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882B1 -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882B1
KR101799882B1 KR1020110056873A KR20110056873A KR101799882B1 KR 101799882 B1 KR101799882 B1 KR 101799882B1 KR 1020110056873 A KR1020110056873 A KR 1020110056873A KR 20110056873 A KR20110056873 A KR 20110056873A KR 101799882 B1 KR101799882 B1 KR 10179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fluid
substrate
opening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7802A (en
Inventor
강한샘
성미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882B1/en
Publication of KR2012013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the deformation of a fluid drop, e.g. electrow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의 복수 개의 화소 영역 각각에 형성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화소 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 영역 각각의 공간에 형성된 제1 유체; 및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소정의 제1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유전체층이 화소 영역 내에서 소정의 제1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유체가 상기 제1 개구부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개구부 근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제1 유체를 움직이도록 하는 문턱 전압을 낮출 수 있어 다양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ormed to face each other; A pixel electrod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on the first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including a first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Barrier rib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A first fluid formed in a space of each of the pixel regions surrounded by the partition; And a second fluid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second dielectric lay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first opening in the pixel region. , ≪ / RTI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dielectric layer is formed to have the predetermined first opening in the pixel region, the first fluid is not formed in the first opening region, and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So that the threshold voltage for moving the first fluid can be lowered, and various gradation expressions are possible.

Description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0001]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조 표현이 용이한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hich can easily express gradation.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는 전기습윤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is an apparatus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electro-wetting phenomenon.

전기습윤 현상이란 전압이 인가된 경우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사이에 고체의 습윤 특성이 상이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로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수성 고체 표면 위에 소수성 유체가 떨어지면 상기 소수성 유체는 상기 소수성 고체 표면에서 퍼지게 되지만,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소수성 고체 표면의 습윤 특성이 변경되고 그로 인해서 상기 소수성 유체는 상기 고체 표면에서 뭉쳐지게 된다. The phenomenon of electrowetting refers to a phenomenon that the wetting property of a solid differs between a case where a voltage is applied and a case where a voltage is not applied. For example, when a hydrophobic fluid falls on a hydrophobic solid surface in a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The hydrophobic fluid is spread on the hydrophobic solid surface, but when a voltage is applied, the wetting property of the hydrophobic solid surface is altered, thereby causing the hydrophobic fluid to aggregate on the solid surface.

이와 같이, 전압 인가 유무에 따라 고체의 습윤 특성이 변경되고 그로 인해서 고체 위에 형성되는 유체가 뭉쳐지거나 퍼지게 되는 전기습윤 현상을 이용하여 광의 투과도를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Thus,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i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using an electrowetting phenomenon in which the wetting property of the solid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and the fluid formed on the solid thereby aggregates or spreads.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off)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on)의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ntional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herein FIG.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voltage is applied.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기판(10), 상부 기판(20), 실런트(sealant)(30), 및 유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A and 1B, a conventional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omprises a lower substrate 10, an upper substrate 20, a sealant 30, and a fluid 40. As shown in FIG.

상기 하부 기판(10) 상에는 하부 전극(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전극(12) 상에는 소수성의 유전체층(14)이 형성되어 있다.A lower electrode 12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 and a hydrophobic dielectric layer 14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12.

상기 상부 기판(20) 상에는 상부 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An upper electrode (22) is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20).

상기 실런트(30)는 상기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을 접착시킨다. The sealant 30 is formed at the edges of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to bond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together.

상기 유체(40)는 상기 하부 기판(10) 및 상부 기판(2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며, 특히, 오일(42) 및 물(44)로 이루어진다. The fluid 40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the lower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bstrate 20 and is composed of oil 42 and water 44 in particular.

이상과 같은 종래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전극(12)과 상부 전극(2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off), 소수성인 오일(42)이 소수성인 유전체층(14) 상에 넓게 퍼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42)로서 광차단 특성을 가진 오일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하부 기판(10) 아래에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오일(42)에 의해 차단되고, 그에 따라 화상이 블랙(black)을 표시하게 된다. 1A, if no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12 and the upper electrode 22, the hydrophobic oil 42 spreads widely on the hydrophobic dielectric layer 14. At this time, by using the oil having the light shielding characteristic as the oil 42, the light incident on the lower substrate 10 is blocked by the oil 42, so that the image displays black .

다음,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전극(12)과 상부 전극(2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on), 소수성인 유전체(14)의 특성이 친수성으로 변경되어 소수성인 오일(42)이 친수성인 유전체층(14) 상에서 뭉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기판(10) 아래에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오일(42)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투과하게 되어 화상이 화이트(white)를 표시하게 된다. 1B,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12 and the upper electrode 22, the characteristic of the hydrophobic dielectric material 14 is changed to be hydrophilic so that the hydrophobic oil 42 And aggregated on the dielectric layer 14 which is hydrophilic. Therefore, light incident under the lower substrate 10 is transmitted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oil 42, and the image is displayed in whit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계조 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ress various gradations.

즉,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전압이 인가되면(on) 상기 오일(42)이 이동하면서 뭉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일(42)의 이동을 위한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이 매우 높다. 따라서,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오일(42)이 이동을 하자마자 풀 화이트(full white) 상태가 되어 다양한 계조 표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B,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oil 42, the oil 42 is moved and aggregated. At this time, the threshold voltage for the movement of the oil 42 is very high. Therefore,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is applied, the oil 42 becomes full-white as soon as the oil 42 mov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press various gradation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문턱 전압을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계조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displaying various gradations by lowering a threshold voltag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의 복수 개의 화소 영역 각각에 형성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화소 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 영역 각각의 공간에 형성된 제1 유체; 및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소정의 제1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ormed to face each other; A pixel electrod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on the first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including a first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Barrier rib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A first fluid formed in a space of each of the pixel regions surrounded by the partition; And a second fluid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second dielectric lay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first opening in the pixel region. Lt; / RTI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전체층은 화소 영역의 전체 면에 형성되는 반면에, 제2 유전체층은 화소 영역의 전체 면에 형성되지 않고 화소 영역 내에서 소정의 제1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소수성 특성을 갖는 제1 유체가 상기 제1 개구부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개구부 근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게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dielectric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ixel region, while the second dielectric layer is not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ixel region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first opening in the pixel region, The first fluid having the hydrophobic property is not formed in the first opening region but is formed so that its thickness become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이와 같이, 상기 제1 유체의 두께가 상기 제1 개구부 근방으로 갈수록 점차로 얇아지게 되므로, 상기 제1 유체를 움직이도록 하는 문턱 전압을 낮출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다양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such,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luid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the threshold voltage for moving the first fluid can be lowered, and as a result, various gradations can be expressed.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off)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on)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2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off)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on)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예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ntional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herein FIG.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voltage is applied.
2A and 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Sectional view of an applied state (on).
Figures 3a and 3b are schematic plan views of a first substrate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2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off)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on)의 단면도이다. 2A and 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Sectional view of an applied state (on).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실런트(300), 및 유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A and 2B,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0, a second substrate 200, a sealant 300, and a fluid 400 .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소자층(110), 화소 전극(120), 유전체층(130) 및 격벽(140)이 형성되어 있다. A device layer 110, a pixel electrode 120, a dielectric layer 130, and a barrier rib 140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상기 소자층(110)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교차하여 복수 개의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그리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vice layer 110 includes a gate line and a data line, which are not shown in detail, but define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cross each other.

이와 같은 소자층(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element layer 110 may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known in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상기 화소 전극(120)은 상기 복수 개의 화소 영역 각각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소자층(110)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소 전극(120)과 박막 트랜지스터 간의 전기적 연결 방법도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pixel electrode 120 i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in particula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the device layer 110.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known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 화소 전극(120)은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다. The pixel electrode 120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상기 유전체층(130)은 상기 화소 전극(120) 상에 형성되어 전압인가 유무에 따라 그 전기습윤 특성이 변경된다. The di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its electrowetting property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or not.

상기 유전체층(130)은 서로 특성이 상이한 제1 유전체층(132) 및 제2 유전체층(13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기습윤 특성과 구동전압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The dielectric layer 130 includes a first dielectric layer 132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134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electrowetting property and the driving voltage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즉,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유전체층(130)의 유전율이 큰 것이 유리한데, 유전율이 크면 유전체층(130)의 소수성 특성이 저하되어 전기습윤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전기습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전체층(130)의 유전율이 작은 것이 유리한데, 유전율이 작으면 구동전압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That is, in order to lower the driving voltag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layer 130 is large. If the dielectric constant is large, the hydrophobic property of the dielectric layer 130 lowers and the electrowetting property deteriorates. On the contrary,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layer 130 is small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owetting property. However, if the dielectric constant is small, the driving voltage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전체층(130)을 상기 화소 전극(120) 상에 형성되는 제1 유전체층(132) 및 상기 제1 유전체층(132) 상에 형성되는 제2 유전체층(134)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 유전체층(132)은 상대적으로 유전율이 큰 물질을 이용하여 구동전압의 증가를 방지하고, 상기 제2 유전체층(134)은 상대적으로 유전율이 작은 소수성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습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f a first dielectric layer 132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134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may prevent an increase in the driving voltage by using a relatively high dielectric constant material and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may improve the electrowetting property by using a hydrophob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dielectric constant.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전체층(132)은 화소 영역의 전체 면에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 유전체층(134)은 화소 영역의 전체 면에 형성되지 않고 화소 영역 내에서 소정의 제1 개구부(135)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ixel region, while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is not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ixel region, 1 openings 135 formed in the substrate.

따라서, 상기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되지 않은 화소 영역에서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제2 유전체층(134)이 상기 유체(400)와 접촉하는 반면에, 상기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된 화소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친수성 특성을 갖는 제1 유전체층(132)이 노출되어 상기 유체(400)와 접촉하게 된다. In the pixel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not formed,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having a hydrophobic property contacts the fluid 400, whereas in the pixel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formed,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having a relatively hydrophilic property is expos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uid 400.

이와 같이, 각각의 화소 영역에서 소수성 특성을 갖는 영역(즉,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친수성 특성을 갖는 영역(즉,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된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화소 영역에서 전압 무인가시 상기 유체(400)의 움직임이 종래와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체(400)의 구동을 위한 문턱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다양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region having the hydrophobic characteristic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not formed) and the region having the hydrophilic characteristic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formed) in each pixel region , The movement of the fluid 400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voltage is not applied in each pixel region. Accordingly, the threshold voltage for driving the fluid 400 is lowered and various gradations can be express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한편, 상기 제1 유전체층(132)는 SiNx 또는 SiO2 등과 같은 무기막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유전체층(134)은 예로서 듀폰(Dupont)사의 Teflon® AF, 또는 AGC사의 Cyto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may be an inorganic film such as SiN x or SiO 2.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may be made of, for example, Teflon® AF manufactured by Dupont or Cytop manufactured by AGC. have.

이 경우, 상기 제2 유전체층(134)에 구비되는 제1 개구부(135)는 O2 플라즈마(plasma) 등과 같은 건식 식각(dry etching)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135 formed in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may be formed using a dry etching process such as O 2 plasma.

즉, 상기 제1 유전체층(132)을 구성하는 SiNx나 SiO2 등의 무기막은 O2 플라즈마에 의해 거의 제거되지 않으므로, O2 플라즈마를 이용할 경우 상기 제2 유전체층(134)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제1 개구부(13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first is hardly removed by the inorganic film O 2 plasma, such as SiN x or SiO 2 constituting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when using an O 2 plasma to remove only a portion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the 1 opening 135 can be easily formed.

다만, 반드시 건식 식각 공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유전체층(132)은 용해시키지 않으면서 제2 유전체층(134) 만을 용해시킬 수 있는 적절한 용제를 이용하여 습식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1 개구부(13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y etch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by a wet etching process using a suitable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only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without dissolving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 Can be formed.

상기 격벽(140)은 상기 유전체층(1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유전체층(134) 상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복수 개의 화소 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다. The barrier ribs 140 are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130, more specifically, on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particular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상기 격벽(140)은 전술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오버랩되면서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격벽(140)에 의해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실질적인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 The barrier ribs 140 may be formed in a matrix structure as a whole while overlapping with the gate lines and the data lines. A substantial pixel region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by the barrier ribs 140 is defined.

상기 격벽(140)은 유체(400)의 유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셀갭(cell gap) 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The barrier ribs 140 are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cell gap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fluid 400.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210), 컬러 필터(220), 및 공통 전극(230)이 형성되어 있다. A black matrix 210, a color filter 220, and a common electrode 230 ar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는 상기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는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을 가리도록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된다. The black matrix 210 blocks leakage of light to regions other than the pixel region. Accordingly, the black matrix 210 is formed in a matrix structure so as to cover regions other than the pixel region.

상기 컬러 필터(220)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풀(full) 컬러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컬러 필터(220)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삼색의 컬러 필터 이외에 제4색의 컬러 필터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lor filter 220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the black matrices 210 to enable a full color implementation. The color filter 220 includes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In some cases, in addition to the three color filters, .

상기 공통 전극(230)은 상기 컬러 필터(220) 상에 형성되어 제2 유체(420)에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통 전극(230)은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다. The common electrode 230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220 so that a common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fluid 420. The common electrode 230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상기 실런트(sealant)(300)는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사이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실런트(300)는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과 각각 접착되어 있어, 셀(cell) 내부를 밀봉시키게 된다. The sealant 300 is formed at the edges of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ogether. That is, the sealant 300 is adhered to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hereby sealing the inside of the cell.

상기 유체(400)는 제1 유체(410) 및 제2 유체(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1 유체(410) 및 제2 유체(420)는 서로 혼화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체(410)는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체(420)는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The fluid 400 includes a first fluid 410 and a second fluid 420. The first fluid 410 and the second fluid 420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miscible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rst fluid 410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and the second fluid 420 is made of a hydrophilic material.

상기 제1 유체(410)는 각각의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격벽(140)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 영역 각각의 공간 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화소 영역 각각의 공간 내에 형성되는 제1 유체(410) 들은 상기 격벽(140)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혼합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격벽(140)은 친수성(hydrophilic)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체(410)는 소수성(hydrophobic)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격벽(140)에 의해서 화소 영역 각각에 형성된 제1 유체(410)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게 된다. The first fluid 410 is formed in each pixel region, and in particular, in the space of each of the pixel regions surrounded by the barrier 14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luids 410 formed in the spaces of the pixel regions are separated by the barrier 140 and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partition 140 is made of a hydrophilic material, and the first fluid 410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fluid (not shown) 410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 유체(410)는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는 광차단 특성을 가진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체(410)는 블랙 오일(Black 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fluid 410 may be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having a light shielding property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For example, the first fluid 410 may be made of black oil.

상기 제2 유체(420)는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유체(420)는 광을 투과시키는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체(420)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fluid 420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he second fluid 420 may be a hydrophilic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For example, the second fluid 420 may be wa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되지 않은 화소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수성 특성을 갖는 제2 유전체층(134)이 노출되어 있고,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상기 유체(400) 중에서 소수성의 제1 유체(410)가 상기 제2 유전체층(134)과 넓게 접촉하고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having a relatively hydrophobic characteristic is exposed in the pixel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not formed. Therefore, when the voltage is not applied, In the fluid 400, the hydrophobic first fluid 410 is in wide contact with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그에 반하여, 상기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된 화소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친수성 특성을 갖는 제1 유전체층(132)이 노출되어 있고,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상기 유체(400) 중에서 친수성의 제2 유체(420)가 상기 제1 유전체층(132)과 접촉하고 있다. On the contrary, in the pixel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formed,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having relatively hydrophilic characteristics is exposed.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The second fluid 4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결국,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상기 유체(400) 중에서 친수성 특성을 갖는 제2 유체(420)가 상기 제1 개구부(135)를 통해서 상기 제1 유전체층(132)과 접촉하게 된다. 2A,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a second fluid 420 having a hydrophilic property in the fluid 400 flows through the first opening 135 to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 소수성 특성을 갖는 제1 유체(410)가 상기 화소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게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유체(410)가 상기 제1 개구부(135)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개구부(135) 근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게 형성된다. Accordingly, when the voltage is not applied, the first fluid 410 having a hydrophobic property is not uniformly formed over the pixel region, and more specifically,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opening 135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135 without being formed in the opening 135.

이와 같이, 상기 제1 유체(410)의 두께가 상기 제1 개구부(135) 근방으로 갈수록 점차로 얇아지게 되므로, 상기 제1 유체(410)를 움직이도록 하는 문턱 전압이 낮아질 수 있게 되고, 결국, 문턱 전압이 낮아짐으로 인해서 다양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luid 410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135, the threshold voltage for moving the first fluid 410 can be lowered. As a result, As the voltage is lowered, various gradations can be expressed.

한편, 상기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빛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개구부(135)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 영역이 증가됨으로 인해서 휘도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개구부(135)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성 위치도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140)과 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such light leakage, the black matrix 21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formed, because light leakage may occur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opening 135 is formed. .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 of reduction in luminance due to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black matrix 210,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first opening 135, and the formation position thereof is also determined by the edge of the pixel region, , And the barrier rib (140).

이와 같은 상기 제1 개구부(135)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first openings 13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예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기판(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3A and 3B are schematic plan views of a first substrate 100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격벽(140)에 의해 화소 영역이 정의되어 있고, 상기 화소 영역 내에 화소 전극(점선으로 표기)(120)이 형성되어 있다. 3A and 3B, a pixel region is defined by the barrier ribs 140, and a pixel electrode (indicated by a dotted line) 120 is formed in the pixel region.

상기 화소 전극(120)은 상기 격벽(14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지만, 일 부분에서 상기 격벽(140)의 형상을 따르지 않고 제2 개구부(125)를 구비한다. The pixel electrode 120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barrier rib 140 but has a second opening 125 at a portion thereof not following the shape of the barrier rib 140.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전극(120)은 화소 영역의 일 모서리부에 제2 개구부(125)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전극(120)은 화소 영역의 일 변부에 제2 개구부(125)를 구비할 수도 있다. 3A, the pixel electrode 120 may have a second opening 125 at one corner of the pixel region, and the pixel electrode 120 may have a second opening 125, 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opening 125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ixel region.

상기 제2 개구부(125)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화소 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125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pixel electrode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소 전극(120)에 구비된 제2 개구부(125)는 전압 인가시에 제1 유체(410)가 뭉쳐지는 영역을 정의하게 된다. 즉,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전압을 인가하면, 소수성인 제2 유전체(134)의 특성이 친수성으로 변경됨으로써 소수성인 제1 유체(410)가 뭉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개구부(125) 영역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소수성인 제2 유전체(134)의 특성이 친수성으로 변경되지 않게 되어 그 영역에서 제1 유체(410)가 뭉쳐지게 된다. The second opening 125 formed in the pixel electrode 120 defines a region where the first fluid 410 is gathered when a voltage is applied. 2B,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he characteristic of the hydrophobic second dielectric layer 134 is changed to be hydrophilic so that the hydrophobic first fluid 410 is aggregated. At this time, the second openings 125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region of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4 and the hydrophobic property of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is not changed to be hydrophilic so that the first fluid 410 is aggregated in the region.

상기 제1 개구부(1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40)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openings 135 are formed to contact the barrier ribs 140 as described above.

특히, 상기 제1 개구부(135)는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개구부(125)와 마주하는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개구부(125)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first opening 135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opening 125 in the pixel region, more specifically, at a position farthest from the second opening 125 in the pixel region .

즉,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개구부(125)가 화소 영역의 일 모서리부, 예를 들어 화소 영역의 좌하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개구부(135)는 화소 영역의 마주하는 다른 모서리부, 예를 들어 화소 영역의 우상측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A, when the second opening 125 is formed at one corner of the pixel region, for example, at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pixel region, the first opening 135 faces the pixel reg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another corner portion, for example, at an upper right corner portion of the pixel region.

그 이유는,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개구부(135) 근방에서부터 상기 제2 개구부(125)까지 제1 유체(410)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제1 유체(410)의 이동경로를 감안하여 문턱 전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35)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he first fluid 410 moves from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135 to the second opening 125. Considering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fluid 410, This is because it is advantageous to set the position of the first opening 135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lower the threshold voltage.

유사하게,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개구부(125)가 화소 영역의 일 변부, 예를 들어 화소 영역의 좌측 변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개구부(135)는 화소 영역의 마주하는 다른 변부, 예를 들어 화소 영역의 우측 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B, when the second opening 12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ixel region, for example, at the left side of the pixel region, the first opening 13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ixel region, , For example, on the right side edge of the pixel region.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기판(100)의 아래에는 백라이트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상기 제1 기판(100)을 향하여 광이 입사된다. 상기 백라이트는 에지형(Edge type) 또는 직하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백라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backlight is formed below the first substrate 100, and light is incident from the backlight toward the first substrate 100. The backlight may be various types of backlight known in the art such as an edge type or a direct lower typ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The operation of th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우선,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화소 전극(120)과 공통 전극(23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off), 친수성인 제2 유체(420)가 제1 개구부(135)를 통해 노출된 제1 유전체(132)와 접촉하게 되고, 소수성인 제1 유체(410)가 제2 유전체층(134) 상에 넓게 퍼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유체(410)는 상기 제1 개구부(135) 근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로 얇게 형성된다. 2A,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the common electrode 230, the second fluid 420, which is hydrophilic,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35 The first fluid 13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and the first fluid 410 that is hydrophobic is spread over the second dielectric layer 134. In addition, the first fluid 410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thickness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135.

따라서, 상기 제1 기판(100) 아래에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제1 유체(410)에 의해 차단되고, 그에 따라 화상이 블랙(black)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135) 영역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제2 유체(420)에 의해 차단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1 개구부(135) 영역을 통과한 광은 제2 기판(200) 상의 블랙 매트릭스(210)에 차단된다. Accordingly,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substrate 100 is blocked by the first fluid 410, so that the image displays black. In addi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opening 135 is not blocked by the second fluid 420, but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135 is transmitted through the black The matrix 210 is blocked.

다음,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화소 전극(120)과 공통 전극(23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on), 소수성인 제2 유전체(134)의 특성이 친수성으로 변경되어 소수성인 제1 유체(410)가 화소 전극(120)에 구비된 제2 개구부(도 3a 및 도 3b의 도면부호 125 참조) 영역에서 뭉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기판(100) 아래에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제1 유체(41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투과하게 되어 화상이 화이트(white)를 표시하게 된다. 2B,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the common electrode 230, the characteristic of the hydrophobic second dielectric layer 134 is changed to be hydrophilic so that the hydrophobic first fluid (See reference numeral 125 in FIG. 3A and FIG. 3B) provided in the pixel electrode 120. In this case, Therefore,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substrate 100 is transmitted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first fluid 410, and the image is displayed in white.

한편, 전압 무인가시에 상기 제1 유체(410)가 상기 제1 개구부(135) 근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로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문턱 전압에서도 상기 제1 유체(41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소 전극(120)과 공통 전극(23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제1 유체(410)의 뭉침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광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계조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luid 410 is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135 in the absence of a voltage, the first fluid 410 can be moved even at a relatively low threshold voltage do. Accordingly, the degree of aggregation of the first fluid 410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the common electrode 230, and consequently, the transmittance of light can be controlled,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컬러 필터(220)가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color filter 22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2a and Fig. 2b.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실런트(300), 및 유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 th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0, a second substrate 200, a sealant 300, and a fluid 400. As shown in FIG.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소자층(110), 화소 전극(120), 컬러 필터(220), 제1 유전체층(132)과 제2 유전체층(134)으로 이루어진 유전체층(130) 및 격벽(140)이 형성되어 있다. A dielectric layer 130 and barrier ribs 140 formed of a first dielectric layer 132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134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The di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f a material layer 110, a pixel electrode 120, a color filter 220, Respectively.

상기 컬러 필터(220)는 상기 화소 전극(120)과 상기 제1 유전체층(13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컬러 필터(220)는 화소 영역 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컬러 필터,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 필터가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The color filter 220 is form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0 and the first dielectric layer 132. The color filter 220 is formed with color filters of different colors for the respective pixel regions, for example,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그 외에, 소자층(110), 화소 전극(120), 유전체층(130) 및 격벽(14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element layer 110, the pixel electrode 120, the dielectric layer 130, and the barrier ribs 1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210) 및 공통 전극(230)이 형성되어 있다. A black matrix 210 and a common electrode 230 ar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즉,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 사이에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That is, a black matrix 210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00, and no color filter is formed between the black matrixes 210.

상기 실런트(300)는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사이를 접착시킨다. The sealant 300 is formed on the edges of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together.

상기 유체(400)는 제1 유체(410) 및 제2 유체(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유체(400)도 전술한 실시예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luid 400 includes a first fluid 410 and a second fluid 420. Since the fluid 400 is also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그 재료 또는 구조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or structure of th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100: 제1 기판 110: 소자층
120: 화소 전극 125: 제2 개구부
130: 유전체층 132: 제1 유전체층
134: 제2 유전체층 135: 제1 개구부
140: 격벽 200: 제2 기판
210: 블랙 매트릭스 220: 컬러 필터
230: 공통 전극 300: 실런트
400: 유체 410: 제1 유체
420: 제2 유체
100: first substrate 110: element layer
120: pixel electrode 125: second opening
130 dielectric layer 132 first dielectric layer
134: second dielectric layer 135: first opening
140: barrier rib 200: second substrate
210: black matrix 220: color filter
230: common electrode 300: sealant
400: fluid 410: first fluid
420: second fluid

Claims (10)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의 복수 개의 화소 영역 각각에 형성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화소 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 영역 각각의 공간에 형성된 제1 유체; 및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소정의 제1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제2 유전체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친수성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ormed to face each other;
A pixel electrod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on the first substrate;
A dielectric layer including a first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Barrier rib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A first fluid formed in a space of each of the pixel regions surrounded by the partition; And
And a second fluid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second dielectric lay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first opening in the pixel region,
Wherein the first dielectric lay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ydrophilic characteristic as compared to the second dielectric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전체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flui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ielectric layer through the first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화소 영역의 전체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electric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ixe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체는 상기 제1 개구부 근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luid is formed so that its thickness become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in a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격벽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개구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xel electrode has a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opening in the pixel reg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화소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개구부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farthest from the second opening in the pixe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상에는 광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제1 개구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lack matrix for blocking light leakage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black matrix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는 상기 제1 유체에 비하여 친수성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lui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ydrophilic properties as compared to the first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 컬러 필터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lor filter is additionally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KR1020110056873A 2011-06-13 2011-06-13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KR101799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873A KR101799882B1 (en) 2011-06-13 2011-06-13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873A KR101799882B1 (en) 2011-06-13 2011-06-13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802A KR20120137802A (en) 2012-12-24
KR101799882B1 true KR101799882B1 (en) 2017-11-23

Family

ID=4790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873A KR101799882B1 (en) 2011-06-13 2011-06-13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8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60B1 (en) * 2013-12-30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lor changeable Display Device
CN110288954B (en) * 2019-07-26 2021-03-30 福州大学 Driving method of low-power-consumption multi-gray-scale electrowetting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0510B2 (en) 2006-02-22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0510B2 (en) 2006-02-22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802A (en)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875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881599B1 (en) Electrowetting display apparatus
US9188718B2 (en) Color filter substrate comprising a first filter block having an area less than an area of a colorful filter block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82514B1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913244B1 (en) Display apparatus
WO2015096439A1 (en) Pixel unit,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for
JP2005004207A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TW201443533A (en) Pixel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CN109387974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4297991A (en) Color film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3969905B (en) A kind of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153076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150031640A (en) Liquid crystal device
US20140022498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85231B1 (en) Color filte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12098329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685697B (en) Display device
KR101799882B1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KR101742513B1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03869560A (en) Pixel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ixel forming method
CN104765186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4570456A (en) Liquid crystal display
TWI443373B (en)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8887B1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luding the same
US108023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