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640B1 -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640B1
KR101777640B1 KR1020160029068A KR20160029068A KR101777640B1 KR 101777640 B1 KR101777640 B1 KR 101777640B1 KR 1020160029068 A KR1020160029068 A KR 1020160029068A KR 20160029068 A KR20160029068 A KR 20160029068A KR 101777640 B1 KR101777640 B1 KR 10177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atchet
rotated
rotary memb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2016002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티스 장치의 본체 내에 유동식 데드볼트와 회동식 래칫볼트를 각기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와 연계 작동되게 한 실내측회전구와 작동회전구 및 단속레버와 실외측회전구를 동축상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작동회전구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측회전구 혹은 실외측회전구의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유기적으로 연계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에 의한 이중 잠금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 데드볼트가 함몰 삽입된 상태에서만 래칫볼트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와 걸림쇠 간의 간섭 저항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데드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의 부하가 없어 그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며, 단일 중심축선 상에 대부분의 구성품이 연결 조립되어 있어 내부 구조가 단순한 것은 물론 단순화된 내부 구조 및 구성품으로 인해 경량화 및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고장 발생률을 감소하는 동시에 작동 소음이 감소되는 것이며, 원가 절감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Digital door rock}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개폐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도어락과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한 수명 저하의 방지가 이루어진 특징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정을 하는 기계식 도어락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번호 혹은 지문인식이나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에 의해, 전자석과 클러치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식 도어락과 모터 및 모터에 의해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은 모터 구동식이 근자에는 더욱 선호되고 있다.
모터 구동식 도어락은 경우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으로 칭해지는 것인데, 상기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의 실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키패드 장치와 도어의 실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티스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키패드 장치는 버튼식 혹은 터치식 입력부를 갖고 있어 외부로부터 실내 측 모티스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티스 장치는 전원공급부 및 구동모터와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를 구성하고 있어 상기 키패드 장치와 연동되게 하거나, 개폐핸들 혹은 푸쉬-풀 방식의 작동바와 연동하여 도어에 대한 도어락의 잠금 혹은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은 종래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64252호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락의 클러치 구조체가 안출된 바 있고,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310006호와 같은 현관문용 잠금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163호의 경우와 같이 푸시풀 도어락에 사용되는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락의 해정을 위해 회전식 노브 혹은 푸쉬풀 방식의 작동바를 사용하거나 키패드 장치를 조작하여 돌출된 상태의 상기 모티스 장치 내 데드볼트가 장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 데드볼트가 문틀의 걸림쇠와 간섭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호 간의 간섭 저항으로 인해 구동모터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의 수명 저하 및 도어락 전체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도어락은 잠금 해제 상황에서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동시에 함몰 삽입되면서 잠금 해제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와 같은 잠금 해제과정에서 상기 도어에 자동 개폐장치 혹은 실,내외 간 압력차이 혹은 인위적인 개방력이 작용하게 되면 데드볼트의 측면이 문틀 내 걸림쇠와 간섭되므로, 상호 간섭 저항력으로 인해 상기 데드볼트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모티스장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면서 구동모터를 손상시키거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모티스 장치 내부에 회전노브 혹은 작동바에 의해 회전되는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1구동축부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2구동축부 및 래칫볼트가 출몰하기 위한 부속품이 결합되는 제3구동축부 등을 갖고 있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매우 많은 부속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제작비가 매우 고가이므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고 판매자 역시 이익이 적어 지극히 불합리한 경제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모티스 장치의 본체 내에 유동식 데드볼트와 회동식 래칫볼트를 각기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와 연계 작동되게 한 실내측회전구와 작동회전구 및 단속레버와 실외측회전구를 동축상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작동회전구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측회전구 혹은 실외측회전구의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유기적으로 연계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축상의 결합구조를 통해 내부 구조의 단순화 및 그로 인한 원가 절감과 제작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은 물론 데드볼트가 함몰된 상태에서만 래칫볼트가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와 연결된 구동모터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도어락 자체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도록 한 특징의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갖는 모티스 본체 내에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삽입되어 이들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출몰되게 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데드볼트가 출몰되게 한 구동모터가 안치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커버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실내측회전구와 작동회전구와 단속레버와 실외측회전구를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는 래칫수용부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래칫볼트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래칫볼트는 래칫수용부 내에서 탄발스프링에 계지된 상태로 회동되게 하고, 상기 단속레버는 회전에 따라 래칫볼트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간섭 형성하되,
상기 실내측회전구가 외력에 의한 회전시 작동회전구와 단속레버가 회전하면서 작동회전구와 연결된 데드볼트의 후퇴 함몰 및 래칫볼트의 회동에 의한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실외측회전구는 데드볼트의 후퇴 함몰에 의한 해정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할 시 단속레버를 회전시켜 래칫볼트의 회동에 의한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게 하며, 데드볼트가 전진 돌출되어 미해정인 상태에서 실외측회전구가 외력에 회전할 시 도어 미개방상태로 실외측회전구만 단독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에 의한 이중 잠금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 데드볼트가 함몰 삽입된 상태에서만 래칫볼트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와 걸림쇠 간의 간섭 저항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데드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의 부하가 없어 그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며, 단일 중심축선 상에 대부분의 구성품이 연결 조립되어 있어 내부 구조가 단순한 것은 물론 단순화된 내부 구조 및 구성품으로 인해 경량화 및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고장 발생률을 감소하는 동시에 작동 소음이 감소되는 것이며, 원가 절감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 분리 상태를 보인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주요 구성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다른 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에 대한 정면 전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에서의 모티스 작동도로써,
도 7은 실내측에서 해정을 위한 작동 시작상태도
도 8은 실내측에서 해정을 위한 연속과정에서의 데드볼트 함몰 삽입과정도
도 9는 실내측에서 해정을 위한 연속과정에서의 단속레버 작동도
도 10은 실내측에서 도어 개방을 위한 연속 작동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해정 및 도어 개방상태에서 다시 도어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과정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잠금 상태에서의 작동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실외에서의 모티스 작동도로써, 데드볼트가 함몰 삽입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실외에서의 모티스 작동도로써, 단속레버가 회전된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 분리 상태를 보인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주요 구성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다른 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내부에 대한 정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모티스 본체(100)에 내장되어 있는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출몰되면서 문틀에 매입 고정되어 있는 걸림쇠에 대하여 계지 또는 분리되면서 도어락의 잠금 혹은 해정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 데드볼트(10)의 경우 본체(100) 내부의 구동모터(30)의 작동을 통해 전진 돌출 및 함몰 후진되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의 경우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걸림쇠(문틀 내 상기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금속체; 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와 간섭하면서 회전 및 슬라이딩하면서 도어의 닫힘 또는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본체(100)는 내부에 상기의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나란하게 삽입되어 있고, 내부 일측에는 구동모터(30)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구동모터(30)에는 구동기어(31)가 노출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별도로 구비된 커버(100)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커버(110)를 향하여 동일 축선상에 연속하여 서로 결합된 실내측회전구(40)와 작동회전구(50) 및 단속레버(60)와 실외측회전구(7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와 커버(110)에는 각기 관통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공으로는 각기 실내측회전구(40)와 실외측회전구(70)의 중심부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을 통해 회전식 핸들노브 또는 푸쉬풀 형태의 작동바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핸들노브를 회전시키거나 작동바를 푸쉬풀 형태로 작동시키는 경우 이들로부터의 회전력이 상기 실내측회전구(40) 또는 실외측회전구(70)를 각기 회전시키면서 도어락의 해정 또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실내측회전구(40)는 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저면에는 본체(100)와 일단이 계지된 복귀스프링(121)이 내재되어 있어 상기 실내측회전구(40)가 인위적인 힘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복귀스프링(121)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본래의 위치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중앙에는 전기한 핸들노브 혹은 작동바와 연결되기 위한 각홈(4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실내측회전구(40)의 상면에는 상향 돌출된 제1단턱(42)과 상기 제1단턱(42)의 상면으로부터 다시 돌출된 제2단턱(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회전구(50)는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인데, 상기 작동회전구(50)의 일측으로는 끝단에 하향의 출몰걸림부(51)가 돌출 형성된 작동대(52)가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출몰걸림부(51)가 데드볼트(1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작동회전구(50)의 일측으로는 전기한 구동모터(30)의 구동기어(31)와 치합되게 한 회전기어부(5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회전구(50)와 회전기어부(53)의 사이에는 부채꼴 형태로 된 작동간섭부(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간섭부(54)는 실내측회전구(40)의 제1단턱(42)의 회전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실내측회전구(40)가 회전을 하면 제1단턱(42)의 일측과 상기 작동간섭부(54)의 일측이 서로 계지되면서 이들이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회전구(50)는 실내측회전구(4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도 있고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구동기어(31)와 회전기어부(53)를 통해 전달되면서 실내측회전구(40)와는 별개로 단독 회전될 수도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회전구(50)에 대한 회전 작용으로 인해 출몰걸림부(51)가 결합되어 있는 데드볼트(10)는 본체(100)에 대하여 전진 돌출 및 함몰 후진 작용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작동회전구(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속레버(60)는 중앙에 삽입공(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61)으로 작동회전구(50)의 선단이 삽입되면서 상기 작동회전구(50)에 대하여 단속레버(60)의 회전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단속레버(60)는 일측으로 단턱 형태로 된 회전간섭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회전간섭부(62)는 전기한 실내측회전구(40)의 제2단턱(43)이 회전되는 범위 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단속레버(60)의 타측으로는 끝단에 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된 지지아암(6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걸림턱(63)은 래칫볼트(20)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래칫수용부(10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래칫수용부(101) 내에 래칫볼트(20)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 및 유동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래칫볼트(20)의 일측에는 래칫수용부(101)의 내벽 간에 탄지되어 있는 탄발스프링(1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래칫볼트(20)는 항상 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볼트(20)는 평면상 상,하의 직선면과 양측의 경사면으로 된 평행사변형의 모양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하면에는 돌출턱(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턱은 전기한 단속레버(60)의 걸림턱(63)과 계지된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속레버(60)의 걸림턱(63)이 상기 돌출턱의 일측에 계지되면 상기 래칫볼트(20)는 횡방향으로의 유동만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단속레버(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턱(63)이 돌출턱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래칫볼트(20)는 내부에서의 회전 및 횡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한 회동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단속레버(60)에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클러치(80)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전환클러치(80)는 단속레버(60) 상에 축결합되어 있어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전환클러치(80)의 일측에는 걸이대(83)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걸이대(83)를 데드볼트(10)와 슬릿 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10)의 횡방향 유동에 따라 상기 전환클러치(80)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환클러치(80)의 상면에는 일측이 개방된 걸림홈(81)과 자유홈(82)이 서로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자유홈(82)은 걸림홈(81)에 비하여 긴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실외측회전구(70)는 커버(110)의 내면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단속레버(6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핸들노브 혹은 작동바와 연결되기 위한 각홈(71)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끝단에 하향의 끼움구(72)가 돌출된 지지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으로는 전기한 실내측회전구(40)의 제2단턱(43)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게 한 계지홈부(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시 상기 끼움구(72)는 전기한 전환클러치(80)의 걸림홈(81) 또는 자유홈(82)으로 안내 삽입되면서 긴 길이의 자유홈(82)으로 삽입되는 경우 단속레버(60)를 상향 회전시키지 못하고 짧은 길이의 걸림홈(81)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호 간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단속레버(60)를 상향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실외측회전구(70)의 계지홈부(74)로는 전기한 실내측회전구(40)의 제2단턱(43) 상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계지홈부(74)는 일정한 각도를 갖고 실외측회전구(70)의 저면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실내측회전구(40)가 회전되는 경우 또는 실외측회전구(70)가 회전되는 경우 상호 간의 회전에는 간섭이나 지장을 주지 않는 대신 상호 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하여 실내측 혹은 실외측 방향에서 각기 도어락에 대한 해정 및 도어의 개폐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측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노브 혹은 작동바 등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100) 내의 실내측회전구(40)가 회전되면 도 7의 (a)와 같이 데드볼트(10) 및 래칫볼트(20)가 모두 돌출된 잠금상태에서 상기 실내측회전구(40)가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속레버(60)는 압축스프링(122)에 의해 하향 회전되려는 힘을 갖고 있어 단속레버(60)의 걸림턱(63)이 래칫볼트(20)가 회전되지 못하게 하므로 상기 래칫볼트(20)와 문틀 내 걸림쇠 간의 간섭으로 인해 도어 자체는 개폐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실내측회전구(40)가 회전을 시작하면 실내측회전구(40)의 제1단턱(42) 일측이 작동회전구(50)의 작동간섭부(54) 일측면과 간섭이 발생하면서 상기 작동회전구(5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작동회전구(50)가 회전을 시작하면 작동회전구(50)의 작동대(52)의 회전에 따라 이와 맞물려 결합된 상태의 데드볼트(10)가 도 8의(a)와 같이 함몰 후퇴형태로 이동하여 문틀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10)가 완전히 후퇴한 상태에서 실내측회전구(40)에 대한 지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실내측회전구(40)의 제2단턱(43)은 단속레버(60)의 회전간섭부(62) 일측과 접촉되면서 도 8의(b) 및 도 8의(c)에서와 같은 상태에 있던 상기 단속레버(60)를 함께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이어,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지속 회전에 따라 1차적으로 작동회전구(50)가 간섭 회전되면서 데드볼트(10)를 후퇴시키고 연속적인 회전으로 인해 2차적으로 단속레버(60)를 회전시키면서 도 9의(a) 내지 (c)의 도시와 같이 데드볼트(10)의 완전한 후퇴(문틀과 간섭이 전혀 없는 상태)와 함께 래칫볼트(20)와 간섭된 상태였던 단속레버(6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20)는 횡방향 유동 및 회전이 가능한 회동 상태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를 힘으로 밀고 나가면 도어락의 해정 상태이므로 데드볼트(1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는 회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문틀 내 걸림쇠와의 간섭이 발생하면서 자연스럽게 회전 및 함몰되면서 상기의 도어에 대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드볼트(10)가 함몰 후퇴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한 도어의 개방시 상기 래칫볼트(20)의 작동 구조를 살펴보면 도 10의 도시와 같다.
즉, 도 10의(a)와 같이 상기 래칫볼트(20)의 수평면이 도어의 개방방향의 문틀 내면과 간섭되어 있는 상태이고 단속레버(60)의 걸림턱(63)이 래칫볼트(20)의 일측에 계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측회전구(40)의 회전 작용에 의해 작동회전구(50)가 회전하여 데드볼트(10)를 후퇴시키고 순차적으로 단속레버(60)를 상향 회전시킴에 따라 래칫볼트(20)와 단속레버(60) 간의 계지력이 상실되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도어는 개방되려할 것이고 이와 같은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20)는 도 10의(b)와 같이 회전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칫볼트(20)에 대한 회전이 일어나면 전기한 수평면은 도 10의 (c)와 같이 회전에 의해 경사면 상태가 되면서 문틀과의 간섭으로 인해 내측으로의 횡방향 함몰 이동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의 함몰 이동으로 인해 상기의 도어는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의 데드볼트(10)가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볼트(20)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은, 데드볼트(10)에 작용하는 문틀과의 간섭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문틀과의 간섭력은 래칫볼트(20)가 담당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10)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에 작용하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모터(30)의 부하에 대한 설명은 이후 재차 언급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람이 밖으로 나간 상태 혹은 다시 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래칫볼트(20)가 회동하게 되는 것으로 인위적인 힘 또는 도어 클로져 등의 힘에 의해 상기의 도어가 다시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1의(a) 도시와 같이 래칫볼트(20)의 하측 수평면과 문틀이 서로 간섭되면서 상기 래칫볼트(20)에 대한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볼트(2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의 수평면은 도 11의(b)와 같이 경사면으로 바뀌면서 문틀과의 간섭력으로 인해 래칫수용부(101)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는 것이고,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내측으로 함몰되었던 래칫볼트(20)는 탄발스프링(120)의 반력으로 인해 다시 돌출되면서 도 11의(c)와 같이 문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금속감지수단 등이 상기 문틀 내 걸림쇠 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구동기어(31)가 동작되도록 함에 따라 함몰 후퇴상태였던 데드볼트(10)가 전진 돌출되면서 문틀과의 잠금상태를 이중으로 연출하게 되므로 도어락의 잠금 상태 및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의 데드볼트(10)는 래칫볼트(20)에 의해 도어의 닫힘 상태가 이루어진 이후에 돌출될 것이므로 데드볼트(10)와 문틀 내 걸림쇠와의 간섭이나 저항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여 구동모터(30)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오동작이나 잠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내 방향에서의 도어에 대한 열고 닫음에 따른 도어락의 해정 및 잠금 과정을 살펴보았고, 이어 실외측에서 상기 도어락의 해정 및 도어의 개방에 따른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키패드장치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바 혹은 작동바 등을 사용하여 상기 실외측회전구(70)가 회전되는 경우 이때에는 상기 데드볼트(10)가 후퇴하여서도 안되고 래칫볼트(20)가 회동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외측회전구(70)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실외측회전구(70)의 지지부(73)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구(72)가 전환클러치(80)에 긴 길이로 형성된 자유홈(82)으로 삽입되면서 아무런 간섭없는 자유 회전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데드볼트(10)는 키패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였으므로 구동모터(30)가 동작하지 않아 여전히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고, 상기 래칫볼트(20) 역시 단속레버(60)의 비회전상태에 따라 단속레버(60)의 걸림턱(63)이 래칫볼트(20)의 일측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은 물론 래칫볼트(20)의 상측 수평면이 문틀 내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횡방향으로의 함몰도 이루어지지 못하여 역시 도어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도어 외부에서 키패드장치를 사용하여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30)가 작동하여 구동기어(31)를 회전시키면 상기 도 13의 도시와 같이 구동기어(31)와 맞물림 형태로 된 작동회전구(50)가 회전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 작동회전구(5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데드볼트(10)는 함몰 후퇴하여 도어락의 해정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10)가 후퇴하게 되면 상기 데드볼트(10)와 연결되어 있는 전환클러치(80)에 대한 회전이 일어나면서 걸림홈(81)과 자유홈(82)의 위치도 바뀌게 되면서 도 13의(b)와 같이 상기 걸림홈(81)의 개방측 끝단이 상기 실외측회전구(70)의 끼움구(72)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데드볼트(10)의 후퇴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핸들노브 또는 작동바 등과 연결된 상태인 실외측회전구(7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실외측회전구(70)의 지지부(73) 및 끼움구(72)의 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상기 끼움구(72)는 전환클러치(80)의 걸림홈(81)의 내측으로 유도 삽입되는 것이며, 어느 정도의 회전량 이후부터는 짧은 길이의 걸림홈(81) 끝단과 상기 끼움구(72)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호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순간부터 상기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력은 상기 전환클러치(80) 및 단속레버(60)를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단속레버(60)의 상향 회전으로 인해 상기 단속레버(60)의 걸림턱(63)은 래칫볼트(2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데드볼트(10)가 키패드장치의 인증을 통해 함몰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핸들노브 혹은 작동바 등을 조작하여 실외측회전구(70)가 회전되게 하면 단속레버(60)가 함께 상향 회전하면서 래칫볼트(20)에 대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만들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잡아당겨 개방시키고자 하면 래칫볼트(20)의 수평면과 문틀과의 간섭 저항으로 인해 상기의 래칫볼트(20)는 래칫수용부(101) 내에서 1차적인 회전운동과 동시에 회전으로 인한 경사면과 문틀과의 간섭 저항으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20)가 본체(100)의 내측으로 함몰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데드볼트(10)가 함몰 후퇴된 상태에서 래칫볼트(20)의 회동 작용으로 인해 사용자는 실외측에서 도어의 간편한 개방은 물론 도어를 닫는 경우에도 래칫볼트(20)의 회동 작용으로 인해 도 11의 도시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며 단순하고 안정적으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문틀 내 걸림쇠를 자기방식으로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30)가 동작하면서 데드볼트(10)가 전진 돌출되게 하는 것이고, 인위적인 힘에 의해 회전되었던 실외측회전구(70)는 복귀스프링(121)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역회전하게 될 것이며, 상기 실외측회전구(70)의 역회전으로 인해 상향 회전되었던 단속레버(60)가 다시 하향 회전되면 래칫볼트(2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는 상태로 초기화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데드볼트(10)는 실내측회전구(40)의 인위적인 회전력에 의해 작동회전구(50)를 통해 후퇴 함몰되거나 구동모터(30)의 작동에 의해 후퇴 함몰되는 것으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연출하기 위해 전진 돌출되고자 하는 경우 별도로 구비된 탄지스프링(123)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탄력 이동하면서 더욱 신속하고 부드럽게 데드볼트(10)가 돌출되도록 하여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빠르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실내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핸들노브를 회전시키는 경우 데드볼트의 후퇴 후 래칫볼트의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도어락의 해정 및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실외측에서 키패드장치의 승인 후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데드볼트의 후퇴 후 래칫볼트의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개방되므로, 상호 유기적인 연계 작동은 물론 단순화된 구조와 작용으로 인해 뛰어난 효율성 및 경제성을 연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데드볼트
20 : 래칫볼트
30 : 구동모터 31 : 구동기어
40 : 실내측회전구 41 : 각홈
42 : 제1단턱 43 : 제2단턱
50 : 작동회전구 51 : 출몰걸림부
52 : 작동대 53 : 회전기어부
54 : 작동간섭부
60 : 단속레버 61 : 삽입공
62 : 회전간섭부 63 : 걸림턱
64 : 지지아암
70 : 실외측회전구 71 : 각홈
72 : 끼움구 73 : 지지부
74 : 계지홈부
80 : 전환클러치 81 : 걸림홈
82 : 자유홈 83 : 걸이대
100 : 본체 101 : 래칫수용부
110 : 커버
120 : 탄발스프링 121 : 복귀스프링
122 : 압축스프링 123 : 탄지스프링

Claims (8)

  1. 커버(110)를 갖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 데드볼트(10)와 래칫볼트(20)가 삽입되어 이들 데드볼트(10) 및 래칫볼트(20)가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출몰되게 하고, 상기 본체(100) 내에는 상기 데드볼트(10)가 출몰되게 한 구동모터(30)가 안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커버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실내측회전구(40)와 작동회전구(50)와 단속레버(60)와 실외측회전구(70)를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래칫수용부(101)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래칫볼트(20)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래칫볼트(20)는 래칫수용부(110) 내에서 탄발스프링(120)에 계지된 상태로 회동되게 하고, 상기 단속레버(60)는 회전에 따라 래칫볼트(20)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간섭 형성하되,
    상기 실내측회전구(40)가 외력에 의한 회전시 작동회전구(50)와 단속레버(60)가 회전하면서 작동회전구(50)와 연결된 데드볼트(10)의 후퇴 함몰 및 래칫볼트(20)의 회동에 의한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실외측회전구(70)는 데드볼트(10)의 후퇴 함몰에 의한 해정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할 시 단속레버(60)를 회전시켜 래칫볼트(20)의 회동에 의한 도어 개방이 이루어지게 하며, 데드볼트(10)가 전진 돌출되어 미해정인 상태에서 실외측회전구(70)가 외력에 회전할 시 도어 미개방상태로 실외측회전구(70)만 단독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작동회전구(50)는 데드볼트(10)에 결합되게 한 출몰걸림부(51)를 갖는 작동대(52)를 일측에 돌출 형성하고 타측에는 회전기어부(53)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회전기어부(53)는 구동모터(30)의 구동기어(31)와 치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작동회전구(50)의 인위적 회전이나 구동모터(30)에 의한 작동회전구(50)의 강제 회전 작용에 의해 데드볼트(10)의 전진 돌출 및 함몰 후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회전구(40)는 중앙에 각홈(4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단턱(42)과 제2단턱(43)을 상향 순차 형성하며, 상기 작동회전구(50)는 일측에 상기 제1단턱(42)의 회전 범위 내에 형성된 작동간섭부(54)가 돌출 형성되게 하며, 상기 단속레버(60)는 작동회전구(50)와 결합되게 한 삽입공(6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제2단턱(43)의 회전 범위 내에 형성된 회전간섭부(62)를 형성하며 타측으로는 끝단 일측으로 래칫볼트(20)와 간섭되게 한 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된 지지아암(64)을 형성함에 따라,
    실내측회전구(40)의 인위적 회전시 실내측회전구(40)의 제1단턱(42)이 작동회전구(50)를 함께 회전시켜 작동회전구(50)의 작동대(51)와 연결된 데드볼트(10)가 후퇴 함몰되도록 하고, 실내측회전구(40)의 계속 회전에 의해 제2단턱(43)으로 단속레버(60)를 회전시켜 래칫볼트(20)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래칫볼트(20)가 회전 및 함몰 후퇴하면서 해정 및 도어의 개방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회전구(40)는 중앙에 각홈(4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단턱(42)과 제2단턱(43)을 상향 순차 형성하며, 상기 실외측회전구(70)는 중앙에 각홈(71)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구(72)가 하향 돌출된 지지부(73)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제2단턱(43)이 삽입되게 한 계지홈부(74)를 형성하며, 상기 단속레버(60)에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클러치(80)가 단속레버(60)로부터 자유 회전되도록 삽입 형성하되 상기 전환클러치(80)의 상면에는 실외측회전구(70)의 끼움구(72)가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짧은 길이의 걸림홈(81)과 긴 길이의 자유홈(82)을 교차방향으로 형성하고 전환클러치(80)의 일측에는 데드볼트(10)와 연결된 걸이대(83)를 돌출 형성하여,
    실외측 키패드장치의 미인증 상태인 데드볼트(10)의 전진 출몰된 상태에서는 실외측회전구(70)의 끼움구(72)가 전환클러치(80)의 긴 길이로 된 자유홈(82) 내측으로 유도 회전되면서 실외측회전구(70)의 회전력이 단속레버(60)로 전달되지 않아 비해정 상태에서의 실외측회전구(70) 만이 자유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회전구(40)는 중앙에 각홈(4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단턱(42)과 제2단턱(43)을 상향 순차 형성하며, 상기 실외측회전구(70)는 중앙에 각홈(71)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구(72)가 하향 돌출된 지지부(73)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실내측회전구(40)의 제2단턱(43)이 삽입되게 한 계지홈부(74)를 형성하며, 상기 단속레버(60)에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클러치(80)가 단속레버(60)로부터 자유 회전되도록 삽입 형성하되 상기 전환클러치(80)의 상면에는 실외측회전구(70)의 끼움구(72)가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짧은 길이의 걸림홈(81)과 긴 길이의 자유홈(82)을 교차방향으로 형성하고 전환클러치(80)의 일측에는 데드볼트(10)와 연결된 걸이대(83)를 돌출 형성하여,
    키패드장치에 의한 인증으로부터 구동모터(30)의 동작 및 작동회전구(50)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10)가 함몰 후퇴한 상태에서는 실외측회전구(70)의 끼움구(72)가 전환클러치(80)의 짧은 길이인 걸림홈(81) 내측으로 유도되면서 끼움구(72)와 걸림홈(81) 간의 간섭으로 인해 단속레버(60)가 실외측회전구(70)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 억제 상태인 래칫볼트(20)의 회전 간섭이 해제되어, 래칫볼트(20)가 회전 및 함몰 후퇴하면서 잠금 해제 및 도어에 대한 개방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5. 제 1항에 있어서,
    작동회전구(50)의 작동대(52)에는 본체(100)와 연결되게 한 탄지스프링(123)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탄지스프링(123)에 의해 작동회전구(50)의 복귀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회전구(40)와 실외측회전구(70)에는 각기 본체(100) 및 커버(110)에 일단이 계지된 복귀스프링(121)을 안치 구성하여 인위적 회전 상태인 실내측회전구(40)와 실외측회전구(70)가 복귀스프링(121)에 의해 본래 위치로 회전 복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레버(60)에는 본체(100)와 연결되게 한 압축스프링(122)을 결합 형성하여 강제 회전된 단속레버(60)가 압축스프링(122)에 의해 복귀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8. 삭제
KR1020160029068A 2016-03-10 2016-03-10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KR10177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68A KR101777640B1 (ko) 2016-03-10 2016-03-10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68A KR101777640B1 (ko) 2016-03-10 2016-03-10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640B1 true KR101777640B1 (ko) 2017-09-13

Family

ID=5996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68A KR101777640B1 (ko) 2016-03-10 2016-03-10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53B1 (ko) * 2017-12-20 2018-04-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1074B2 (ja) * 2014-09-22 2016-11-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1074B2 (ja) * 2014-09-22 2016-11-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53B1 (ko) * 2017-12-20 2018-04-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446B1 (ko) 모티스 도어록
KR20060124019A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822760B1 (ko) 푸시풀 도어락
KR20180007076A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US5452927A (en) Door latching and unlatching assembly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2008179997A (ja) 反転ラッチ式電気錠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626120B1 (ko) 모티스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KR20190066437A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