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714B1 -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 Google Patents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714B1
KR101778714B1 KR1020140183267A KR20140183267A KR101778714B1 KR 101778714 B1 KR101778714 B1 KR 101778714B1 KR 1020140183267 A KR1020140183267 A KR 1020140183267A KR 20140183267 A KR20140183267 A KR 20140183267A KR 101778714 B1 KR101778714 B1 KR 10177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inner plate
spacer cap
bol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218A (ko
Inventor
김순곤
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4018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7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 플레이트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외부 플레이트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중간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 플레이트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중간 관통홀을 관통하여, 헤드부가 상기 중간 플레이트부에 밀착되는 볼트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중간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에 밀착되는 너트부; 및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부의 헤드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스페이서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단열 성능을 유지시켜 결로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며, 외력에 대하여 안정적 구조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PANEL STRUCTURE FOR CURTAIN WALL}
본 발명은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에 설치 고정되어 단열 성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들은 고층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고, 개방감 및 다양한 개성과 기능을 살려 미적 감각까지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고층건축물의 외벽 마감은 디자인, 구조, 시공 등의 측면에서 이점을 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튼월(curtain wall) 방식이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커튼월은 건축물의 외부 마감재의 비내력벽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가벼운 벽체 또는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벽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커튼월은 알루미늄 또는 스틸의 프레임이나 고정 철물 등을 이용하여 유리를 고정한 상태이다. 특히, 고정 철물을 이용하여 유리를 고정한 커튼월 시스템은 고정 철물의 형태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되고, 알루미늄 또는 스틸의 프레임이 없기에 채광성, 가시성, 개방감, 외관 디자인이 우수한 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에서 특수가공한 힌지볼트(1)는 외장 유리(2)에 결합시켜 유리의 표면이 외견상 평탄하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재(3), 예를 들어, 로드 트러스(rod truss), 와이어, 스테인리스스틸 파이프 등은 힌지 볼트(1)에 연결되어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 자체가 건축물의 내부 구조물에 지탱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들을 고정시키고 상호 간에 연결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는 천공되고 힌지볼트는 천공에 삽입되어 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킨다. 이때, 힌지볼트는 카운터싱크형(countersunk type)(도 2의 (a) 참조) 또는 플랫캡형(flat cap type)(도 2의 (b)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힌지볼트와 천공 사이의 틈 또는 힌지볼트의 풀림으로 인해 힌지볼트의 체결부위는 기밀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서 단열 성능의 저하와 이에 따른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힌지볼트는 도 2의 (c)에서와 같이 내부 유리의 일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의 가공 및 힌지 볼트의 체결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60182호 (2014. 05. 19)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01040호 (2012. 11. 07)
본 발명은 단열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들, 특히 외부 플레이트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 플레이트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외부 플레이트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헤드부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에 밀착되는 볼트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에 밀착되는 너트부; 및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부의 헤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스페이서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캡부는,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홈부;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타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측면과 연결되는 통로 홈부;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측면을 따라 함몰형성된 골부; 상기 헤드 삽입홈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헤드부의 결합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부; 상기 헤드 삽입홈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홀부; 및 상기 헤드 삽입홈부와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 삽입홈부의 일부를 폐쇄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상기 헤드 삽입홈부 주위의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에서 도포되거나,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상기 너트부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내부 플레이트부, 외부 플레이트부, 볼트부, 너트부, 및 스페이서 캡부를 포함하여, 상호 간에 연결된다. 내부 플레이트부와 외부 플레이트부는 상호 간에 이격되고, 볼트부는 내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너트부와 체결된다. 이때, 스페이서 캡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 플레이트부와 외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밀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부의 헤드부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는 외부 플레이트부에 풍하중이 가해질 때 볼트부의 풀림을 방지한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는 내부 플레이트부의 관통홀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 플레이트부와 외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충진된 비활성기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단열 성능을 유지시키고, 결로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서 스페이서 캡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 플레이트부와 외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외부 플레이트부에 풍하중 등이 가해질 때 스페이서 캡부는 외부 플레이트부를 지지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외부 플레이트부의 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외력에 대하여 안정적 구조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서 내부 플레이트부 및 외부 플레이트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서 스페이퍼 캡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들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에서 내부 플레이트부, 외부 플레이트부 및 중간 플레이트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0)에서 내부 플레이트부(101) 및 외부 플레이트부(102)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0)에서 스페이서 캡부(105)를 도시하는 사시도들 및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0)은 내부 플레이트부(101), 외부 플레이트부(102), 볼트부(103), 너트부(104), 및 스페이서 캡부(105)를 포함하고, 2장의 플레이트부들, 즉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를 상호 간에 연결하여 고정 부재(2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다. 여기서, 플레이트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플레이트부(101)는 건축물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내부 플레이트부(101)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외부 플레이트부(102)는 내부 플레이트부(101)로부터 이격되어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때, 외부 플레이트부(102)는 건축물의 외벽에 대하여 내부 플레이트부(101)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에는 비활성기체(예를 들어, 아르곤 가스 등)가 충진된다. 비활성기체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의 공간을 통한 단열 성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볼트부(103)는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결합된다. 이때, 볼트부(103)의 헤드부(131)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일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일면은 외부 플레이트부(102)와 마주한다.
너트부(104)는 관통홀(111)을 관통한 볼트부(103)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부(103)는 관통홀(111)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너트부(104)와 체결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너트부(104)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타면에 밀착되면서 볼트부(103)의 헤드부(131)를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일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너트부(104)와 체결된 볼트부(103)는 고정 부재(20)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캡부(105)는 볼트부(103)의 헤드부(131)에 결합되어,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스페이서 캡부(105)는 탄성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기에, 다소 변형되어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에 밀착된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105)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에서 관통홀(111)과 볼트부(103) 사이의 틈을 폐쇄하고, 볼트부(103)의 거동을 방지하여 볼트부(103)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관통홀(111)을 통한 비활성기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0)의 단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이에 따른 결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105)는 외부 플레이트부(102)를 지지한 상태이다. 이때, 외부 플레이트부(102)에 외부로부터 풍하중 등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플레이트부(10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105)는 헤드 삽입홈부(151), 통로홈부(152), 골부(153), 결합돌기부(154), 체결홀부(155), 및 날개부(156)를 포함한다.
헤드 삽입홈부(151)는 스페이서 캡부(105)의 일면에 함몰형성된다. 헤드 삽입홈부(151)에는 볼트부(103)의 헤드부(131)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105)는 볼트부(103)의 헤드부(131)와 결합된다. 또한, 헤드 삽입홈부(151) 주위의 스페이서 캡부(105)의 일면은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일면과 접촉된다.
통로홈부(152)는 스페이서 캡부(105)의 타면에 함몰되어 스페이서 캡부(105)의 측면을 연결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105)가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에 위치되어 스페이서 캡부(105)의 타면이 외부 플레이트부(102)에 접촉될 때, 비활성기체는 통로홈부(152)를 따라 유동하여 스페이서 캡부(105)의 측면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로 유도된다. 따라서, 스페이서 캡부(105)의 타면과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에는 기체막이 형성되지 않고, 스페이서 캡부(105)의 타면은 외부 플레이트부(102)에 밀착될 수 있다.
골부(153)는 스페이서 캡부(105)의 측면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통로홈부(152)와 연결되지 않는다. 이때, 골부(153)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플레이트부(102)에 하중이 가해질 때, 스페이서 캡부(105)에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골부(153)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스페이서 캡부(105)는 변형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105)는 외부 플레이트부(102)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분산시켜, 외부 플레이트부(102) 또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돌기부(154)는 헤드 삽입홈부(1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때, 볼트부(103)의 헤드부(131)에는 결합홈부(131a)가 형성된다. 헤드 삽입홈부(151)에 볼트부(103)의 헤드부(131)가 삽입될 때, 결합돌기부(154)는 결합홈부(131a)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볼트부(103)와 스페이서 캡부(105)는 정렬된 상태로 상호 간에 결합된다.
체결홀부(155)는 헤드 삽입홈부(151)의 일면으로부터 스페이서 캡부(105)의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체결홀(155)에는 볼트부(103)의 조임을 위하여 렌치 등과 같은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드 삽입홈부(151)에 볼트부(103)의 헤드부(131)가 삽입된 경우, 체결홀(155)에 삽입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부(103)와 스페이서 캡부(105)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부(103)를 조작할 수 있다.
날개부(156)는 헤드 삽입홈부(151)와 스페이서 캡부(105)의 일면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스페이서 캡부(105)의 일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헤드 삽입홈부(151)의 일부를 폐쇄한다. 헤드 삽입홈부(151)에 헤드부(131)가 삽입되는 경우, 날개부(156)는 스페이서 캡부(105)와 조합하여 헤드부(131)를 감싼 형태로 유지한다. 헤드부(131)가 내부 플레이트부(101)에 밀착될 때, 날개부(156)는 헤드부(131)와 내부 플레이트부(101) 사이에 위치되어 헤드부(131)와의 접촉으로 인한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100)은 스페이서부(106), 와셔부(107) 및 접착부(108)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스페이서부(106)는 스페이서 캡부(105)와 같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스페이서부(106)는 내부 플레이트부(101) 및 외부 플레이트부(10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부(106)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외부 플레이트부(102)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다.
와셔부(107)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와 너트부(104) 사이에 위치된다. 즉, 와셔부(107)는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타면과 너트부(104) 사이의 틈 사이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너트부(104)가 볼트부(103)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와셔부(107)는 너트부(104)와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타면의 접촉으로 인해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볼트부(103)에 체결된 너트부(104)의 풀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접착부(108)는 스페이서 캡부(105), 특히 헤드 삽입홈부(151) 주위의 스페이서 캡부(105)의 일면과 내부 플레이트부(101)의 일면 사이에 위치되어 스페이서 캡부(105)를 내부 플레이트부(101)에 접합시킨다. 이때, 접착부(108)는 헤드 삽입홈부(151) 주위의 스페이서 캡부(105)의 일면에 접착제의 형태로 도포되거나, 접착 테이프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20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200)에서 내부 플레이트부(201), 외부 플레이트부(202) 및 중간 플레이트부(21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200)는 내부 플레이트부(201), 외부 플레이트부(202), 중간 플레이트부(210), 볼트부(203), 너트부(204), 스페이서 캡부(205), 스페이서부(206), 와셔부(207) 및 접착부(208)를 포함하고,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간 플레이트부(210)를 추가하여 3장의 플레이트부들, 즉 내부 플레이트부(201), 중간 플레이트부(210), 및 외부 플레이트부(202)를 상호 간에 연결하여 고정 부재(2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다. 한편, 중간 플레이트부(2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플레이트부(210)가 추가됨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가 제 1 실시예로부터 변경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플레이트부(21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내부 플레이트부(201) 및 외부 플레이트부(202)는 각각 제 1 실시예의 내부 플레이트부(101) 및 외부 플레이트부(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중간 플레이트부(210)는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 위치되고, 관통홀(211)과 대응하도록 중간 관통홀(212)이 형성된다.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는 중간 플레이트부(210)가 위치된 상태에서 비활성기체가 충진된다.
볼트부(203)는 중간 관통홀(212) 및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중간 플레이트부(210) 및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결합된다. 이때, 볼트부(203)의 헤드부(231)는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일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일면은 외부 플레이트부(202)와 마주한다.
너트부(204)는 중간 관통홀(212) 및 관통홀(211)을 관통한 볼트부(203)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부(203)는 관통홀(211)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부(201)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너트부(204)와 체결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너트부(204)는 내부 플레이트부(201)의 타면에 밀착되면서 볼트부(203)의 헤드부(231)를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일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너트부(204)와 체결된 볼트부(203)는 고정 부재(20)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캡부(205)는 볼트부(203)의 헤드부(231)에 결합되어,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스페이서 캡부(205)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기에, 다소 변형되어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외부 플레이트부(202)에 밀착된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205)는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내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서 중간 관통홀(212)과 볼트부(203) 사이의 틈을 폐쇄하고, 볼트부(203)의 거동을 방지하여 볼트부(203)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중간 관통홀(212)을 통한 비활성기체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205)는 외부 플레이트부(202)를 지지한 상태이다. 이때, 외부 플레이트부(202)에 외부로부터 풍하중 등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플레이트부(20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캡부(205)는 도 5에 도시된 스페이서 캡부(105)와 동일하기에 도 5에 도시된 헤드 삽입홈부(151), 통로홈부(152), 골부(153), 결합돌기부(154), 체결홀부(155), 및 날개부(156)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헤드 삽입홈부(151)는 스페이서 캡부(205)의 일면에 함몰형성된다. 헤드 삽입홈부(151)에는 볼트부(203)의 헤드부(231)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205)는 볼트부(203)의 헤드부(231)와 결합된다. 또한, 헤드 삽입홈부(151) 주위의 스페이서 캡부(205)의 일면은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일면과 접촉된다.
통로홈부(152)는 스페이서 캡부(205)의 타면에 함몰되어 스페이서 캡부(205)의 측면을 연결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205)가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 위치되어 스페이서 캡부(205)의 타면이 외부 플레이트부(202)에 접촉될 때, 비활성기체는 통로홈부(152)를 따라 유동하여 스페이서 캡부(205)의 측면을 통해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로 유도된다. 따라서, 스페이서 캡부(205)의 타면과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는 기체막이 형성되지 않고, 스페이서 캡부(205)의 타면은 외부 플레이트부(202)에 밀착될 수 있다.
골부(153)는 스페이서 캡부(205)의 측면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통로홈부(152)와 연결되지 않는다. 이때, 골부(153)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플레이트부(202)에 하중이 가해질 때, 스페이서 캡부(205)에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골부(153)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스페이서 캡부(205)는 변형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캡부(205)는 외부 플레이트부(202)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분산시켜, 외부 플레이트부(202) 또는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돌기부(154)는 헤드 삽입홈부(1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때, 볼트부(203)의 헤드부(231)에는 결합홈부(231a)가 형성된다. 헤드 삽입홈부(151)에 볼트부(203)의 헤드부(231)가 삽입될 때, 결합돌기부(154)는 결합홈부(231a)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볼트부(203)와 스페이서 캡부(205)는 정렬된 상태로 상호 간에 결합된다.
체결홀부(155)는 헤드 삽입홈부(151)의 일면으로부터 스페이서 캡부(205)의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체결홀(155)에는 볼트부(203)의 조임을 위하여 렌치 등과 같은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드 삽입홈부(151)에 볼트부(203)의 헤드부(231)가 삽입된 경우, 체결홀(155)에 삽입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부(203)와 스페이서 캡부(205)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부(203)를 조작할 수 있다.
날개부(156)는 헤드 삽입홈부(151)와 스페이서 캡부(205)의 일면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스페이서 캡부(205)의 일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헤드 삽입홈부(151)의 일부를 폐쇄한다. 헤드 삽입홈부(151)에 헤드부(231)가 삽입되는 경우, 날개부(156)는 스페이서 캡부(205)와 조합하여 헤드부(231)를 감싼 형태로 유지한다. 또한, 헤드부(231)가 중간 플레이트부(210)에 밀착될 때, 날개부(156)는 헤드부(231)와 중간 플레이트부(210) 사이에 위치되어 헤드부(231)와의 접촉으로 인한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부(206)는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중간 플레이트부(210) 사이, 및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스페이서부(206)는 내부 플레이트부(201), 중간 플레이트부(210), 및 외부 플레이트부(20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부(206)는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중간 플레이트부(210) 사이의 간격, 및 중간 플레이트부(201)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다.
와셔부(207)는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너트부(204)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실시예의 와셔부(107)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접착부(208)는 스페이서 캡부(205), 특히 헤드 삽입홈부(151) 주위의 스페이서 캡부(205)의 일면과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일면 사이에 위치되어 스페이서 캡부(205)를 중간 플레이트부(210)에 접합시킨다. 이때, 접착부(208)는 헤드 삽입홈부(151) 주위의 스페이서 캡부(205)의 일면에 접착제의 형태로 도포되거나, 접착 테이프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200)은 보조 스페이서부(209)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보조 스페이서부(209)는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내부 플레이트부(201) 사이에 위치되어 볼트부(203)를 둘러싼다. 이때, 보조 스페이서부(209)는 중간 플레이트부(210)의 타면에 밀착되고, 내부 플레이트부(201)의 타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보조 스페이서부(209)는 중간 관통홀(212)과 볼트부(203) 사이의 틈 및 관통홀(211)과 볼트부(203) 사이의 틈을 폐쇄한다. 관통홀(211)과 중간 관통홀(212)을 통한 중간 플레이트부(210)와 내부 플레이트부(201) 사이의 비활성기체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 스페이서부(209)는 스페이서 캡부(205)와 조합하여 내부 플레이트부(201)와 외부 플레이트부(202) 사이의 비활성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200)은 비활성기체가 충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101, 201: 내부 플레이트부
102, 202: 외부 플레이트부
103, 203: 볼트부
131, 231: 헤드부
104, 204: 너트부
105, 205: 스페이서 캡부
151: 헤드 삽입홈부
152: 통로홈부
153: 골부
154: 결합돌기부
155: 체결홀부
156: 날개부
106, 206: 스페이서부
107, 207: 와셔부
108, 208: 접착부
209: 보조 스페이서부
210: 중간 플레이트부

Claims (4)

  1.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 플레이트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외부 플레이트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헤드부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에 밀착되는 볼트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에 밀착되는 너트부; 및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부의 헤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스페이서 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캡부는,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홈부;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타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측면과 연결되는 통로 홈부;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측면을 따라 함몰형성된 골부;
    상기 헤드 삽입홈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헤드부의 결합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부;
    상기 헤드 삽입홈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홀부; 및
    상기 헤드 삽입홈부와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 삽입홈부의 일부를 폐쇄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상기 헤드 삽입홈부 주위의 상기 스페이서 캡부의 일면에서 도포되거나,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은,
    상기 너트부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KR1020140183267A 2014-12-18 2014-12-18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KR10177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67A KR101778714B1 (ko) 2014-12-18 2014-12-18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67A KR101778714B1 (ko) 2014-12-18 2014-12-18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18A KR20160074218A (ko) 2016-06-28
KR101778714B1 true KR101778714B1 (ko) 2017-09-14

Family

ID=5636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267A KR101778714B1 (ko) 2014-12-18 2014-12-18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03B1 (ko) 2019-03-13 2021-02-17 주우성 내진 유리 커튼 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유리 커튼 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040B1 (ko) 2011-12-08 2012-11-14 박일흥 유체순환 구조를 갖는 복층유리패널용 보강 스페이서
KR20140060182A (ko) 2012-11-09 2014-05-19 (주)파사드이엔씨 복층형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18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174B2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WO2007091171A3 (en) Frame structure for doors or windows, for furniture or for lightings, having a surface on a same plane of a wall
KR100764145B1 (ko)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1778714B1 (ko)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KR20180056969A (ko) 비노출형 커튼월의 지지구조
JP2020090786A (ja) 建具用面材及び建具
JP6457691B1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
KR101562333B1 (ko)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JP2009203791A (ja) ブロック部材を用いたパネル構造体
KR20120019923A (ko) 커튼월 고정장치
KR101105464B1 (ko) 패널결합체
KR101484747B1 (ko) 복층유리 도어
KR200442401Y1 (ko) 조립식 패널 및 도어 관람창
JP2017036573A (ja) 子扉ユニット及び子扉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5975809B2 (ja) 二重窓ガラス構造体
JP6268671B2 (ja) 防火複層ガラス及び防火複層ガラスユニット
KR101693305B1 (ko)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 설치용 브라켓트
KR101581011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JP6389615B2 (ja) 止水扉
JP2009024467A (ja) 小窓付きドア
KR101332189B1 (ko) 컨트롤 캐비닛용 코너부재
JP6915849B2 (ja) 建築物と建築方法
KR101694353B1 (ko) 커튼월용 패널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