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058B1 -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058B1
KR101778058B1 KR1020150010627A KR20150010627A KR101778058B1 KR 101778058 B1 KR101778058 B1 KR 101778058B1 KR 1020150010627 A KR1020150010627 A KR 1020150010627A KR 20150010627 A KR20150010627 A KR 20150010627A KR 101778058 B1 KR101778058 B1 KR 10177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xide
oral hygiene
betain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956A (ko
Inventor
손일환
김선호
김경덕
신봉석
승 김
김정현
고도윤
Original Assignee
(주) 바이오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오에스텍 filed Critical (주) 바이오에스텍
Priority to KR102015001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0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선화와 창이자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추출물과 황금/목단피의 천연약재 추출물을 구취 유발균 및 구강 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 충치예방 및 구취 제거에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천연 항생, 방부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균력 및 항진균력을 발현하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들 복합체의 적절한 혼합을 통하여 구취발생 원인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 유발균에 대한 항균력의 상승효과, 프라그 형성 억제 효과 및 치은염증 완화 효과를 증진시킨다. 아울러 알콜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구강건조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아나 여성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강내 점막감염증 (구강 칸디다증) 및 질 감염증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sanitation promotion of oral cavity comprising natural medicinal ingredient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for halitosis inducing microoranism and infectious disease of mucous membrane}
본 발명은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봉선화와 창이자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추출물과 황금/목단피의 천연약재 추출물을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항균력 및 항진균력을 발현하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들 복합체의 적절한 혼합을 통하여 구취발생 원인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 유발균에 대한 항균력의 상승효과, 프라그 형성 억제 효과 및 치은염증 완화 효과를 증진시킨다.
고대인들은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여러 생약제를 이용했던 것을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데, 특히 고대 중국인들은 치은염증, 치은출혈 등에 약초 인힌통(Inhin Tong)을 사용하였고, BC 2세기 스페인의 포에니 시인들은 벌꿀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세기에는 아편, 장미유 등을, 14 내지 15 세기에는 백포도주, 구운 소금 등을, 동양권에서는 한약 제제를 여러 가지 구강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하였다.
또한, 치주질환 및 충치와 구취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구강내 존재하는 균을 살균할 수 있는 클로로헥시딘, 4급 암모늄화합물인 세틸피리듐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상귀나린과 같은 항균제, 페니실린과 같은 항생제, 치아의 탈회를 억제하거나 재석회화를 촉진시켜 충치의 발생을 예방하는 불화나트륨 및 제일불화인산나트륨 등의 불소화합물 및 덱스트라나제 등의 효소제제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공지된 바와 같이 생약 추출물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제품에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55-120,509 호에서는 골취보, 측백엽, 지유, 연근, 애엽 등의 생약 추출물을, 일본국 특개소 57-5641 호 및 57-85319 호에서는 황백 추출물을, 일본 특개소 87-268613 호에서는 월견초 종자유를, 일본국 특개소60-75418 호에서는 세이지 또는 로스마리 등을 배합하여 구강내 세균억제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 사용한 성분들은 모두 지속적인 구강내 세균억제 효과가 미약하여 제품에 적용했을 경우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 충치예방 및 구취 제거효과가 미약하며, 사용성이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비교적 인체 부작용이 적은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CPC)은 구강 청결제, 치약, 구강스프레이, 비강스프레이 등에 사용되는 4차 암모늄 양이온으로서, 박테리아와 미생물들에 대하여 살균 효과가 있으며, 치아의 프라그(plaque)를 방지하고, 치은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출처: www.wikipedia.com).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등록 제6,861,047호에는 CPC 및 디하이드로아세트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치약, 구강 청결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한국특허출원 제10-2001-0045337호에는 콩나물과 같은 두채류의 종자나 재배 중에 CPC를 침지, 분사 또는 관수하여 두채류의 부패병을 예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제출원 PCT/US2000/011425호에는 CPC 및 베헨트리늄 메토설페이트 및 스테아릴 알콜(Behentrimonium methosulfate & stearyl alcohol) 쿠아터리늄 (Quaterinium), 세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의 4가지 성분을 함유하는 기저귀, 위생용 티슈 및 물티슈 상품군에서 선택된 섬유 위생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CPC는 정제수에 용해시킬 때 약 15℃에서 동결되기 시작하며, 약 13℃에서 재결정화가 시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에, 정제수를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제품화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 및 그 주변조직에 발생되는 중요한 질병은 충치 및 치주질환이 있다. 충치의 발병원인은 다양하나 구강내에 상주하는 세균과 세균의 대사산물로 이루어진 프라그(또는 치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주질환의 원인 역시 치아 및 잇몸 부위에 서식하는 특정한 세균들의 대사 서식 및 대사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구강건조증은 침이 1분에 0.1mL 이하로 적게 분비돼 입 안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잘 분해하지 못하고, 나쁜 세균도 억제하지 못하는 병이다.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은 침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입에서 냄새가 난다. 하지만 구강건조증 환자가 냄새를 감추려고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구강 청결제는 크게 알콜 함유 제품과 무(無)알콜 제품으로 나누어지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알콜 함유 구강 청결제이다. 알콜 함유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면 알콜이 입에 남게 된다. 이렇게 되면 침 분비가 줄어 구강이 더 건조해지고, 구강 건강을 해치는 세균이 빠르게 번식한다. 이러한 세균이 많아지면 입 냄새가 심해진다.
입 냄새ㅇ충치 예방을 위해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이 알콜이 함유된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면 오히려 입 냄새가 심해질 수 있다. 치과 전문의들은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은 알콜이 든 구강 청결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며 "발치나 구강내 수술 등으로 구강 위생이 걱정된다면, 1~2주 정도만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추천한다.
구강 칸디다증은 진균류(眞菌類)인 칸디다(Candida albicans)가 구강 점막에서 증식하는 병으로 흔히 아구창(牙口瘡)이라고 한다. 칸디다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입안에 항상 있는 균으로서, 저항력이 약한 노인이나 영양 장애의 유유아(乳幼兒)에게 일어나기 쉽다. 일종의 감염질환이다. 구강점막의 붉은 반점위에 미세한 백색 침착물로 나타나거나 응결된 우유처럼 부드럽고 융기된 백색반점으로 보이는데, 솜이나 거즈로 문지르면 막이 벗겨지고, 그 뒤에 빨갛게 된 점막면이 보인다. 이곳에 음식이 닿으면 따갑고 쓰라린 통증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의한 구강점막감염증은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상재균으로 분리되는데 이 곰팡이균이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구강 점막에 침투해 생기는 병이다. 원인으로는 영양실조증,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 면역부전을 수반하는 병이 있으면 일어나기 쉽고, 항생물질,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억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등 면역력이 약해지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신생아나 유아의 구강칸디다증인 경우에는 어머니가 감염원인 경우가 많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의치의 손질을 잘못하거나 의치 아래서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프라그를 형성시키는 미생물로는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지만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는 균체 외 또는 균체 표층에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음식물 내 자당(sucrose)을 기질로 하여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을 생성하고 포도당의 수불용성 중합체인 글루칸(glucan)을 형성시킨다. 이 글루칸에 의해 구강내 서식하는 여러 가지 미생물들이 치면에 부착하여 세균막을 형성하는 데 이를 프라그(또는 치태)라고 한다.
프라그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을 포함한 젖산균이 증식하면 과당을 탄소원으로 하여 젖산이 생성되며, 이 젖산이 부착성 글루칸에 포집되면 고농도의 산으로 농축되어 치아에서 칼슘 이온을 녹이고 결과적으로 치아의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서 충치를 유발하게 된다 (J. Periodontol. 63:322-331, 1992).
이와 같은 충치와 잇몸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 및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살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능을 갖는 물질로서는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스피라마이신과 같은 항생제가 있으며 특히 비이온성 살균제인 트리클로산이 가장 대표적이다. 대한민국특허 1999-0079220에서는 트리클로산을 사용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시하였으며, 대한민국 특허 10-2006-0089890에서는 트리클로산의 구강내 잔류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항생제의 경우에는 내성균 발현, 과민반응 및 위장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고, 특히 클로로헥시딘과 같은 항균제는 충치형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나 구강내의 생태계 파괴, 치아착색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제제들이 나타내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제제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천연물을 활용한 항균, 살균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강세정제 조성물은 가용화제, 습윤제, 용제, 향료, 감미제, 방부제, 완충제,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는 대부분의 구강세정제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한다.
양치 후에 구강세정제를 쓰면 알콜 성분으로 인해 점막이 자극되고 장기간 사용시 입 속에 백태가 끼는 구강칸디다증과 같은 진균의 감염이 올 수 있다.
한편, 구강건조증이 있거나 입이 자주 마르는 노인들의 경우 양치 후 알콜 성분이 많이 포함된 현재 시판중인 구강세정제를 사용하면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구강세정제에 포함된 알콜이 구강 내에서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함에 따라서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에 대해서 많은 보고가 되어 있다 [Lachenmeier DW. Safety evaluation of topical applications of ethanol on the skin and inside the oral cavity. J Occup Med Toxicol. 2008;3:26]. 특히 14세 이하의 어린이에 대해서는 알콜이 함유된 구강세정액을 사용하지 않도록 강하게 권유하고 있다 [Lachenmeier DW. Safety Assesment of alcohol-Containg Mouthwashes and Oral Rinses. SOFW-Journal, 134, 10. 2008].
기존의 구강세정제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가용화제는 제품에 사용시 청량감을 주고 물에 녹지 않는 향료나 방부제 등을 녹일 수 있도록 한다. 알콜류,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고급알킬 아세테이트류, 및 솔비탄 지방상 에스테르의 폴리옥시 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것들을 나열할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성분을 20~6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습윤제는 제품의 안정성과 단맛 및 약간의 점도를 주는 역할을 한다. 글리세린, 솔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사용한다.
방부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5 내지 0.25중량%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식약청에서도 사용량을 제한하고는 있지만, 과다 노출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아소산과 반응하여 중추신경마비, 출혈성 위염, 간에 악영향, 발암성, 염색체 이상, 눈, 피부 점막을 자극한다. 파라벤류(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는 화장품 방부제로도 광범위하게 쓰이는 물질인데 인체에 흡수되면 내분비계 장애, 피부노화, 유방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해한 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pH 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나트륨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산 혼합하여 0.02 내지 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통상의 치약에 사용되는 방향성 물질 및 식품 향료에 사용되는 물질로 페파민트 오일계, 멘톨, 스피아민트 오일계, 카르본, 아니스 오일계, 아니톨, 유칼립투스 오일계, 클로브 오일계, 유제놀, 윈터그린 오일계, 메틸살리실레이트, 신나몬 오일계, 신나믹알데하이드와 기타 향료 성분들이 사용되며,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은 위 성분 1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구취의 억제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다양한 천연 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하던 중, 봉선화, 창이자 및 황금/목단피의 천연약재 추출물이 구취 유발 물질 및 구취유발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 제품들에 사용되는 천연 물질들을 적당한 양으로 혼합하면 항균력 및 상쾌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구강 항염증 효능 및 구취 유발물질의 제거능력이 우수하여 구취 억제 효능이 뛰어난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 유발 물질을 억제 및 제거하여 구취를 억제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창이자, 봉선화, 황금, 목단피 등의 천연물 유래의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갖는 물질 군들의 복합물을 최적의 조성비로 조제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 및 구강내 유해 세균 제거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선화와 창이자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추출물과 황금/목단피의 천연약재 추출물을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황금/목단피"로 기재된 것은 황금 및 목단피 2가지 약재를 모두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봉선화, 창이자 및 황금/목단피 추출물 모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황산동, 베타인 및 N-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창이자 및 황금/목단피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의 각각 0.0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 황산동, 베타인 및 N-옥사이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의 각각 0.0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 황산동, 베타인 및 N-옥사이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의 각각 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효과를 나타내거나 제제의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각 약재 성분이 0.001 중량% 이하일 경우 약효를 나타내기 어렵고, 5.0 중량% 이상인 경우는 침전물이 발생하거나 제제 용액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화나트륨, 글리세린,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 나트륨, 폴록사머 407, 조합민트 향,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울아민옥사이드, CuSO4ㆍ5H2O,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은 알킬-N-베타인, 알킬-N-설포베타인, 아실-N-베타인, 알킬 N-치환 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타인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1
(화학식 1)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2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과 2에서, R은 데실, 운데실, 라우릴, 트리데실,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및 올레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0 내지 18개 탄소 원자의 고급알킬기의 라디칼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민 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3의 알킬-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화학식 4의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및 화학식 5의 아실아미드 t-아민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민 옥사이드는 데실-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라우릴-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스테아릴-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일-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코코-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세틸-N,N-디히드록시에틸아민옥사이드, 올레일-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N,N-디히드록시 에틸아민 옥사이드 및 올레일-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4
(화학식 4)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5
(화학식 5)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는 합성 항균제를 사용하는 대신 인체독성이 없는 천연물을 사용하며, 동시에 구강 내 건조증을 유발하는 알콜 또한 사용하지 않는 무합성 방부제, 무알콜의 구강 세척용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조성물은, 상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제형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당 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l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은 하루에 한번 사용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각의 성분들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생약 재료 및 추출 방법>
창이자, 봉선화, 황금, 목단피는 70% 에탄올 추출법을 사용하여, 3일 간 상온(15~25℃)에서 교반한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지표 물질 및 중금속의 함량 등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확인하였다.
(1) 봉선화 추출물 (鳳仙花, Garden Balsam)
높이 60~80㎝ 정도 자라는 1년 초다. 줄기는 곧추서며 육질로 밑 부분의 마디가 두드러지고 붉은 빛이 돈다. 잎의 길이는 8~10㎝로 피침 형이며 양끝이 좁다. 잎가에 거치(鋸齒)가 있으며 어긋난다. 꽃은 7~8월에 엽액(葉腋)에서 2~3개씩 달리며 자색, 흰색, 홍색, 잡색(雜色) 등 다양하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며 털이 있다. 익으면 탄력적으로 터지면서 황갈색의 종자가 튀어나온다.
봉선화 추출물은 황갈색의 액체로서 특유의 냄새와 약간의 쓴맛이 있다. 봉선화 전초를 실온에서 함수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 주성분은 케르세틴(Quercetin)이다.
(2) 창이자(蒼耳子, Xanthii Fructus)
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Linne (국화과 Composit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방추형 또는 난원형이며, 길이 10~15 ㎜, 지름 4~7 ㎜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주요 성분으로는 Xanthostrumarin, Linoleic acid, Vitamin C 등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Xanthatin에 의한 항균 작용이 있으며, 이외에도 축농증 및 비염치료, 피부질환 치료 등이 알려져 있다.
(3) 목단피(牧丹皮, Moutan Root Bark)
목단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작약과 Paeoniaceae)의 뿌리껍질이다. 생김새는 원통모양 또는 반원통모양이며 길이 5~20㎝, 지름 0.5~1.2㎝, 두께 0.1~0.4㎝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맵고 쓰다. 주요 성분으로는 Paeoniflorin, Oxypaeoniflorin, Paeonol, Paeonolide, Paeonoside, Tannin 등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항균 효과와 더불어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경련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4) 황금(黃芩, Scutellaria Root)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속썩은풀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생김새는 원주상 ~ 반관상 또는 평판상을 이루고 길이 5~ 25㎝, 지름 5~30㎜이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조금 쓰다. 주요 성분으로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Wogonoside, Neobaicalein, β- Sitosterol 등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항균 효과와 더불어 항암, 항염증, 이담, 혈압강하, 이뇨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5) 황산동
비타르계 색소로 야채 및 과일류의 저장품과 다시마 등에 착색료로 사용된다.
화학식 CuSO4ㆍ5H2O. 푸른색의 결정, 덩어리 또는 청백색의 결정성 가루이다.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 약간 녹는다. 수용액은 푸른색을 나타내며 가수분해시 산성을 띤다. 공기 중에 방치되면 서서히 풍해되고 결정수를 잃어 흰색으로 변색된다. 가열하면 25℃에서 무수염이 되는데 색은 무색이며 650℃로 가열하면 산화동이 된다. 조류나 곰팡이의 세포벽에 작용하여 항균성 및 항진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자일리톨
고령으로 인해 구강이 건조해지는 구강건조증 환자가 자일리톨을 섭취하면 타액분비를 촉진시켜 증상을 완화해준다. 이때 자일리톨을 구강내에 장시간 머물게 하는 것이 좋으며 치아표면을 적셔주면 치아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자일리톨은 페렴렌사 구균을 포함한 용혈성 렌사구균 발육저해 현상이 있으며 꾸준히 자일리톨을 섭취하면 호흡기와 소화관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어린이 중이염 방지에도 유효하다.
(7) C31G
아민의 특정한 혼합물은 그램 음성 및 그램 양성 박테리아에 대항하여 효과적인 항미생물제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a) 알킬-N-베타인, 알킬-N-설포베타인, 아실-N-베타인, 알킬 N-치환 아미노프로피온산 또는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및 (b) 알킬-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또는 아실아미드 t-아민 옥사이드의 특정 혼합물이 피부 세균제거, 정화 및 탈취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E. B. Michaels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183,952호; E. B. Michaels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075,350호; 및 E. B. Michaels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107,328호를 참조). 이들 조성물은 또한 체취의 장기간 저해에 유용하다. 동일한 활성 성분들의 혼합물도 또한 구강 미생물을 제거하고 치구의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구상 위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E. B. Michaels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839,158호).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은 또한 효과적인 살균제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Corner, A. M., 일행, 항미생물제 및 화학요법(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32(3) : 350-353(1988, 3); Corner, A. M., 임상치과학의 저널(The Journal of Clinical Dentistry), Vol. 2(3) : 35-38. (1990)). (또한 E. B. Michaels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075,350호, 제4,107,328 호, 제4,183,952호 및 제4,839,158호를 참조한다). 또한 분자의 친수성 및 소수성 부위 간의 에테르 또는 아미드 결합을 소유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헤르페스 심플렉스 비루스(herpes simplex virus) I 및 II의 감염성을 빠르게 불활성화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Asculai, S.S, 항미생물제 화학요법 Vol. 13 : P 686-690(1978)).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베타인 및 아민 옥사이드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베타인은 (a) 알킬-N-베타인, 알킬-N-설포베타인, 아실-N-베타인, 알킬 N-치환 아미노프로피온산,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및 이의 두개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질소 원자 상에 두개의 저급 알킬기를 갖는다. 가장 효과적으로 이들은 질소 원자 상에 두개의 메틸 치환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민 옥사이드는 (b) 알킬-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또는 아실아미드 t-아민 옥사이드 및 이의 두개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베타인 및 아민 옥사이드 성분은 1: 5 내지 5 : 1의 몰 비로, 바람직하게 1 : 1의 몰 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 (a)로서 사용되는 알킬-N-베타인, 알킬-N-설포베타인, 아실-N-베타인, 알킬-N-치환 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코코암포아세테이트로서 또한 언급됨)은 각각,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6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7
상기 식에서, R은 10 내지 18개 탄소 원자의 고급알킬기, 예컨대, 데실, 운데실, 라우릴, 트리데실,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또는 올레일과 같은 라디칼이다.
아민 옥사이드의 예로는 데실-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라우릴-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스테아릴-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일-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코코-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세틸-N,N-디히드록시에틸아민옥사이드, 올레일-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N,N-디히드록시 에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일-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및 상기의 혼합물이 있다.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8
Figure 112015006910028-pat00009
Figure 112015006910028-pat0001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약리 성분들의 상호 상승 작용을 통하여 항균력 및 항진균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구강 내 점막감염증 (구강 칸디다증) 방지 및 구취 제거력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체 유해 합성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이 조성물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구강건조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알콜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일반 대중들의 구강건조증 유발 및 건강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치액 조성물의 제조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다양한 조성비의 양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민 옥사이드, 폴록사머 407, 글리세린을 일정량 10g의 정제수에 넣고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및 조합민트향을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용해 시킨 용액에 CuSO4ㆍ5H2O, 불화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과 나머지 정제수를 넣어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창이자 및 황금/목단피 추출물만 첨가 하지 않았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봉선화 및 황금/목단피 추출물만 첨가 하지 않았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봉선화 및 창이자 추출물을 첨가 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민 옥사이드, 폴록사머 407, 글리세린, 정제수 10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조합민트향을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 용해시킨 용액에 CuSO4ㆍ5H2O, 불화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과 나머지 정제수를 넣어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민 옥사이드, 폴록사머 407, 글리세린, 정제수 10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조합민트향을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용해 시킨 용액에 불화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과 나머지 정제수를 넣어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록사머 407, 글리세린, 정제수 10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조합민트향을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용해 시킨 용액에 CuSO4ㆍ5H2O, 불화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과 나머지 정제수를 넣어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시중에 판매중인 L사 제품으로 그 조성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알콜 5g, 폴록사머 407, 글리세린, 정제수 10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조합민트향을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용해 시킨 용액에 불화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과 나머지 정제수를 넣어 제조하였다.
<비교예 5(음성(blank) 대조군)>
폴록사머 407, 글리세린, 정제수 10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조합민트향을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용해 시킨 용액에 불화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과 나머지 정제수를 넣어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을 요약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L 사
제품)
불화나트륨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구연산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2
구연산나트륨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10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사카린 나트륨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폴록사머 407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08
조합민트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15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30%) 0.23 0.23 0.23 0.23 0.23 0.23 - -
라울
아민옥사이드
(30%)
0.15 0.15 0.15 0.15 0.15 0.15 - -
CuSO
Figure 112015006910028-pat00011
5H
Figure 112015006910028-pat00012
O
0.16 0.16 0.16 - 0.16 - 0.16 -
봉선화 추출물 0.40 0.80 - - - - - -
창이자 추출물 0.40 - 0.80 - - - - -
황금/목단피 추출물 0.60 - - 0.60 - - - -
에탄올(95%) - - - - - - - 5.00
정제수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단위: 중량%)
<시험예 1> 항균력 비교시험
<1-1> 사용 균주 및 배양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충치 및 구취발생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구강점막감염증의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또한 장기간 저장시 안정성을 저해하는 곰팡이 중의 하나인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KCTC 26426을 사용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균(S. mutans)은 가장 흔한 구강내 세균이며, 구취 및 치아우식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서 스트렙토코커스균은 글루코실기 전이효소(glucosyl transferase)를 생산하여 설탕으로부터 불용성의 글루칸(glucan)을 만들어 치아 표면에 부착시키며, 증식을 통하여 끈적끈적한 무색의 물질로서 치석(dental plague)을 형성한다. 치석은 이중 70%가 세균이며, 30%는 당ㆍ효소ㆍ유산 등으로 되어있다. 유산은 치아 에나멜 층에서 칼슘과 인을 유출시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분해시킴으로서 에나멜 층을 침식시키며 세균은 치아 속으로 들어가 충치를 유발하는데 보통 1~2년이 소요된다.
칸디다균(C. albicans)은 진균 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동물, 식물, 토양 및 해양 등 거의 모든 자연계에 존재하며, 사람에게서 분리되는 칸디다균종은 약 20여종이며 그 중에서도 칸디다 알비칸스가 가장 흔히 분리되는 병인체이다. 칸디다증(Candidiasis)의 주요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는 칸디다 알비칸스는 병을 유발하는 칸디다속의 60%를 차지하는 균종으로 사람을 비롯한 온혈동물에 상주균으로 기생하며 숙주의 면역상태가 나빠지면 병원성으로 전환하여 병을 일으키는 기회성 병원체이다.
구강에 존재하는 칸디다는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며, 구강 칸디다증은 아구창(thrush)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질환은 구강과 혀, 목구멍의 점막에 흰점과 궤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항생제, 화학요법, AIDS 등에 의해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틀니 사용자들에게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 niger, A. fumigatus, A. flavus가 아스페르질러스증(Aspergillosis)을 유발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력이 없어서 순전히 기회성 진균이지만 면역억제제, 항생제 장기 복용자에게는 감염성이 높다. 또한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균사 형태로만 감염을 유발한다. 주요 감염침투 경로는 호흡기로 분생포자의 흡입에 의한 호흡기성 아스페르질러스증이 유발될 수 있다.
하기 표 2와 표 3은 각각 상기 균주의 특성 및 배양을 위한 배지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항미생물 테스트를 위한 시험 균주 목록
균주 번호 균주명 배지 배양 온도
3065 Streptococcus mutans 뇌심장추출액(Brain heart infusion) 37℃
7965 Candida albicans 효모 말트(Yeast Malt) 25℃
26426 Aspergillus fumigatus PDB(Potato Dextrose Broth) 25℃
시험 균주 배양을 위한 배지 조성
배양 프로토콜
뇌심장추출액 Broth 37.0g/L + 증류수 1.0L + 한천 15.0g/L
효모 말트 23.0g/L + 증류수 1.0L + 한천 15.0g/L
PDB 27.0g/L + 증류수 1.0L + 한천 15.0g/L
<1-2> 원판 확산법을 이용한 항균력 테스트
고체배지에 각 균주를 2.0 X 107 cfu/ml로 조정하여 100 ㎕을 넣고, 스프레더를 이용해 도말하였다.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Ф10mm, Advantec, Japan) 위에 실시예 1~4와 비교예 1~4을 100㎕씩 점적한 후 건조하여 균주가 도말된 배지위에 올려놓았다. S. mutans(37℃)는 4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C. Albicans(25℃)와 A. fumigatus(25℃)는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페이퍼 디스크 주위의 투명환 직경(mm)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균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L사
제품)
S. mutans 30 15 17 15 13 11 0 0
C. albicans 27 11 0 0 0 0 0 0
A. fumigatus 24 15 13 11 0 0 0 0
(단위: mm)
상기 표 4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천연 추출물들이 함유된 것들을 실시예로, 함유되지 않은 것들을 비교예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우선 구취 유발균 (Streptococu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을 실시예와 비교예로 나누어 비교해 볼 때, 실시예의 경우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봉선화 추출물, 창이자, 황금, 그리고 목단피와 같은 천연 약재 추출물들이 적당량 함유되었을 경우, 구취 유발균 억제 효과가 극대화되었다. C. Albicans의 항균력을 비교한 것이 실시예 1~4이다. 실시예 2와 3은 봉선화 추출물의 유무에 따른 C. Albicans 의 항균력을 나타낸다. 창이자 추출물 (실시예 3)은 구취 유발균에 대한 활성은 가지고 있으나, 구강 점막증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하여 보면, 봉선화 추출물의 함량을 2배로 높여도 C. Albicans 의 항균력은 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 창이자 추출물과의 혼합물이 활성을 더 보여주었다. 비교예 1, 2 및 3은 C31G (예: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라울아민옥사이드의 같은 당량 혼합물) 및 황산동의 유무에 따른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을 1, 2와 비교해 보면, C31G (베타인과 아민 옥사이드의 당량 대 당량 혼합물) 이 없을 경우는 구취 유발균에 대한 항균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Aspergillus Fumigatus의 균주에 대한 활성은, 구리 2가 이온이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 (비교예 3)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황금/목단피 추출물이 첨가될 경우 (실시예 4), 그리고 다시 거기에 봉선화 혹은 창이자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실시예 2와 3)의 순서대로 증가했으며 각각의 천연물을 1.5: 1: 1의 비율로 첨가했을 때 활성이 극대화 되었다.
비교예 4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L사 제품 중 하나이다. 알콜이 5% 함유되어 있는 상태의 용액에서는 구취 유발균에 대한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페이퍼 디스크법을 통하여 항균력을 시험한 결과,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자들이 추구하는 바와 같은 알콜이 없는 상태에서는 항균력이 발현되는 조성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소취효과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와 C31G, 천연추출물 및 민트계열향 중 어느 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Blank) 대조군(비교예 5)을 상기 항균력 비교시험의 결과를 참고로 하여 성분비를 조정, 제조하여 다음과 같이 양치액 조성물에 대한 구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50명 (남자 15명, 여자 35명)을 선정하여 생마늘 1.0g을 저작시키고 5분 뒤 물로 구강내를 세척하게 한 다음, 구취측정기(Halimeter)로 초기의 구취 정도를 측정하여 개인별로 초기값으로 설정하였다. 시험군을 5개 군으로 나누어 (남자 3명, 여자 7명), 실시예 1~4와 비교예 1~4 및 음성 대조군(비교예 5)으로 제조한 각각의 양치 액으로 2분간 양치를 시킨 후에, 30분경과 시점에 다시 구취측정기로 구취를 측정하여 최종값으로 하여 상기의 초기값과 비교하였다. 이때 구취측정기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측정 전 2분 동안 입을 다물고 코로만 호흡을 하게 하였으며, 측정시에는 빨대를 약 1.5초 정도 입안으로 넣은 상태에서 약 15초 정도 유지하게 하였다. 이때 빨대가 혀에 닿지 않도록 하였으며, 입술은 약 3~4mm 정도 벌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다. 각각의 실험 대상들로부터 얻어진 구취측정기의 측정값 (ppb 단위)을 측정하여 얻은 각 시험군의 구취 억제율값 (10명의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취억제율의 계산식은 하기의 식 1과 같다.
구취억제율 (%) = 100 x (최종값 - 최초값)/최초값 <식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L사 제품) Blank
평균 구취 억제율 93 81 80 83 57 46 45 79 20
(단위: %)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마늘 저작 후 생성된 구취는 약효 성분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음성 대조군(비교예 5, L사 제품에서 알콜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조성)에서도 억제율을 보였으나 약 20% 미만이었다. 구취억제율의 증가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pcocus mutans)에 대한 활성의 강도와 비례하며, 구취유발 물질 제거제로서의 C31G, 민트계열 조합향, 항균력을 가지는 천연약재 및 황산동 용액을 함께 혼합 사용할 경우에 각 성분들의 상승효과에 의해 구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봉선화 추출물과 황금/목단피의 천연약재 추출물을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봉선화 및 황금/목단피 추출물 이외에 창이자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산동, 베타인 및 N-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창이자 및 황금/목단피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의 각각 0.0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 황산동, 베타인 및 N-옥사이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의 각각 0.0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창이자, 황금/목단피 추출물, 황산동, 베타인 및 N-옥사이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의 각각 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화나트륨, 글리세린,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 나트륨, 폴록사머 407, 조합민트 향,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울아민옥사이드, CuSO4ㆍ5H2O 및 정제수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은 알킬-N-베타인, 알킬-N-설포베타인, 아실-N-베타인, 알킬 N-치환 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Figure 112016039418185-pat00013
    (화학식 1)
    Figure 112016039418185-pat00014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과 2에서, R은 데실, 운데실, 라우릴, 트리데실,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및 올레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0 내지 18개 탄소 원자의 고급알킬기이다.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N-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3의 알킬-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화학식 4의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및 화학식 5의 아실아미드 t-아민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Figure 112016039418185-pat00015
    (화학식 3)
    Figure 112016039418185-pat00016
    (화학식 4)
    Figure 112016039418185-pat00017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3, 4 및 5에서, R은 데실, 운데실, 라우릴, 트리데실,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및 올레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0 내지 18개 탄소 원자의 고급알킬기이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옥사이드는 데실-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라우릴-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스테아릴-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일-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코코-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세틸-N,N-디히드록시에틸아민옥사이드, 올레일-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N,N-디히드록시 에틸아민 옥사이드 및 올레일-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0150010627A 2015-01-22 2015-01-22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77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627A KR101778058B1 (ko) 2015-01-22 2015-01-22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627A KR101778058B1 (ko) 2015-01-22 2015-01-22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956A KR20160090956A (ko) 2016-08-02
KR101778058B1 true KR101778058B1 (ko) 2017-09-27

Family

ID=5670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627A KR101778058B1 (ko) 2015-01-22 2015-01-22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423B1 (ko) 2019-08-27 2021-03-02 주식회사 닥터이엘 구취 억제 및 구강 위생 증진용 구강청결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792B1 (ko) * 2016-08-26 2019-10-22 (주) 바이오에스텍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KR101944435B1 (ko) * 2017-07-03 2019-04-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KR102127337B1 (ko) * 2020-04-06 2020-06-26 한재갑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423B1 (ko) 2019-08-27 2021-03-02 주식회사 닥터이엘 구취 억제 및 구강 위생 증진용 구강청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956A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058B1 (ko)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30A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4904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15612B1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70141057A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4123A (ko) 에스트라갈로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7082B1 (ko)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30228265A1 (en) Herbal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102115575B1 (ko) 개똥쑥과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6884B1 (ko) 천련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941B1 (ko) 쿼세틴 3-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7917A (ko) 천련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11A (ko) 스코폴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04A (ko)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