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81B1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81B1
KR101786881B1 KR1020100139215A KR20100139215A KR101786881B1 KR 101786881 B1 KR101786881 B1 KR 101786881B1 KR 1020100139215 A KR1020100139215 A KR 1020100139215A KR 20100139215 A KR20100139215 A KR 20100139215A KR 101786881 B1 KR101786881 B1 KR 10178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stack
emitting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301A (ko
Inventor
김신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 및 색 재현율, 시야각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제1 발광층, 제2 발광층, 제1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전극 사이에 제2 정공 수송층, 제3 발광층, 제2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25nm~455nm의 범위인 딥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발광층의 호스트와 다른 이종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60nm~490nm의 범위인 스카이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백색 유기 발광 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 및 색 재현율, 시야각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장치의 컴팩트화 및 선명한 컬러 표시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경쟁력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의 형성이 필수적인데, 종래 유기 발광층의 형성을 위해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이용한 증착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새도우 마스크는 대면적의 경우, 그 하중 때문에, 쳐짐 현상이 발생되어 여러번 사용하기 힘들고, 유기 발광층 패턴 형성에 불량이 발생하여 대안적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새도우 마스크를 대체하여 여러 방법이 제시되었던 그 중 하나로서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있다.
이하,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형성시 양극과 음극 사이의 각 층을 마스크 없이 증착시키는 것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 성분이 다른 유기막들을 진공 상태에서 차례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박형 광원,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또는 컬러 필터를 채용한 풀컬러 표시 장치에 쓰이는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소자이다.
요즘,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청색(Blue) 형광 소자를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제1 스택과, 노랑색(Yellow-Green) 인광 소자를 발광층으로 이용하는 제2 스택 구조가 적층된 형태의 인형광 스택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청색 형광 소자로부터 발광되는 청색광과 노랑색 인광 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노랑색 광의 혼합 효과에 의해 백색광이 구현된다.
이러한, 인형광 스택 구조의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색 발광 시 발광 효율 및 색 좌표, 시야각 특성은 청색 발광의 효율 및 색 좌표, 시야각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는, 노랑색 인광 소자의 발광 효율에 비해 청색 형광 소자의 발광 효율이 좋지 못해 청색 형광 소자를 개선하여야 균일한 백색 광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시야각의 특성은 각 발광 소자에 대한 발광 피크의 폭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청색 형광 소자의 발광 피크는 노랑색 인광 소자의 발광 피크에 비해 폭이 좁아 시야각에 따른 발광 효율의 특성이 변동된다. 이에 따라, 백색 광 구현시 좁은 시야각의 특성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효율 및 색 재현율, 시야각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제1 발광층, 제2 발광층, 제1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전극 사이에 제2 정공 수송층, 제3 발광층, 제2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25nm~455nm의 범위인 딥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발광층의 호스트와 다른 이종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60nm~490nm의 범위인 스카이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발광층과 제2 발광층 사이에 버퍼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50~100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청색 광의 발광 피크는 2-Peak을 가지는 청색 광을 출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인광 Yellow-Green 도펀트(phosphorescence Yellow-phosphorescence Green)를 도핑하여 이루어지거나, 두 개의 호스트에 인광 Yellow-Green 도펀트를 도핑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인광 적색 및 인광 녹색 도펀트(phosphorescence Green +phosphorescence Red)를 함께 도핑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제1 발광층, 제2 발광층, 제1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전극 사이에 제2 정공 수송층, 제3 발광층, 제2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25nm~455nm의 범위인 딥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발광층의 호스트와 동종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60nm~490nm의 범위인 스카이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청색 광의 발광 피크는 2-Peak을 가지는 청색 광을 출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제1 발광층, 제1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전극 사이에 제2 정공 수송층, 제2 발광층, 제2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스택과, 상기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25nm~455nm의 범위인 딥 블루 도펀트와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60nm~490nm의 범위인 스카이 블루 도펀트가 함께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청색 광의 발광 피크는 2-Peak을 가지는 청색 광을 출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청색 형광 소자의 제1 및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스택과, 노랑색 인광 소자의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2 스택을 가지는 멀티-스택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스택의 제1 발광층과 제2 발광층에 서로 다른 청색 도펀트를 사용함으로써 2-Peak를 가지는 청색 발광 피크를 가진다.
이와 같이, 2-Peak를 가지는 청색 발광 피크를 가짐으로써 시야각이 향상된 청색 발광을 통해 시야각이 향상된 백색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효율 및 색좌표도 향상되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피크와 종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따른 발광 피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100)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사이에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1 스택(200),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130) 및 제2 스택(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멀티-스택(Multi-Stack)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각 스택에 서로 다른 색의 발광층을 포함하며, 각 스택의 발광층으로부터 출사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이 혼합되어 백색 광을 구현한다.
제1 전극(110)은 양극으로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이하, TCO)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ITO(Indum Tin Oxide; 이하,ITO), IZO(Indum Zinc Oxide; 이하,IZO) 등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150)은 음극으로 알루미늄과 같이 반사성 금속 재질로 금(A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구리(Cu) 등으로 형성된다.
제1 스택(200)은 제1 전극(110)과 전하 생성층(130)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HIL)(202), 제1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HTL)(204), 제1 발광층(206a), 버퍼층(209), 제2 발광층(207a), 제1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208)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이때, 제1 발광층(128)은 하나의 호스트(Host A)에 형광 딥 블루 도펀트(fluorescence deep blue dopant)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광 딥 블루 도펀트는 발광 피크(EL Peak)의 파장대가 425nm~455nm 범위를 가지는 도펀트로 형성된다.
제2 발광층(207a)은 제1 발광층의 호스트(Host A)와 다른 이종의 호스트(Host A')에 형광 스카이 블루 도펀트(fluorescence sky blue dopant)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광 스카이 블루 도펀트의 발광 피크(EL Peak)가 460nm~490nm 범위를 가지는 도펀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스택(200)으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청색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1 발광층(206a)으로부터 425nm~455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딥 블루 광(B)과 제2 발광층(207a)으로부터 460nm~490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스카이 블루 광(B')이 출사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Peak을 가지는 청색 발광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층(206a,207a) 사이에 버퍼층(20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발광층(206a,207a) 사이에 버퍼층(208)이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208)을 형성할 경우에 버퍼층(208)의 두께는 50~100Å로 형성될 수 있다.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CGL)(130)은 스택들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한다. 이러한, 전하 생성층(130)은 제1 스택(120)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1 스택(120)으로 전자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는 N 타입 유기층(132)과 제2 스택(140)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2 스택(140)으로 정공을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는 P 타입 유기층(134)으로 이뤄진다.
제2 스택(222)은 제2 전극(150)과 전하 생성층(130) 사이에 제2 정공 수송층(222), 제3 발광층(244a), 제2 전자 수송층(226), 전자 주입층(228)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제3 발광층(224a)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호스트에 인광 Yellow-Green 도펀트(phosphorescence Yellow-phosphorescence Green)를 도핑하여 이루어진 단일 발광층이거나 두 개의 호스트에 인광 Yellow-Green 도펀트를 도핑하여 이루어진 단일 발광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택(200)으로부터 딥 블루 색(B)과 스카이 블루 색(B')의 합쳐진 청색 광이 발광되며, 제2 스택(220)으로부터 노랑색(YG)이 발광되어 백색 광이 구현된다.
또한, 제3 발광층(224b)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호스트에 인광 적색 및 인광 녹색 도펀트(phosphorescence Green +phosphorescence Red)를 함께 도핑하여 이루어진 단일 발광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택(200)으로부터 딥 블루 색(B)과 스카이 블루 색(B')의 합쳐진 청색 광이 발광되며, 제2 스택(220)으로부터 적색(R) 및 녹색(G)이 발광되어 백색 광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피크와 종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따른 발광 피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러한, 도 2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2-Peak 청색 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그래프(302)는 일반적인 종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따른 발광 피크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2 그래프(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따른 발광 피크를 도시하고 있다.
제1 그래프(302)의 발광 피크는 형광 청색 발광층을 이용한 제1 스택과, 인광 옐로우-그린 발광층을 이용한 제2 스택을 포함하는 멀티-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발광 피크이다.
이러한, 제1 그래프(302)의 발광 피크 중 형광 청색 발광층에 대한 발광 피크(Blue EL Peak)의 폭(W1)은 제1 그래프의 옐로우-그린 발광층에 대한 발광 피크(Yellow-Greem EL Peak)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발광 피크의 폭의 크기에 따라 시야각의 특성이 달라진다.
다시 말하여, 발광 피크의 폭(W1,W2)이 좁을수록 시야각에 따른 발광 특성이 변하게 되며, 발광 피크의 폭(W1,W2)이 넓을수록 시야각에 따른 발광 특성이 변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형광 청색 발광층에 대한 발광 피크(Blue EL Peak)는 발광 피크의 폭(W1)가 좁아 시야각에 따른 발광 특성이 변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1a 내지 도 1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도펀트의 청색 발광층을 이용한 제1 및 제2 발광층(206a,207a)을 가지는 제1 스택(200)과, 옐로우-그린 발광층을 이용한 제2 발광층(224a)을 가지는 제2 스택(2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택(200)은 제1 발광층(206a)으로부터 425nm~455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딥 블루 광(B)과 제2 발광층(207a)으로부터 460nm~490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스카이 블루 광(B')이 출사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Peak을 가지는 청색 발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발광층(206a)과 제2 발광층(207a) 각각에 서로 다른 파장의 청색 도펀트를 사용하여 제1 스택(200)으로부터 출사되는 청색 광의 발광 피크의 폭(W2)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청색 광의 발광 피크(Blue EL Peak)의 폭(W2)이 넓어지면서 시야각이 개선되었다. 즉, 서로 다른 청색 도펀트를 이용하여 발광 피크의 폭을 조절하여 시야각이 향상되었다.
또한, 발광 피크(EL Peak)의 조절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구동 전압(V), 전류 효율(cd/A), 색좌표(CIEx)를 가진다.
V ㎠/A cd/A CIEx
2-Peak를 가지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본 발명) 7.6 10 63.7 0.32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동 전압(V), 전류 효율(cd/A), 색좌표(CIEx)가 향상되었으며, 그에 따른 색재현율도 향상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100)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사이에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1 스택(160),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130) 및 제2 스택(18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요소 중 제1 스택(16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택(160)은 제1 전극(110)과 전하 생성층(130)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HIL)(162), 제1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HTL)(164), 제1 발광층(166a), 제2 발광층(167a), 제1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168)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이때, 제1 발광층(166a)은 하나의 호스트(Host A)에 형광 딥 블루 도펀트(fluorescence deep blue dopant)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광 딥 블루 도펀트는 발광 피크(EL Peak)의 파장대가 425nm~455nm 범위를 가지는 도펀트로 형성된다.
제2 발광층(167a)은 제1 발광층(166a)의 호스트(Host A)와 동종의 호스트(Host A')에 형광 스카이 블루 도펀트(fluorescence sky blue dopant)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광 스카이 블루 도펀트의 발광 피크(EL Peak)가 460nm~490nm 범위를 가지는 도펀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스택(160)으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청색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1 발광층(166a)으로부터 425nm~455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딥 블루 광과 제2 발광층(167a)으로부터 460nm~490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스카이 블루 광이 출사됨으로써 2-Peak을 가지는 청색 발광을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100)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50) 사이에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1 스택(230),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130) 및 제2 스택(26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요소 중 제1 스택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택(230)은 제1 전극(110)과 전하 생성층(130)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HIL)(232), 제1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HTL)(204), 제1 발광층, 제1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208)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이때, 제1 발광층(236a)은 하나의 호스트(Host A)에 형광 딥 블루 도펀트(fluorescence deep blue dopant)와 형광 스카이 블루 도펀트(fluorescence sky blue dopant)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광 딥 블루 도펀트는 발광 피크(EL Peak)의 파장대가 425nm~455nm 범위를 가지는 도펀트로 형성되며, 형광 스카이 블루 도펀트의 발광 피크(EL Peak)가 460nm~490nm 범위를 가지는 도펀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스택(230)의 제1 발광층으로부터 425nm~455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딥 블루 광과 460nm~490nm의 파장대 범위를 가지는 스카이 블루 광이 출사됨으로써 2-Peak을 가지는 청색 발광을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기판 110: 제1 전극
130 : 전하 생성층 132 : N 타입 유기층
134 : P 타입 유기층 160, 200,230 : 제1 스택
162,202,232 : 정공 주입층 164,204,234 : 제1 정공 수송층
166a,206a,236a : 제1 발광층 167a,207a : 제2 발광층
168, 208, 238 : 제1 전자 수송층 182,222,262 : 제2 정공 수송층
184a, 224a : 제3 발광층 186,226,266 : 제2 전자 수송층
188, 228, 268 : 전자 주입층 180, 220,260 : 제2 스택

Claims (9)

  1. 기판 상에 서로 대향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제1 발광층, 버퍼층, 제2 발광층, 제1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스택;
    상기 제1 스택과 제2 전극 사이에 제2 정공 수송층, 제3 발광층, 제2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스택;
    상기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하는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25nm~455nm의 범위인 딥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발광층의 호스트와 다른 이종의 호스트에 발광 피크의 파장대가 460nm~490nm의 범위인 스카이 블루 도펀트가 도핑된 단일 발광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청색 광의 발광 피크는 2-Peak을 가지는 청색 광을 출사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50~100Å으로 형성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인광 Yellow-Green 도펀트(phosphorescence Yellow-phosphorescence Green)를 도핑하여 이루어지거나, 두 개의 호스트에 인광 Yellow-Green 도펀트를 도핑하여 이루어지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은 하나의 호스트에 인광 적색 및 인광 녹색 도펀트(phosphorescence Green +phosphorescence Red)를 함께 도핑하여 이루어지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139215A 2010-12-30 2010-12-30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786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15A KR101786881B1 (ko) 2010-12-30 2010-12-30 백색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15A KR101786881B1 (ko) 2010-12-30 2010-12-30 백색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01A KR20120077301A (ko) 2012-07-10
KR101786881B1 true KR101786881B1 (ko) 2017-10-18

Family

ID=4671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215A KR101786881B1 (ko) 2010-12-30 2010-12-30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16B1 (ko) * 2012-09-06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41453B1 (ko) * 2012-09-28 2019-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9329B1 (ko) * 2012-11-08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50461B1 (ko) * 2013-06-28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081118B1 (ko) * 2013-09-04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7108B1 (ko) 2013-09-13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80044B1 (ko) * 2013-09-30 2020-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547B1 (ko) * 2013-12-31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P3093897B1 (en) * 2014-01-10 2022-12-0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387097B1 (ko) * 2014-10-27 2022-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EP3016159B1 (en) 2014-10-27 2021-12-08 LG Display Co., Lt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94413B1 (ko) 2014-11-18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81626B1 (ko) * 2014-12-17 2022-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35038B1 (ko) * 2015-03-30 2022-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12069B1 (ko) 2015-12-31 2023-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청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00231B1 (ko) * 2016-03-31 2023-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KR20180034783A (ko)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83972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3433A1 (en) * 2003-10-29 2005-05-05 Chung-Wen K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253209A1 (en) * 2009-04-03 2010-10-07 Spindler Jeffrey P Tandem white oled with efficient electron transf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3433A1 (en) * 2003-10-29 2005-05-05 Chung-Wen K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253209A1 (en) * 2009-04-03 2010-10-07 Spindler Jeffrey P Tandem white oled with efficient electron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01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81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10741781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77563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35141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352116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58499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5141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12654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9997739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04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9249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JP2007234241A (ja) 有機el素子
KR10194145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13399A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33104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777123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JP2003187977A (ja) 有機el素子
KR10146948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00045326A (ko)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1585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77712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09804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9583B1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8688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JP2002134273A (ja) 有機el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