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337B1 -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337B1
KR102127337B1 KR1020200041578A KR20200041578A KR102127337B1 KR 102127337 B1 KR102127337 B1 KR 102127337B1 KR 1020200041578 A KR1020200041578 A KR 1020200041578A KR 20200041578 A KR20200041578 A KR 20200041578A KR 102127337 B1 KR102127337 B1 KR 10212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mposition
water extract
fruit
oral hyg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갑
Original Assignee
한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갑 filed Critical 한재갑
Priority to KR102020004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로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상룡 각각의 식물원료를 약불에 달인 열수추출물을 얻고 천일염을 대나무에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은 구은소금을 함유시켜 치태형성 억제작용 및 염증 완화효과를 갖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천연의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로써,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구운소금 20±5 wt%, 천산룡 열수추출물 10±5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잇몸염증 및 비염 개선에 도움을 주도록 제공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MOUTH CLEANER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여 제공되는 액상 구강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관련 기술로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각각의 식물원료 무게의 5배 중량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넣고 약불에 달여서 사용된 각각의 식물원료 무게의 1.5배 중량무게를 이룰 때까지 달인 열수추출물을 포함하고, 지름 7㎝ 이상의 직경을 갖는 대나무에 천일염을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은 구은소금을 함유시켜 얻은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구취 제거에 효과를 제공하고, 치주질환 개선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여 이루어진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다.
사람의 입은 크게 소화관의 입구로서 음식물을 섭취하는 기능, 소리를 내는 구음 기능, 음식의 맛을 느끼는 미각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신체기관이며 모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강관리가 중요하다.
입안 표면적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치아는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씹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적절히 발음을 하고 현대 사회에서는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원 기술은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용식물로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각각의 식물원료부터 추출한 열수추출물을 구강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치주질환 개선 및 구취제거 효과를 증진시킨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위생을 유지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치솔과 치약을 사용하여 양치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며 치약을 사용하는 이유는 연마제와 세제를 사용하여 치솔질하므로서 기계적인 치태제거를 쉽게하고 치면을 활택하게 하고, 입안을 더욱 깨끗하고 상쾌하게 하여 이를 닦는 것 자체를 즐겁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치태제거 방법에 의해서 충분한 구강위생의 유지와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를 얻기는 쉽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치은 염증을 가지고 있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주질환의 발생율 및 그로 인한 치아 상실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충치 원인균(Streptococcus mutans)과 치주 질환의 원인균들(Actinomyces Viscosus, Bacteroides gingivalis, Rothia dentocariosa, Streptococcus mitis 등)에 대하여 살균 효과가 있는 물질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현재 방부제, 약용식물의 추출물, 효소, 금속염 등이 많이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이 수천년간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 충치원인균 및 치주질환 원인균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카모밀레(Chamomile), 몰약(Myrrh), 라타니(Rhatany), 세이지(Sage) 에치네시아(Echinacea) 등의 추출물(S. de Rysky; Journal of Clinical Dentistry Vol.I, Supplement A. A22-24, 1988), 생귀나리아(Sanguinaria) 추출물(미합중국 특허 4,689,216호), 홈(Hops) 추출물(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소 62-138,420호), 세이지(Sage) 및 미질향(Rosemary) 등의 추출물(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소 58-134,013호) 등이 알려져 있다.
기타 종래기술로 한국 출원특허 제2006-0005128호는 산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0313491호는 항균성 식물로 알려진 맹종죽, 오배자, 황금, 측백엽, 은행엽, 가자, 다류엽, 차전자(질경이) 등으로 부터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으며, 한국 출원특허 제2013-0107045호는 편백나무 잎에서 추출한 피톤치드를 함유한 구취전용 치약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로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상룡 각각의 식물원료를 약불에 달인 열수추출물을 얻고 천일염을 대나무에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은 구은소금을 함유시켜 구취 제거에 효과를 제공하고, 치주질환 개선에 도움을 얻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 천연의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로서,
소루쟁이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구운소금 20±5 wt%.
천산룡(단풍마) 열수추출물 10±5 wt%,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치태형성 억제작용 및 잇몸염증 완화효과를 제공하며 비염 개선에 도움을 주도록 제공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구운소금은 지름 7㎝ 이상의 대나무에 천일염을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어진 죽염이 사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열수추출물은 식물원료 의 5배 중량의 정제수를 넣고 달여서 식물원료무게의 1.5배 중량무게의 추출물로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천연의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식물원료에 각각의 원료중량의 5배 중량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넣고 약불에 달여서 사용된 각각의 식물원료무게의 1.5배 중량무게까지 열수추출물을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소루쟁이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천산룡 열수추출물 10±5 wt%에 지름 7㎝ 이상의 대나무에 천일염을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은 죽염 20±5 wt% 범위로 함유시켜 잇몸염증 및 비염 개선에 도움을 얻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구강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원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소루쟁이는 우리나라 전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밭뚝이나 하천 주변 들녁에 많이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 겨울이 지날 무렵 눈 속을 헤집고 가장 먼저 싹을 티우게 되는데 처음엔 잎이 말려서 올라오고 점차 상추 처럼 옆으로 퍼지며, 사람 키 만큼 자라나고, 성질은 평이하고 독성은 없지만 소루쟁이의 뿌리를 뽑아 입에 대면 좀 매운 듯 하면서도, 쌉쌀한 기운이 입에서 베어 나오며 가을에 발아를 하여 땅에 터를 잡은 다음 그대로 월동을 해서 다음해 따뜻한 봄 기운과 함께 하늘 위로 새순을 올라오는 식물로 소루쟁이는 에모딘과 크리소파놀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은 소화를 개선 하는데 도움을 주고 위 점막을 보호해 줘서 위염이나 위궤양 등의 관련 질환을 예방 하는데 도움을 주고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 앉히는데 도움을 주며 에모딘 성분은 생리 활성 물질이 풍부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열을 내려 주고 염증도 가라앉혀 주는 효과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원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조각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인 나무로 우리나라에는 드물게 서식하고 있으며 주엽나무 속으로 억센 가시가 많은 낙엽수이며 높이는 최대 25m정도 자라는 큰 키 나무이다. 주엽나무와 비슷하지만 주엽나무보다 가시가 많으며 단단한 특징을 갖는데 조각자나무 열매는 옛부터 한의학에서 중풍으로 인사불성이 되어 입을 벌린 채 있거나 침을 흘리고 있거나 매우 위급할 때 조각자나무열매(조협)와 명반을 반반 섞어 곱게 가루내어 한 번에 4g씩 따뜻한 물로 천천히 삼키게 하면 삐뚤어진 입을 원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효능이 보고되어 있다.
본원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도꼬마리 열매의 효능은 진통, 산풍(散風), 거습(祛濕),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보고되어 있는바 적용 질환은 두통이나 치통을 비롯하여 팔다리가 쑤시고 아플 때, 풍과 냉기로 인한 관절통, 누런 콧물이 흐르는 증세 등에 달여서 마시도록 내복약으로 사용되었으며 그밖에 간지러운 발진이나 급성 두드러기, 마른버짐 등을 다스릴 때 도꼬마리 열매 달인 물로 환부를 씻어주라는 한의학보고가 있다.
천산룡은 단풍마라고도 하는데 그 효능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고혈압 치료약이라 하며 혈압을 정상으로 낮추면서도 심장이나 신장의 기능에 전혀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며 .간경 .폐경에 작용하고 .풍습을 없에며 .혈을 잘 돌게하고 .경락을 통하게 하며,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며 .약리실험에서 핏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압을 내리며 .관상혈관의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기침을 멎게 하여 숨찬 증상을 없애는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원 발명자는 충치원인균에 의하여 야기되는 치태형성 억제작용, 항염증작용, 지혈작용, 구취 제거작용 등에 효과가 우수한 30 여종의 식물 추출물을 검토하고 수많은 시행오차를 겪어오던 중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의 식물원료 추출물이 구취 제거에 효과를 제공하고,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가 우수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여 잇몸염증 및 비염 개선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구취 제거에 효과를 제공하고, 치주질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구강세정제(mouthwash), 치약, 식이성 필름, 마우스 스프레이 또는 츄잉 껌 등의 형태로 제품화되거나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가능성을 찾아 앞으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로 소루쟁이,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각각의 식물원료 무게의 5배 중량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넣고 약불에 달여서 사용된 각각의 식물원료 무게의 1.5배 중량무게를 이룰 때까지 달인 열수추출물을 얻고, 지름 7㎝ 이상의 직경을 갖는 대나무에 천일염을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은 구은소금을 얻어서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구운소금 20±5 wt%, 천산룡(단풍마) 열수추출물 10±5 wt% 를 함유시켜 얻은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구취 제거에 효과를 제공하고, 잇몸 염증치료 및 비염 개선에 도움을 얻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으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제조실시예 및 실혐결과를 기재하는바, 본원에 제시되는 실시예나 제조예는 수많은 시행오차를 겪으며 발명자가 기대한 효과를 얻는 베스트 모드의 실시양태가 기재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소루쟁이 열수추출물 제조
소루쟁이 뿌리를 수세한 후 5~10 mm 크기로 절단하고 소루쟁이뿌리 500g에 물을 2.5ℓ 가한 후 90~100℃ 범위로 12 시간 가온하여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760 g을 얻었다
<실시예 2> 소루쟁이 알콜추출물 제조
소루쟁이잎은 연하여 물과 함께 100℃ 범위로 가온하면 몇 시간 만에 소루쟁이의 약효가 떨어지는 것으로 관측되어 이를 알콜추출로 적용하기 위해 소루쟁이 잎 500g에 물과 에탄올이 5 : 5의 비율의 혼합용매 2.5 리터를 가한 후 추출용기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고 와트만 #1 필터 페이퍼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소루쟁이잎알콜추출물 730 g을 얻었다.
<실시예 3>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식물원료의 열수추출물 제조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 각각의 식물원료 500g씩을 칭량하여 각각의 원료에 물을 2.5ℓ 가한 후 100℃ 범위로 12 시간 가온하여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720g,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750g, 천상룡 열수추출물 730g을 각각 얻었다.
<실시예 4> 구은 소금의 제조
국내 5년생 대나무로 직름 7㎝ 이상의 대나무를 마디마디 자르고 그 내부에 천일염을 넣고 황토흙으로 적층된 황토가마 내부의 황토벽돌 위에 천일염이 투입된 대나무를 차곡차곡 쌓아놓고 소나무를 태우면 불길에 의해 4~5시간 만에 대나무가 터지고 그 상태에서 계속가온되어 약 10시간 정도를 850±50℃ 범위에서 소성시킨 후 1일간 상온에 이르기까지 숙성시켜 얻은 죽염을 얻어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통하여 얻은 원료를 이용하여 본원에서 얻고자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는 수없이 많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었으나 본원 발명자가 원하는 범위를 만족시키는 실시양태로 구현된 제조예는 아래의 표 1과 같았다.
<제조예>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본원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액상의 세정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예 1 내지 3은 본원 청구항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적용되고 비교예 1은 다른 구성은 모두 사용되나 구은소금이 사용되지 않는 비교예로 하였고 비교예 2는 다른 구성은 모두 포함되나 소루쟁이 추출물이 사용되지 않는 비교예로 선정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표1과 같이 만들고 결과물에 대한 항균효과, 치주질환 개선효과, 구취억제 효과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구 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35 - 30 50 -
소루쟁이 잎 알콜추출물 - 35 - - -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5 20 15 20 30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15 20 25 20 30
천산룡 열수추출물 5 10 10 10 20
구은소금(분말) 20 15 20 - 20
조성물 합계 100 100 100 100 100
(단위 : 중량%)l
<실험예 1> 상기 제조예 1,2,3 및 비교예 1,2의 조성물에 대한 항균 효과 실험
구취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균으로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라스(Porphyromonas gingivalis)와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가 있는바 이들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판배지확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취 및 치주질환 원인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는 10% sheep blood와 0.1% hemin 및 비타민 K1이 첨가된 trypticase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혐기적 상태로 배양하였으며 또한 치주질환 원인균인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는 5% horse serum이 첨가된 trypticase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혐기적 상태로 배양하였다.
평판배지확산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또는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를 평판배지에 도말 한 후, 직경 8mm의 멸균 paper disk(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Japan)를 평판배지표면에 밀착시켰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얻은 조성물과 비교예 1,2에서 얻은 조성물을 100mg/ml로 정제수에 희석하고 이 용액을 멸균 paper disk에 20ul 씩 각각 흡수시키거나 1:1 비율로 혼합 한 후 흡수시켰으며 48시간 배양하여 생성된 억제대(inhibition zone)를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비교예 1 비교예 2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프로피로모나스진지바리스 5.7±0.2 6.2±0.2 9.9±0.2 10,1±0.2 9.7±0.2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6.8±0.2 7.1±0.2 11.7±0.2 11.2±0.2 10.8±0.2
(단위 : ㎜)
상기 표2에서와 같이 포르피모나스 진지바라스 균에 대한 억제대 측정을 통하여 소루쟁이 추출물, 조각자열매 추출물, 도꼬마리열매 추출물, 천산룡추출물이 모두 사용되면서도 구은소금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과 조각자열매 추출물, 도꼬마리열매 추출물, 천산룡추출물, 구은소금이 모두 사용되나 소루쟁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2 조성물도 모두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소루쟁이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구운소금 20±5 wt%, 천산룡 열수추출물 10±5 wt%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항균 활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과 소루쟁이잎 알콜추출물에서 거의 비등하게 높은 항균 효과에 이바지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2> 치주질환 개선 효과 실험
치주질환 개선 효과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피험자 전 치아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실시하고 2주 후 구강검진을 수행하여 이 값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였으며 동일 조건을 만들기 위해 피험자에게 동일한 치약과 칫솔을 제공하였으며 4주에서 8주 동안 하루 5회 30초 이상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구강위생 증진조성물에 정제수 3배를 추가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각 군마다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면 세균막 확인실험을 실시하였다.
치면세균막 발생정도를 나타내는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PHP Index)를 사용하여 제조예 조성물의 구강 위생 증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치면착색제를 치면에 도포한 후 치면세균막의 존재 따라 나타나는 변색 정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수치로 나타내었다.
하악우측제1대구치, 상악우측중절치, 상악좌측제1대구치, 하악좌측제1대구치, 하악좌측중절치, 하악우측제1대구치의 6개 치아의 면별로 치면세균막이 부착된 정도를 점수화하였는데 1개 치아 당 각각 근심부, 원심부, 치은부, 중앙부, 절단부의 5개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에 치면세균막의 부착이 없으면 0점, 치면세균막의 부착이 있으면 1점을 부여하고 전체 점수를 치아 개수로 나누어 최대 5점이 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초기값 4주 후 8주 후
제조예 1 3.01±0.02 2.75±0.02 2.67±0.02
제조예 2 3.01±0.02 2.82±0.02 2.70±0.02
제조예 3 3.01±0.02 2.78±0.02 2.68±0.02
비교예 1 3.01±0.02 3.12±0.02 3.29±0.02
상기 표 3 내용과 같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과 같이 본원 구성의 모든 성분이 포함된 구강개선 조성물이 사용되었을 경우 치면의 세균막이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하여 치주질환 진행 초기 단계인 세균막의 형성이 본원 구강개선 조성물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강 위생 증진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구취억제 효과 측정
구취 관리가 필요한 환자 20명을 선정하여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의해서 제조된 구강개선 조성물을 각 5명씩 실험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식사를 하게 한 후 구취 및 구강 관리를 위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게 하고 구강개선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구강개선 조성물을 사용한 30분과 3시간 후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할리메터(Halimeter) 기기를 이용하여 구취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측정 전 2분 동안 입을 다물고 코로만 호흡하도록 하고 측정시에는 할리메터에 연결되어 있는 1회용 튜브를 이용하여 1분가량 입을 다물고 있도록 하였다.
할리메터의 측정결과 최고치를 나타 낼 때 기록 후 튜브를 제거하도록 하였으며 측정값을 평균하여 각 제조예의 구강개선 조성물에 의하여 변화된 구취 정도를 비교하였고 구취 감소 및 지속 정도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하여 산출가능하며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 구취 감소 및 지속 정도(%) = (구강세정제 사용 후 측정값÷초기 측정값)×100
구 분 초기측정값 30분 경과 2시간 경과
제조예 1 100 51 65
제조예 2 100 53 70
제조예 3 100 55 68
비교예 1 100 87 102
상기 실험을 통하여 구취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본원의 구강개선 조성물사용 30분 경과 구강개선 조성물의 구강세정 효과에 의해 초기 측정값에 비하여 51 내지 552% 정도의 구취가 억제되었으나 비교예 1로 제공되는 조성물의 구강세정 효과는 87%로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게 되었다. 더욱 본원 구강개선 조성물의 구강세정 효과는 2시간이 지나도 초기측정값에 비해 30~40%의 감소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구취 억제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개인적으로 본원 제조실시예 1로부터 얻은 구강개선 조성물에 박하향을 소량 넣고 5배의 정제수로 희석시켜 가글용액을 만들고 조석으로 가글을 실시한 결과 본인 구강 및 치아의 상쾌함은 물론 비염 증상이 크게 개선되는 사실을 확인하여 겨울철에는 상기 용액을 가습기 내부에 채워주는 워터보충액으로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경우 겨우 내내 감기 증상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서는 본원 기술에서 새롭게 제공되는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구운소금 20±5 wt%. 천산룡 열수추출물 10±5 wt%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구성되는 구강 위생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과정을 특정조건의 적용양태로 기술하였으나 본원에서 제공되는 구강개선 조성을 위한 조성물은 구강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통상적으로 기존 치양이나 구강위생 조성물에 사용되어 왔던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PH 조정제, 증백제 등 안전성이 입증된 성분들이 적당량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본원기술로 제공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2 내지 10배의 정제수에 희석되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천연의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구운소금 20±5 wt%.
    천산룡(단풍마) 열수추출물 10±5 wt%,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 개선에 도움을 얻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운소금은 지름 7㎝ 이상의 대나무에 천일염을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어진 죽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루쟁이뿌리,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 열수추출물은 식물원료 의 5배 중량의 정제수를 넣고 달여서 식물원료무게의 1.5배 중량무게의 추출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루쟁이 뿌리 열수추출물 대신 소루쟁이 잎 알콜추출물이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중 30±5 wt% 범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5. 천연의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루쟁이뿌리, 조각자열매, 도꼬마리열매, 천산룡(단풍마)의 식물원료에 각각의 원료중량의 5배 중량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넣고 약불에 달여서 사용된 각각의 식물원료무게의 1.5배 중량무게까지 열수추출물을 얻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소루쟁이뿌리 열수추출물 30±5 wt%, 조각자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도꼬마리열매 열수추출물 20±5 wt%. 천산룡(단풍마) 열수추출물 10±5 wt%에 지름 7㎝ 이상의 대나무에 천일염을 넣고 850±50℃ 범위에서 소성시켜 얻은죽염 20±5 wt% 범위로 함유되어 구취 제거효과 및 치주질환 개선에 도움을 얻는 액상 구강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41578A 2020-04-06 2020-04-06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7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78A KR102127337B1 (ko) 2020-04-06 2020-04-06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78A KR102127337B1 (ko) 2020-04-06 2020-04-06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337B1 true KR102127337B1 (ko) 2020-06-26

Family

ID=7113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578A KR102127337B1 (ko) 2020-04-06 2020-04-06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139A (ko) * 2021-06-04 2022-12-13 김철한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07A (ko) * 2000-09-19 2002-03-27 정중호 분말치약의 제조방법
KR100999406B1 (ko) * 2008-04-25 2010-12-09 박영우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60090956A (ko) * 2015-01-22 2016-08-02 (주) 바이오에스텍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60104799A (ko) * 2015-02-26 2016-09-06 이원홍 천연 한방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1300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온엔온 천연원료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구강 청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07A (ko) * 2000-09-19 2002-03-27 정중호 분말치약의 제조방법
KR100999406B1 (ko) * 2008-04-25 2010-12-09 박영우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60090956A (ko) * 2015-01-22 2016-08-02 (주) 바이오에스텍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60104799A (ko) * 2015-02-26 2016-09-06 이원홍 천연 한방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1300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온엔온 천연원료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구강 청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139A (ko) * 2021-06-04 2022-12-13 김철한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0957B1 (ko) 2021-06-04 2023-02-17 김철한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5499B2 (en)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CN104244912B (zh) 具有缓解口腔疼痛和杀灭口腔细菌及安定神经效果的天然抗菌牙膏组合物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0946804B (zh) 一种预防龋齿和口腔溃疡的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2127337B1 (ko)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83915A (ko)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5150A (ko) 치은염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0888B1 (ko) 치약 조성물
RU2312657C2 (ru) Ополаскиватель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RU2500384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поласкивателя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KR102177066B1 (ko)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20180054533A (ko) 산딸기잎 발효, 비강, 구강, 인후, 피부, 세정(가글) 음료, 제조 방법의 그 조성물.
RU2355379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RU2618889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антимикробным,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действием, для полоскания полости рта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155741B1 (ko)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101930785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2681B1 (ko) 소취탕용 조성물
CN106580825B (zh) 一种天然全草本泡沫牙膏
KR20180047703A (ko)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