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098B1 -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098B1
KR101799098B1 KR1020160087581A KR20160087581A KR101799098B1 KR 101799098 B1 KR101799098 B1 KR 101799098B1 KR 1020160087581 A KR1020160087581 A KR 1020160087581A KR 20160087581 A KR20160087581 A KR 20160087581A KR 101799098 B1 KR101799098 B1 KR 10179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hole
terminal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50)가 구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터미널(1)이 삽입되는 터미널홀(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홀더결합구(18)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1)을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홀더(5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50)는 홀더몸체(51)와, 상기 홀더몸체(5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1)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돌기(58)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홀더날개(5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홀더(5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경로가 두 부분에 형성되고, 홀더(50)를 걸어 고정하는 홀더레그(52)가 탄성변형이 용이한 외팔보 형태이므로, 홀더(5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성이 좋아진다.

Description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Connector having holde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조립된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며, 주로 다양한 전자 제품의 전원 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 보수 면에서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커넥터는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으로 암, 수 커넥터라고 지칭되는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면 각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갖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은 커넥터 내부에 조립된 후에 반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력에 의해 터미널이 임의로 분리된다면 상대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고,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커넥터에는 홀더가 결합되기도 하는데, 상기 홀더는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홀더는 커넥터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론트홀더, 후면에 설치되는 리어홀더와,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 결합되는 홀더(스페이서)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 중에서 커넥터의 중심 부분에 결합되는 홀더는 대칭형태의 구조로 인해 앞뒤 구분이 어려워 오조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홀더는 일반적으로 작고 얇은 형태를 가지므로, 홀더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홀더가 어긋나거나 삐뚤어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커넥터로부터 터미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홀더를 먼저 분리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홀더는 커넥터에 비해 크기가 작아 이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홀더를 분리하기 위해서 끝이 날카로운 분리용 지그나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커넥터에는 지그나 공구를 끼워넣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면 홀더의 분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87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539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더가 커넥터 하우징에 오조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홀더를 분리하기 위해 공구를 삽입하는 경로를 다양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홀더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홀더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의 하부에는 외팔보형태의 홀더레그가 돌출되고, 상기 홀더레그는 상기 홀더결합구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걸리고, 상기 홀더레그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걸리는 스토퍼돌기는 상기 리워크홀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홀더날개는 상기 홀더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홀더몸체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삭제
상기 홀더레그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닿거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홀더몸체의 중심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각각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공구삽입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구삽입홈은 상기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결합구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공구삽입홈은 상기 홀더결합구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홀더몸체 외면 보다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워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홀 안쪽에는 상기 홀더의 홀더레그가 위치된다.
상기 홀더레그의 하단에는 리워크홀을 통해 노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상기 홀더레그의 하단은 상기 리워크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홀더레그의 하단에는 안착풋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풋은 상기 홀더레그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삭제
상기 홀더결합구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밀착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조립되는 설치홀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리워크홀과 상기 공구삽입홈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홀더는 전후 방향으로 비대칭형태를 갖고 하우징에는 이에 대응되는 홀더결합구가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전후 방향을 오인하여 홀더를 하우징에 오조립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홀더의 좌우에는 홀더의 삽입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홀더날개가 구비되어 홀더의 삽입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므로, 홀더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홀더에 구비된 홀더레그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닿거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홀더가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점이 증가하고, 따라서 홀더가 하우징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경로가 두 부분에 형성되고, 홀더를 걸어 고정하는 홀더레그가 탄성변형이 용이한 외팔보 형태이므로, 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홀더의 공구삽입홈은 하우징의 외면 보다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므로, 공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홀더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홀더와 터미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홀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후방에서 본 후면도.
도 5는 도 1의 Ⅰ-Ⅰ'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Ⅱ-Ⅱ'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홀더(50)가 구비된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입체형상의 하우징몸체(11)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터미널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홀(12)을 통해서는 터미널(1)이 삽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터미널(1)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1)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1)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멀리 이격된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터미널(1)은 두 개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홀(12)에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1)은 터미널몸체(3)와, 상기 터미널몸체(3)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5), 그리고 결합부(5)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와이어(W)와 결합되는 바렐부(7)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5)의 일측에는 걸림단(5')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단(5')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50)에 걸려 터미널(1)을 분리를 방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1)은 하우징(10)의 터미널홀(12)에 삽입되고,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터미널홀(12)의 반대편에 상대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상대홀(12')은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상대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상비되는 부분으로, 상기 터미널홀(1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대홀(12')은 상기 터미널홀(1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체결레버(1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13)는 상기 하우징(10)을 상대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13)가 상대커넥터의 체결부(미도시)와 결합되어 두 커넥터 사이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레버(13)는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레버(13)를 탄성변형시키면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레버(13)는 상대커넥터 측에 구비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플랜지(14)가 구비되는데, 상기 플랜지(14)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둘러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플랜지(14)는 상기 하우징(10)이 판넬(도시되지 않음)의 설치홀 가장자리에 걸리는 부분인데,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홀더결합구(18)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결합구(1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 즉 상기 터미널홀(12)을 향해 개구된 부분이다. 상기 홀더결합구(18)에는 홀더(50)가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1)의 걸림단(5')을 지지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홀더결합구(18)에 홀더(50)가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홀더결합구(18)를 통해 터미널(1)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홀더결합구(18)는 몸체삽입부(18a)와 상기 몸체삽입부(18a) 양측에 형성된 날개삽입부(18b)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삽입부(18a)는 상기 홀더결합구(18)의 중심에 형성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50)의 홀더몸체(51)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삽입부(18a)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여기에는 홀더(50)의 제1돌출부(55) 및 제2돌출부(56)가 삽입된다.
상기 날개삽입부(18b)는 상기 홀더결합구(18)의 양단에 형성된 것으로, 홀더날개(57)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날개삽입부(18b)의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홀(12)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삽입부(18b)를 통해 삽입된 홀더(50)의 홀더날개(57)는 터미널(1)과 만나게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밀착리브(19)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리브(19)는 상기 홀더결합구(18)와 인접한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이 조립되는 설치홀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리브(19)를 통해 방수용 시일이 없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어느 정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에는 리워크홀(H)이 형성된다. 상기 리워크홀(H)은 상기 터미널홀(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홀(12)이 개구된 방향, 즉 하우징(10)의 후방으로 개구된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리워크홀(H)은 두 개의 터미널홀(1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리워크홀(H)을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50)의 홀더레그(52)가 노출된다. 상기 리워크홀(H)은 공구가 삽입되는 경로로서, 상기 리워크홀(H)을 통해 삽입된 공구의 끝이 홀더레그(52)를 들어 올려 홀더(5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리워크홀(H)의 끝 부분은 막혀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리워크홀(H)의 후방은 벽에 가로막힌 상태이고, 그 앞에 홀더레그(52)가 위치한다. 따라서 리워크를 위한 공구를 리워크홀(H)에 밀어 넣으면, 공구의 끝 부분이 홀더(50)의 홀더레그(52) 밑으로 파고 든 후에 리워크홀(H)의 후방 벽에 막혀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초기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위치란 홀더(5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리워크용 공구를 삽입한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홀더(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홀더(50)는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1)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홀더(50)는 터미널(1)의 걸림단(5')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1)이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홀더(50)의 골격은 홀더몸체(51)가 형성하고, 상기 홀더몸체(51)의 양단에는 각각 홀더날개(57)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몸체(51)의 하부에는 외팔보형태의 홀더레그(52)가 돌출된다. 상기 홀더레그(52)는 상기 홀더결합구(18)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걸려 홀더(5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홀더레그(52)에는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걸리는 스토퍼돌기(54)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돌기(54)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A)에 걸린다(도 5참조).
상기 홀더레그(5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닿거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홀더(50)가 하우징(10)에 지지되는 지점이 증가하고, 홀더(50)가 하우징(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레그(52)는 탄성변형가능한 외팔보 형태이므로, 상기 스토퍼돌기(54)가 걸림턱(A)에 걸린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스토퍼돌기(54)가 상기 리워크홀(H) 내부에 위치된다. 즉, 리워크홀(H)을 통해 스토퍼돌기(54)가 후방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토퍼돌기(54)는 리워크홀(H) 안쪽에 위치하므로, 외력에 의해 임의로 간섭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공구를 이용할 경우에 상기 스토퍼돌기(54)를 들어올릴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토퍼돌기(54)가 아니라, 상기 홀더레그(52)의 하단, 즉 안착풋(53)과 리워크홀(H)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K)으로 공구 끝 부분을 밀어 넣어 홀더(50)를 들어올릴 수도 있다. 상기 안착풋(53)은 상기 홀더레그(52)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홀더레그(52)의 하단에 구비된 안착풋(53)에는 리워크홀(H)을 통해 노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51)의 중심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각각 제1돌출부(55) 및 제2돌출부(56)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홀더(50)의 앞뒤 방향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55) 및 제2돌출부(56)는 상기 하우징(10)의 홀더결합구(18)에 삽입되며, 상기 홀더결합구(18)는 제1돌출부(55) 및 제2돌출부(56)에 대응되는 입구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돌출부(55) 또는 제2돌출부(56)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공구삽입홈(52')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구삽입홈(52')은 상기 홀더몸체(51)와 상기 홀더결합구(18)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노출되어 홀더(50)의 분리를 위한 공구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돌출부(56)에 공구삽입홈(52')이 요입되어 있고, 상기 공구삽입홈(52')은 도 1과 같이 홀더(50)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보았을 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구삽입홈(52')은 상기 홀더결합구(18)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홀더몸체(51) 외면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홀더(50)가 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공구삽입홈(52')은 하우징(10)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홀더결합구(18)의 입구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1의 화살표 ①방향으로 공구의 끝 부분을 삽입하면 상기 공구삽입홈(52')에 공구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고, 공구의 일부가 상기 홀더결합구(18)의 입구 가장자리에 닿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홀더(5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51)의 양측에는 홀더날개(5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홀더날개(57)는 상기 홀더결합구(18)에 삽입되어 터미널(1)의 걸림단(5')을 걸어주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홀더날개(57)에는 고정돌기(58)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고정돌기(58)가 터미널(1)의 걸림단(5')을 후방에서 지지하여 터미널(1)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홀더날개(57)는 상기 홀더(50)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홀더몸체(51)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홀더(50)를 하우징(1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홀더날개(57)가 양쪽에서 홀더(50)의 삽입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과, 반대로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홀더(50)의 조립에 앞서 상기 하우징(10)에는 터미널(1)이 조립된다. 두 개의 터미널(1)은 와이어(W)와 결합된 상태에서 터미널홀(12)을 통해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과정에서 터미널(1) 또는 하우징(10)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된 랜스(미도시)에 의해 터미널(1)이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홀더(50)를 하우징(10)에 조립하여 터미널(1)의 분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상기 홀더(50)는 하우징(10)의 홀더결합구(18)를 통해 삽입되는데, 상기 홀더(50)의 홀더레그(52)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홀더(50)의 제1돌출부(55)와 제2돌출부(56)는 서로 다른 형상이고, 홀더결합구(18)의 입구도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방향을 오인하여 홀더(50)를 오조립할 가능성이 떨어진다.
상기 홀더(50)를 상기 홀더결합구(18)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50)의 홀더날개(57)가 양쪽에서 홀더(50)의 삽입을 안내하고, 특히 홀더날개(57)가 홀더몸체(51)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삽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결합구(18)가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날개(57) 뿐 아니라 홀더레그(52)의 하단에 구비된 홀더풋(53)이 하우징(10)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리워크홀(H)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진입하여 홀더(5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홀더(5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홀더레그(52)에 구비된 스토퍼돌기(54)가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A)에 걸린다. 따라서 홀더(50)가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홀더(50)가 하우징(1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홀더날개(57)에 구비된 고정돌기(58)가 터미널(1)의 걸림단(5')을 후방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터미널(1)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홀더(50)에 의해 터미널(1)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터미널(1)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홀더(50)를 분리해야 한다. 상기 홀더(50)는 홀더결합구(18)를 통해 다시 외부로 빠져나와야 하는데, 그 과정은 공구를 이용하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끝 부분이 뾰족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홀더(50)를 분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① 방향으로 공구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공구삽입홈(52')에 공구의 끝 부분 일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에, 공구를 들어 올려 홀더(5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홀더(50)의 공구삽입홈(52')에 공구의 끝 부분을 삽입하면 공구의 일부가 상기 홀더결합구(18)의 입구 가장자리에 닿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홀더(50)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리워크홀(H)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리워크홀(H)은 터미널홀(1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그 사이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리워크홀(H)의 가장 내측에는 홀더레그(52)가 위치하고, 공구를 홀더풋(53)과 리워크홀(H)의 바닥면 사이 간격(K)으로 삽입한 후에 공구를 들어올려 홀더(5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6의 화살표② 방향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홀더풋(53)과 리워크홀(H)의 바닥면 사이로 밀어넣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풋(53)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공구의 끝 부분이 자연스럽게 간격(K)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홀더(50)가 어느 정도 위쪽으로 올려질 수 있다. 물론, 공구를 홀더풋(53)과 리워크홀(H)의 바닥면 사이 간격(K)으로 삽입하지 않고, 상기 스토퍼돌기(54)를 직접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홀더(5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경로가 두 부분에 형성되고, 홀더(50)를 걸어 고정하는 홀더레그(52)가 탄성변형이 용이한 외팔보 형태이므로, 홀더(5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편리하다.
특히, 상기 리워크홀(H)과 상기 공구삽입홈(5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므로, 홀더(50)를 분리하는 작업이 다양한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리워크홀(H)과 공구삽입홈(5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들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1: 터미널 3: 터미널몸체
5: 결합부 5': 걸림단
10: 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2: 터미널홀 14: 플랜지
18: 홀더결합구 19: 밀착리브
50: 홀더 51: 홀더몸체
52: 홀더레그 52': 공구삽입홈
57: 홀더날개 58: 고정돌기
H: 리워크홀

Claims (12)

  1.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홀더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홀더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의 하부에는 외팔보형태의 홀더레그가 돌출되고, 상기 홀더레그는 상기 홀더결합구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걸리고,
    상기 홀더레그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에 걸리는 스토퍼돌기는 상기 리워크홀 내부에 위치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날개는 상기 홀더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홀더몸체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레그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닿거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5.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중심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각각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공구삽입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구삽입홈은 상기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결합구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노출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삽입홈은 상기 홀더결합구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홀더몸체 외면 보다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워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홀 안쪽에는 상기 홀더의 홀더레그가 위치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레그의 하단에는 리워크홀을 통해 노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상기 홀더레그의 하단은 상기 리워크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레그의 하단에는 안착풋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풋은 상기 홀더레그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결합구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밀착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조립되는 설치홀 내면에 밀착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홀과 공구삽입홈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1020160087581A 2016-07-11 2016-07-11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10179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81A KR101799098B1 (ko) 2016-07-11 2016-07-11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81A KR101799098B1 (ko) 2016-07-11 2016-07-11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098B1 true KR101799098B1 (ko) 2017-11-17

Family

ID=6080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81A KR101799098B1 (ko) 2016-07-11 2016-07-11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0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52A (ja) * 1998-07-21 2000-02-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10670A (ja) * 2007-10-26 2009-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52A (ja) * 1998-07-21 2000-02-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10670A (ja) * 2007-10-26 2009-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156B2 (en) Terminal fitting
US9543697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fitting tube with guide walls with a lock arm inbettween
CN107017498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2009038010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503955A (ja) 双方向掛け止め
US9362652B2 (en) Connector with at least one detector
JP2019117692A (ja) 回路基板用l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2479849A1 (en) Connector
EP3324494A1 (en) Connector
JP2010010152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EP3065231A1 (en) Lever-type connector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EP2690717A1 (en) Connector terminal
KR10154785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200212617A1 (en) Connector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799098B1 (ko)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CN105098434B (zh) 电连接器
JP2009301775A (ja) 電気コネクタ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JP6270156B2 (ja) コネクタ
WO2019029131A1 (zh) 电连接器
US10673167B2 (en) Low-force push-in electrical terminal
US20230006382A1 (en) Connector
KR20190066244A (ko)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