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232B1 -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 Google Patents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232B1
KR101783232B1 KR1020160127840A KR20160127840A KR101783232B1 KR 101783232 B1 KR101783232 B1 KR 101783232B1 KR 1020160127840 A KR1020160127840 A KR 1020160127840A KR 20160127840 A KR20160127840 A KR 20160127840A KR 101783232 B1 KR101783232 B1 KR 10178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ain
dehumidification
drain member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미
Original Assignee
문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미 filed Critical 문수미
Priority to KR102016012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는, 상부를 통해 외부와 통기하는 컨테이너;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제습제가 올려지는 배수부재; 및 배수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배수돌기를 포함하고, 조해(潮解)된 제습제는 복수의 배수돌기를 통해 컨테이너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해된 제습제가 컨테이너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기존 용기와 동일한 평면을 점유하여 배치되면서도 제습 용량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CONTAINER FOR DEHUMIDIFICATION}
본 발명은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습성, 흡착성이 있는 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dehumidification)은 대기에 있는 수증기의 절대량을 제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냉각식 제습법, 압축식 제습법, 흡수식 제습법 및 흡착식 제습법으로 나누어진다.
흡수식 제습법은 흡습성이 있는 고체 또는 액체에 공기를 접촉시켜 제습하는 것이며, 적절히 설계하면 필요로 하는 온도 및 습도가 동시에 얻어진다. 그러나 흡습제의 복원조작을 요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냉각으로는 곤란한 저노점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흡착법은 고형 흡착제를 사용하므로, 액체에 의한 흡습법보다 열효율이 낮으나, 매우 낮은 노점까지 제습할 수 있어 초 건조 공기가 요구되는 공정에 사용된다.
흡수식 제습법과 흡착식 제습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은 염화칼슘과 실리카겔로서 주변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물질이다.
염화칼슘은 조해성이라는 성질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조해성은 공기를 잘 흡수하는 성질을 말하는데 염화칼슘은 상온에서 흰색 고체 상태로 있으며, 무게의 14배 이상의 물을 흡수 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응용한 습기제거제가 가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상적으로 옷장 등에 사용하는 물먹는 하마 등의 습기제거제는 염화칼슘이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는 탈취 겸용 제습용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는 안치대의 양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탈취제가 내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안치대의 소정영역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제습용기는 안치대의 상면에 원뿔형 돌출부가 한 개 형성된다. 돌출부는 조해된 제습제가 용기 하부로 신속하게 떨어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제습용기는, 안치대의 중앙에만 단일의 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용기 가장자리 부근에서 조해된 제습제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늦어 제습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 개시된 탈취 겸용 제습용기는, 복수의 보조용기가 안치대 상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안치대 위쪽에서 제습제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축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제습제가 덜 채워지면 그만큼 제습 용량이 감소되므로 제습제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아울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습용기는 단순히 안치대 상면에만 제습제, 탈취제 등을 채운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습제의 양에 의해 제습 용량이 결정되므로, (조해된 제습제가 아래로 신속히 배출되려면 제습용기의 높이는 무한정 높일 수가 없어) 용량이 큰 제습제는 그만큼 옷장 내부에서 넓은 평면을 점유하는 단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 (등록일: 2004.08.17)
본 발명의 목적은, 조해된 제습제가 컨테이너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기존 용기와 동일한 평면을 점유하여 배치되면서도 제습 용량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를 통해 외부와 통기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제습제가 올려지는 배수부재; 및 상기 배수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배수돌기를 포함하고, 조해(潮解)된 상기 제습제는 상기 복수의 배수돌기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조해된 상기 제습제를 수용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위에 적층되고, 내면의 단턱에 상기 배수부재가 안착되는 관통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는 제1 배수부재와 제2 배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조해된 상기 제습제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위에 적층되고, 내면의 단턱에 상기 제1 배수부재가 안착되는 제1 관통바디; 및 상기 제1 관통바디의 위에 적층되고, 내면의 단턱에 상기 제2 배수부재가 안착되는 제2 관통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수부재 및 상기 제2 배수부재 각각에 제습제가 올려져 다단으로 제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보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수부재와 상기 제2 배수부재 사이에서 상기 보조돌기의 하단부와 상기 배수돌기의 상단부는 서로 접촉되며, 상기 제2 배수부재의 위에서 조해된 상기 제습제는 서로 접촉된 상기 보조돌기와 상기 배수돌기를 통해 상기 베이스로 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돌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조돌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컨터이너의 내면을 향할수록 상승하는 경사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는 가장자리로부터 가운데를 향상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제와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배수부재는 파형(波形)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부재에서 상방으로 복수의 배수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조해된 제습제가 컨테이너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배수부재 및 제2 배수부재 각각에 제습제가 올려져 다단 제습함으로써, 기존 용기와 동일한 평면을 점유하여 배치되면서도 제습 용량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와 다른 형태의 배수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분해단면도.
도 8은 도 7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는, 조해된 제습제가 컨테이너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기존 용기와 동일한 평면을 점유하여 배치되면서도 제습 용량은 향상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와 다른 형태의 배수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분해단면도, 도 8은 도 7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10)는, 흡습성, 흡착성이 있는 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며, 컨테이너(100) 및 배수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컨테이너(100)는 상부를 통해 외부와 통기하는 구성으로서, 상단이 개방된 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는 컨테이너(100)의 수평 단면이 타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컨테이너(100)의 수평 단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의 내면에는 배수부재(2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복수의 단턱(101)이 형성된다. 단턱(101)에는 배수부재(200)의 홀에 삽입되는 돌기(102)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의 상단부에는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통기성 시트(미도시) 및 뚜껑(L)이 결합될 수 있다. 뚜껑(L)에는 통기를 위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통기성 시트는 부직포 등 통기성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배수부재(200)는 제습제(1)가 올려지는 구성으로서, 액체가 빠지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다수의 구멍은 올려지는 고형의 제습제(1)는 통과시키지 않고 조해된 액상 제습제(1)는 통과시키게 된다. 고형의 제습제(1)는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재(200)는, 그 가장자리가 단턱(101)에 안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0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제습용기는 안치대의 상면에 원뿔형 돌출부가 한 개 형성된다. 돌출부는 조해된 제습제가 용기 하부로 신속하게 떨어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제습용기는, 안치대의 중앙에만 단일의 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용기 가장자리 부근에서 조해된 제습제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늦어 제습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10)는, 배수부재(200)에 복수의 배수돌기(201)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게 된다. 복수의 배수돌기(201)는 조해된 제습제(1)를 아래로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수부재(20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다. 배수돌기(201)는 복수의 슬릿(S)이 형성된 원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해된 제습제(1)는 슬릿(S)을 통과하여 복수의 배수돌기(201)의 아래로 신속히 낙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재(200)의 가장자리에는 컨터이너의 내면을 향할수록 상승하는 경사손잡이(20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손잡이(202)는 도 4와 같이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손잡이(202)는 염화칼슘 등 제습제(1)를 리필할 때 배수부재(200)를 잡고 빼는 손잡이 기능, 그리고 채워지는 제습제(1)의 높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습제(1)는, 경사손잡이(202)의 경사에 의해 경사진 표면(제습제(1)의 상단을 도시한 점선)을 형성하여 표면적 확대에 의해 제습속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경사손잡이(202)에는 복수의 슬릿(S)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의 내면에 인접한 제습제(1)는 조해되면서 경사손잡이(202)에 형성된 슬릿(S)을 통해 신속하게 컨테이너(10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재(200)는 가장자리로부터 가운데를 향상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배수부재(200)는 전체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원뿔형태를 형성한다.
제습제(1)는 배수부재(200)의 경사에 의해 중앙이 불룩하고 가장자리가 꺼진 형태의 경사진 표면(제습제(1)의 상단을 도시한 점선)을 형성하여 표면적 확대에 의해 제습속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재(200)는 파형(波形)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부재(200)가 파형으로 형성되면, 제습제(1)와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제습속도가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파형의 상단부는 염화칼슘 등 제습제(1)를 리필할 때 배수부재(200)를 잡고 빼는 손잡이 기능을 하며, 리필시 채워지는 제습제(1)의 높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20)는, 컨테이너(100)가 베이스(110) 및 관통바디(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조해된 제습제(1)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상단이 개방된 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관통바디(120)는 베이스(110)의 위에 적층되는 구성으로서, 내면에는 배수부재(200)가 안착되는 복수의 단턱(101)이 형성된다. 단턱(101)에는 배수부재(200)의 홀에 삽입되는 돌기(102)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바디(120)는 제1 관통바디(121) 및 제2 관통바디(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관통바디(121)는 베이스(110)의 상단에 적층되는 구성으로서, 내면의 단턱(101)에는 제1 배수부재(210)가 안착된다. 제1 관통바디(121)의 하단부에는 베이스(110)의 상단에 삽입되는 끼움턱(C)이 형성된다. 끼움턱(C)과 베이스(110)의 내면 사이에는 오링(R)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관통바디(122)는 제1 관통바디(121)의 상단에 적층되는 구성으로서, 내면의 단턱(101)에는 제2 배수부재(220)가 안착된다. 제2 관통바디(122)의 하단부에는 제1 관통바디(121)의 상단에 삽입되는 끼움턱(C)이 형성된다. 끼움턱(C)과 제1 관통바디(121)의 내면 사이에는 오링(R)이 개재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수부재(210) 및 제2 배수부재(220)는, 그 가장자리가 단턱(101)에 안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00)의 내부공간을 각각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 개시된 탈취 겸용 제습용기는, 복수의 보조용기가 안치대 상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안치대 위쪽에서 제습제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축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제습제가 덜 채워지면 그만큼 제습 용량이 감소되므로 제습제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01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습용기는 단순히 안치대 상면에만 제습제, 탈취제 등을 채운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습제의 양에 의해 제습 용량이 결정되므로, (조해된 제습제가 아래로 신속히 배출되려면 제습용기의 높이는 무한정 높일 수가 없어) 용량이 큰 제습제는 그만큼 옷장 내부에서 넓은 평면을 점유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20)는, 제1 배수부재(210)와 제2 배수부재(220)를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치하여 제습제(1) 및/또는 탈취제의 다단 제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습 용기(20)가 종래기술 대비 작은 평면을 점유하면서도 제습 용량 및 제습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1 배수부재(210) 및 제2 배수부재(220)는 제습제(1), 탈취제가 올려지는 구성으로서, 각각 액체가 빠지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다수의 구멍은 올려지는 고형의 제습제(1)는 통과시키지 않고 조해된 액상 제습제(1)는 통과시키게 된다. 고형의 제습제(1)는 염화칼슘(CaCl2)이나 실리카겔(silica g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배수부재(210)에 올려지는 제습제(이하 '제1 제습제(1A)')는 염화칼슘으로 하고 제2 배수부재(220)에 올려지는 제습제(이하 '제2 제습제(1B)')는 실리카겔로 할 수도 있고, 제1 제습제(1A)와 제2 제습제(1B)를 모두 염화칼슘으로 할 수도 있다.
실리카겔(silica gel)은 SiO2 ·nH2O의 화학식을 가지며 작은 구멍들이 서로 연결되어 튼튼한 그물 조직을 이루고 그 사이에 용매인 물 등이 들어가 굳어버린 비결정형의 입자이다. 표면적이 매우 넓어 물이나 알코올 등을 흡수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제습제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이다.
수분을 이미 많이 흡수한 실리카겔은 흡수능력이 떨어지지만, 이를 다시 가열하면 수분이 날아가 다시 흡습능력이 좋아지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코발트화합물을 흡착시킨 실리카겔을 사용하면 수분을 흡수하지 않았을 때에는 실리카겔이 파란색을 띠고 수분을 흡수하면 담홍색으로 변한다. 따라서 색깔을 통해 실리카겔이 얼마나 수분을 머금고 있는지, 또 얼마나 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배수부재(210) 및 제2 배수부재(220)에는 각각 복수의 배수돌기(201)가 형성된다. 복수의 배수돌기(201)는 조해된 제습제(1)를 신속히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배수부재(210) 및 제2 배수부재(22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다. 배수돌기(201)는 복수의 슬릿(S)이 형성된 원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해된 제습제(1)는 슬릿(S)을 통과하여 복수의 배수돌기(201)의 아래로 신속히 낙하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재(200)에는 복수의 보조돌기(20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돌기(203)는 조해된 제습제(1)를 아래쪽 배수돌기(201)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수돌기(201)의 아래에서 배수부재(200)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다.
보조돌기(203)는 복수의 슬릿(S)이 형성된 원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수부재(210)와 제2 배수부재(220) 사이에서 보조돌기(203)의 하단부와 배수돌기(201)의 상단부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배수돌기(201)의 아래에 보조돌기(203)가 형성되면, 제2 제습제(1B)를 조해성(潮解性)이 있는 염화칼슘으로 구비하더라도, 조해된 제2 제습제(1B)는 배수돌기(201)의 슬릿(S)을 통과한 후 보조돌기(203)를 통해 이와 접촉하고 있는 아래쪽 배수돌기(201)로 전량 유입됨으로써, 조해된 제2 제습제(1B)가 제1 제습제(1A)에 떨어지지 않고 (또는 떨어지는 양이 감소하며) 베이스(110)의 하부로 신속히 낙하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돌기(201)의 상단부에는 보조돌기(203)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돌기(201)의 상단부에 보조돌기(203)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H)이 형성되면, 배수돌기(201)의 슬릿(S)을 통과한 조해된 제2 제습제(1B)는 보조돌기(203)의 내부에서 삽입홀(H)을 통해 아래쪽 배수돌기(201)의 내부로 바로 떨어짐으로써, 조해된 제2 제습제(1B)가 제1 제습제(1A)에 떨어져서 제1 제습제(1A)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차단(또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부재에서 상방으로 복수의 배수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조해된 제습제가 컨테이너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배수부재 및 제2 배수부재 각각에 제습제가 올려져 다단 제습함으로써, 기존 용기와 동일한 평면을 점유하여 배치되면서도 제습 용량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0 : 제습 용기 1 : 제습제
100 : 컨테이너 200 : 배수부재
110 : 베이스 210 : 제1 배수부재
120 : 관통바디 220 : 제2 배수부재
121 : 제1 관통바디 201 : 배수돌기
122 : 제2 관통바디 H : 삽입홀
C : 끼움턱 S : 슬릿
R : 오링 202 : 경사손잡이
101 : 단턱 203 : 보조돌기
L : 뚜껑

Claims (8)

  1. 상부를 통해 외부와 통기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제습제가 올려지는 배수부재; 및 상기 배수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배수돌기를 포함하고,
    조해(潮解)된 상기 제습제는 상기 복수의 배수돌기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로 떨어지며,
    상기 배수부재는 제1 배수부재와 제2 배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조해된 상기 제습제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위에 적층되고, 내면의 단턱에 상기 제1 배수부재가 안착되는 제1 관통바디; 및 상기 제1 관통바디의 위에 적층되고, 내면의 단턱에 상기 제2 배수부재가 안착되는 제2 관통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수부재 및 상기 제2 배수부재 각각에 제습제가 올려져 다단으로 제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보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수부재와 상기 제2 배수부재 사이에서 상기 보조돌기의 하단부와 상기 배수돌기의 상단부는 서로 접촉되며,
    상기 제2 배수부재의 위에서 조해된 상기 제습제는 서로 접촉된 상기 보조돌기와 상기 배수돌기를 통해 상기 베이스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돌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조돌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면을 향할수록 상승하는 경사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가장자리로부터 가운데를 향상수록 상승하는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와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배수부재는 파형(波形)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KR1020160127840A 2016-10-04 2016-10-04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KR10178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40A KR101783232B1 (ko) 2016-10-04 2016-10-04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40A KR101783232B1 (ko) 2016-10-04 2016-10-04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232B1 true KR101783232B1 (ko) 2017-10-23

Family

ID=6029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840A KR101783232B1 (ko) 2016-10-04 2016-10-04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2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786A (ko) 2017-12-20 2019-06-28 힐링팟 주식회사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KR101967265B1 (ko) 2017-12-18 2019-08-13 주식회사 홈트너 제습제 용기
KR20210098662A (ko) 2020-02-03 2021-08-11 김석근 투과지 개봉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습기제거제
GB2619749A (en) * 2022-06-16 2023-12-20 Guangdong Ilovenumberone Co Ltd A multifunctional dehumidifier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836B2 (ja) * 1995-12-07 2001-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836B2 (ja) * 1995-12-07 2001-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指針式表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65B1 (ko) 2017-12-18 2019-08-13 주식회사 홈트너 제습제 용기
KR20190074786A (ko) 2017-12-20 2019-06-28 힐링팟 주식회사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KR20210098662A (ko) 2020-02-03 2021-08-11 김석근 투과지 개봉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습기제거제
KR20210002014U (ko) 2020-02-03 2021-09-07 김석근 투과지 개봉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습기제거제
GB2619749A (en) * 2022-06-16 2023-12-20 Guangdong Ilovenumberone Co Ltd A multifunctional dehumidifier box
GB2620064A (en) * 2022-06-16 2023-12-27 Guangdong Ilovenumberone Co Ltd A multifunctional dehumidifier box
GB2619749B (en) * 2022-06-16 2024-06-26 Guangdong Ilovenumberone Co Ltd A multifunctional dehumidifier box
GB2620064B (en) * 2022-06-16 2024-07-24 Guangdong Ilovenumberone Co Ltd A multifunctional dehumidifier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232B1 (ko)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US9822987B2 (en) Dehumidifier container
US20040099141A1 (en) Apparatus for moisture absorption
IE50303B1 (en) Storage device for bodies,which shall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such as bodies for the absorption of humidity
KR101806990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제습용기
CN109874248A (zh) 一种带有除湿机构的电气柜
KR200393290Y1 (ko) 제습제 및 탈취제 수납용기
CN206138010U (zh) 新型香皂盒
KR20130001991U (ko) 제습제 리필사용이 가능한 제습제 용기
CN205425255U (zh) 一种带有物品烘干功能的简易家用空气去湿器
KR200490711Y1 (ko) 제습제 보관 용기
JP4519609B2 (ja) 脱臭除湿剤及び脱臭除湿器
CN220885299U (zh) 一种盒式吸湿剂
US20060222791A1 (en) Moisture-permeable dehumidifying capsule
JP2000334256A (ja) 除湿器
WO2013039322A2 (ko) 제습제 리필사용이 가능한 제습제 용기
CN220633693U (zh) 一种缝隙除湿袋
JP5107615B2 (ja) 脱臭装置
JPS6240668Y2 (ko)
JPH07284627A (ja) 乾燥空間構造
CN212220843U (zh) 一种新型多功能茶叶储存罐
KR200360153Y1 (ko) 탈취 겸용 제습용기
JP2014237115A (ja) 除湿装置
JP3220049U (ja) 乾燥具
KR200294868Y1 (ko) 탈취제가 수납된 탈취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