 mg/dl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에 커다란 변화가 없었고,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군은 0.1 g/kg 의 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의 함량에서는 154.5ㅁ7.7 mg/dl과 129.7ㅁ8.9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는 유의적이면서 농도의존적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3의 발효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에 따라 혈중 포도당 농도 변화시험을 수행한 결과에서 발효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의 함량에서는 116.2ㅁ5.8 mg/dl로 나타나 티벳버섯의 발효물이 혈중 포도당 농도를 낮추는 것에 있어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식이 섭취량 측정
실험동물의 식이는 체중 대비 동일한 양으로 이틀에 1회씩 제공 하였고, 섭취 후 남은 식이는 무게를 측정하여 식이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일반동물 (SD-Rat)의 식이섭취량은 도 3 및 도 4와 같았다. 식이 섭취량의 변화는 고지방식이를 시작을 기점으로 3주와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경구투여 후의 식이섭취의 변화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유자 통밀감분말이 동물의 식이섭취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예 6] 체중변화
모든 군은 동일한 체중 대비 동일한 양의 식이를 제공 하였고, 이틀에 한 번씩 식이 제공 전에 체중을 확인 하였다.
측정결과,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에 따른 일반동물(SD-Rat)의 체중의 변화는 도 5 및 도 6과 같았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실험 3주 후 비투여군은 398.7±23.4 g으로 지속적인 체중증가 현상을 나타낸 반면,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군은 0.1 g/kg의 함량에서는 362.0±23.8 g으로 10%의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0.5 g/kg의 함량에서는 356.0±10.2 g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10% 이상의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군은 0.1 g/kg의 함량에서는 369.7±18.1 g으로 7%의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0.5 g/kg의 함량에서는 341.4±19.5 g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14%의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7]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급여하며 시간별로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총 콜레스테롤 키트(동성메티칼)를 사용하여 각 군별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키트의 효소용액 1 ml에 혈장 10 u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혈액자동분석기(Shinging Sun A6 / 동성메티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일반동물(SD-Rat)의 3주간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급여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는 도 7과 같았다. 비투여군의 총 콜레스테롤은 98.2±19.4 mg/dl였고,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 (71.1±7.4),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 (71.4±15.5)로 나타났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섭취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 (96.3±13.0),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 (60.8±21.1)로 나타났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섭취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외에 당뇨병, 내분비질환, 간ㅇ담도계질환, 신장질환, 비만 등의 경우에 증가하는데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섭취로 인하여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등에 원인이 되는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실험예 8] 혈중 중성지방 농도 변화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급여하며 시간별로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트리글리세리드 키트(동성메티칼)을 사용하여 각 군별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의 효소용액 1 ml에 혈장 10 u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혈액자동분석기(Shinging Sun A6/동성메티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 급여에 따른 일반동물(SD-Rat)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비투여군의 트리글리세리드는 66.0±18.2 mg/dl였고,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 (44.2±7.7),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 (41.2±14.1)로 나타났다.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 (41.9±13.0),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 (48.1±10.1)로 나타났다. 비투여군이 66.0±18.2 mg/dl의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군에서 함량에 상관없이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실험예 9] 혈중 고밀도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HDL 콜레스테롤 키트(동성메티칼)을 사용하여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급여하며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HDL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HDL 콜레스테롤 효소용액 1 ml에 혈장 10 u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혈액자동분석기(Shinging Sun A6/동성메티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3주간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급여에 따른 일반동물(SD-Rat)의 HDL-콜레스테롤 농도변화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비투여군의 함량은 17.6±5.7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비슷한 농도를 보였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 (42.4±8.2),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 (55.7±5.3)를 보였다. 비투여군(17.6±5.7)이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가 혈중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유입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HDL의 농도를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10] 혈중 저밀도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LDL 콜레스테롤 키트(동성메티칼)을 사용하여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급여하며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HDL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LDL 콜레스테롤 효소용액 1 ml에 혈장 10 u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혈액자동분석기(Shinging Sun A6/동성메티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3주간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급여에 따른 일반동물(SD-Rat)의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변화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대비하여 L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해 보았을 때 비투여군의 함량은 53.1±11.7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와,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는 비슷한 농도를 보이고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 (13.1±13.7)와,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 (4.3±16.6)는 더 낮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가 간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을 혈관에 축적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LDL의 농도를 증가시켜 혈중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섭취함에 따라 LDL의 농도를 감소시켜 줌에 따라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장기간 섭취 시 LDL의 농도 저하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실험예 11] 혈중 GOT 함량 변화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키트를 사용하여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급여하며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효소용액 1 ml에 혈장 100 ul을 혼합한 후, 혈액자동분석기(Shinging Sun A6/동성메티칼)에 Kinetic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3주간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에 따른 일반동물(SD-Rat)의 GOT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비투여군의 GOT는 46.4±21.7 IU/L이었으며,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은 24.4±16.3 IU/L,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26.1±8.1 IU/L을 나타내었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과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유의적 차이가 없지만, 비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는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은 30.1±5.6 IU/L,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28.7±11.1 IU/L을 나타내었다. 성숙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유의적 차이가 없고, 비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는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는 간기능 이상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혈중 GPT 함량 변화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키트를 사용하여 3주간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급여하며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효소용액 1 ml에 혈장 100 ul을 혼합한 후, 혈액자동분석기(Shinging Sun A6 / 동성메티칼)에 카이네틱(Kinetic)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3주간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투여에 따른 일반동물(SD-Rat)의 GPT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비투여군의 GPT 수치는 55.9±7.6 IU/L이었으며,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은 50.1±7.2 IU/L,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54.3±7.9 IU/L을 나타내었다.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과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비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는 미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은 43.7±6.3 IU/L,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57.1±7.0 IU/L를 나타내었다.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과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5 g/kg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비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는 성숙 당유자 통밀감분말 0.1 g/kg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는 간기능 이상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리: 상기한 바와 같이, SD 래트를 각각 5마리씩 총 5개군으로 나누어 3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후, 일반식이로 전환하고 같은 시험군에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각각 0.1 g/kg, 0.5 g/kg으로 하루 2번 오전/오후로 나누어 급여하여 4주간 혈중 포도당 농도, 체중변화, 고밀도콜레스테롤(HDL), 저밀도콜레스테롤(LDL)을 측정하였고 간손상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간기능성지표인 GPT와 GOT 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 섭취시 높은 비율로 증가하던 체중이 미성숙과와 성숙과 투여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체중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체중증가억제와 비례하여 혈중포도당의 농도 역시 유의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장내 소화효소억제활성을 보유한 당유자 통밀감분말이 식이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탄수화물의 소장내 흡수를 적절하게 감소시켜, 열량제한(Calorie restriction) 유도를 통해 칼로리 증가를 막고 이를 통해 체중증가의 억제효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탄수화물대사 후반에 일어나는 지방합성경로를 통해 생성되는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통해 검증할 수 있었으며,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시 지방대사에 유익한 고밀도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증가하였고, 유해한 저밀도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한편 당유자 통밀감분말 섭취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측정한 GOT와 GPT의 경우, 대조군과 같거나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여 당유자 섭취가 간기능저하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당유자 통밀감분말은 효과적인 칼로리 제한 효과를 통해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기전이 검증된 건강기능성 소재 내지, 천연식물유래의 효과적인 칼로리 조절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종자, 껍질, 및 과육을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분쇄한 후 건조하여 얻어진 당유자의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2. 삭제
KR1020170046288A 2017-04-10 2017-04-10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80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88A KR101800999B1 (ko) 2017-04-10 2017-04-10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88A KR101800999B1 (ko) 2017-04-10 2017-04-10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696A Division KR20160111554A (ko) 2015-03-16 2015-03-16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05A KR20170060605A (ko) 2017-06-01
KR101800999B1 true KR101800999B1 (ko) 2017-11-27

Family

ID=5922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288A KR101800999B1 (ko) 2017-04-10 2017-04-10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999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 J. Hort. Sci. Technol., 30(2), 214-219, 2012.
Lab. Anim. Res. 26(4), 361-367,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05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KR102130332B1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Daniloski et al. Recent developments on Opuntia spp., their bioactive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s, and health effects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Zhao et al. Hazelnut and its by-products: A comprehensive review of nutrition, phytochemical profile, extraction, bioactivities and applications
KR101614574B1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US20060216362A1 (en) Remedy
KR20060009391A (ko)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631175A (zh) 以阿洛糖醇为有效成分的抗肥胖活性剂和肥胖抑制方法
KR101800999B1 (ko)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JP2008163003A (ja) 脂肪吸収阻害剤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10121849A (ko)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111554A (ko)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080079374A (ko) 혼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71658B1 (ko) 차전자피를 함유하는 배변 촉진 및 콜레스테롤 개선용 식이섬유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