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657B1 -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 Google Patents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657B1
KR101799657B1 KR1020157009929A KR20157009929A KR101799657B1 KR 101799657 B1 KR101799657 B1 KR 101799657B1 KR 1020157009929 A KR1020157009929 A KR 1020157009929A KR 20157009929 A KR20157009929 A KR 20157009929A KR 101799657 B1 KR101799657 B1 KR 10179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portion
case
optical axis
light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763A (ko
Inventor
타카시 호시바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5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다광축 광전 센서(12, 13)는,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22); 통형상 케이스 내에 삽입되고,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16);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외주면을 구비하는 저부를 갖는 통형상의 감합부(120)를 포함하는 엔드캡(25); 및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와 엔드캡의 감합부의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을 구비한 고리 모양의 실링(seal ring)(24)을 구비한다. 실링(24)은, 제1의 고리 모양부(131)와, 제1의 고리 모양부(131)의 외주에 연결된 제2의 고리 모양부(132)를 구비한다. 제1의 고리 모양부(131)는, 비직선 형태의 윤곽 형상을 구비하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제2의 고리 모양부(132)는, 제1의 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AND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침입물을 검출하는 라이트 커튼 등에 사용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 및 그 다광축 광전 센서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실링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광축 광전 센서는,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이 수용된 긴 통형상의 투광성 부재 내에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즉,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은, 통형상 케이스의 일례인 투광성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 형성용의 창문부를 구비하는 긴 통형상의 금속제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금속제 하우징의 단부에는, 통형상 케이스 내가 수밀성을 구비하도록 투광성 부재의 개구 단부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를 구비하는 덮개체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투광성 부재의 개구 단부와 봉지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의 간극에는, 고리 모양의 실링 부재의 일례인 O링이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9-272064호 공보
하지만, O링은, 상형과 하형으로 분할된 금형을 사용한 열가황 압축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성형된 O링에는 형맞춤면을 따라 얇게 연장되는 버(burr)가 생겨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버는, O링의 내주면 및 외주면 모두에 둘레 방향의 전역에 걸쳐 고리 모양을 이루어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가 있는 O링이, 투광성 부재와 봉지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의 간극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실링 성능이 불충분해져 투광성 부재 및 봉지 부재의 수밀성을 유지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이 수용된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와 개구 단부에 장착되는 봉지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의 수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광축 광전 센서이다. 다광축 광전 센서는, 제1의 둘레면을 구비하는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 상기 통형상 케이스 내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광축을 구비하는 광학 유닛;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 단부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이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의 제1의 둘레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제2의 둘레면을 구비하는 저부를 갖는 통형상의 감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봉지 부재; 및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상기 제1의 둘레면과 상기 봉지 부재의 감합부의 제2의 둘레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을 구비한 고리 모양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제1의 고리 모양부와,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외주에 연결된 제2의 고리 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는, 비직선 형태의 윤곽 형상을 구비하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는,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2고리 모양부가 상기 제1고리 모양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한 상태에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둘레면에 의해 끼워져 가압된다.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 모양부 및 상기 제2고리 모양부는 각각,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고리 모양부의 단면 및 상기 제2고리 모양부의 단면은, 상기 제1고리 모양부의 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2고리 모양부의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상기 개구 단부의 상기 제1의 둘레면은, 내주면이고,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감합부의 제2의 둘레면은, 외주면이고,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이 상기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도록 상기 개구 단부에 대해 감합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상기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에 의해 끼워져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의 감합부의 내주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 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개구 단부의 상기 내주면의 요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에 의해 끼워져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링 부재이다. 실링 부재는, 탄성을 구비한 고리 모양의 실링 부재에 있어서, 제1의 고리 모양부와,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외주에 연결된 제2의 고리 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는, 비직선 형태의 윤곽 형상을 구비하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는,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이 수용된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와 그 개구 단부에 장착되는 봉지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의 수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라이트 커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수광기의 사시도.
도 3은 수광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소자 블록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소자 블록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쉴드 케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쉴드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제어 기판 및 소자 기판의 사시도.
도 9는 제어 기판 및 소자 기판의 사시도.
도 10은 소자 블록, 제어 기판, 및 소자 기판이 조립된 쉴드 케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소자 블록, 제어 기판, 및 소자 기판이 조립된 쉴드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12F-12F선 단면도.
도 13에 있어서, (a)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의 사시도, (b)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의 정면도, (c)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의 배면도, (d)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의 평면도, (e)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의 저면도, (f)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의 측면도.
도 14는 통형상 케이스에 대한 쉴드 케이스의 고정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5에 있어서, (a)는 실링의 사시도, (b)는 실링의 정면도, (c)는 실링의 평면도, (d)는 실링의 측면도, (e)는 실링의 단면도.
도 16은 통형상 케이스에 대한 쉴드 케이스의 고정 구조의 단면도.
도 17은 엔드캡을 통형상 케이스에 조립할 때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엔드캡에 실링을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도 17(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실링을 비스듬히 기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도 17(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엔드캡을 통형상 케이스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0의 18F-18F선 단면도.
도 19는 통형상 케이스의 투광면이 평탄한 지면에 접촉한 상태의 수광기의 단면도.
이하, 일 실시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트 커튼(11)은, 다광축 광전 센서의 일례인 투광기(12)와, 이 투광기(12)와 쌍을 이루는 마찬가지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일례인 수광기(13)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기(12)에는, 복수의 투광 소자(14)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수광기(13)에는, 복수의 수광 소자(15)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투광기(12) 및 수광기(13)는, 투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가 서로 쌍을 이루어 복수의 광축(L)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검출 영역을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투광기(12)와 수광기(13)는, 쌍을 이루는 투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 사이의 각 광축(L) 상에서의 투광 동작 및 수광 동작을 진행하는 것에 의해, 검출 영역내에 있어서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한편, 투광기(12) 및 수광기(13)는, 광전 소자가 투광 소자인지 또는 수광 소자인지 등의 일부 구성상의 차이를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기본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다광축 광전 센서의 일례로서 수광기(13)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기(13)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소자 블록(20)과, 이들의 소자 블록(20)을 외측에서 덮는 수용 케이스의 일례로서의 쉴드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광기(13)는, 쉴드 케이스(21)가 삽입되는 긴 통형상을 이루는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22)와,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2개의 금속제 단부 고정구(23), 2개의 실링(24), 및 2개의 엔드캡(25) 등을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수광기(13)는, 쉴드 케이스(21)에 복수의 소자 블록(20)을 조립하여 형성된 광학 유닛(16)이 통형상 케이스(22) 내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소자 블록(20)은, 일 방향을 따라 긴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소자 블록(20)의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면인 제1단면(20A)(도 4에서는 상면)에는, 소자 블록(20)을 광축 방향 X를 따라 관통하는 복수의 통광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통광 구멍(28)은,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 형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통광 구멍(28)은,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통광 구멍(28)에 있어서의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의 렌즈(29)가 유지되어 있다. 즉, 각 소자 블록(20)은, 복수의 렌즈(29)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각 렌즈(29)는, 평탄한 형상을 이루는 투광면이 소자 블록(20)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각 렌즈(29)의 투광면의 중심 위치는, 통광 구멍(28)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렌즈(29)의 투광면은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에 있어서의 일부의 통광 구멍(28)의 근방에는, 반원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돌기(30)가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의 폭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돌기(30)는,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과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렌즈(29)의 투광면이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충돌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복수의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에는, 표시 소자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7개)의 LED(32)를 실장한 LED 기판(33)이 마련되어 있다. LED 기판(33)은, 즐치상을 이루고 있고,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LED 기판(33)은,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 배열로 배치된 3개의 소자 블록(20) 중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과, 이 소자 블록(20)에 대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2개의 소자 블록(20)의 2개의 제1단면(20A) 사이에 각각 가설되어 있다.
LED 기판(3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도 4에서는 우측단)에는 커넥터(36)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3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는, 복수의 부위가 각각 연장된다. 각 부위의 선단에는 LED(32)가 실장되어 있다. 각 LED(32)는, 소자 블록(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렌즈(29)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LED(32)는,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33)에 있어서 복수의 LED(32)가 실장된 실장면에는, 마찬가지로 즐치상을 이루는 도광판(38)이 적층되어 있다. 도광판(38)은,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도광판(38)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감합부(41)가 도광판(38)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감합부(41)에는,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 중의 도광판(3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감합부(41)와 대응하는 부위에 마련된 감합 돌기(42)가 감합되어 있다. 한편, LED 기판(33)에는, LED 기판(3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감합 돌기(42)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삽통 구멍(도시 생략)이 관통되어 있다. 이 삽통 구멍을 통해 LED 기판(33)으로부터 돌출된 감합 돌기(42)가, 도광판(38)의 감합부(41)에 대해 감합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33) 및 도광판(38)은, 상기한 돌기(30)에 의해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과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소자 블록(20)에 있어서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제1단면(20A)과는 반대측의 제2단면(20B)에는, 원주 형상을 이루는 철부(凸部)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보스부(45)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보스부(45)는,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으로부터의 서로 동일한 돌출량을 갖는다. 또한, 각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에는, 복수의 통광 구멍(28)이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스부(45)는,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통광 구멍(2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보스부(45)는, 광축 방향 X에서 본 평면시에 있어서,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렌즈(29)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보스부(45)의 선단면에는 암나사 구멍(46)이 광축 방향 X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소자 블록(20)에 있어서 광축 방향 X를 따르는 단면인 제3단면(20C)에는, 원주 형상을 이루는 돌기(50)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돌기(50)는, 소자 블록(20)의 제3단면(20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보스부(45)보다 중앙쪽에 위치이고, 또한, 소자 블록(20)의 제3단면(20C)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 X를 따른 변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제3단면(20C)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돌기(50)는, 서로 동일한 돌출량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쉴드 케이스(21)는, 소자 블록(20)과 동일하게 일 방향을 따르는 긴 형상을 구비한다. 쉴드 케이스(21)의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일면은, 투광부의 일례인 광통과창(60)으로서 개구된 단면이 거의 U자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쉴드 케이스(21)는,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대해 높은 쉴드 성능을 구비하는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쉴드 케이스(21)의 두 측벽부(61)의 두께는, 광통과창(60)에 위치하는 제1부위(61A)의 두께가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 위치하는 제2부위(61B)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21)의 두 측벽부(61)의 내측면에는, 제1부위(61A)와 제2부위(61B) 사이의 경계 부분에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단차부(63)가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쉴드 케이스(21)에 있어서의 각 측벽부(61)의 제1부위(61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2개의 계지(係止) 구멍(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계지 구멍(64)은,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로부터의 서로 동일한 높이를 구비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의 외면에는,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요부의 일례로서의 긴 오목홈(65)이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긴 오목홈(65)의 내저면에는,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를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관통 구멍(66)이 개구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66)은,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66)은,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보스부(45)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관통 구멍(66) 사이의 간격은,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보스부(45)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한편, 긴 오목홈(65)은,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 대해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서 프레스 가공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의 내면에는, 긴 오목홈(65)과 동일 정도의 폭 치수를 구비하는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돌출바(67)가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기(13)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기판(70)은, CPU(74)가 실장되는 면(71)이 소자 블록(20) 및 쉴드 케이스(21)와 동일하게 일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박판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한쪽(도 8에서는 하측)의 단부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제1요부의 일례로서의 오목한 형상의 복수의 요부(72)가 폭 방향의 다른 한쪽(도 8에서는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절삭되어 있다. 이들의 요부(72)는, 면(71)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어 기판(70)의 면(71)은, 면(7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요부(72)가 각각 오목하게 마련된 복수의 제1면부위(71A)와, 면(7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요부(72)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2면부위(71B)를 포함한다. 제1면부위(71A)는, 제2면부위(71B)보다 짧은, 면(71)의 폭 방향을 따르는 변을 구비한다. 즉, 제2면부위(71B)에 있어서, 제1면부위(71A)에 있어서의 요부(72)가 오목하게 마련된 측과 같은 측의 단부는, 제1면부위(71A)에 있어서의 요부(72)가 오목하게 마련된 측의 단부보다, 면(71)의 폭 방향에 있어서 한쪽측(도 8에서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철부의 일례로서의 돌출 형상의 철부(7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70)의 면(7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면부위는, 요부(72)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제2면부위(71B)로 되어 있고, 이 제2면부위(71B)에는 실장 부품의 일종인 CPU(74)가 실장되어 있다. 즉, CPU(74)는, 제어 기판(70)의 면(7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철부(73)와 동일한 위치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CPU(74)는, 면(71)의 제2면부위(71B)의 폭 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어 기판(70)의 면(7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제1방향측(도 8에서는 좌측)의 면부위에는, 커넥터(75)가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75)는, LED 기판(33)에 마련된 커넥터(36)에 대해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도시 생략)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면(7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제2방향측(도 8에서는 우측)쪽의 면부위에는 커넥터(76)가 실장되어 있다.
한편, 제어 기판(70)의 면(7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위치에는,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감합 구멍(77)이 각각 관통되어 있다. 각 감합 구멍(77)에는, 소자 블록(20)의 제3단면(20C)에 마련된 돌기(50)가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면(71)과는 반대측의 이면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은, 면(7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소자 블록(20)의 제3단면(20C)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제어 기판(70)의 면(71)에 있어서의 요부(72)측의 단부에는, 수광 소자(15)를 실장한 소자 기판(80)이 조립되어 있다. 소자 기판(80)은, 복수의 수광 소자(15)를 실장한 면(81)을 포함한다. 소자 기판(80)은, 제어 기판(70)과 동일하게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박판상을 이루고 있다. 소자 기판(80)의 면(81)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제어 기판(70)의 면(71)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길다. 또한, 소자 기판(80)의 면(81)의 폭 방향의 치수는, 제어 기판(70)의 면(71)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짧다. 그리고, 제어 기판(70)의 면(71)과 소자 기판(80)의 면(81)은, 쌍방의 면(71, 81)의 길이 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직교(즉,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소자 기판(80)의 면(81)에 있어서 제어 기판(70)과 교차하는 단부에는,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제2요부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요부(82)가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삭되어 있다. 각 요부(82)는, 소자 기판(8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어 기판(70)의 면(7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철부(73)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소자 기판(80)의 면(81)에 있어서의 요부(82)가 오목하게 마련된 측의 단부에 있어서, 요부(82)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면부위는, 요부(82)가 오목하게 마련된 면부위보다 면(81)의 폭 방향에 있어서 돌출된 제2철부의 일례로서의 철부(83)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 기판(70)과 소자 기판(80)이 면(71, 81)을 서로 직교시켜서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소자 기판(80)의 복수의 철부(83)는 제어 기판(70)의 복수의 요부(72)에 각각 끼워지는 한편, 제어 기판(70)의 복수의 철부(73)는 소자 기판(80)의 복수의 요부(82)에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그 상태에 있어서, 소자 기판(80)의 각 철부(83)의 선단은 제어 기판(70)의 면(71)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한편, 제어 기판(70)의 각 철부(73)의 선단은 소자 기판(80)에 있어서의 면(81)과는 반대측의 이면측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한편, 소자 기판(80)의 요부(82)에 있어서의 면(81)의 길이 방향의 폭 치수는, 제어 기판(70)의 철부(73)에 있어서의 면(71)의 길이 방향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소자 기판(80)의 철부(83)에 있어서의 면(81)의 길이 방향의 폭 치수는, 제어 기판(70)의 요부(72)에 있어서의 면(71)의 길이 방향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기판(80)의 면(81)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2개)의 수광 소자(15)가 면(81)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실장되어 있다. 이들의 수광 소자(15)는, 면(81)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포함하는 면(81)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수광 소자(15)는,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통광 구멍(28)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면(8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수광 소자(15) 사이의 간격은,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통광 구멍(28)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소자 기판(80)의 면(81)에는, 면(8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수광 소자(15) 사이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1개)의 원형의 삽통 구멍(85)이 관통되어 있다. 복수의 삽통 구멍(85)은,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에 마련된 복수의 보스부(45)에 대해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들의 삽통 구멍(85)의 구멍 지름은, 소자 블록(20)의 보스부(45)의 외경보다 크다.
소자 기판(80)의 면(8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도 9에서는 좌측)의 단부에는 커넥터(86)가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86)는, 제어 기판(70)의 면(71)에 실장된 커넥터(76)에 대해 와이어하니스(도시 생략)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소자 블록(20),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은, 쉴드 케이스(21)의 양단의 2개의 개구를 통해 쉴드 케이스(21)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소자 블록(20)의 길이 방향이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각 소자 블록(20)은, 렌즈(29)가 마련된 제1단면(20A)을 광통과창(60)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킨 상태에서 쉴드 케이스(21)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변의 길이는, 모든 소자 블록(20)을 동일 방향으로 접속한 전체 길이와 동일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66)에는, 복수의 고정 나사(90)가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으로부터 각각 삽통되어 있다. 각 고정 나사(90)의 두부는,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 마련된 긴 오목홈(65)에 수용되어 있고, 저벽부(62)에 있어서 긴 오목홈(65)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각 고정 나사(90)는, 소자 블록(20)을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고정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기판(80)은, 쉴드 케이스(21)의 양 측벽부(61)의 각 내측면에 마련된 단차부(63)에 대해, 면(81)과는 반대측의 이면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소자 기판(80)의 복수의 삽통 구멍(85)에는,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보스부(45)가 면(81)측으로부터 광축 방향 X로 각각 삽통되어 있다. 또한, 각 보스부(45)의 선단 부위는,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 형성된 관통 구멍(66)에 대해 광축 방향 X로 삽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보스부(45)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암나사 구멍(46)은, 관통 구멍(66)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보스부(45)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66)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보스부(45)의 선단면과, 대응하는 관통 구멍(66)에 있어서의 쉴드 케이스(21)의 외측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광축 방향 X로 약간의 간극이 개재하고 있다.
그리고, 각 보스부(45)의 암나사 구멍(46)에 대해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으로부터 고정 나사(90)의 축부가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소자 블록(20)은, 쉴드 케이스(21)의 단차부(63)에 지지된 소자 기판(80)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소자 기판(80)은, 소자 블록(20)과 쉴드 케이스(21)의 단차부(63) 사이에서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협지(挾持)되어 있다.
또한, 소자 기판(80)의 면(81)은, 면(81)의 길이 방향이 쉴드 케이스(21) 및 소자 블록(2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광축(L)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자 기판(80)의 면(81)에 실장된 복수의 수광 소자(15)는, 소자 블록(20)에 마련된 복수의 통광 구멍(28)의 중심선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소자 기판(80)의 면(81)과 직교하는 제어 기판(70)의 면(71)은, 면(71)의 길이 방향이 쉴드 케이스(21) 및 소자 블록(2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한편, 면(71)의 폭 방향이 광축 방향 X와 일치한 상태에서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 케이스(22)는,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고, 투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 사이에 투광 및 수광되는 광에 대해 광투과성이 높은 투광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케이스(22)의 복수의 측벽부 중, 쉴드 케이스(21)의 광통과창(60)에 대향하는 측벽부의 외면이 되는 투광면(100)(도 3에서는 상면)에는, 요부의 일례로서의 긴 오목홈(101)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긴 오목홈(101)은,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길다. 그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23), 실링(24), 및 엔드캡(25) 등을 수용하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도 13(a)~(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전체 형상이 거의 U자 형상을 이루는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원형의 2개의 암나사 구멍(111)이 형성된 저판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양측판부(11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저판부(110)의 양단을 기단측으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양측판부(112)는, 쉴드 케이스(21)의 양 측벽부(61) 중의, 계지 구멍(64)이 마련된 2개의 제1부위(61A) 사이의 거리와 동일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각 측판부(112)에는, 거의 U자 형상을 이루는 개구부(113)가 U자의 하부를 기단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측판부(112)의 두께 방향으로 펀칭되어 있다. 또한, 각 측판부(112)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는, 개구부(113)와 동일한 폭 치수를 구비하는 직선 형태의 노칭부(114)가 측판부(112)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이르기까지 펀칭되어 있다. 그 결과, 각 측판부(112)에는, 기단측을 고정단으로 하여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도중 위치에서 기단측으로 절곡된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여 외팔보 형태를 이루는 탄성편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부(115)의 고정단에서 자유단에 걸친 폭 치수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부(115)의 자유단에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치켜세워지는 것에 의해 계지 클로(1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복수의 계지 클로(116)가 복수의 계지 구멍(64)에 대해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계지되는 것에 의해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금속제 단부 고정구(23)가 장착된 쉴드 케이스(21)는,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2개의 개구를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측으로부터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탄성편부(115)는, 기단측에서부터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와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도중 위치에서 개구 단부측으로 절곡되어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21)를 수용한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2개의 개구 단부가 봉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2개의 엔드캡(25)에 의해 각각 봉지되어 있다.
각 엔드캡(25)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통형상 케이스(22)의 단부의 개구 단부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감합되는 감합부(120)와, 감합부(120)를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에 감합할 때 파지되는 파지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감합부(120)는,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의 개구 형상과 거의 동일한 외연(外緣) 형상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저부를 갖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파지부(121)는,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의 외연 형상과 거의 동일한 외연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엔드캡(25)의 감합부(120)가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에 감합된 경우에는, 감합부(120)의 외주면과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이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한편, 파지부(121)의 외측면이 통형상 케이스(22)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하여, 파지부(121)가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의해 계지된다.
파지부(121)는, 엔드캡(25)의 감합부(120)가 통형상 케이스(22)에 감합된 경우에 통형상 케이스(22)의 외측에 노출되는 단면(121a)에 삽통 구멍(122)이 관통되어 있다. 이 삽통 구멍(122)에는, 제어 기판(70), 소자 기판(80), 및 LED 기판(33)에 실장되어 있는 실장 부품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도시 생략)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삽통 구멍(122)의 주위에는, 전원 케이블의 외주면과 삽통 구멍(122)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12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121)의 단면(121a)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나사 삽통 구멍(124)이 관통되어 있다. 각 나사 삽통 구멍(124)은, 해당 나사 삽통 구멍(124)에 대응하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암나사 구멍(111)에 대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고정 나사(126)의 축부가, 통형상 케이스(22)의 외측에서 나사 삽통 구멍(124)을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을 향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각 고정 나사(126)의 축부의 선단은, 통형상 케이스(22)에 수용되어 있는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암나사 구멍(111)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각 엔드캡(25)이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에 대해 복수의 고정 나사(126)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 엔드캡(25)이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통해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즉,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엔드캡(25)을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장착하는 장착 부재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한편, 고정 나사(126)가 삽입된 나사 삽통 구멍(124)에는, 원통 형상의 부시(bush)(128)가 엔드캡(25)의 외측에서 고정 나사(126)의 두부를 덮도록 끼워져 있다.
감합부(120)에 있어서 통형상 케이스(22)의 안쪽측으로 삽입되는 단부의 외측면에는, 고리 모양을 이루는 오목홈(129)이 감합부(120)의 외주 방향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129)에는, 직사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는 실링(24)이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즉, 실링(24)은,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엔드캡(25)에 있어서의 감합부(120)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 즉,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와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다.
도 15(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24)은, 직사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는 제1고리 모양부(131)와, 제1고리 모양부(131)보다 한 사이즈 큰 직사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는 제2고리 모양부(1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링(24)은, 제1고리 모양부(131)의 외주면과 제2고리 모양부(132)의 내주면이 연결된 이중 고리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고리 모양부(131)는, 제1고리 모양부(131)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고리 모양부(131)와 수직한 가상 평면에 의해 절단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또 제2고리 모양부(132)는, 제2고리 모양부(132)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2고리 모양부(132)와 수직한 가상 평면에 의해 절단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 지름은, 제2고리 모양부(132)의 단면 지름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부는, 비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윤곽 형상을 구비한다. 제1고리 모양부(131)는,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 돌출바(버)를 구비하는 내주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2고리 모양부(132)의 단면적은,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적보다 크다. 또한,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의 중심과 제2고리 모양부(132)의 단면의 중심은, 두 고리 모양부(131, 132)의 중심을 지나면서 두 고리 모양부(131, 132)와 수직한 가상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해당 가상 평면에 의해 절단되는 단면은,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의 중심과 제2고리 모양부(132)의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실링(24)은, 두 고리 모양부(131, 132)의 중심을 지나면서 두 고리 모양부(131, 132)와 수직한 가상 평면과 교차하는 두께 방향 Z의 한쪽의 절반부분과 다른 한쪽의 절반부분을 본뜬 한쌍의 금형 사이에 탄성 재료를 부어 넣은 후, 쌍방의 금형의 개구 단부끼리를 겹친후 탄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링(24)에 있어서의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 및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에는, 쌍방의 금형의 개구 단부로부터 튀어나온 탄성 재료의 일부가 버(133, 134)로서 각각 잔존하고 있다. 실링(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버(133)는, 직사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고, 제1고리 모양부(131)의 둘레 방향의 전역에 걸쳐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에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내주의 버(133)는,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 중, 실링(24)의 두께 방향 Z의 중앙이 되는 면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실링(24)의 외주에 형성된 버(134)는, 직사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고, 제2고리 모양부(132)의 둘레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외주의 버(134)는,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 중, 실링(24)의 두께 방향 Z의 중앙이 되는 면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24)이 끼워진 감합부(120)는,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 개구 단부를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서 감합되어 있다. 이 경우, 실링(24)은, 감합부(120)의 오목홈(129)의 내저면과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 사이에 탄성 변형을 수반하면서 개재하는 것에 의해, 광학 유닛(16)이 수용된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의 공간 영역을 수밀 형태로 실링하고 있다. 또한, 실링(24)에서는, 제1고리 모양부(131) 및 제2고리 모양부(132) 모두가 감합부(120)의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제2고리 모양부(132)에 있어서의 오목홈(129)의 내저면과의 접촉 부위와는 반대측의 부위가,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실링(24)은,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 중, 버(133)가 잔존하고 있는 면부위와는 다른 면부위를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실링(24)은,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 중, 버(134)가 잔존하고 있는 면부위와는 다른 면부위를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한편, 실링(24)은, 소자 기판(80)의 면(81)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실장된 수광 소자(15)에 대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자 기판(80)의 면(81)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실장된 수광 소자(15)의 배치 영역은,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배치 영역에 대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겹쳐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광축 광전 센서를 조립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다광축 광전 센서의 일례로서의 투광기(12) 및 수광기(13)를 조립할 때의 순서는 기본적으로 공통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수광기(13)를 조립할 때의 순서를 예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광기(13)를 조립할 때는, 우선, 복수의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제1단면(20A)을 소자 블록(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 형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각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에 마련된 복수의 감합 돌기(42)를, LED 기판(33)에 마련된 복수의 삽통 구멍에 각각 삽통시킨다. 또한, LED 기판(33)의 각 삽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된 감합 돌기(42)의 선단을, 도광판(38)에 마련된 감합부(41)에 대해 감합시킨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의 소자 블록(20)의 2개의 제1단면(20A) 사이를 LED 기판(33) 및 도광판(38)에 의해 가설한다.
그 다음으로, 각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에 마련된 복수의 보스부(45)를, 소자 기판(80)의 복수의 삽통 구멍(85)에 각각 삽통시킨다. 이 경우, 소자 기판(80)의 면(81)을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보스부(45)를, 소자 기판(80)의 복수의 삽통 구멍(85)에 각각 삽통시킨다. 그러면, 소자 기판(80)이 각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보스부(45)에 의해 소자 기판(80)의 면(8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소자 기판(80)의 면(81)에 실장된 복수의 수광 소자(15)가, 복수의 통광 구멍(28)을 따른 중심선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각 소자 블록(20)의 제3단면(20C)에 마련된 돌기(50)를, 제어 기판(70)의 감합 구멍(77)에 대해 감합시킨다. 그러면, 제어 기판(70)이 각 소자 블록(20)의 돌기(50)에 의해 제어 기판(70)의 면(7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제어 기판(70)의 면(71)은, 면(71)의 폭 방향을 광축 방향 X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제3단면(20C)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소자 기판(80)측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철부(73)가, 소자 기판(80)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70)측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요부(82)에 대해 각각 삽입된다. 또한,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소자 기판(80)측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요부(72)에는, 소자 기판(80)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70)측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철부(83)가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은, 복수의 철부(73, 83) 및 복수의 요부(72, 82)가 마련된 단부에 있어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그 다음으로,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이 조립된 복수의 소자 블록(20)을, 쉴드 케이스(21)에 마련된 광통과창(60)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에 삽입한다. 그리고, 소자 기판(80)의 각 삽통 구멍(85)으로부터 돌출된 소자 블록(20)의 보스부(45)를,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 마련된 관통 구멍(66)에 대해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삽입한다. 그러면, 복수의 소자 블록(20)은, 보스부(45)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이 경우, 소자 기판(80)에 있어서의 면(81)과는 반대측의 면이, 쉴드 케이스(21)의 두 측벽부(61)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된 2개의 단차부(63)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각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보스부(45)는, 쉴드 케이스(21)의 복수의 관통 구멍(66)의 도중 위치까지 각각 삽입된다.
이어서, 각 소자 블록(20)의 각 보스부(45)가 삽입된 쉴드 케이스(21)의 관통 구멍(66)에 대해, 고정 나사(90)를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각 관통 구멍(66)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 노출한 보스부(45)의 암나사 구멍(46)에 대해, 고정 나사(90)의 축부를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각 소자 블록(20)의 각 보스부(45)가, 고정 나사(90)에 의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으로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각 소자 블록(20)이, 쉴드 케이스(21)의 2개의 단차부(63)에 지지된 소자 기판(80)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소자 기판(80)은, 소자 블록(20)과 쉴드 케이스(21)의 2개의 단차부(63) 사이에서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협지된다.
이 경우, 각 보스부(45)는, 관통 구멍(66)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통 구멍(66)을 통해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을 향해 약간 변위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소자 기판(80)의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에 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소자 기판(80)이 소자 블록(20)과 쉴드 케이스(21) 사이에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확실하게 협지된다.
또한, 각 소자 블록(20)이, 복수의 고정 나사(90)에 의해 광축 방향 X로 끌어당겨지는 것에 의해 쉴드 케이스(21)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각 소자 블록(20)이 2개의 고정 나사에 의해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끌어당겨지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각 소자 블록(20)에 유지된 복수의 렌즈(29)의 중심축이 원하는 방향에서 비스듬히 기울기 어렵다. 또한, 각 소자 블록(20)을 쉴드 케이스(21)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나사의 개수가 저감되기 때문에, 수광기(13)의 조립성의 향상이나 수광기(13)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한,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에는, 각 소자 블록(20)이 복수의 고정 나사(90)에 의해 고정된다. 그 때문에, 쉴드 케이스(21)의 측벽부(61)에 대해 소자 블록(20)이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쉴드 케이스(21)의 측벽부(61)에 요구되는 강성의 크기가 낮다. 그 결과, 쉴드 케이스(21)의 측벽부(61)의 두께 치수가 종래의 구성보다 얇아져 있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21)의 폭 방향의 치수가 종래의 구성보다 저감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광기(13)의 수광면의 폭 치수를 저감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2개의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을 향해 각각 삽입한다. 그러면,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2개의 탄성편부(115)가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에 넘어지듯이 탄성 변형 하면서, 각 탄성편부(115)의 선단에 형성된 계지 클로(116)가 쉴드 케이스(21)의 측벽부(61)의 내면에 대해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2개의 계지 클로(116)가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계지 구멍(64)의 형성 위치에 도달하면, 2개의 탄성편부(115)가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을 향해 변형한다. 그 결과,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2개의 계지 클로(116)가 쉴드 케이스(21)의 2개의 계지 구멍(64)에 의해 각각 계지되는 것에 의해,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가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장착된다.
이 경우,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기단에 위치하는 고정단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탄성편부(115)를 구비한다. 각 탄성편부(115)의 선단에는, 계지 클로(116)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탄성편부(115)의 탄성 변형에 따른 계지 클로(116)의 스트로크량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21)에 형성된 각 계지 구멍(64)에 대해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계지 클로(116)를 계지시킬 때는, 계지 클로(116)를 변위시키기 위해 큰 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각 계지 클로(116)가 계지 구멍(64)에 대해 간편하게 계지된다.
또한, 각 탄성편부(115)는, 기단에서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와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그 도중 위치에서 개구 단부측으로 절곡되어 선단측을 향해 연장된다. 그 때문에, 각 탄성편부(115)에 있어서의 기단에서 선단에 걸친 전역이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에서 쉴드 케이스(21)의 안쪽측을 향해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쉴드 케이스(21)의 안쪽측으로의 탄성편부(115)의 진입량이 저감된다. 그 결과,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제어 기판(70)에 간섭시키지 않기 때문에,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와 제어 기판(70)이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제어 기판(70)의 면(71)의 크기가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소자 블록(20) 및 소자 기판(80)에 대해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소자 블록(20)에 유지된 렌즈(29)나 소자 기판(80)에 실장된 수광 소자(15)는,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그 결과, 쉴드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광축(L)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가 저감된다.
또한,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쉴드 케이스(2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수광기(13)의 조립성의 향상이나 수광기(13)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어서, 2개의 금속제 단부 고정구(23)가 장착된 쉴드 케이스(21)를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개구 단부로부터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 삽입한다. 이 경우, 쉴드 케이스(21)의 광통과창(60)이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쉴드 케이스(21)를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 삽입한다. 그러면, 2개의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저판부(110)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111)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2개의 개구 단부를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의 외측에 각각 노출된다.
그 다음으로,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2개의 개구 단부를 통해 2개의 엔드캡(25)을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 각각 삽입한다. 이 경우, 각 파지부(121)를 파지하면서, 각 감합부(120)에 마련된 오목홈(129)에 대해 실링(24)을 외측에서 끼운 상태에서, 각 감합부(120)를 통형상 케이스(22)에 내측에서 감합시킨다.
즉,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1고리 모양부(131) 및 제2고리 모양부(132)를 오목홈(129)의 내저면과 수직으로 병렬시킨 상태에서,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을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접촉시킨다. 그러면,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에 잔존하고 있는 버(133)가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접촉한다. 또한,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에 잔존하고 있는 버(134)가 오목홈(129)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한다. 계속해서, 제2고리 모양부(132) 가운데 오목홈(129)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실링(24)의 두께 방향 Z의 한쪽측(도 17(a)에서는 우측)로부터 가압한다.
그러면,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24)은, 제1고리 모양부(131)에 있어서의 오목홈(129)의 내저면과의 접촉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로 넘어진다. 그리고, 제1고리 모양부(131)를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고리 모양부(132)를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접촉시킨다. 그 결과, 실링(24)은, 제1고리 모양부(131) 및 제2고리 모양부(132)가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운 상태로 병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고리 모양부(131)의 내주면 중, 버(133)가 잔존하고 있는 면부위와는 다른 면부위가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실링(24)은,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간극 없이 접촉한다.
그 다음으로,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24)이 끼워진 감합부(120)를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 개구 단부를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서 끼운다. 그러면, 실링(24)은,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 중의 오목홈(129)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가장 돌출된 면부위를,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대해 접촉시킨다. 이 경우,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 중의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접촉하는 면부위는, 버(134)가 잔존하고 있는 면부위와는 다른 면부위가 된다. 그 때문에, 실링(24)은,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대해 간극 없이 접촉한다.
한편, 실링(24)은,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의 중심 지름이 제2고리 모양부(132)의 단면의 중심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제1고리 모양부(131)에 있어서의 오목홈(129)의 내저면과의 접촉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로 넘어지기 쉽다. 또한, 실링(24)에서는, 두 고리 모양부(131, 132)가 오목홈(129)의 내저면과 수직으로 병렬로 제1고리 모양부(131)만이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접촉한 자세보다, 두 고리 모양부(131, 132)가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 두 고리 모양부(131, 132)가 오목홈(129)의 내저면에 접촉한 자세가 안정된다. 그 때문에, 실링(24)에서는,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 중의 버(134)가 잔존하고 있는 면부위와는 다른 면부위가,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케이스(22)가 외측에서 가압된 종래의 구성에 비해, 통형상 케이스(22)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바와 같이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22)와 2개의 엔드캡(25)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대 이동하기 쉬워져 있다. 하지만, 2개의 엔드캡(25)이 통형상 케이스(22)에 대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대 이동했다고 해도, 실링(24)은, 제2고리 모양부(132)의 외주면 중의 버(134)가 잔존하고 있는 면부위와는 다른 면부위가, 통형상 케이스(22)의 내면에 대해 접촉한 상태가 신뢰성 높게 유지된다.
이어서, 복수의 고정 나사(126)의 축부를, 복수의 나사 삽통 구멍(124)을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통형상 케이스(22)의 내측에 삽입된 복수의 고정 나사(126)의 축부를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복수의 암나사 구멍(111)에 대해 각각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쉴드 케이스(21)가 2개의 금속제 단부 고정구(23) 및 2개의 엔드캡(25)을 통해 통형상 케이스(22)에 대해 연결된다. 그 결과, 복수의 소자 블록(20) 및 소자 기판(80)이, 쉴드 케이스(21)와 일체가 되어 통형상 케이스(22)에 대해 고정된다. 그리고, 각 소자 블록(20)에 유지된 복수의 렌즈(29), 및 소자 기판(80)에 실장된 복수의 수광 소자(15)는, 통형상 케이스(22)에 대해 상대 이동 불능하게 고정된다.
그 후, 각 고정 나사(126)가 삽입된 나사 삽통 구멍(124)에 대해 부시(128)를 엔드캡(25)의 외측에서 고정 나사(126)의 두부를 덮도록 끼우는 것에 의해, 수광기(13)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다광축 광전 센서의 일례로서의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작용은 기본적으로 공통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수광기(13)의 작용을 예로 설명한다.
제어 기판(70)에 실장되는 CPU(74)는, 제어 기판(70)에 실장되는 다른 실장 부품에 비해, 종횡으로 큰 실장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의 면(71)의 폭 방향의 치수는, CPU(74)가 실장되지 않는 기판의 일례인 소자 기판(80)의 면(81)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길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기판(70)의 면(71)의 폭 방향을 광축 방향 X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어 기판(70)이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의 면(71)이 광축 방향 X와 직교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비해, 광축(L)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70)의 설치 스페이스가 저감된다.
한편,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을 렌즈(29)에 의해 집광하기 위해서는, 수광 소자(15)와 렌즈(29)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수광기(13)의 치수는 광학적으로 어느 정도 커질 수 밖에 없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이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되었다고 해도, 제어 기판(70)의 폭 방향의 치수가 수광 소자(15)와 렌즈(29) 사이에 필요로 하는 소정의 간격보다 짧으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가 제어 기판(70)을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한 것에 의해 거의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기판(70)을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기판(33)에 실장된 복수의 LED(32)가,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해, 광축 방향 X를 따라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LED(32)는, 소자 블록(20)에 있어서의 렌즈(29)측의 제1단면(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LED(32)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폭 방향의 양측을 향해 광범위한 각도 범위 R에 걸쳐 광을 사출한다. 한편, 통형상 케이스(22)는,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형상 케이스(22)의 전체가 각 LED(32)로부터 발생한 광에 대해 투광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22)에 절삭 등을 마련하지 않고, 각 LED(32)로부터 발생한 광이 광범위한 각도 범위 R에 걸쳐 통형상 케이스(22)의 외측으로 사출된다. 그리고, 각 LED(32)로부터 사출된 광은,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각 수광기(13)에 대해 투광면(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해도, 각 LED(32)로부터 사출되는 광이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시인되는 것에 의해, 광축 조정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LED(32)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해, 광축 방향 X를 따라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22)가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의 어느 한 단부가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여도, 통형상 케이스(22)의 높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각 LED(32)가 배치된다. 따라서, 각 LED(32)로부터 사출되는 광이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시인되는 것에 의해, 광축 조정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 중의, 각 소자 블록(20)에 유지된 복수의 렌즈(29)를 통해 소자 기판(80)에 실장된 복수의 수광 소자(15)에 수광되는 광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100A)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마련된 긴 오목홈(101)의 내저면으로 되어 있다. 즉,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 중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100A)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 긴 오목홈(10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면부위보다 함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22)가 경사로 넘어져,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이 평탄한 지면(G)에 충돌했다고 해도,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 중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100A)는 지면(G)에 충돌되기 어렵다. 따라서,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 중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100A)가 손상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에 의해, 광축(L)을 구성하는 광의 산란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CPU(74)의 실장 스페이스를 종횡으로 크게 필요로 하는 제어 기판(70)이,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을 광축(L)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경우에 비해, 광축(L)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70)의 설치 스페이스가 저감된다. 한편,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을 렌즈(29)에 의해 집광하기 위해서는, 광축(L)을 형성하는 투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와 렌즈(29)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래 투광기(12) 및 수광기(13)는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가 광학적으로 어느 정도 크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이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되었다고 해도, 그 것에 의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투광기(12) 또는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가 증대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2)… 소자 기판(80)은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소자 기판(80) 및 제어 기판(70)이 서로 광축 방향 X를 따라 가로 배열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의 설치 스페이스가 저감된다. 따라서,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가 증대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가일층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3)…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은 서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어 기판(70) 및 소자 기판(8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크기가 작다. 그 때문에, 서로 교차하는 제어 기판(70)의 단부와 소자 기판(80)의 단부를 쉴드 케이스(21) 내의 데드스페이스에 집어넣는 것에 의해,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가일층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70)의 면(71)으로부터 돌출된 CPU(74)는, 소자 기판(80)에 있어서 제어 기판(70)에 교차하는 단부가 제어 기판(70)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쉴드 케이스(21) 내의 스페이스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가일층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4)… 제어 기판(70)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어 기판(7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철부(73)와 동일한 위치에 CPU(74)가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기판(70)에 실장되는 실장 부품 중의 비교적 큰 실장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CPU(74)는,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구비하는 부분에 실장된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은, CPU(74)가 실장되지 않는 부분, 즉, 제어 기판(7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요부(72)와 동일한 위치가 되는 부분의 폭 방향의 치수를,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CPU(74)의 실장 스페이스의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CPU(74)가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를 구비하는 부분에 실장되는 경우에 비해, 동일 부분의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기판(70)의 폭 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가일층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5)… 제어 기판(70)은, 소자 블록(20)에 대해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70)의 설치 스페이스와 소자 블록(20)의 설치 스페이스가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근접한다. 따라서,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가 더욱 저감되기 때문에,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가일층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6)… 쉴드 케이스(21)에는,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단면과는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반대측이 되는 단면에, 각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보스부(45)가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각각 감합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소자 블록(20)의 복수의 보스부(45)가 쉴드 케이스(21)의 복수의 관통 구멍(66)에 대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각각 감합되는 것에 의해, 각 소자 블록(20)을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 블록(20)에 있어서의 광통과창(60)과는 반대측의 부위를,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한 군데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 소자 블록(20)에 있어서의 광통과창(60)측의 부위를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이 되는 두 군데에서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구성에 비해, 각 소자 블록(20)을 쉴드 케이스(21)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조의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광축 방향 X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설치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7)… 복수의 소자 블록(20)이, 금속제 단부 고정구(23) 및 엔드캡(25)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소자 블록(20)에 마련된 복수의 렌즈(29)가,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쉴드 케이스(21)에 형성된 복수의 계지 구멍(64)에 대해 각각 계지되는 복수의 계지 클로(116)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간이한 조작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9)…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기단에 위치하는 고정단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탄성편부(115)를 구비하고, 각 탄성편부(115)의 선단에는 계지 클로(11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편부(115)의 탄성 변형에 따른 계지 클로(116)의 스트로크량이 충분히 확보된다. 그 때문에, 쉴드 케이스(21)에 형성된 복수의 계지 구멍(64)에 대해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복수의 계지 클로(116)를 각각 계지시킬 때는, 계지 클로(116)를 변위시키기 위해 큰 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계지 클로(116)를 계지 구멍(64)에 대해 간편하게 계지시킬 수 있다.
(10)…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측에서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장착되어 있다. 각 탄성편부(115)는, 기단측에서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와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그 도중 위치에서 개구 단부측으로 절곡되어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편부(115)에 있어서의 기단측에서 선단측에 걸친 전역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측에서 통형상 케이스(22)의 안쪽측을 향해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통형상 케이스(22)의 안쪽측으로의 탄성편부(115)의 진입량이 저감된다. 이 결과,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실장 부품의 실장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11)… 각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배치 영역은,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광축(L)을 형성하는 투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의 배치 영역과 겹치고 있다. 따라서, 투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를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의 근방까지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광축(L)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12)… 각 보스부(45)의 선단면에는 암나사 구멍(46)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서 각 관통 구멍(66)에 삽입되는 고정 나사(90)가,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에서 관통 구멍(66)에 감합된 보스부(45)의 암나사 구멍(46)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각 고정 나사(90)가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서 관통 구멍(66)을 삽통하여 소자 블록(20)의 보스부(45)의 암나사 구멍(46)에 대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소자 블록(20)을 쉴드 케이스(21)에 대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체결할 수 있다.
(13)… 복수의 소자 블록(20)과 쉴드 케이스(21) 사이에는, 복수의 광축(L)을 형성하는 복수의 투광 소자(14) 또는 복수의 수광 소자(15)를 실장한 소자 기판(80)이 배치되어 있다. 각 보스부(45)는, 소자 기판(80)에 형성된 삽통 구멍(85)을 광축 방향 X를 따라 삽통하고 있다. 따라서, 각 고정 나사(90)가 소자 기판(80)의 삽통 구멍(85)을 삽통하여 소자 블록(20)의 보스부(45)의 암나사 구멍(46)에 대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소자 기판(80)을 복수의 소자 블록(20)과 쉴드 케이스(21) 사이에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체결할 수 있다.
(14)… 각 보스부(45)는, 쉴드 케이스(21)의 내측에서 관통 구멍(66)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각 고정 나사(90)가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서 관통 구멍(66)을 삽통하여 보스부(45)의 암나사 구멍(46)에 대해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나사 결합되면, 각 보스부(45)가 고정 나사(90)에 의해 관통 구멍(66)을 통해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자 기판(80)의 광축 방향 X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에 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소자 기판(80)을 소자 블록(20)과 쉴드 케이스(21) 사이에 광축 방향 X에 있어서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15)… 쉴드 케이스(21)에 있어서의 광통과창(60)과는 반대측의 단면에는 긴 오목홈(65)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66)은, 긴 오목홈(65)의 내면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에 노출되는 각 고정 나사(90)의 두부가 긴 오목홈(65)에 수용되기 때문에, 각 고정 나사(90)의 두부가 쉴드 케이스(21)에 있어서의 광통과창(60)과는 반대측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6)…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외면은,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면(100)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LED(32)는,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해, 광축 방향 X로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상 케이스(22)가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의 어느 한 단부가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여도, 통형상 케이스(22)의 높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복수의 LED(32)가 배치된다. 또한, 각 LED(32)는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광을 사출한다. 그 때문에, 각 LED(32)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용이하게 시인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 LED(32)가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사출하는 광을 바탕으로, 광축 조정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 케이스(22)는, 각 LED(32)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각 LED(32)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절삭 등을 통형상 케이스(22)에 마련하지 않고, 각 LED(32)로부터 통형상 케이스(22)의 외부를 향해 광을 사출시킬 수 있다.
(17)… 각 LED(32)는, 소자 블록(20)에 있어서의 렌즈(29)측의 제1단면(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각 LED(32)는, 소자 블록(20)에 있어서의 렌즈(29)측의 제1단면(20A)으로부터 광범위한 각도 범위 R에 걸쳐 광을 사출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각 LED(32)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더욱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18)… 통형상 케이스(22)에 있어서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외면은,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면(100)으로 되어 있다.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100A)에는 긴 오목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투광면(100) 중의 광축(L)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100A)는,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면부위로 되어 있다. 이 면부위(100A)는,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다른 면부위보다 함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통형상 케이스(22)가 경사로 넘어져,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이 평탄한 지면(G)에 충돌했다고 해도, 투광면(100) 중의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을 투과하는 면부위(100A)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9)…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와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실링(24)이 배치된 경우, 실링(24)에서는, 외주측의 제2고리 모양부(132)가, 내주측의 제1고리 모양부(131)를 지점으로 하여 경동(傾動)하도록 변위하여,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와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끼워져 가압된다. 그 때문에, 가령 실링(24)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금형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에 의한 형맞춤면을 따른 버(133, 134)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그와 같은 버(133, 134)의 부분이 끼워져 가압되는 것에 의해 수밀성이 유지되지 않게 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20)… 실링(24)에서는, 제1고리 모양부(131)는, 제1고리 모양부(131)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고리 모양부(131)와 수직한 가상 평면에 의해 절단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제2고리 모양부(132)는, 제2고리 모양부(132)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2고리 모양부(132)와 수직한 가상 평면에 의해 절단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 및 제2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은, 제1고리 모양부(131)의 단면의 중심과 제2고리 모양부(132)의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이다. 따라서,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와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실링(24)이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외주측의 제2고리 모양부(132)가 내주측의 제1고리 모양부(131)를 지점으로 하여 어느 방향으로 경동한 경우에도, 동일한 피협압(被挾壓)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21)… 엔드캡(25)은,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에 대해 감합부(120)가 내측에서 감합되는 것에 의해 장착되고, 실링(24)은,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져 가압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외주면 상에 고리 모양의 실링(24)을 사전에 장착한 후에, 그 엔드캡(25)의 감합부(120)를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의 내측에 갑합시키면 되기 때문에, 투광기(12) 및 수광기(13)의 조립 작업을 간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그 조립 완료후에 있어서,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에 엔드캡(25)의 감합부(120)를 외측에서 감합시키는 경우와 달리,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의 외주면 상에 단차가 생기지도 않기 때문에, 그와 같은 단차 부분에 외부로부터 물체가 부디쳐서 엔드캡(25)이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로부터 뜻하지 않게 빠져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는, 아래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로 변경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70)은, 면(7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요부(72)와 동일한 위치에 CPU(74)가 실장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70)에 있어서의 소자 기판(80)측의 단부, 및, 소자 기판(80)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70)측의 단부에, 두 기판(70, 80)을 서로 교차시키기 위한 철부(73, 83) 및 요부(72, 82)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 기판(80)은, 광축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소자 기판(80)은, 소자 블록(20)을 사이에 끼고 제어 기판(70)과는 반대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고, 소자 블록(20)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 X를 따르는 복수의 단면 중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단면에 대해 대향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70)은, 면(71)이 광축(L)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쉴드 케이스(21)의 저벽부(62)의 외면에 긴 오목홈(65)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 블록(20)의 각 보스부(45)는, 관통 구멍(66)에 있어서의 쉴드 케이스(21)의 외측으로의 개구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관통 구멍(66)에 삽통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 기판(80)은, 고정 나사(90)의 축부가 삽통되는 복수의 삽통 구멍(85)을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고정 나사(90)의 축부가 소자 기판(80)의 면(81)의 외연보다 외측을 통과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에 복수의 보스부(45)를 마련하지 않고, 소자 블록(20)의 제2단면(20B)에 복수의 암나사 구멍(46)을 직접 마련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제 단부 고정구(23)의 배치 영역과, 투광 소자(14) 또는 수광 소자(15)의 배치 영역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아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탄성편부(115)에 있어서의 기단에서 선단에 걸친 전역이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에서 통형상 케이스(22)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탄성편부(115)에 있어서의 기단에서 선단에 이르는 중간 위치에 계지 클로(116)를 마련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는, 탄성편부(115)를 마련하지 않고, 그 외측면에 계지 클로(116)를 직접 마련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제 단부 고정구(23)를 마련하지 않고, 쉴드 케이스(21)를 통형상 케이스(22)에 대해 나사 체결에 의해 직접 고정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LED(32)는, 소자 블록(20)의 제1단면(20A)보다 깊은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케이스(22)는, LED(32)가 발사하는 광에 대해 비투광성인 재질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통형상 케이스(22)는, LED(32)가 발사하는 광을 통형상 케이스(22)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로 방출하기 위해, LED(32)의 주위에 절삭부를 마련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LED(32)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대해, 광축 방향 X로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LED(32)는,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대해, 광축 방향 X로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에 마련된 긴 오목홈(101) 대신에, 통형상 케이스(2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개소에 요부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을 평탄면 형상으로 구성하고, 통형상 케이스(22)의 투광면(100) 중, 광축(L)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면부위(100A)와 기타의 면부위가 동일 평면이 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 블록(20)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로서,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대해 쉴드 성능을 갖지 않는 금속 재료, 또는, 쉴드 성능이 낮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용 케이스를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소자 블록(20)을 쉴드 부재에 의해 개별로 덮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드캡(25)의 감합부(120)는,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에 대해 외측에서 감합되도록 장착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다광축 광전 센서의 조립 작업을 간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24)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을 이루는 제1고리 모양부(131)와 제2고리 모양부(132)가 연결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실링(24)은, 제1고리 모양부(131)를 감합부(120)의 오목홈(129)에 대해 장착한 경우에, 제2고리 모양부(132)가 제1고리 모양부(131)를 지점으로 하여 경동하는 구성이라면,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꼭 선대칭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24)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내주측의 윤곽의 곡률반경이 외주측의 윤곽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이라면, 반드시, 2개의 고리 모양부(131, 132)가 연결된 이중 고리 구조를 이룰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내주측에서 외주측에 걸쳐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점차 넓어지는 쥘부채 모양의 단면 형상이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24)은,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내주의 윤곽 형상이 비직선 형태이면, 반드시 원호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굴곡선 형태여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24)은, 통형상 케이스(22)의 개구 단부와 엔드캡(25)의 감합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끼워져 가압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O링 등과 같이,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여 경동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소자 블록(20)에 의해 다광축 광전 센서를 구성해도 좋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광축 광전 센서는 라이트 커튼 이외의 용도에 사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이하에 추가적으로 기술한다.
(A)…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광학 부재;
상기 복수의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및
상기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상기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와는 반대측의 단면에 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에는, 상기 광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와는 반대측의 단면에 상기 철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감합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지 부재의 철부가 수용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감합되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를 수용 케이스에 대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투광부와는 반대측의 부위를 수용 케이스에 대해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한 군데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투광부측의 부위를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이 되는 두 군데에서 수용 케이스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구성에 비해, 유지 부재를 수용 케이스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조의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의 설치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B)… 상기 철부의 선단면에는 암나사 구멍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나사가,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관통 구멍에 감합된 상기 철부의 상기 암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기술적 사상 (A)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고정 나사가 수용 케이스의 외측에서 관통 구멍을 삽통하여 유지 부재의 철부의 암나사 구멍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를 수용 케이스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C)…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수용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광축을 형성하는 광전 소자를 실장한 소자 기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철부는, 상기 소자 기판에 형성된 삽통 구멍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삽통하고 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B)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고정 나사가 소자 기판의 삽통 구멍을 삽통하여 유지 부재의 철부의 암나사 구멍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소자 기판을 유지 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 협지할 수 있다.
(D)… 상기 철부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관통 구멍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B) 또는 (C)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고정 나사가 수용 케이스의 외측에서 관통 구멍을 삽통하여 유지 부재의 철부의 암나사 구멍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면, 유지 부재의 철부가 고정 나사에 의해 관통 구멍을 통해 수용 케이스의 외측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자 기판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에 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소자 기판을 유지 부재와 수용 케이스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E)… 상기 수용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부와는 반대측의 단면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요부의 내면으로 개구되어 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A)~(D)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 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는 고정 나사의 두부가 요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고정 나사의 두부가 수용 케이스에 있어서의 투광부와는 반대측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광학 부재;
상기 복수의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상기 유지 부재를 수용하면서 고정하는 수용 케이스;
상기 수용 케이스를 수용하는 투광성의 긴 통형상을 이루는 통형상 케이스;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개구 단부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 및
상기 봉지 부재를 상기 수용 케이스에 대해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가 수용 케이스, 장착 부재, 및 봉지 부재를 통해 통형상 케이스에 연결되기 때문에, 광학 부재가 통형상 케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G)…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수용 케이스에 형성된 계지 구멍에 대해 계지되는 계지 클로를 구비하는, 상기 기술적 사상 (F)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착 부재를 수용 케이스에 대해 간이한 조작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H)… 상기 장착 부재는, 기단측에 위치하는 고정단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편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부의 선단측에 상기 계지 클로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G)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편부의 탄성 변형에 따른 계지 클로의 스트로크량이 충분히 확보된다. 그 때문에, 수용 케이스에 형성된 계지 구멍에 대해 장착 부재의 계지 클로를 계지시킬 때는, 계지 클로를 변위시키기 위해 큰 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계지 클로를 계지 구멍에 대해 간편하게 계지시킬 수 있다.
(I)…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단부측에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 대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부는, 기단측에서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단부와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그 도중 위치에서 상기 개구 단부측으로 절곡되어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H)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일반적으로, 장착 부재가 제어 기판에 대해 간섭하지 않기 위해서는, 장착 부재와 제어 기판이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편부에 있어서의 기단측에서 선단측에 걸친 전역이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측에서 통형상 케이스의 안쪽측을 향해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통형상 케이스의 안쪽측으로의 탄성편부의 진입량이 저감된다. 따라서, 제어 기판에 있어서의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크게 확보되기 때문에, 제어 기판에 있어서의 실장 부품의 실장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J)… 상기 장착 부재의 배치 영역은,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축을 형성하는 광전 소자의 배치 영역과 겹쳐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F)~(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전 소자를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의 근방까지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광축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K)…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광학 부재;
상기 복수의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상기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 부재측의 단면에 마련되고, 표시 소자가 실장된 LED 기판; 및
상기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투광성의 긴 통형상을 이루는 통형상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위치하는 외면은, 상기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투광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상기 투광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케이스가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 통형상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의 어느 한 단부가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여도, 통형상 케이스의 높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표시 소자가 배치된다. 또한, 표시 소자는 투광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광을 사출한다. 그 때문에, 표시 소자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투광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용이하게 시인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표시 소자가 투광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사출하는 광을 바탕으로, 광축 조정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 케이스는, 표시 소자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표시 소자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절삭 등을 통형상 케이스에 마련하지 않고, 표시 소자로부터 통형상 케이스의 외부를 향해 광을 사출시킬 수 있다.
(L)…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 부재측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기술적 사상 (K)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 소자는,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측의 단면으로부터 광범위한 각도 범위에 걸쳐 광을 사출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표시 소자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더욱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M)…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광학 부재;
상기 복수의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및
상기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투광성의 통형상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광축 상에 위치하는 외면은, 상기 광축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투광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광축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투광면 중의 광축 상에 위치하는 면부위는, 광축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면부위로 되어 있고, 이 면부위는 투광면에 있어서의 다른 면부위보다 함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통형상 케이스가 경사로 넘어져, 통형상 케이스의 투광면이 평탄한 지면이나 벽면에 충돌했다고 해도, 투광면 중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이 투과하는 면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N)… 통형상으로 형성된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
상기 통형상 케이스 내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광축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
상기 광학 유닛이 삽입된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를 봉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 단부에 장착되고, 그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의 둘레면과 간극을 통해 둘레면이 대향하는 저부를 갖는 통형상의 감합부를 구비하는 봉지 부재; 및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와 상기 봉지 부재의 감합부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둘레면 사이에 끼워져 가압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을 구비한 고리 모양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봉지 부재의 감합부의 외주면 상에 고리 모양의 실링 부재를 사전에 장착한 후에, 그 봉지 부재의 감합부를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내측에 갑합시키면 되기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의 조립 작업을 간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Claims (5)

  1.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제1의 둘레면을 구비하는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투명한 통형상 케이스;
    상기 통형상 케이스 내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광축을 구비하는 광학 유닛;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 단부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 단부의 제1의 둘레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제2의 둘레면을 구비하는 저부를 갖는 통형상의 감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봉지 부재; 및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개구 단부의 상기 제1의 둘레면과 상기 봉지 부재의 감합부의 제2의 둘레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을 구비한 고리 모양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제1의 고리 모양부와,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외주에 연결된 제2의 고리 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는, 비직선 형태의 윤곽 형상을 구비하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는,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를 상기 제2의 둘레면에 대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가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의 둘레면에 의해 끼워져 가압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 및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는 각각,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 및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은,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의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다광축 광전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상기 개구 단부의 상기 제1의 둘레면은, 내주면이고,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감합부의 제2의 둘레면은, 외주면이고,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이 상기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도록 상기 개구 단부에 대해 감합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상기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에 의해 끼워져 가압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의 감합부의 외주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된 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의 요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감합부의 외주면에 의해 끼워져 가압되는, 다광축 광전 센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둘레면과 상기 제2의 둘레면은 상기 통형상 케이스의 지름 방향에 대해 대항하고,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는 상기 지름 방향에 대해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의 외주에 연결되고,
    상기 상대적으로 변위한 상태는, 상기 제1의 고리 모양부 및 상기 제2의 고리 모양부가 상기 축 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인, 다광축 광전 센서.
KR1020157009929A 2012-12-27 2013-09-17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KR101799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5979A JP6109563B2 (ja) 2012-12-27 2012-12-27 多光軸光電センサ
JPJP-P-2012-285979 2012-12-27
PCT/JP2013/074966 WO2014103444A1 (ja) 2012-12-27 2013-09-17 多光軸光電センサ及びシール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763A KR20150059763A (ko) 2015-06-02
KR101799657B1 true KR101799657B1 (ko) 2017-11-20

Family

ID=5017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929A KR101799657B1 (ko) 2012-12-27 2013-09-17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09563B2 (ko)
KR (1) KR101799657B1 (ko)
CN (1) CN203467096U (ko)
WO (1) WO20141034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962A (ko) * 2020-03-03 2021-10-07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5544B2 (ja) * 2015-03-31 2019-02-2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6822392B2 (ja) * 2017-12-22 2021-01-27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834A (ja) * 2002-11-28 2004-06-24 Nok Corp 蟻溝用シールリング
JP2007157555A (ja) * 2005-12-06 2007-06-21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834A (ja) * 2002-11-28 2004-06-24 Nok Corp 蟻溝用シールリング
JP2007157555A (ja) * 2005-12-06 2007-06-21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962A (ko) * 2020-03-03 2021-10-07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KR102456655B1 (ko) * 2020-03-03 2022-10-21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09563B2 (ja) 2017-04-05
CN203467096U (zh) 2014-03-05
KR20150059763A (ko) 2015-06-02
WO2014103444A1 (ja) 2014-07-03
JP2014127456A (ja)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657B1 (ko)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US9551478B2 (en) Lighting device
US9304034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with a case body and molded end members
KR101676863B1 (ko) 다기능 모듈형 타워표시등
KR101588270B1 (ko) 엘이디 조명기구
JP6058389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7383097B2 (ja) 灯具
JP7378205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の連結具
JP7235699B2 (ja) 照明装置
JP7154255B2 (ja) 照明装置
US11035554B2 (en) Motion sensitive lamp with coupling mechanism
EP3604899B1 (en) Luminaire
KR102453518B1 (ko) 표시등
JP2020009712A (ja) 灯具、灯具の封止構造、及び照明装置
JP5795097B2 (ja) 電子機器
JP2020035705A (ja) 灯具、灯具の取付構造、及び照明装置
JP6095501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619962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3861969B2 (ja) 光カーテン創成装置
JP2019192541A (ja) 灯具、照明装置および灯具用のカバー
JP6740886B2 (ja) 照明装置
JP2023097319A (ja) 灯具伸縮構造、灯具、及び照明装置
JP2021157910A (ja) Led照明装置
JP5392859B2 (ja) 光伝導部材、led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2142196A (ja) 照明装置、器具及び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