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712B1 -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 Google Patents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712B1
KR101771712B1 KR1020170061937A KR20170061937A KR101771712B1 KR 101771712 B1 KR101771712 B1 KR 101771712B1 KR 1020170061937 A KR1020170061937 A KR 1020170061937A KR 20170061937 A KR20170061937 A KR 20170061937A KR 101771712 B1 KR101771712 B1 KR 10177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nsor
base
wal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석
정병래
최동호
장현충
김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6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7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attended firefighting and lifesaving device for a building. Specifically, a lot of external rails are installed on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to allow a person to escape from a building, and an elevation member is installed on a rooftop to be reciprocally moved to allow the escaping person to be elevated along the exterior rails to reach the ground such that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exit, through which the escaping person escapes when a fire occurs, is input into a controller, the elevation member positioned on the rooftop is lowered through an external rail nearest the corresponding exit, through which the escaping person escapes, to allow the escaping person to board thereon, and is lowered to the ground to allow the escaping person to escape safely from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attended firefighting and lifesaving device automatically rescues the escaping person in a rapid and simple manner before a fire truck arrives. Furthermore, the unattended firefighting and lifesaving device is able to safely rescue a valuable life by itself regardless of the height of a super-high-rise building when a fire occurs in the super-high-rise building, which is too high to allow an aerial ladder of a fire truck to reach. In addition, if a remote controller allowing information on an exit to be input into a controller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when a fire occurs, an escaping person inputs a position of exit, through which he/she escapes, to be rescued through his/her own action.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firefighting device.

Description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본 발명은 다세대가 거주하는 고층 아파트 또는 많은 사람들이 생활하는 대형 빌딩과 같이 초대형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높이에 상관없이 탈출구로 대피한 탈출자를 구조하는 소방용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각 층 모든 탈출구, 즉 발코니, 창문, 외부와 연결된 복도 또는 베란다 등에 근접하도록 건축물 외벽에 병렬형태로 많은 외벽레일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옥상에는 그 외벽레일을 따라 승강하여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키는 승강부재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 위치정보를 콘트롤러에 입력하면 옥상에 위치한 승강부재가 탈출자가 대피한 해당 탈출구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을 찾아 하강하여 탈출자를 탑승시킨 후 지상으로 탈출자를 안전하게 피신시킴으로써, 일련의 구조과정이 신속하면서 자동으로 이루어져 탈출자를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게 구조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가 이동할 때 그 측면에 장착된 장애물 제거부재가 장애물을 제거하면 이동브러쉬가 맞은편에 설치된 고정센서를 청소하고 고정센서측에 설치된 고정브러쉬가 맞은편에서 이동 중인 이동센서를 청소하여 양측 센서를 모두 청소함으로써 겨울철에 장애물인 눈이 많이 내리더라도 이들 양측 센서가 이동레일과 외벽레일이 일치되는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승강부재의 아암 양측단에 측면롤러를 장착하여 아암이 외벽레일과 이동레일의 내부를 이동할 때 각 측면롤러가 이동레일 및 외벽레일 내벽과 구름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줄여 탑승감을 향상시키고, 승강부재에 소화전의 관창을 고정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extinguishing lifesaving device for rescuing an escapee escaping from an escape hole regardless of a height when a fire occurs in a very large building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where a multi- A plurality of outer wall rails are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close to all escape holes such as a balcony, a window, a corridor or a veranda connected to the outside, The elevator member located on the roof descends to find the outer wall rail closest to the exit where the escapee is evacuated and mounts the escapee on the ground, By escaping the escapee safely, a series of structures In addition, when the obstacle is removed by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mounted on the side when the base is moved, the fixed sensor install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oving brush is cleaned, and the fixed sensor side Even if the obstacle is snowy in winter, both sensors detect the position where the moving rail and the outer wall rail coincide precisely to prevent malfunction. And the side rollers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arm of the elevating member so that when the arm moves inside the outer wall rail and the moving rail, each side roller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and the outer wall rail, , So that the fire hydrant can be fixed to the elevating member to suppress the fire To a fire-fighting building unmanned life-saving device.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대형 아파트 또는 대형 빌딩과 같은 초대형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탈출자는 건축물에 구비된 완강기와 같은 구조장비를 이용하여 탈출하거나, 또는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와 같이 외부 도움을 받아 탈출하게 된다.When a fire occurs in a very large building such as a large apartment or a large building in which many people reside, the escapee escapes by using a rescue device such as a stiffener provided in the building, or escapes with an external help such as an expensive ladder of a fire truck .

완강기가 설치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완강기가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해야만 탈출할 수 있으나 화재로 인하여 완강기에 접근이 불가능하면 탈출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다행히 완강기에 도달하더라도 평소에 사용법을 숙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방법을 몰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f a fire occurs in a building where a rigger is installed, it can escape only by moving to the place where the rigger is installed. However,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it can not escape if the rigger is not accessible due to fire. Fortunately, even if the user reaches the stiffness, there is a problem that he can not use the method when he does not know how to use it.

이렇듯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자체적으로 탈출할 수 없을 때는 부득이 탈출구, 예컨대 아파트 발코니와 같은 탈출구로 대피하여 외부의 도움을 기다릴 수 밖에 없다. 현실적으로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여 직접 현장까지 진입하여 탈출자를 구조하기 전까지 탈출구에 근접할 수 있는 시설은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의 경우도 높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초고층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길이가 짧아 탈출자가 대피한 장소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안타깝게도 소중한 인명을 구조하지 못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When a fire occurs in a skyscraper and can not escape by itself, it is inevitable that the escape route should be evacuated to an escape area such as an apartment balcony and wait for external assistance. In reality, firefighters' high-price ladders are the only facilities that can be close to the escape route until the firefighter presses the fire to enter the field directly and rescue the escapee. However, since the elevated ladder of a fire truck is limited in height, when a fire occurs in the upper part of a skyscraper, the length of the fire is so short that it can not reach the place where the escapee is evacuated.

종래 소방용 고층 건축물 인명 구조장치는 공개특허 제10-2007-0004492호의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가 제시된다. 이 구조장치는 고층건물 옥상에서 두가닥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일정한 굵기의 와이어(100)를 타고 구조가 필요한 건물외벽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리프팅 이동하면서 인명의 대피 또는 구조하는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Conventional fire protection lifesaving lifesaving apparatu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0004492, which is a fire suppression and lifesaving elevator apparatus for a high-rise building. The rescue equipment is constructed by lifting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hich is structured by taking a wire (100) of a certain thickness, In constituting the elevator apparatus 10,

화재시 발생하는 고열이나 화염에도 상당한 내열성을 가진 불연재(21)가 내장된 내열벽체(20)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30)와; 상기 엘리베이터(30)의 내, 외부 일정한 위치에 자체적인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체동력발생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30)의 자체동력발생수단(40)을 통해 보관된 일정한 타 장소에서 구조가 필요한 소정의 건물아래 장소로 용이하게 주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발생부터 인가된 동력과 연결된 미션, 바퀴, 조향장치 등의 주행수단(50)과;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 지면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상기 두 가닥의 와이어(100)를 타고 상방으로 스스로 올라갈 수 있도록 정지상태의 와이어(100)가 그 와이어(100)에 주어지는 상,하방의 상당한 하중에 의해 더욱 강하게 압지 끼임되어 절대 미끄러지지 않는 태클 형태의 와이어풀리(60)와; 화재로 인한 인명구조활동 중 엘리베이터(30)에 접근하는 화염이나 화재장소의 인명구조시의 필요한 부분적인 화염의 임시소등 또는 화재자체의 진압 등을 목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체 소방장치(70);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An elevator (30) made of a heat-resistant wall body (20) in which a non-combustible material (21) having a considerable heat resistance even in a fire or a flame generated in a fire is embedded; Self-generated power generating means (40) capable of exerting its own driving for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and outside of the elevator (30);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from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40 of the elevator 30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 traveling means 50 such as a steering device; The stationary wire 100 is given a considerable load on the wire 100 so that the wire 100 can be lifted up by riding on the two wires 100 that are long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A tackle type wire pulley (60) which is strongly urged and does not slip; An elevator self-fire protection device 70 for the purpose of temporarily extinguishing a partial flame necessary for lifesaving of a fire or a fire place approaching the elevator 30 during lifesaving activities due to a fire or suppressing the fire itself; It is installed.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탈출자가 탑승한 엘리베이터(30)가 두가닥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와이어(100)에 연결되어 승강하므로 승강과정에서 와이어(100)가 흔들림에 따라 함께 흔들려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특히 태풍과 같이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와이어(100)가 심하게 흔들려 사용이 불가능하여 인명을 구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무거운 중량체인 엘리베이터(30)가 바람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면 이를 지지하는 옥상의 구조물이 하부로부터 심한 인장력을 받아 옥상에서 분리되어 결국 엘리베이터(30)가 추락하는 심각한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the elevator 30 on which the escapee is aboard is connected to the wire 100 which is elongated in two strands and ascends and descends, the wire 100 shakes with the shaking of the wire 100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case of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the wire 100 is severely shaken and can not be used. Also, when the elevator 30 having heavy weight is severely shaken by the wind, there is a serious concern that the rooftop structure supporting the rooftop is separated from the roof due to a strong tensile force from the bottom, and finally the elevator 30 falls.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30)가 와이어(100)에 매달려 있으므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도 계속 매달려 있어야 하므로 와이어(100)는 항상 인장하중을 받아 피로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수명 단축으로 추락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문제점에 더하여 와어어(100)는 비와 눈바람에 노출되어 부식이 빨리 진행되고, 지상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부식이 진행되고 있는 와이어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30)를 항상 보고 있기 때문에 이 엘리베이터(30)가 언제 추락할지 몰라 두려움을 갖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30 is hanged on the wire 100, the wire 100 must be kept hanging even when the fire is not generated. Therefore, the wire 100 is always subjected to a tensile load and fatigue increases, There was a high risk problem.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wire 100 is exposed to rain and windshield so that the corrosion progresses quickly, and the people living on the ground are always watching the elevator 30 hanging on the wire being corroded, 30) will have a fear when they will not know when to fall.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와이어에만 의존한 채로 평상시에도 항상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종래 모든 소방장치들은 와이어의 극한 피로도로 인한 불신과 함께 흔들림으로 인한 불안전이 가중되어 실제 고층 건축물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안정성이 담보되지 않아 위험성이 높은 인명 구조장치를 건축물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적용되지 않고 있다. Because of this problem, all conventional fire-fighting devices that rescue people by lifting an elevator that is always hanging even in a normal state while relying solely on wires are increasingly insecure due to extreme fatigue of wires and unstable due to shaking, It is a reality. In other words, it is not practically applied because the lifesaving device with high risk is not applied to the building because the stability is not guaranteed.

또한, 종래 다른 소방용 고층 건축물 인명 구조장치는 특허등록 제10-0841211호의 건물용 화재피난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이 기술은 건물 외벽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서 센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이송부; 상기 메인 이송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센터 가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접하는 사이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 이송부; 상기 평행하게 접한 센터 가이드 레일과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는 피난자 탑승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부를 상기 건물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수직 이송부; 및 상기 탑승부가 센터 가이드 레일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 이송부를 회동시켜 접철되도록 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e escaping apparatus for a building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1211 is proposed as a conventional lifesaving lifesaving lifesaving apparatus. This technique includes a main conveyance unit installed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f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having a center guide rail form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 horizontal conveyance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conveyance part o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conveyance part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side guide rails parallel to the center guide rails; A boarding portion coupled to the center guide rail and the side guide rails in parallel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ide guide rails and having a refugee boarding space formed therein; A vertical conveying part connected to the boarding part, for vertically moving the boarding par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a pivoting part for pivoting the horizontal conveying part when the boarding part is positioned on the center guide rail.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도 중앙에 위치한 피난케이지(111)가 와이어에 연결된 구조로서, 이미 설명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더 나아가 피난케이지(111)좌우에 위치한 수평 이송부(130)(130')(230)가 3층 높이에 해당할 정도로 대형 구조물이고, 이 대형 구조물이 벽체에 수평으로 걸쳐진 상태로 펼쳐져야 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탈출자 구조시 또 다른 사고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evacuation cage 111 located at the center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units 130, 130 ', and 230, which are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cuation cage 111, Is a large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height of three stories. Since the large structure must be spread horizontally on the wall, the overall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and there is another risk of accident in the structure of the escape structur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449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449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121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1211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소방용 인명구조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각 층 모든 탈출구, 즉 발코니, 창문, 외부와 연결된 복도 또는 베란다 등에 근접하도록 건축물 외벽에 병렬형태로 많은 외벽레일을 수직방향으로 매립 설치하고, 옥상에는 각 외벽레일을 따라 승강하여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키는 승강부재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 위치정보를 콘트롤러에 입력하면 옥상에 위치한 승강부재가 탈출자가 대피한 해당 탈출구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을 찾아 하강하여 탈출자를 탑승시킨 후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킴으로써,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자동으로 탈출자를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구조하여 초고층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높이에 상관없이 인명을 간편하게 구조할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ifesaving lifesaving apparatu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lifesaving apparatus, The elevating member raising and lowering the escaping member to the ground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so that escape location information of escaping members evacuated in the event of a fi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e elevating member located on the roof locates the outer wall rail nearest to the exit where the escapee evacuated and descends to board the escapee and safely evacuate to the ground so that the escapee can be quickly and safely rescued automatically before the fire engine arrives, There was a fire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hich can easily rescue human lif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탈출시키는 승강부재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옥상에 보관하여 추락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평상시에 승강부재를 옥상에 보관함에 따라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제거하면서 눈,비로부터 와이어를 보호하여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for an elevator that escapes to the ground on an escapee by keeping the elevation member on the roof in a normal state without occurrence of a fire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risk of falling, Which is capable of protecting the wires from snow and rain while removing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wires according to the storage box,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wi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출자를 탑승시키는 승강부재를 옥상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화재발생시 윈치의 모터가 와이어를 풀 때 승강부재가 별도의 장치없이 자중에 의해 스스로 하강하도록 설계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for an elevator that can be sloped on a roof to simplify the structure by designing the elevator member to descend itself by its own weight when the motor of the winch uncovers the wire without a separate device Fire-fighting building unmanned life-sav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상시 옥상에 경사진 상태로 보관된 승강부재가 레버를 누른 상태로 보관되게 하여, 강제로 눌러진 레버의 스토퍼가 상승하여 승강부재의 제2바퀴 후방을 차단함으로써 승강부재가 보관 중에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강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for an elevator that is normally kept on an inclined roof on a roof, Which can prevent the lifting member from falling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storage, so that tension can not be generated on the wire connecting the lifting member,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fire fighting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명 구조시 승강부재를 포함한 각종 구성요소를 장착한 상태에서 옥상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베이스를 옥상의 난간 지지벽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이 상부에서 지지하여 베이스 하부에 위치한 옥상레일이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옥상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옥상레일과 베이스가 함께 옥상에서 추락하는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of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base which reciprocates along a roof rail in a state where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lifting members are mounted in a lifesav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lifesaving device for a firefighting structure which prevents rail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of by the tension of a wire, thereby preventing a large accident that a roof rail and a base fall together on the roof, thereby preventing safe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레일과 외벽레일이 일치하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의 이동센서와 고정센서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때 장애물 제거부재가 장애물을 제거한 다음 이동센서측과 고정센서측에 설치된 양측 이동브러쉬와 고정브러쉬가 서로 상대방 센서를 청소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bstacle removing device for an obstacle removing device that removes an obstacle when an obstacle is present between a moving sensor of a first sensing sensor and a fixed sensor that detects a position where a moving rail and an outer wall rail coincide with each other, Which can prevent a malfunction due to cleaning of a sensor on the opposite side of a moving brush on both sides and a fixed brush installed on a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롤러가 아암이 외벽레일과 이동레일 내부를 이동할 때 각 롤러의 내벽과 구름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줄여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lifesaving structure for a firefighting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frictional force to improve a ride feeling by allowing the side roller to come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each roller when the arm moves inside the outer wall rail and the moving rai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부재의 프레임에 관창지지대를 장착하여 이 관창지지대의 고정부재에 물을 발사하는 소화전의 관창을 고정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lifesaving structure for a firefighting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a fire by fixing a nozzle of a fire hydrant which mounts a nozzle support to a frame of an elevation member and emits water to a fixing member of the nozzle support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는, 건축물의 외벽과 평행하게 옥상(A)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옥상레일(2);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attended lifesaving structure for firefigh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roof rail (2) installed along a rim of a roof (A) parallel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상기 옥상레일(2)에 구속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탑재된 부품들을 운반하는 베이스(3);A base 3 movably installed in the roof rail 2 and carrying components mounted on the roof rail 2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roof rail 2;

상기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이동수단(4);A base moving means (4) for providing power for the base (3) to reciprocate along the roof rail (2);

내부에 수용공간(51)이 관통되고, 전면에는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51)과 연통되게 개구부(52)가 형성되며, 조립 및 교체시 후크(HK)에 걸어 수직상태로 세울 수 있게 후면 상부에 걸이공(53)이 관통되고, 이 걸이공(53)에 삽입된 후크(HK)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걸이공(53) 후방에 터널(54)이 형성되며, 조립시 하부에 위치한 일단부 양측에 끼워맞춤 돌기(55)가 돌출되고 상부에 위치한 타단부 양측에 상기 끼워맞춤 돌기(55)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조립공(56)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외부 양측면에는 건축물 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57)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각 층에 형성된 탈출구(H)에 근접되도록 건축물 외벽에 수직으로 매립되고 일렬로 적층되어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이동하는 단일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단일 레일이 각 탈출구(H)에 근접되도록 건축물 외벽에 병렬로 복수 개 배치되며, 배치된 각 상부가 옥상(A)까지 연장되고 각각의 연장된 상단부는 옥상레일(2)을 향해 곡선형태로 절곡되는 외벽레일(5); And an opening 52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51 so that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ov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51. A hook HK so that the hook 53 can be received vertically so that the hook HK can be received in the hook hole 53 and the tunnel 53 The fitting projections 55 protrude from both sides of one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to receive the fitting protrusions 55, And a locking protrusion 5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concrete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vertically embedd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approach the exit H formed in each layer of the building, And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moved, And a plurality of the single rail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close to the escape hits H, each of the arranged upper portions extends to the roof A and each extended upper end thereof extends toward the roof rail 2 An outer wall rail 5 bent in a curved shape;

승강부재(7)를 탑재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7)의 롤러(72)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롤러(72)가 통과하여 상기 외벽레일(5)로 이동할 수 있게 하부가 관통되며, 탑재된 승강부재(7)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위치가 낮은 하단부가 상기 외벽레일(5) 상단부와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3)에 장착되어, 이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각각의 외벽레일(5)과 일직선상으로 만나 화재발생시 탑재된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근접한 외벽레일(5)로 공급하는 이동레일(6);The roller 72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ounted and the lower portion is penetrated so that the roller 72 can be moved to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se 3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rail 5 so that the base 3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roof rails 5, The lifting member 7 moun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espective outer wall rails 5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outer wall rails 5 moving closest to the escape hatches A moving rail 6 for feeding;

외부에 돌출된 아암(71) 단부에 롤러(72)가 설치되어 상기 외벽레일(5)과 이동레일(6에 수용되어 이동하고, 상단부가 윈치(10)의 와이어(10b)와 연결되어 윈치(10)의 구동에 의해 이동레일(6) 및 외벽레일(5)을 따라 왕복승강이동하여 건축물 화재시 탈출구(H)로 대피한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피신시키며, 상기 아암(71)이 위치하는 측면에 제1,2바퀴(73)(74)가 장착되는 승강부재(7);A roller 72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rm 71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is received in the outer rail 5 and the moving rail 6 and connected to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10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ovable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to escape to the ground by escaping to the exit H in the case of a building fire, An elevating member 7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heels 73 and 74 are mounted;

힌지축(81a)을 중심으로 일측에 누름판(81b)이 타측에 멈춤판(81c)이 연장된 레버(81)가 구비되고 상기 멈춤판(81c)의 끝단에는 승강부재(7)의 제2바퀴(74)를 구속하는 스토퍼(81d)가 돌출되며, 상기 레버(81)의 힌지축(81a)이 이동레일(6) 사이에 위치한 받침대(8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81b) 하부에는 누름판(81b)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83)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하기 위해 경사진 이동레일(6)로 진입하여 제1바퀴(73)가 상기 누름판(81b)을 눌러 레버(81)를 회전시킬 때 그와 동시에 레버(81)의 멈춤판(81c)이 상승하여 스토퍼(81d)가 제2바퀴(74) 후방을 차단하여 승강부재(7)를 구속함으로써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보관 중에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A pushing plate 81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inge shaft 81a and a lever 81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opping plate 81c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81a. A hinge shaft 81a of the lever 81 is rotatably installed on a pedestal 82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rails 6 and a stopper 81d for restricting the pushing plate 81b, And an elastic member 83 for pushing up the pressure plate 81b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elevation member 7 enters the inclined moving rail 6 to be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The stop plate 81c of the lever 81 rises and the stopper 81d cuts off the rear of the second wheel 74 and the elevation member 7) to prevent the elevating member (7) from descending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storage in the moving rail (6);

상기 승강부재(7) 바닥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9);A weight detecting sensor 9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ing member 7 to detect the weight of the occupant;

상기 베이스(3)에 설치되고, 모터(10a)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정,역회전하고 이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10b)가 상기 승강부재(7)와 연결되어 승강부재(7)를 승강시키며, 화재발생시 모터(10a)가 구동하여 상기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 및 지상으로 하강시키는 윈치(10);The drum 1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driving the motor 10a and the wire 10b wound on the drum 1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7 to elevate the elevating member 7 An elevating member H which is driven by the motor 10a when the fire occurs and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is escaped from the escape hatch and the winch 10 is lowered to the ground;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에 의해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베이스(3)에 탑재된 이동레일(6)이 각 외벽레일(5)과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3)에 설치된 이동센서(11a)와 각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고정센서(11b)를 포함하는 제1감지센서(11);When the base 3 is reciprocated by the base moving means 4 along the roof rail 2 and the movable rail 6 mounted on the base 3 coincides with the respective outer wall rails 5, A first detection sensor 11 including a movement sensor 11a provided on the base 3 and a fixed sensor 11b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outer wall rail 5 so as to be able to detect the movement sensor 11a;

상기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될 때만 베이스 이동수단(4)이 베이스(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레일(6) 또는 받침대(82)에 설치되어 승강부재(7)의 탑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2);The base moving means 4 is provided on the moving rail 6 or the base 82 so as to move the base 3 only when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A second sensing sensor 12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sensor 10 is mounted;

상기 승강부재(7)가 각 외벽레일(5)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부재(7)와 건축물의 각층 전역에 설치된 탈출구(H)가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각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를 포함하는 제3감지센서(13);When the elevating member 7 ascends and descends along each of the outer wall rails 5 and the elevation member 7 and the escape opening H installed on the entire floor of the building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 third sensing sensor 13 including an installed moving sensor 13a and a fixed sensor 13b installed at each of the escape holes H;

상기 승강부재(7) 저면에 설치되고, 이 승강부재(7)가 탑승한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키기 위해 지상에 근접될 때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C)가 윈치(10)의 모터(10a) 구동을 정지시켜 승강부재(7)가 지상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4감지센서(14); The elevator 7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senses when the elevator 7 approaches the ground to escape to the ground so that the controller C drives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A fourth sensing sensor 14 for stopping the elevating member 7 from interfering with the ground;

옥상의 난간(A-1) 측벽에 돌출되는 지지벽(15);A supporting wall 15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of the roof railing A-1;

상기 옥상레일(2)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벽(15) 저면에 고정되고,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베이스(3) 일측단 상부를 지지하여 베이스(3) 하부에 위치한 옥상레일(2)이 와이어(10b)의 장력에 의해 옥상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래킷(16);A roof 3 which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wall 15 in parallel with the roof 2 and supports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base 3 which reciprocates along the roof 2, 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of by the tension of the wire 10b;

상기 베이스(3) 측면에 장착되고, 이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를 청소하는 이동브러쉬(17);A moving brush 17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3 for cleaning the fixing sensor 11b of the first sensing sensor 1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rail 5 when the base 3 moves;

상기 이동브러쉬(17) 양측에 장착되고,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위치한 장애물을 치워 제거하는 장애물 제거부재(18);An obstacle removing member 18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rush 17 for removing an obstacle located between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when the base 3 moves;

상기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측에 설치되고 청소모터(19a)에 의해 회전하면서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 베이스(3) 측면에 장착된 상기 이동센서(11a)를 청소하는 고정브러쉬(19);The movement sensor 11a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3 when the base 3 is mov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cleaning motor 19a is installed on the fixed sensor 11b side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A stationary brush 19 for cleaning;

상기 승강부재(7)의 아암(71) 단부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2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암(71)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71)이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벽레일(5) 내벽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아암(71)의 양측면 마찰을 줄이는 측면롤러(20);The arm 71 is rotatably installed in a receiving groove 20a formed at both ends of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arm 71 so that the arm 7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moving rail A side roller (20) for reducing both side friction of the arm (71)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6)

상기 측면롤러(20)가 수용홈(20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롤러(20)의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21);An elastic member 21 for tightly adhering the shaft of the side roller 20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ide roller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0a;

상기 측면롤러(20) 샤프트와 탄성부재(21) 사이에 끼워져 일측은 측면롤러(20)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탄성부재(21)와 밀착되어 정지되는 스러스트베어링(22);A thrust bearing 22 sandwiched between the shaft of the side roller 20 and the elastic member 21, one side of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ide roller 2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1;

일단이 승강부재(7)의 프레임(7a) 상부에 힌지핀(23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7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로킹부재(23b)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며, 상부에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전의 관창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부재(23c)가 장착된 관창지지대(23);One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7a of the lifting member 7 by a hinge pin 23a and the other end is locked or released by a locking member 23b movably fitted in the frame 7a, A nozzle support 23 mounted with a fixing member 23c for fixing a fire hydrant by a fire hydrant so as to extinguish a fire;

탈출구(H)의 위치정보 및 탈출자의 체중과 대비되는 중량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미리 입력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 제1감지센서(11)의 감지신호, 제2감지센서(12)의 감지신호, 제3감지센서(13)의 감지신호, 제4감지센서(14) 감지신호 및 중량감지센서(9)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윈치(10) 및 베이스 이동수단(4)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 및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opening H and weight information comparable to the body weight of the escapee are inputted in advance and the instruction inputted from outsid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the detection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12 The driving of the winch 10 and the base moving means 4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detected by the third sensing sensor 13, a sensing signal of the fourth sensing sensor 14, (C); And

건축물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의 위치정보를 상기 콘트롤러(C)에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And input means for inputting, to the controller (C),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xit (H) from which the escapee escapes when a building fire occurs,

상기 승강부재(7)의 제1바퀴(73)가 레버(81)의 누름판(81b) 상부에 제2바퀴(74)가 멈춤판(81c)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스토퍼(81d)가 제2바퀴(74) 후방을 차단한 상태로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탈출자가 탈출구(H)로 대피하여 구조신호를 보낼 때 외부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탈출구(H) 위치정보를 콘트롤러(C)에 입력하면 콘트롤러(C)는 이 위치정보와 일치된 미리 입력된 탈출구(H)의 위치를 확인하여 중량감지센서(9), 제1감지센서(11) 중 베이스(3)에 설치된 이동센서(11a)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고정센서(11b), 제2감지센서(12), 제3감지센서(13) 중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 제4감지센서(14), 베이스 이동수단(4) 및 윈치(10), 및 청소모터(19a)를 ON 상태로 제어하고;The first wheel 73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positioned above the push plate 81b of the lever 81 and the second wheel 74 is positioned above the detent plate 81c and the stopper 81d is positioned on the second wheel When a fire is generated in the building and the escapee escapes to the escape opening H and sends a rescue signal in a state where the elevation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in a state where the rear of the elevation member 74 is blocked, The controller C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previously entered exit port H coinciding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exit port H to the weight sensor 9, A moving sensor 11a provided on the base 3 of the detecting sensor 11 and a fixing sensor 11b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person escapes, A movement sensor 13a provided on the elevation member 7 of the third detection sensor 13 and a fixed sensor 13b provided on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e is evacuated and the fourth detection sensor 14, Controlling the stage 4 and the winches 10, and the cleaning motor (19a) to an ON state;

상기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제2감지센서(12)가 이동레일(6)상에 승강부재(7)가 탑재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이 베이스(3)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로 이동시키고 이동하는 베이스(3)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11)의 이동센서(11a)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ON 상태에 있는 고정센서(11b)를 감지할 때 정지되어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을 일치시키며;When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senses that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the base moving means 4 moves the base 3 The movement sensor 11a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provided on the moving base 3 moving to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is evacuated is provided with an escape opening H Stops when detecting the fixed sensor 11b in the ON stat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losest outer wall rail 5 to align the movable rail 6 with the outer wall rail 5;

상기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이 일치하는 과정에서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때 장애물 제거부재(18)가 이동하면서 장애물을 밀치거나 강제로 이동시켜 제거하면 이동브러쉬(17)는 고정센서(11b)와 접촉하여 청소하고, 고정브러쉬(19)는 콘트롤러(C)의 명령에 의해 회전하는 청소모터(19a)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센서(11a)와 접촉하여 청소함으로써 양측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는 서로를 감지하기 전에 청소가 진행되고; When an obstacle is present between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in the course of matching the moving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moves and pushes the obstacle or forcibly moves The movable brush 1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sensor 11b to be cleaned and the fixed brush 19 is moved by a moving motor 19a rotating by a cleaning motor 19a rotated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C 11a so that the cleaning of the both-sid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is performed before sensing each other;

이후, 윈치(10)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10b)를 풀면 경사진 이동레일(6)상에 탑재된 승강부재(7)는 자중에 의해 레버(81)를 회전시키면서 하강하여 그의 제2바퀴(74)가 레버(81)의 멈춤판(81c)에 돌출된 스토퍼(81d)에서 벗어나 외벽레일(5)로 이동한 후 자체에 설치된 이동센서(13a)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에 설치되어 ON 상태에 있는 고정센서(13b)를 감지할 때 정지되고;Thereafter, when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is driven to release the wire 10b wound on the drum,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inclined moving rail 6 rotates the lever 81 by its own weight The second wheel 74 moves away from the stopper 81d protruding from the detent plate 81c of the lever 81 and moves to the outer wall rail 5, Is stopped when detecting the fixed sensor 13b which is installed at the escape port H to be evacuated and is in the ON state;

이후, 탈출자가 상기 정지된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중량감지센서(9)가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무게가 입력된 무게 이상이 되어 탈출자의 탑승을 인식하면, 윈치(10)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승강부재(7)를 다시 하강시키고 이 과정에서 승강부재(7) 하부에 설치된 제4감지센서(14)가 지상을 감지할 때 승강부재(7)가 정지되어 탑승자가 지상으로 피신토록 하고;Thereafter, when the escape person is aboard the suspended elevation member 7, the weight sensing sensor 9 senses the weight of the passenger, and when the sensed weight is greater than the input weight and recognizes the boarding of the escapee, The elevator 7 is stopped when the fourth sensor 14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ng member 7 senses the ground in this process. To flee to the earth;

상기 탈출자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롤러(20)가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마찰력을 완화시키며;The side roller 2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6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scapement, thereby relieving frictional force;

탈출자 구조 후 소방관이 상기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소화전의 관창을 상기 관창지지대(23)의 고정부재(23c)에 고정시켜 화재를 진압토록 한다.After the fire extinguisher structure, a firefighting vessel is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7), and the nozzle of the fire hydrant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23c) of the nozzle support base (23) to suppress the fire.

상기 콘트롤러(C)에 외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은 콘트롤러(C)에 무선방식으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리모컨이며, 상기 리모컨을 승강부재(7), 또는 건축물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승강부재(7)와 건축물 경비실에 모두 구비하여, 승강부재(7)에 탑승한 탈출자 또는 건축물 근무자가 콘트롤러(C)에 명령을 입력하여 승강부재(7)의 승강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컨을 건축물의 각 세대에 모두 공급하여 화재 발생시 입주자가 자신의 탈출구 위치정보인 세대번호를 리모컨에 입력하여 스스로 구조될 수 있게 하면 좋다.The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external command to the controller C is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wirelessly inputting information into the controller C. The remot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member 7 or a building guard or management room or the elevator member 7, And a building guard room so that an escapee or a building worker boarding the elevating member 7 can input a command to the controller C to control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elevating member 7. [ Preferably, the remote control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of the building, so that when a fire occurs, a resident can enter his / her household number, which is his / her exit location information, into a remote control so as to be self-rescued.

상기 탈출구(H)는 건축물의 발코니(A-2), 창문, 외부와 연결된 복도 또는 베란다를 포함한다.The exit H includes a balcony (A-2) of a building, a window, a corridor or a veranda connected to the outside.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의 일 실시예는 상기 옥상레일(2) 일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러(C)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구동모터(41);One embodiment of the base moving means 4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4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driving the controller C;

상기 옥상레일(2)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41)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제2구동모터(42); 및A second drive motor (4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drive motor (41); And

상기 제1,2구동모터(41)(42)의 각 샤프트에 연결된 드럼에 감기고 그 경로상에 상기 베이스(3)가 연결되어, 상기 제1,2구동모터(41)(4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와이어(43);를 포함한다.The base 3 is wound on a drum connected to the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And a wire (43) reciprocating the base (3)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옥상레일(2) 일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러(C)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구동모터(41);Another embodiment of the base moving means 4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4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driving the controller C;

상기 옥상레일(2)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4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롤러(44); 및A driven roller (44)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motor (41); And

상기 제1구동모터(41)의 샤프트에 연결된 드럼 및 상기 종동롤러(44)에 긴장되게 감기고 그 경로상에 상기 베이스(3)가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와이어(45);를 포함한다.A drum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and the driven roller 44 are wound tightly and the base 3 is connected on the path thereof so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And a wire (45) reciprocating the base (3).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건축물의 관리실이나 경비실에 비치한 정보 입력수단인 리모컨으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의 위치정보를 컨트롤러에 입력하면 옥상에 보관된 승강부재가 자동으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탈출자를 탑승시킨 후 지상으로 운반하여 탈출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fire occur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hatch escaped by the remote controller, which is an information input means provided in the management room or the security room of the building, is input to the controller, It quickly moves to the escape hatch, takes the escapee and transports it to the ground to safely evacuate the escapee.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할 때 초대형 건축물의 상층부를 포함한 높이에 상관없이 탈출구가 위치하는 곳이라면 그 어디든지 승강부재가 지체없이 이동하여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키므로 화재발생 초기에 탈출자를 안전하게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evacuate an escapee at an early stage of a fire, because the elevator moves without any delay wherever the escape hole is located, regardless of the height including the upper part of the super large building when a fire occurs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human injury.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다시 말해 구조요청 즉시 간단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도착한 소방요원이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무리하게 화재현상으로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방요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방요원과 장비를 화재진압에 전력 투입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cue people briefly before a fire truck arrives, that is, when a rescue request is made, the firefighters who arrive later do not need to forcefully enter fire to rescue their lives,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irefighter and the equipment are put into the fire suppression to effectively suppress the fire.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병렬형태로 매립 설치된 외벽레일을 디자인화하면 건축물 외벽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고, 또한 외벽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옥상에 보관하여 지상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므로써 민밋하고 단조로운 건축물 외벽을 멋있게 장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outer wall rail embedded in a parallel form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is designe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an be decorated beautifully and the elevating member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outer wall rail is stored on the roof,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decorate the outer wall of the monotonous building nicely.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옥상에 장시간 보관된 승강부재는 레버의 스토퍼에 구속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못하므로 그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에 인장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와이어의 피로도를 줄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fting member stored on the roof for a long time is not restrained by its own weight due to its own weight, tensile force hardly acts on the connecting wire, And has an advantage of extending the service life.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여 인명을 구조할 때 옥상의 난간 지지벽에 설치된 브래킷이 베이스 상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이 베이스를 받치고 있는 하부로부터 옥상레일에 와이어의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장력을 상기 브래킷이 상쇄하여 옥상레일이 옥상에서 분리되어 추락하는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bracket provided on the railing support wall on the roof supports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when the fire is generated and the life is rescued, even if the tension of the wire is applied to the roof rail from the lower portion supporting the base, And the roof rails are separated from the roof, thereby preventing a large accident from falling off.

또한, 본 발명은 겨울철에 눈이 쌓여 제1감지센서를 차단하여 감지 기능을 방해하더라도 장애물 제거부재가 장애물을 제거한 후 이동브러쉬와 고정브러쉬가 서로 상대방 센서를 청소하여 장애물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rst sensing sensor is blocked due to snow accumulation in winter,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removes the obstacle, and then the moving brush and the stationary brush clean each other senso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obstacle interference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출자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측면롤러가 외벽레일 및 이동레일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탑승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Furthe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scapement, the side roller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wall rail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to reduce frictional force, thereby improving the feeling of boarding.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가 도달하지 못한 상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탈출자를 안전하게 구조한 다음에 승강부재에 소방관이 탑승하여 소화전의 관창을 관창지지대의 고정부재에 고정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the upper part where the elevator ladder of the fire truck can not reach, the escapee is safely constructed and then a firefighter is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to fix the nozzle of the fire hydrant to the fixing member of the nozzle support,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가 건축물 옥상에 설치된 이동레일에 탑재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가 외벽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가 탈출구인 아파트 발코니에 정지되어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레일과 외벽레일이 일치되고, 승강부재가 외벽레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상에 이동레일과 윈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러쉬, 장애물 제거부재, 및 고정부러쉬 설치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베이스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브러쉬가 이동센서를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베이스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브러쉬가 고정센서를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이동수단을 보인 것으로, 모터와 종동롤러 사이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벽레일을 후크로 들어올려 일렬로 연결하는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이 승강부재를 구속하기 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이 승강부재를 구속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의 개략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의 롤러가 외벽레일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확대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암 단부에 측면롤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창지지대가 승강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창지지대가 승강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보관된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가 탈출구인 아파트 발코니에 위치하여 탈출자가 탑승하기 전 상태를 확대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가 탈출구인 아파트 발코니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확대 평면도
도 20은 아파트 화재시 본 발명의 승강부재가 탈출구로 대피한 탈출자를 구조하는 것을 보인 일 실시예 도면
도 21은 아파트 화재시 본 발명의 승강부재가 탈출구로 대피한 탈출자를 구조하는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 도면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vable rail installed on a roof of a building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outer wall rail;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at an apartment balcony as an escape hole to construct an escape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ail and the outer wal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elevating member is moved to the outer wall rail;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rail and a winch are installed on a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oving brush, an obstacle removing member, and a fixed brush install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is moved in the arrow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6 and the stationary brush is cleaning the movement sensor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moves in the arrow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7 and the moving brush is cleaning the fixed sensor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connected between a motor and a driven roller, showing a bas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ing process of raising the outer wall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ne,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before restraining the elevating member
1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of restraining the elevating member
1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of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wall rail;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roller is mounted on the arm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showing a principal plan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support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n elevating member,
FIG. 17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front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ocated on an apartment balcony where an escape opening is located,
Fig. 19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an apartment balcony
FIG. 20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n escape hatch that escapes to an escape hatch when an apartment fire occurs;
FIG. 2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n escapee which evacuated to an escape hole when an apartment fire occurs;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ire extinguishing lifesav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1)는 건축물 외벽에 탈출구(H)와 근접된 위치에 외벽레일(5)을 병렬로 매립 설치하고, 이 외벽레일(5)을 따라 승강부재(7)가 승강하면서 탈출구(H)로 대피한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피신시키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e fighting building lifeless lif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uter wall rails 5 are embedded in parallel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t a position close to the escape opening H, 5 to raise the elevating member 7 to escape to the ground by boarding the escape hatch escaping to the escape hatch H.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1)는 옥상(A)에 설치된 옥상레일(2), 상기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여 그 상부에 탑재된 부품들을 운반하는 베이스(3),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이동수단(4), 건축물 외벽에 병렬로 매립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승강부재(7)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외벽레일(5),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로 탑재한 승강부재(7)를 이동시키는 이동레일(6), 상기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탈출구(H)에 대피한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피신시키는 승강부재(7), 평상시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승강부재(7)를 고정시키는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 상기 승강부재(7) 바닥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9), 상기 승강부재(7)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윈치(10), 베이스(3)에 장착된 이동레일(6)이 각 외벽레일(5)과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11), 이동레일(6)상에 승강부재(7)의 탑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2), 승강부재(7)가 건축물의 각층 전역에 설치된 탈출구(H)와 일치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13), 승강부재(7)가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피신시킬 때 지상에 근접됨을 감지하여 지상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4감지센서(14), 옥상(A)의 난간(A-1) 측벽에 돌출되는 지지벽(15), 상기 지지벽(15) 저면에 고정되고 인명 구조시 베이스(3) 상부를 지지하여 와이어(10b)의 장력에 의해 옥상레일(2)이 옥상(A)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래킷(16),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를 청소하는 이동브러쉬(17),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위치한 장애물을 치워 제거하는 장애물 제거부재(18), 청소모터(19a)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감지센서(11)의 이동센서(11a)를 청소하는 고정브러쉬(19),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부를 이동할 때 외벽레일(5) 내벽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양측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는 측면롤러(20), 측면롤러(20)가 수용홈(20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롤러(20)의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21), 측면롤러(20) 샤프트와 탄성부재(21) 사이에 끼워져 그들 사이에 지지하는 스러스트베어링(22), 상기 승강부재 상부에 설치되고 소화전의 관창을 고정하는 관창지지대(23),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각종 센서들이 감지한 감지신호에 따라 베이스 이동수단(4), 윈치(10), 청소모터(19a)를 제어하는 콘트롤러(C), 및 건축물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의 위치정보를 상기 콘트롤러(C)에 입력하는 입력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e fighting building lifeless lifesav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of rail 2 installed on a roof A, a base 2 for reciprocating along the roof rail 2, (3), a base moving means (4) for providing a power for reciprocating the base (3), a plurality of outer walls A moving rail 6 for moving the elevation member 7 mounted on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hatch is escaped in the event of a fire, the outer wall rail 5, 6 so that the lifting member 7 mounted on the normally moving rail 6 is not mov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lifting member 7 is lifted up to the ground, An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8 for fixing the elevating member 7, A weight detection sensor 9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ash 7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occupant, a winch 10 for providing pow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member 7, a moving rail 6 A second detection sensor 12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elevation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a second detection sensor 11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ion member 7 when the elevation member 7 is aligned with the outer wall rail 5, A third detection sensor 13 for detecting a position where the elevation member 7 is aligned with an escape opening H provided in the entire floor of each building, a third detection sensor 13 for detecting a position where the elevation member 7 is close to the ground A supporting wall 15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of the railing A-1 of the roof A, a supporting wall 15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wall 15, A bracket 16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3 during construction and preventing the roof rail 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of A due to the tension of the wire 10b, An obstacle removing member 18 for removing an obstacle located between the movement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when the base 3 moves, a cleaning motor A fixed brush 19 for cleaning the moving sensor 11a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while being rotated by driving of the elevating member 19a, an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fixed to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moving rail The side rollers 20 and the side rollers 20 that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able rail 6 in rolling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inner roller 5 moves i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20a A thrust bearing 22 which is sandwiched between and supported between the shaft 20 and the elastic member 2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haft of the side roller 20 in one direction, A nozzle support 23 for fixing the nozzle of the fire hydra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various sensors A controller C for controlling the base moving means 4, the winch 10 and the cleaning motor 19a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sensing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opening H, (Not shown) for inputting data to the display device C.

상기 옥상레일(2)은 옥상(A) 바닥에 설치되고 그 위에 탑재된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외벽과 평행하게 옥상(A)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이 옥상레일(2)은 베이스(3)가 흔들리지 않도록 2열 이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건축물의 탈출구(H)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도면에서는 2열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렇게 옥상레일(2)이 건축물 전역에 위치한 탈출구(H)와 대응되게 연장되면 장소에 상관없이 승강부재(7)가 건축물의 모든 탈출구(H)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어느 탈출구(H)로 대피하더라도 탈출자를 신속하게 피신시킬 수 있다. The rooftop rail 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oof A so as to reciprocate the base 3 mounted thereon and is installed along the rim of the roof A in parallel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is roof rail 2 is preferably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so as not to shake the base 3 and extend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it H of the building. It is shown in the drawing that two rows are arranged. When the roof rail 2 is exten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scape opening H located throughout the building, the elevation member 7 can approach all the escape openings H of the building regardless of the location, The escapee can be quickly fleeed.

상기 베이스(3)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상부에 장착된 부품들을 운반하여 이동레일(6)이 각 외벽레일(5)과 일치되게 하여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를 외벽레일(5)로 공급되게 한다. The base 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able along the roof rail 2 so as to carry the parts mounted on the roof 3 so that the movable rail 6 is aligned with the outer rail 5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is supplied to the outer wall rail 5.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은 베이스(3)를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상기 옥상레일(2) 일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러(C)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구동모터(41);4, the base moving means 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of rail 2 to move the base 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driving the controller C, A first drive motor (41) rotating in a reverse direction;

상기 옥상레일(2)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41)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제2구동모터(42); 및A second drive motor (4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drive motor (41); And

상기 제1,2구동모터(41)(42)의 각 샤프트에 연결된 드럼에 감기고 그 경로상에 상기 베이스(3)가 연결되어, 상기 제1,2구동모터(41)(4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와이어(43);를 포함한다. The base 3 is wound on a drum connected to the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And a wire (43) reciprocating the base (3)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상기 양측 제1,2구동모터(41)(42)는 동일방향으로 정,역회전하면서 그들의 드럼에 감긴 와이어(43)를 감거나 풀면서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reciprocate the base 3 while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43 wound around the drum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의 다른 실시예는 도 9와 같이 상기 옥상레일(2) 일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러(C)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구동모터(41);Another embodiment of the base moving means 4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4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f rail 2 as shown in FIG. 9 and rotating forward and reverse by driving the controller C;

상기 옥상레일(2)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4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롤러(44); 및A driven roller (44)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motor (41); And

상기 제1구동모터(41)의 샤프트에 연결된 드럼 및 상기 종동롤러(44)에 긴장되게 감기고 그 경로상에 상기 베이스(3)가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와이어(45);를 포함한다.A drum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and the driven roller 44 are wound tightly and the base 3 is connected on the path thereof so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And a wire (45) reciprocating the base (3).

상기 종동롤러(44)는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동력이 갖추고 있지 않고 제1구동모터(4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와이어(45)가 긴장상태로 감기어 제1구동모터(41)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만약 와이어(45)가 이완되어 종동롤러(44)가 회전하지 않으면 와이어(45)에 연결된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킬 수 없다.Since the driven roller 44 is not equipped with a rotating power and rotates by the power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the wire 45 is wound in a tension state so that the first driving motor 41 rotates Rotate together. If the wire 45 is loosened and the driven roller 44 does not rotate, the base 3 connected to the wire 45 can not be reciprocated.

상기 외벽레일(5)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다시 말해, 상기 외벽레일(5)은 도 3 및 도 14와 같이 건축물 외벽에 병렬로 복수 개가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므로 건축물의 모든 탈출구(H)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탈출구(H)가 존재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상기 외벽레일(5)이 설치되고, 이 외벽레일(5)을 따라 승강부재(7)가 승강하기 때문에 탈출자가 어느 탈출구(H)로 대피하더라도 승강부재(7)는 높이에 상관없이 접근하여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킬 수 있다. The outer wall rail 5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3 and 14, a plurality of the outer wall rails 5 are vertically buried in parallel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outer wall rails 5 are disposed close to all the outlets H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outer wall rail 5 is installed wherever the escape opening H of the building exists, and the elevating member 7 moves up and down along the outer wall rail 5, The elevating member 7 approaches the elevation irrespective of the height, and can escape the escapee to the ground.

여기서, 상기 탈출구(H)는 건축물의 발코니(A-2), 창문, 외부와 연결된 복도 또는 베란다를 포함한다.Here, the exit H includes a balcony (A-2) of a building, a window, a corridor or a veranda connected to the outside.

상기 외벽레일(5)의 구성은 도 10 및 도 14와 같이 승강부재(7)의 롤러(7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51)이 관통되고, 전면에는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51)과 연통되게 개구부(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벽레일(5)은 조립 및 교체시 후크(HK)에 걸어 수직상태로 세울 수 있도록 후면 상부에 걸이공(53)이 관통되고, 이 걸이공(53)에 삽입된 후크(HK)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걸이공(53) 후방에 터널(54)이 형성된다. 또한 외벽레일(5)은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단일 레일을 형성할 때 끼워맞춤 부분의 수용공간(51)이 일치되도록 하부에 위치한 일단부 양측에 끼워맞춤 돌기(55)가 돌출되고, 상부에 위치한 타단부 양측에 상기 끼워맞춤 돌기(55)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조립공(56)이 형성된다. 10 and 14, the outer wall rail 5 has a receiving space 51 penetrated therein so that the roller 72 of the elevating member 7 can pass therethrough, An opening 52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51 so that the arm 71 can move. The outer wall rail 5 is hook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so as to be vertically hooked on the hook HK when assembled and replaced and a hook HK inserted in the hook hole 53 A tunnel 54 is formed behind the hook 53 so as to b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outer wall rails 5 are provided with fitting projections 55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positioned so that the receiving spaces 51 of the fitting portions are aligned when a plurality of the outer rails 5 are connected in a row to form a single rail, And an assembly hole 56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where the fitting projections 55 are received.

따라서 하부에 위치한 끼워맞춤 돌기(55)가 상부에 위치한 조립공(56)에 삽입되면 상,하 양측 수용공간(51)은 매끈하게 연결되어 롤러(72)가 통과할 때 덜컹거리는 등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정숙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외벽레일(5)은 길이방향 외부 양측면에는 건축물 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57)이 형성된다.Accordingly, when the lower fitting projections 55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ssembly holes 56, the upper and lower side accommodating spaces 51 are smooth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rumbling vibrations do not occur when the rollers 72 pass Thus enabling quiet movement. In addition, the outer wall rail 5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7 which is caught by the concrete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이와 같이 구성된 외벽레일(5)은 건축물의 각 층에 형성된 탈출구(H)에 위치되도록 건축물 외벽에 매립되고 일렬로 적층되어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이동하는 단일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단일 레일이 각 탈출구(H)에 근접되도록 건축물 외벽에 병렬로 복수 개 배치되며, 배치된 각 상부가 옥상(A)까지 연장되고 각각의 연장된 상단부는 옥상레일(2)을 향해 곡선형태로 절곡된다. The outer wall rails 5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embedd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exit H formed in each layer of the building and are stacked in a line to form a single rail on which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moves, A plurality of the single rail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outside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single rails are close to the escape hits H and each upper portion is extended to the roof A and each extended upper end is curved toward the roof rail 2 Is bent.

외벽레일(5) 상단부가 옥상레일(2)을 향해 곡선형태로 절곡된 이유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외벽레일(5)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부재(7)가 옥상(A)에 위치한 이동레일(6)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가 외벽레일(5)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rail 5 is bent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roof rail 2 is that the elevating member 7 moving along the outer wall rail 5 is moved And is for guiding the elevating member 7, which is moved to the rail 6 or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to move to the outer wall rail 5.

상기 외벽레일(5)은 도 10과 같이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단일 레일을 형성하는데, 도 14와 같이 전면에 관통된 개구부(52)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매립되게 시공된다. 본 발명의 외벽레일(5)은 건축물 외벽에 시공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눈,비에 노출되어 필연적으로 부식이 진행되므로 안전을 위해 교체 가능하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0, the outer wall rails 5 are connected in a line to form a single rail. In FIG. 14, only the openings 52 penetrating the entire surface are exposed, and the remaining portions are buried. Since the outer wall rail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f it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exposed to snow and rain and inevitably rust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wall rail 5 is replaceable for safet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외벽레일(5)은 건축물에 매립 시공할 때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과정에서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외부 표면에 탈형제가 도포되거나 또는 보호제가 감싸여진다. 탈형제는 액체의 형태이므로 금속재의 외벽레일(5)을 상기 탈형제에 잠기도록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도포한다. 보호제는 연질의 비닐과 같은 아주 얇은 재질로 이루어져 외벽레일(5)을 감싼 형태로 사용된다.To this end, the outer wall rails 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ated with a release agent or a protective ag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rail 5 so that the concrete laid on the building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during the curing process. Since the demolding agent is in the form of a liquid, the outer wall rail 5 of the metal material is immerse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demolding agent, followed by drying and application. The protective material is made of a very thin material, such as soft vinyl, and is used to wrap the outer wall rail (5).

이와 같이 탈형제 또는 보호제가 외벽레일(5)과 콘크리트 사이에 위치하여 콘크리트가 외벽레일(5)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일정한 길이를 가진 단위 레일이 적층되어 단일 레일을 형성하는 외벽레일(5)들을 도 10과 같이 걸이공(53)에 후크(HK)를 끼워 조립순서와 역순으로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부식된 외벽레일(5)을 교체할 수 있다. 외벽레일(5) 교체시 후크(HK)가 걸이공(53)에 끼워지므로 후크(HK)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돌출부분은 걸이공(53) 후방에 준비된 터널(54) 내부에 삽입되므로 외벽레일(5)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널(54)이 없으면 이 터널(54)이 위치하는 곳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교체시 후크(HK)가 걸이공(53)에 삽입되지 못하여 외벽레일(5)을 들어올릴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외벽레일(5)의 터널(54)은 외벽레일(5)을 교체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Since the demolding agent or protective agent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concrete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adhering to the outer wall rail 5, the unit rail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fter the concrete curing are stacked to form a single rail The outer wall rails 5 can be sequentially lifted in a reverse order to the assembling procedure by inserting the hooks HK into the hook holes 53 as shown in FIG. 10 to replace the corroded outer wall rails 5. A part of the hook HK is protrud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hook HK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53 when the outer wall rail 5 is replaced and the protrus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tunnel 54 prepared in the rear of the hook hole 53 The outer wall rails 5 can be easily replaced. If there is no tunnel 54, the concrete is filled at the location of the tunnel 54, so that the hook HK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hook 53 when the tunnel 54 is replaced, so that the outer rail 5 can not be lifted. Therefore, the tunnel 54 of the outer wall rail 5 is an important factor that enables the outer wall rail 5 to be replaced.

한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적층할 때 외벽레일(5)이 매립되는 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외벽레일(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보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이 확보된 공간에 도 10과 같은 방법으로 외벽레일(5)을 삽입하면, 삽입과 역순으로 외벽레일(5)을 들어올려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concrete is laid and buildings are stacked, a mold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outer wall rails 5 are embedded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outer wall rails 5 can be inserted, and then the molds are removed, When the outer wall rails 5 are inse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0, the outer wall rails 5 can be lifted up in the reverse order of insertion, and can be simply replaced.

상기 외벽레일(5)은 도 20 내지 도 21과 같이 아파트의 경우 각 세대의 발코니(A-2)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재(7)가 양측 세대의 발코니(A-2)로 대피한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여기서 각 세대의 발코니(A-2)는 탈출자가 대피할 수 있는 탈출구(H)가 된다.20 to 21, the outer wall rail 5 is installed between the balconies A-2 of each generation in the case of an apartment, and the elevating member 7 ascending and descending is taken out from the balcony A- The escapee can be rescued. Here, the balcony (A-2) of each household becomes an exit (H) through which the escapee can evacuate.

상기 이동레일(6)은 베이스(3)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승강부재(7)를 탑재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로 이동하여 탑재된 승강부재(7)를 상기 해당 외벽레일(5)로 공급하여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레일(6)의 내부 구조는 외벽레일(5)과 동일하다.The movable rail 6 is mounted on the base 3 and normally mounted on the lifting member 7 in the absence of a fire so that when the fire occurs the outer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 To move the mounted elevation member (7) to the corresponding outer wall rail (5) so that an escapee can be constructe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ving rail 6 is the same as that of the outer wall rail 5.

이러한 이동레일(6)은 승강부재(7)를 탑재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7)의 롤러(72)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롤러(72)가 통과하여 상기 외벽레일(5)로 이동할 수 있게 하부가 관통되며, 탑재된 승강부재(7)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위치가 낮은 하단부가 상기 외벽레일(5) 상단부와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3)에 장착되어, 이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각각의 외벽레일(5)과 일직선상으로 만나 화재발생시 탑재된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근접한 외벽레일(5)로 공급한다. The movable rail 6 is provided with a roller 72 of the elevating member 7 so as to be able to mount the elevating member 7 and to allow the roller 72 to move to the outer wall rail 5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is mounted on the base 3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wall rail 5, (3) cooperate with each other when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roof rail (2) while coming together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espective outer wall rails (5) and bringing the elevating member (7) And supplied to the outer wall rails 5.

상기 이동레일(6)은 승강부재(7)의 롤러(72)와 대응되며 그의 상부에 탑재된 승강부재(7)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윈치(10)의 와이어(10b)가 풀릴 때 별도의 하강수단이 없어도 자동으로 하강토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 하였다.The moving rail 6 corresponds to the roller 72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inclined so as to be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The structure is automatically reduced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lowering means.

상기 승강부재(7)는 탈출자가 탑승하여 지상으로 피신하는 탈것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옥상(A)에 설치된 이동레일(6)에 탑재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레일(6)에서 외벽레일(5)을 따라 하강하여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로 이동하여 탈출자를 탑승시킨 후 지상으로 운반하여 피신토록 하는 것이다.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a moving rail 6 installed on the roof A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fire occurs, and when a fire occurs, (6) to descend along the outer wall rail (5) and move to an exit (H) where the escapee is evacuated to board the escapee, and then transported to the ground for evacuation.

이러한 승강부재(7)의 구성은 탈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버킷형상으로 구성되고, 외부에 돌출된 아암(71) 단부에 롤러(72)가 설치되어 상기 외벽레일(5)과 이동레일(6)에 수용되어 이동토록 하며, 상기 아암(71)이 위치하는 측면에 제1,2바퀴(73)(74)가 장착되고, 상단부가 윈치(10)의 와이어(10b)와 연결되어 윈치(10)의 구동에 의해 이동레일(6) 및 외벽레일(5)을 따라 왕복승강이동하여 건축물 화재시 탈출구(H)로 대피한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피신시킨다. The elevating member 7 is constructed in a bucket shape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escapee can ride the vehicle. A roller 7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rm 71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wheels 73 and 74 are mounted on the side where the arm 71 is positioned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s 73 and 74 is connected to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Is driven by the winch 10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ovable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and escapes to the ground by boarding the escape hatch escaping to the escape opening H in case of building fire.

상기 승강부재(7)의 아암(71)은 상,하 각각에 2개를 구비하여 총 4개가 상기 외벽레일(5)과 이동레일(6)에 삽입되어 탈출자가 탑승할 때 승강부재(7)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아암(71)은 4개 이상 또는 이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많을수록 승강부재(7)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a total of four are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moving rail 6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7, . The arm 71 may be composed of four or more, or more, and the elevation member 7 may be more securely supported.

상기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은 경사진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가 윈치(10)의 와이어(10b)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 보관될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구속하고, 화재가 발생하여 윈치(10)의 와이어(10b)가 풀릴 때 자동으로 그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이 승강부재(7)를 구속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유는 상기 승강부재(7)와 연결된 윈치(10)의 와이어(10b)가 평상시 보관할 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이 와이어(10b)의 피로도를 줄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8 is a means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7 when the lifting member 7 mounted on the inclined moving rail 6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So that when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is released due to a fire, the restraint state is automatically released so that the escapee can be rescued. The reason for preventing the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8 from restraining the elevating member 7 from moving down in this way is to prevent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7 from stretching when it is normally stored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wire 10b and prolonging its service lif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의 구성은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힌지축(81a)을 중심으로 일측에 누름판(81b)이 타측에 멈춤판(81c)이 연장된 레버(81)가 구비되고 상기 멈춤판(81c)의 끝단에는 승강부재(7)의 제2바퀴(74)를 구속하는 스토퍼(81d)가 돌출된다. 상기 레버(81)의 힌지축(81a)이 이동레일(6) 사이에 위치한 받침대(8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81b) 하부에는 누름판(81b)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83)가 설치된다.The elevating member movement preventing means 8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stituted such that a push plate 81b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hinge axis 81a and a detent plate 81c is extended on the other side And a stopper 81d for restricting the second wheel 74 of the elevating member 7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detent plate 81c. A hinge shaft 81a of the lever 81 is rotatably installed on a pedestal 82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rails 6 and an elastic member 83 for pushing up the press plate 81b is provided below the press plate 81b, Respectively.

그러므로, 윈치(10)의 와이어(10b)의 당김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하기 위해 경사진 이동레일(6)로 진입하여 제1바퀴(73)가 상기 누름판(81b)을 눌러 레버(81)를 회전시킬 때 그와 동시에 레버(81)의 멈춤판(81c)이 상승하여 스토퍼(81d)가 제2바퀴(74) 후방을 차단하여 구속함으로써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된 상태로 보관 중일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is pulled, the elevating member 7 enters the inclined moving rail 6 to be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The stopper 81c of the lever 81 rises and the stopper 81d blocks the rear of the second wheel 74 to restrain the lift 81 by rotating the lever 8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due to its own weight when it is being stor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은 승강부재(7)의 롤러(72)가 이동레일(6)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함에 따라 도 11과 같이 상기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로 진입하여 그의 제1바퀴(73)가 받침대(82) 외부로 돌출된 레버(81)의 누름판(81b)을 누르면 이 승강부재(7)가 공중으로 들어올려지지 않으므로 도 12와 같이 레버(81)의 누름판(81b)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탄성부재(83)를 압축시키고, 이와 동시에 레버(81)의 멈춤판(81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멈춤판(81c) 끝단에 돌출된 스토퍼(81d)가 받침대(82) 외부로 상승하여 제2바퀴(74) 후방을 차단하여 승강부재(7)를 구속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은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될 때 승강부재(7)의 제1바퀴(73)가 누름판(81b)을 누르기만 하면 승강부재(7)의 제2바퀴(74)가 스토퍼(81d)에 의해 자동 구속되므로, 결국 승강부재(7)는 별도의 엑추에이터와 같은 복잡한 구동장치를 갖추지 않고도 자승자박 형태로 구속되어 평상시 옥상(A)에 보관할 때 윈치(10)의 와이어(10b)가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1, when the roller 72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moved in the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moving rail 6, the elevating member 7 is moved The elevating member 7 is not lifted into the air when the first wheel 73 enters the rail 6 and presses the pressing plate 81b of the lever 81 protruding from the pedestal 82. Therefore, The pressing plate 81b of the lever 8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descends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83. At the same time, the detent plate 81c of the lever 8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topper 81d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plate 81c ascends to the outside of the pedestal 82 and blocks the rear of the second wheel 74 to restrain the elevating member 7. [ When the first wheel 73 of the elevation member 7 presses the pressure plate 81b only when the elevation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The second wheel 74 of the member 7 is automatically restrained by the stopper 81d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7 is restrained in the form of a snooker ball without a complicated driving device such as a separate actuator,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한편, 상기 탄성부재(83)는 화재발생시 와이어(10b)가 풀림에 따라 승강부재(7)가 외벽레일(5)로 이동하여 이동레일(6)에서 벗어나면, 즉시 축적된 탄성이 풀리면서 레버(81)의 누름판(81b)을 들어올리고 멈춤판(81c)이 원상태로 복원하여 스토퍼(81d)가 받침대(82)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승강부재(7)가 탈출자를 구조한 다음 다시 이동레일(6)로 복귀할 때 스토퍼(81d)는 받침대(82)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승강부재(7)의 제1,2바퀴(73)(74)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When the elevating member 7 is moved to the outer wall rail 5 and deviates from the movable rail 6 as the wire 10b is loosened in the event of a fire, the elastic member 83 is released from the accumulated elasticity, The retaining plate 81b of the retaining plate 81 is lifted and the retaining plate 81c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stopper 81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82. [ The stopper 81d is positioned inside the pedestal 82 when the elevating member 7 is moved back to the moving rail 6 after the escape member is construc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heels 73, (74).

상기 중량감지센서(9)는 탈출자가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일정 무게 이상이 될 때 이를 감지하는 일종의 압력센서이다. 상기 중량감지센서(9)가 승강부재(7)에 탑승한 탈출자의 무게를 감지하면 이 감지된 정보를 콘트롤러(C)에 보내고, 콘트롤러(C)는 수신한 무게 정보가 미리 입력된 무게 정보보다 크면 승강부재(7)에 탈출자가 탑승했다는 것을 인식하여 이후 윈치(10)의 모터(10a)를 구동시켜 승강부재(7)를 지상까지 하강시킨다. The weight detection sensor 9 is a kind of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when the escapee is aboard the elevation member 7 and reaches a predetermined weight or more. When the weight sensing sensor 9 senses the weight of the escapee aboard the elevating member 7, the sensed information is sent to the controller C. The controller C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weight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weight information It recognizes that the escapee is boarded on the elevating member 7 and drives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to lower the elevating member 7 to the ground.

상기 윈치(10)는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승강부재(7)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3)에 설치되고, 모터(10a)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정,역회전하고 이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10b)가 상기 승강부재(7)와 연결되어 승강부재(7)를 승강시킨다. 상기 윈치(10)는 화재발생시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모터(10a)가 구동하여 와이어(10b)를 풀어 이 와이어(10b)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 및 지상으로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윈치(10)의 모터(10a)는 와이어(10b)를 감아 승강부재(7)를 이동레일(6)에 탑재시킬 때 제2감지센서(12)가 이동하는 승강부재(7)를 감지하면 즉시 구동이 정지되어 승강부재(7)가 모터(10b)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winch 10 is provided on the base 3 to drive the elevator member 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The winch 10 is driven by the motor 10a, And the wire 10b wound around the drum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7 to lift the elevating member 7 up and down. The winch 10 is driven by the motor 10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to release the wire 10b and to move the lift member (not shown)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7) to the exit (H) where the escapee escapes and to the ground.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senses the elevation member 7 in which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moves when the elevation member 7 is hoisted on the moving rail 6 by winding the wire 10b The driving is immediately stopped to prevent the lifting member 7 from colliding with the motor 10b.

상기 제1감지센서(11)는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이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화재가 발생할 때 한 쌍만 ON 상태가 된다. 제1감지센서(11)는 이동레일(6)측에 이동센서(11a)가 설치되고 외벽레일(5)측에 고정센서(11b)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3)의 이동에 따라 이동레일(6)측에 설치된 이동센서(11a)가 왕복이동하면서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고정센서(11b)를 감지할 때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이 일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센서(11a)는 베이스(3)에 설치하였다. 상기 외벽레일(5)측에 설치되는 고정센서(11b)는 도 18과 같이 병렬로 배치된 각 외벽레일(5)에 대응되게 설치되므로 복수 개가 사용된다. The first sensing sensor 11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ovable rail 6 when the movable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first sensing sensor 11 includes a moving sensor 11a provided on the moving rail 6 side and a fixed sensor 11b provided on the outer wall rail 5 side. The movement sensor 11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ovable rail 6 reciprocat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se 3 to detect the fixed sensor 11b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rail 5,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sensor 11a is provided on the base 3. The fixing sensors 11b provided on the outer wall rail 5 side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wall rails 5 arranged in parallel as shown in FIG. 18, and thus a plurality of fixing sensors 11b are used.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여 외부에서 리모컨으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면 콘트롤러(C)가 많은 고정센서(11b) 중 그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을 표시하는 해당 고정센서서(11b)만 ON 상태로 제어하게 되고, 이후 베이스(3)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ON 상태의 이동센서(11a)가 ON 상태에 있는 하나의 고정센서(11b)를 감지하면 승강부재(7)를 탑재한 이동레일(6)과 해당 외벽레일(5)이 일치되어 승강부재(7)는 해당 외벽레일(5)로 즉시 이동하여 탈출자를 구조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opening H from which the escape person escapes from the outside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by the fire due to the fire,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among the many fixed sensors 11b Only the corresponding fixed sensor book 11b to be displayed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and then the moving sensor 11a in the ON state installed in the base 3 detects one fixed sensor 11b in the ON state The moving rails 6 on which the elevating members 7 are mounted are aligned with the corresponding outer wall rails 5 so that the elevating members 7 are immediately moved to the corresponding outer wall rails 5 to construct an escape hanger.

상기 제1감지센서(11)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 즉 스탭스위치식, 섭동저항식, 정전용량식, 차동 트랜스식, 근접 스위치(영구자석+자기 센서)식, 광전 스위치(광원+광전소자)식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광원을 감지하는 한 쌍의 광전 스위치를 사용하여 어느 일측이 광을 조사하면 타측이 그 광을 감지할 때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이 일치되게 하였다.The first sensing sensor 11 may be a variety of known sensors, such as a step-switch type, a perturbation resistance type, a capacitive type, a differential trans type, a proximity switch (permanent magnet + magnetic sensor) type, a photoelectric switch (light source + photoelectric element) And so on. For example, when a pair of photoelectric switches sensing a light source is used to irradiate light, the movable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are aligned when the other side senses the light.

상기 제2감지센서(12)는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될 때만 베이스 이동수단(4)이 베이스(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레일(6) 또는 받침대(82)에 설치되어 승강부재(7)의 탑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감지센서(12)는 승강부재(7)가 근접될 때 그를 감지하는 일종의 근접센서이다. 상기 제2감지센서(12)는 평상시에 항상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된 상태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시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3)가 해당 외벽레일(5)로 이동하여 승강부재(7)가 그 외벽레일(5)로 이동하여 탈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탈출자를 구조하기 위해 승강부재(7)가 해당 외벽레일(5)로 이동하여 이동레일(6)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이동레일(6)은 승강부재(7)가 다시 복귀되어 탑재될 때까지 그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is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or the pedestal 82 so that the base moving means 4 can move the base 3 only when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is a kind of proximity sensor that senses the elevation member 7 when it approaches.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senses the state where the lifting member 7 is always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and the base 3 is moved to the outer rail 5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oved to the outer wall rail 5 so that the escapee can be constructed. The movable rail 6 is moved to the elevation member 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when the elevation member 7 moves to the corresponding outer wall rail 5 and does not exist on the movable rail 6 in order to construct the escapement. And then waits at that position until it is mounted again.

본 발명에서 "해당"이란 용어는 화재발생시 승강부재(7)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관련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구성요소 앞에 사용됨을 밝힌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rresponding " refers to a related component which gu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lifting member 7 moves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e escapes, in the event of a fire.

상기 제3감지센서(13)는 승강부재(7)가 각 외벽레일(5)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부재(7)와 건축물의 각층 전역에 설치된 탈출구(H)가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 19와 같이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각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를 포함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제3감지센서(13)는 한 쌍만 ON 상태가 되어 서로를 감지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탈출자가 대피한 해당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만 ON 상태가 된다.The third sensing sensor 13 senses the position when the elevating member 7 is lifted along the outer wall rails 5 and the elevating member 7 is aligned with the escape opening H installed in the entire floor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19, includes a moving sensor 13a provided on the elevation member 7 and a fixed sensor 13b provided on each of the escape holes H, as shown in Fig. When a fire occurs, only one pair of third sensor 13 is turned on to sense each other. That is, when a fire occurs, only the moving sensor 13a provided on the elevating member 7 and the fixed sensor 13b provided on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is evacuated ar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더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외부에서 리모컨으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면 콘트롤러(C)는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를 ON 상태로 하고, 또한 많은 고정센서(13b) 중 탈출자가 대피한 해당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만 ON 상태로 제어한다. 그러므로 승강부재(7)가 해당 외벽레일(5)을 따라 하강하면서 이동센서(13a)와 해당 고정센서(13b)가 일치될 때 정지되고, 이 때 승강부재(7)와 해당 탈출구(H)는 일치되므로 탈출자는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지상으로 피신하게 된다. 상기 각 탈출구(H)에 설치되는 고정센서(13b)는 건축물의 모든 탈출구(H)에 대응되게 설치되므로 복수 개가 사용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and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scape opening H from which the escapee escapes from the outside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roller C turns on the movement sensor 13a provided on the elevation member 7, Only the fixed sensor 13b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exit H out of the many fixed sensors 13b evacuated is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Therefore, the elevating member 7 and the escape opening H are stopped when the elevating member 7 descends along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moving sensor 13a and the corresponding fixing sensor 13b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scapee can ride on the elevating member 7 and escape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fixing sensors 13b installed in the respective escape halls H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all the escape halls H of the building.

상기 제4감지센서(14)는 상기 승강부재(7) 저면에 설치되고, 이 승강부재(7)가 탑승한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키기 위해 하강하여 지상에 근접될 때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C)가 윈치(10)의 모터(10a) 구동을 정지시켜 승강부재(7)가 지상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4감지센서(14)도 지상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의 일종이다.The fourth sensing sensor 14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7. When the elevating member 7 descends to escape to the ground and escapes to the ground, The driving of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is stopped to prevent the elevating member 7 from colliding with the ground. The fourth sensing sensor 14 is also a kind of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the ground.

상기 지지벽(15)은 탈출자를 구조할 때 와이어(10b) 자체의 무게, 승강부재(7)의 무게, 탑승자의 무게 등으로 와이어(10b)에 큰 인장력이 발생하여 베이스(3)를 장착하고 있는 옥상레일(2)이 옥상(A)에서 분리되는(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옥상의 난간(A-1) 측벽에 돌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벽(15)이 베이스(3)를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옥상(A)의 난간(A-1)을 통상의 건축물처럼 옥상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테두리 안쪽으로 이동시켜 세움 설치하고, 베이스(3)를 포함한 본 발명의 장치(1)를 옥상 테두리와 상기 난간(A-1) 사이에 확보된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중요한 기술적 사상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특허여부 심사시, 특허침해에 따른 권리범위 해석시 난간(A-1) 위치도 참고되어야 할 것이다.The supporting wall 15 generates a large tensile force on the wire 10b due to the weight of the wire 10b itself, the weight of the elevating member 7, the weight of the occupant, 1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roof rail 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of A and projecting on the side wall of the roof railing A-1.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railing A-1 of the roof A is formed at the rim of the roof like a normal building so that the support wall 15 can support the base 3 from above It is one of important technical ideas that th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ase 3 is intention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rim and installed in a place secured between the roof rim and the rail A-1. Therefore, when examining a patent,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position of the handrail (A-1) in interpreting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patent infringement.

본 발명의 취지는 대형빌딩의 최상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높이에 상관없이 탈출구로 대피한 탈출자를 구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인명 구조가 어려운 초대형 빌딩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초대형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탈출자를 구조하여 지상에 도착해야 하므로 와이어(10b)는 옥상(A)에서 지상까지 연장되어야 하므로 그 연장된 길이만큼 무게가 증가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rge-sized building with a difficulty in life-saving because it is intended to construct an escapee that escapes to an escape port regardless of the height even if a fire occurs in the uppermost part of a large building. Therefore, if a fire occurs in a very large building, the wire 10b must extend from the roof (A) to the ground because the escapee must be rescued and reach the ground.

따라서 옥상레일(2)은 베이스(3)를 받침 지지하고 있고, 이 베이스(3)에는 와이어(10b)가 감긴 윈치(10)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결국 옥상레일(2)은 와이어(10b)에 발생된 인장력이 그대로 작용하여 이 와이어(10b)의 무게, 승강부재(7)의 무게, 탑승자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큰 인장력(옥상레일이 옥상에서 뽑혀 이탈되려고 하는 힘)을 받는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10b)에 작용된 인장력에 의해 베이스(3)는 이동센서(11a)와 근접거리에 있는 외측 옥상레일(2)을 축으로 지지벽(15)과 근접거리에 있는 단부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지지벽(15)과 근접거리에 있는 내측 옥상레일(2)도 상방향으로 뽑히려는 힘이 작용한다.The rooftop rail 2 supports the base 3 and the winch 10 with the wire 10b wound thereon is mounted on the base 3 so that the roof rail 2 is connected to the wire 10b The generated tensile force acts as it is to receive a large tensile force (a force to pull the roof rail out of the roof and to be separated) since the weight of the wire 10b, the weight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the weight of the passenger must be paid. 1, the tension of the wire 10b causes the base 3 to be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support wall 15 on the axis of the outer roof rail 2, which is close to the movement sensor 11a. The upper roof rail 2 located close to the support wall 15 also exerts an upward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옥상레일(2)은 주로 앵커 볼트(anchor bolt)를 이용하여 옥상(A) 바닥에 고정되므로 옥상의 피해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량의 앵커 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고정력이 취약하므로 상기와 같은 큰 인장력이 발생하면 옥상(A)에서 뽑혀 베이스(3)와 함께 추락하는 우려가 있다. Since the rooftop rail 2 is fixed to the floor of the roof A by using an anchor bolt, if the anchor bolt is not used in an amount sufficient to prevent damage to the roof,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pulled out from the rooftop (A) and falls with the base (3).

본 발명의 지지벽(15)은 이러한 문제을 해결할 수 있도록 옥상(A)과 일체로 형성된 난간(A-1)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하부 장착된 브래킷(16)이 왕복이동하는 베이스(3)를 상부에서 지지하여 옥상레일(2)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을 상쇄시켜 옥상레일(2)의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The support wall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wall of the parapet A-1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of A so a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 base 3 on which the bracket 16 mounted thereon is reciprocated,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roof rail 2 by canceling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roof rail 2.

상기 브래킷(16)은 옥상레일(2)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벽(15) 저면되고,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베이스(3) 일측단 상부를 가압하여 베이스(3)가 옥상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racket 16 is supported on the bottom wall of the support wall 15 in parallel with the roof rail 2 so as to press the top of one side of the base 3 reciprocating along the roof rail 2,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상기 이동브러쉬(17)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베이스(3) 측면에 장착되고, 승강부재(7)를 운반하기 위해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와 접촉하여 그 고정센서(11b)를 청소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브러쉬(17)는 부드럽고 가는 굵기를 가진 낱개의 브러쉬가 모아진 형태로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이동브러쉬(17)는 이동센서(11a) 양측에 설치되어 도 6의 상태에서 베이스(3)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어느 하나가 고정센서(11b)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ving brush 17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3 as shown in Figs. 5 to 8 and is fixed to the fixing sensor (not shown) of the first sensing sensor 11 when the base 3 is moved to carry the elevating member 7 11b to clean the fixing sensor 11b. The moving brush 17 uses a known brush which is widely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in the form of a collection of brushes each having a smooth and thin thickness. The moving brush 17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ement sensor 11a so that any one of the movement brushes 17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3 in the state of FIG. 6 so that the fixed sensor 11b can be cleaned.

상기 장애물 제거부재(18)는 상기 이동브러쉬(17) 양측에 장착되고,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위치한 장애물을 치워 제거한다. 여기서, 장애물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문제가 된 것은 겨울철 옥상에 내려 쌓인 눈이라 할 수 있다.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는 빛으로 서로를 감지하는데, 쌓인 눈이 이 빛을 차단하면 이동센서(11a)가 고정센서(11b)에 도달하여도 서로가 빛을 감지하여 못하면 이동레일(6)이 외벽레일(5)과 일치하는 위치를 찾지 못하여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위치한 탈출구(H)로 운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장애물 제거부재(18)는 견고한 금속재로 구성되어 베이스(3)가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쌓인 눈을 치우거나 이동시켜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가 빛을 송수신하는 경로상에서 제거한다. 상기 장애물 제거부재(18)의 경우도 베이스(3)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어느 하나가 고정센서(11b)를 청소할 수 있도록 이동센서(11a) 양측에 설치된다.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rush 17 and removes an obstacle located between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ing sensor 11b when the base 3 moves. Here, there can be many obstacles, but the most problematic thing is the snow piled up on the winter rooftop.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detect each other by light. If the accumulated snow blocks the light, if the moving sensor 11a reaches the fixed sensor 11b,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il 6 can not locate the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elevating member 7 can not be carried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person is loc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is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so that when the base 3 moves, the moving eye sensor 11a and the fixing sensor 11b light up It is removed on the sending / receiving path. In the case of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either one of the obstacle removing members 18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sensor 11a so that the fixed sensor 11b can be clean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3 moves.

상기 고정브러쉬(19)는 상기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측에 설치되고 청소모터(19a)에 의해 회전하면서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 베이스(3) 측면에 장착된 이동센서(11a)를 청소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브러쉬(19)는 청소모터(19a)의 샤프트에 고정되고 그 형태는 이동브러쉬(17)와 동일하다. 또한 고정센서(11b) 양측에 각각 청소모터(19a)를 배치하여 베이스(3)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브러쉬(19)는 어느 하나가 이동센서(11a)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xed brush 19 is installed on the fixed sensor 11b side of the first sensing sensor 11 and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3 when the base 3 is rotat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cleaning motor 19a And the moving sensor 11a is cleaned. The fixed brush 19 is fixed to the shaft of the cleaning motor 19a, and its shape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ving brush 17. The cleaning motor 19a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sensor 11b so that any one of the fixed brushes 19 can clean the moving sensor 11a even if the base 3 moves in any direction.

여기서, 상기 이동브러쉬(17)와 고정브러쉬(19)는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서로 만나 접촉하게 되는데, 이 때 서로의 틈새로 통과하거나 구부러지면서 통과하게 되므로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브러쉬(19)는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장애물 제거부재(18)와 충돌하게 되는데, 이 때도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잘 구부려져 손상되지 않는다.Here, the moving brush 17 and the stationary brush 19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ase 3 moves, but are not damaged because they pass through the gap or bend and pass through each other. Also, the stationary brush 19 collides with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when the base 3 moves. At this time, too, the stationary brush 19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is not bent and damaged.

상기 고정브러쉬(19)가 설치된 청소모터(19a)는 콘트롤러(C)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데, 일 실시예로 베이스(3)가 이동 중일 때 ON 상태로 구동되어 고정브러쉬(19)를 회전시키고, 베이스(3)가 정지될 때 OFF 상태가 되어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tor 19a provided with the stationary brush 19 is controlled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C. In one embodiment, when the base 3 is moving, the stationary brush 19 is driven in an ON state to rotate the stationary brush 19 , And when the base 3 is stopped, it is in the OFF state and can stop driving.

상기 측면롤러(20)는 승강부재(7)의 아암(71) 단부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2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암(71)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71)이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벽레일(5) 내벽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마찰을 줄이게 된다.The side roller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a receiving groove 20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arm 71, The inner wall of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6 are in rolling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friction when moving inside the movable rail 5 and the movable rail 6. [

따라서, 상기 측면롤러(20)는 그 외부에 조립되는 롤러(72)와 함께 협력하여 마찰을 최소화하여 탑승감을 향상시킨다.Thus, the side roller 20 cooperates with the roller 72 assembled on its outside to minimize friction and improve ride quality.

상기 탄성부재(21)는 측면롤러(20)가 수용홈(20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롤러(20)의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5와 같이 측면롤러(20)가 수용홈(20a)에 삽입되면 별도의 장치를 갖추지 않으면 다시 수용홈(20a)에서 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측면롤러(20)의 양측 샤프트 중 길이가 긴 샤프트를 탄성부재(21)가 가압하면 짧은 길이를 가진 샤프트가 홈에서 빠지지 않아 측면롤러(20)는 수용홈(20a)에서 빠지지 않는다.The elastic member 21 functions to closely contact the shaft of the side roller 20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ide roller 20 does not separate from the receiving groove 20a. More specifically, if the side roller 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0a as shown in FIG. 15, if the side roller 20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device, it can be removed again from the receiving groove 20a. When the elastic member 21 presses the long shaft, the shaft having the short length does not fall out of the groove, so that the side roller 20 does not fall out of the receiving groove 20a.

상기 스러스트베어링은 공학적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의 축방향(길이방향)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따라서 상기 스러스트베어링(22)은 측면롤러(20)의 샤프트 단부와 탄성부재(21) 사이에 끼워져 이들이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내부에 조립된 원형볼을 매개로 일측은 측면롤러(20)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탄성부재(21)와 밀착 정지되어 탄성부재(21)가 샤프트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측면롤러(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rust bearing is a bearing that supports the axi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ine rotating shaft. Therefore, the thrust bearing 22 is sandwiched between the shaft end portion of the side roller 20 and the elastic member 21 so as not to contact the shaft roller 20, And the other sid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1 so that the side roller 20 can be rotated while blocking the elastic member 21 from contacting the shaft.

상기 관창지지대(23)는 탈출자를 구조한 후에 승강부재(7)에 탑승한 소방관이 소화전의 관창을 고정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관창지지대(23)는 도 16 내지 도 17과 같이 일단이 승강부재(7)의 프레임(7a) 상부에 힌지핀(23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7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로킹부재(23b)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며, 상부에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전의 관창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부재(23c)가 장착된다.The bulb support base 23 is constructed so that a firefighter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7 after the evacuator is constructed can fix the nozzle of the fire hydrant and suppress the fire. 16 to 17, one end of the nozzle support 2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7a of the elevation member 7 by a hinge pin 23a and the other end of the nozzle support 23 is movable on the frame 7a. And a fixing member 23c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o fix the nozzle of the fire hydrant so as to suppress the fire.

상기 관창지지대(23)는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에 장착된 고정부재(23c)는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링 내부에 소화전의 관창을 끼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로킹부재(23b)는 승강부재(7)의 프레임(7a)의 상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관창지지대(23)의 단부를 쉽게 잠금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The nozzle support 23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fixing member 23c mounted on the nozzle support 23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a nozzle of a fire hydrant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ing. The locking member 23b is configured to be freely movably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7a of the elevation member 7 so as to be able to freely move so that the end of the nozzle support 23 can be easily locked or unlocked.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창지지대가 승강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7은 상기 관창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회전시켜 승강부재 프레임과 일치시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member,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nozzle support is rotated, to be.

본 발명은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가 도달하지 않은 초고층 건축물에 시공되어 인명을 구조하는 장치이므로, 고가 사다리가 짧아 사용하지 못할 때 그것을 대신하여 소방관이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상기 관창지지대(23)를 승강부재(7)의 프레임(7a)에 장착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skyscraper that does not reach the elevated ladder of a fire truck and rescues life span. Therefore, when the expensive ladder is short and can not be used, a firefight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7 to suppress the fire prematurely The nozzle support 23 is mounted on the frame 7a of the elevating member 7. [

건축물의 초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곳은 고가 사다리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소방관이 건축물 내부로 직접 진입하여 화재현장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하게 되므로 소방관은 위험에 노출된다. When a fire occurs in a superstructure of a building, firefighters are direct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because they do not reach the elevated ladde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탈출자를 구조한 다음에 승강부재(7)에 소방관이 탑승하여 관창지지대(23)의 고정부재(23c)에 소화전의 관창을 끼운상태에서 화점에 물을 발사하여 건축물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만약 화염이 심할 경우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승강부재(7)의 위치를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such a problem at all. In other words, after the escapee is constructed, firefighters are mounted on the elevation member 7 and water is emitted into the fire point in a state where the fire extinguishing gu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23c of the nozzle support base 23, Because it can suppress the fire, safety can be assured. If the flame is severe, the fire may be extinguished while the elevation member 7 is moved to a safe place by using a remote control.

상기 콘트롤러(C)는 탈출자를 구조하여 대피시키는 과정에서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서 지상에 도착할 때까지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다. The controller C controls all necessary components until the elevating member 7 reaches the ground on the moving rail 6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escaping the escapee.

이를 위해, 상기 콘트롤러(C)는 탈출구(H)의 위치정보 및 탈출자의 체중과 대비되는 중량정보를 포함한 필요한 모든 정보가 미리 입력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 제1감지센서(11)의 감지신호, 제2감지센서(12)의 감지신호, 제3감지센서(13)의 감지신호, 제4감지센서(14) 감지신호 및 중량감지센서(9)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윈치(10) 및 베이스 이동수단(4)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제어방법은 후술하는 탈출자 구조과정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C inputs all necessary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xit H and weight information comparable to the body weight of the escaping person, and inputs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outside, detection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The winch 1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or 12,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hird sensor 13,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urth sensor 14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ight sensor 9, And the driving of the base moving means 4 are controlled. The detailed control method fo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ocess of the escape structure described later.

상기 입력수단은 건축물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의 위치정보를 상기 콘트롤러(C)에 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입력수단의 일 실시예는 콘트롤러(C)에 무선방식으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리모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컨을 승강부재(7), 또는 건축물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승강부재(7)와 건축물 경비실에 모두 구비하여, 승강부재(7)에 탑승한 탈출자 또는 건축물 근무자가 직접 콘트롤러(C)에 명령을 입력하여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승강부재(7)의 승강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means is for inpu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e escapes when the building fire occurs, to the controller (C). The input unit may use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manner to the controller C.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member 7 or the building guard or management room or the elevator member 7, So that an escapee or a building worker boarding the elevating member 7 can directly input a command to the controller C so that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anually controlled as necessary.

더 바람직하게는, 건축물의 각 세대에 모두 리모컨을 공급한다. 이 경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때 대부분 입주자가 탈출자가 되므로 입주자는 보유한 리모컨으로 자신의 위치정보, 즉 세대호수를 입력하면 승강부재(7)가 즉시 탈출구(H)인 해당 아파트의 발코니에 도착하므로 스스로 대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세대에 리모컨을 공급할 경우에 본 발명은 탈출자가 누구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구조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게 된다.More preferably, the remote control is supplied to each generation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most of the tenants are escaped. Therefore, when the tenant inputs his or her own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household lake, the elevator 7 immediately arrives at the balcony of the apartment, You can evacuate. Therefore, when a remote controller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self-rescuing without any help from the escapee.

다음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1)를 이용하여 대형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때 인명을 구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1)가 도 20 내지 도 21과 같이 초고층 아파트에 설치된 것을 실시예로 들어 인명을 구조하는 것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rescue of life when a fire occurs in a large building using the fire-fighting building unmanned life-sav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it is described that the fire fighting building lifeless lifesav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igh-rise apartment as shown in FIGS.

본 발명이 설치된 초고층 아파트에 화재가 발명하여 탈출자가 탈출구(H)인 아파트 발코니(A-2)로 대피하여 구조신호를 보내면, 아파트 관리실이나 경비실의 근무자는 해당 탈출구(H)의 위치를 확인하여 즉시 입력수단인 리모컨에 해당 탈출구(H) 위치정보를 입력시킨다. 예컨대 도 20의 경우 601호에 화재가 발생하였으므로 601호를 입력시키고, 도 21의 경우 906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므로 906호를 입력시킨다. 상기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리모컨은 이 위치정보를 콘트롤러(C)에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콘트롤러(C)는 이 위치정보와 일치된 미리 입력된 해당 탈출구(H)의 위치를 확인하여 중량감지센서(9), 제1감지센서(11) 중 베이스(3)에 설치된 이동센서(11a)와 탈출자가 대피한 해당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해당 고정센서(11b), 제2감지센서(12), 제3감지센서(13) 중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에 설치된 해당 고정센서(13b), 제4감지센서(14), 베이스 이동수단(4) 및 윈치(10), 청소모터(19a)를 ON 상태로 제어한다.When a fire is invented in a skyscraper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pee evacuates to the apartment balcony (A-2) having the escape opening (H) and sends a rescue signal. A worker in the apartment management room or security room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escape opening And inputs the exit position H position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which is an immediate input mea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20, since a fire has occurred in No. 601, 601 is input, and in FIG. 21, a fire has occurred in 906, so that 906 is input.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C. The controller C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exit port H previously match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A moving sensor 11a provided on the base 3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and a corresponding fixing sensor 11b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A moving sensor 13a provided on the elevation member 7 among the first detection sensor 12, the second detection sensor 12 and the third detection sensor 13 and a corresponding fixed sensor 13b provided on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e is evacuated, The sensor 14, the base moving means 4, the winch 10, and the cleaning motor 19a to the ON state.

상기 콘트롤러(C)의 제어에 따라 다음 구조작업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제2감지센서(12)가 이동레일(6)상에 승강부재(7)가 탑재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이 베이스(3)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해당 외벽레일(5)로 이동시키고 이동하는 베이스(3)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11)의 이동센서(11a)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ON 상태에 있는 고정센서(11b)를 감지할 때 정지되어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을 일치시킨다. The following structural work is performed continuous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When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senses that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the base moving means 4 moves the base 3 through the escape opening H The movement sensor 11a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installed on the moving base 3 moving to the closest corresponding outer wall rail 5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The movable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are brought into alignmen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이 일치하는 과정에서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때 장애물 제거부재(18)가 이동하면서 장애물을 밀치거나 강제로 이동시켜 제거하면 이동브러쉬(17)는 고정센서(11b)와 접촉하여 청소하고, 고정브러쉬(19)는 청소모터(19a)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센서(11a)와 접촉하여 청소함으로써 양측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는 서로를 감지하기 전에 청소가 진행되어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obstacle is present between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in the course of matching the moving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as described above,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moves and pushes the obstacle, The moving brush 1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sensor 11b to be cleaned and the stationary brush 19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ing sensor 11a which moves while rotating by the cleaning motor 19a to clean the stationary brush 19,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are cleaned before detecting each other so that no malfunction occurs.

계속해서, 윈치(10)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10b)를 풀면 경사진 이동레일(6)상에 탑재된 승강부재(7)는 자중에 의해 레버(81)를 회전시키면서 하강하여 그의 제2바퀴(74)가 레버(81)의 멈춤판(81c)에 돌출된 스토퍼(81d)에서 벗어나 외벽레일(5)로 이동한 후 자체에 설치된 이동센서(13a)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에 설치되어 ON 상태에 있는 유일한 해당 고정센서(13b)를 감지할 때 정지된다.Subsequently, when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is driven to release the wire 10b wound on the drum,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inclined moving rails 6 moves the lever 81 The second wheel 74 moves away from the stopper 81d protruding from the detent plate 81c of the lever 81 and moves to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n the movement sensor 13a installed in the second wheel 74 escapes And is stopped when it detects the only fixed sensor 13b installed in the evacuation port H that has evacuated itself and is ON.

이후, 탈출자가 상기 정지된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중량감지센서(9)가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무게가 미리 입력된 무게 이상이 되면 윈치(10)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승강부재(7)를 다시 하강시키고 이 과정에서 승강부재(7) 하부에 설치된 제4감지센서(14)가 지상을 감지할 때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7)에 탑승한 탈출자는 지상으로 피신하게 된다. When the weight sensor 9 senses the weight of the occupant and the sensed we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viously input weight,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is driven by the elevator 7 And the elevation member 7 is lowered again. In this process, when the fourth sensing sensor 14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on member 7 senses the ground, it is stopped. Therefore, the escapee aboard the elevating member 7 escapes to the ground.

상기 구조과정에서 탈출자가 승강부재(7)에 탑승 완료하여도 중량감지센서(9)가 고장 등으로 탈출자가 탑승한 것을 인식하지 못하면, 탈출자 또는 근무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승강부재(7)를 하강시켜 구조를 완료한다. If the escapee does not recognize that the escapee is boarding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even if the escapee finishes boarding the elevation member 7 in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process, the escapee or the worker can use the remote control to elevate the elevation member 7 Descend to complete the structure.

도 20은 고층 아파트의 601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옥상(A)에 설치된 승강부재(7)가 601호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로 이동하여 탈출구(H)인 발코니(A-2)에 위치하여 탈출자를 탑승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21은 고층 아파트 906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동일한 방법으로 탈출자를 탑승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20 shows that the elevation member 7 installed on the roof A moves to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door 601 when a fire occurs in the high floor apartment No. 601 and the balcony A- FIG. 2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boarding an escapee in the same way when a fire occurs in a high-rise apartment 906. FIG.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모든 구조과정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초대형 건축물의 상층부를 포함한 높이에 상관없이 탈출구(H)가 위치하는 곳이라면 그 어디든지 지체없이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킬 수 있으므로 귀중한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all structural processes are automatically and rapidly performed in the event of a fire, regardless of the height including the upper part of the very large building, the escape hitch can be escaped to the ground without delay Therefore, it is a beneficial invention that can minimize the loss of valuable human life.

또한, 본 발명은 전 구조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소방차와 소방관 없이 자체적으로 인명을 구출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 등으로 소방차가 늦게 도착하거나 또는 도착하더라도 너무 상층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고가 사다리가 탈출자에 근접하지 못할 경우에도 이와 무관하게 인명을 안전하면서도 쉽게 구조할 수 있는 권장할 만한 소방용 구조장치이다.In addition, since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cue people without fire engines and firefighters. Therefore, even if a fire truck arrives late due to an obstacle or the like, This is a recommended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can safely and easily rescue people regardless of this.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 승강부재(7)가 안전한 옥상(A)에 보관되어 있고, 또한 승강부재(7)의 제1바퀴(73)가 누름판(81b)을 누르기만 하면 승강부재(7)의 제2바퀴(74)가 스토퍼(81d)에 의해 자동 구속되므로 승강부재(7)에 연결된 와이어가(10b) 평상시에 인장되지 않아 와이어(10b)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인명 구조장치라 하겠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member 7 is normally stored in the safe roof A and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ly when the first wheel 73 of the elevating member 7 presses the pressing plate 81b, The second wheel 74 of the wire 10b is automatically restrained by the stopper 81d so that the wire 10b connected to the elevation member 7 is not pulled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life of the wire 10b can be extended, It is a lifesaving device.

또한, 인명구조시 지상까지 연장된 와이어(10b)에 의해 옥상레일(2)에 큰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벽(15)과 브래킷(16)이 베이스(3) 상부를 지지하여 옥상레일(2)이 옥상에서 뽑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익한 인명 구조장치이다. Even if a larg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roof rail 2 by the wire 10b extended to the ground during lifesaving, the support wall 15 and the bracket 16 support the top of the base 3, It is a beneficial lifesaving device that does not cause the phenomenon to be extracted from the roof and can provide safety.

또한, 장애물 제거부재가 장애물을 제거하고, 이동브러쉬와 고정브러쉬가 서로 상대방 센서를 청소하여 인명 구조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고장없이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In addition,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removes obstacles, and the moving brush and the stationary brush clean each other's sensors to prevent malfunctions in the lifesaving structure, which is an advantageous invention that can rescue people without trouble.

또한, 탈출자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롤러(20)가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완화된 충격과 진동으로 탑승감을 향상시키는 유익한 발명이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scapement, the side roller 20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movable rail 6, thereby improving the feeling of riding due to the relieved shock and vibra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로 진압할 수 없는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고가 사다리 대용으로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건축물 외부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fire by using it as a substitute for a high-priced ladder when a fire occurs in a skyscraper that can not be suppressed by a high-price ladder of a fire truck,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outside the building,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done.

무엇보다, 본 발명은 리모컨을 조작하여 탈출구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므로 건축물에 입주하는 각 세대에 리모컨을 보급하여 어느 세대에 화재가 발생할 때, 그 세대의 입주민이 자신의 세대번호를 또는 이웃 입주민이 화재가 발생한 해당 세대번호를 리모컨에 입력하면, 즉시 해당 입주민의 발코니 또는 창문에 승강부재가 도착하므로 이 승강부재에 탑승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remote control is operated to input location information of an exit, a remote controller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in a building so that when a fire occurs in a household, the householder of the household transmits his or her household number to neighboring residents When the household number of the fire is inputted into the remote control, the elevator member arrives at the balcony or the window of the resident immediately, so that the user can board the elevator member and safely escape to the ground.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인명을 구조하는 관점에서 신속성, 정확성, 안전성, 장소의 접근성, 편리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므로 종래 소방용 인명구조장치와 대비될 정도로 진보성을 갖춘 현실적인 소방용 인명구조장치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l life firefighting lifesaving device having the capability of being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firefighting lifesaving device because it has all the promptness, accuracy, safety,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rom the viewpoint of rescue of human life.

1 :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2 : 옥상레일
3 : 베이스 4 : 베이스 이동수단
5 : 외벽레일 6 : 이동레일
7 : 승강부재 8 :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
9 : 중량감지센서 10 : 윈치
11 : 제1감지센서 12 : 제2감지센서
13 : 제3감지센서 14 : 제4감지센서
15 : 지지벽 16 : 브래킷
17 : 이동브러쉬 18 : 장애물 제거부재
19 : 고정브러쉬 20 : 측면롤러
21 : 탄성부재 22 : 스러스트베어링
23 : 관창지지대
1: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2: roof rail
3: Base 4: Base moving means
5: outer wall rail 6: moving rail
7: lift member 8: lift member movement prevention means
9: Weight sensor 10: Winch
11: first sensing sensor 12: second sensing sensor
13: third detection sensor 14: fourth detection sensor
15: support wall 16: bracket
17: moving brush 18: obstacle removing member
19: stationary brush 20: side roller
21: elastic member 22: thrust bearing
23:

Claims (6)

건축물의 외벽과 평행하게 옥상(A)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옥상레일(2);
상기 옥상레일(2)에 구속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탑재된 부품들을 운반하는 베이스(3);
상기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이동수단(4);
내부에 수용공간(51)이 관통되고, 전면에는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51)과 연통되게 개구부(52)가 형성되며, 조립 및 교체시 후크(HK)에 걸어 수직상태로 세울 수 있게 후면 상부에 걸이공(53)이 관통되고, 이 걸이공(53)에 삽입된 후크(HK)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걸이공(53) 후방에 터널(54)이 형성되며, 조립시 하부에 위치한 일단부 양측에 끼워맞춤 돌기(55)가 돌출되고 상부에 위치한 타단부 양측에 상기 끼워맞춤 돌기(55)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조립공(56)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외부 양측면에는 건축물 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57)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각 층에 형성된 탈출구(H)에 근접되도록 건축물 외벽에 수직으로 매립되고 일렬로 적층되어 승강부재(7)의 아암(71)이 이동하는 단일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단일 레일이 각 탈출구(H)에 근접되도록 건축물 외벽에 병렬로 복수 개 배치되며, 배치된 각 상부가 옥상(A)까지 연장되고 각각의 연장된 상단부는 옥상레일(2)을 향해 곡선형태로 절곡되는 외벽레일(5);
승강부재(7)를 탑재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7)의 롤러(72)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롤러(72)가 통과하여 상기 외벽레일(5)로 이동할 수 있게 하부가 관통되며, 탑재된 승강부재(7)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위치가 낮은 하단부가 상기 외벽레일(5) 상단부와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3)에 장착되어, 이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각각의 외벽레일(5)과 일직선상으로 만나 화재발생시 탑재된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근접한 외벽레일(5)로 공급하는 이동레일(6);
외부에 돌출된 아암(71) 단부에 롤러(72)가 설치되어 상기 외벽레일(5)과 이동레일(6에 수용되어 이동하고, 상단부가 윈치(10)의 와이어(10b)와 연결되어 윈치(10)의 구동에 의해 이동레일(6) 및 외벽레일(5)을 따라 왕복승강이동하여 건축물 화재시 탈출구(H)로 대피한 탈출자를 탑승시켜 지상으로 피신시키며, 상기 아암(71)이 위치하는 측면에 제1,2바퀴(73)(74)가 장착되는 승강부재(7);
힌지축(81a)을 중심으로 일측에 누름판(81b)이 타측에 멈춤판(81c)이 연장된 레버(81)가 구비되고 상기 멈춤판(81c)의 끝단에는 승강부재(7)의 제2바퀴(74)를 구속하는 스토퍼(81d)가 돌출되며, 상기 레버(81)의 힌지축(81a)이 이동레일(6) 사이에 위치한 받침대(8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81b) 하부에는 누름판(81b)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83)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하기 위해 경사진 이동레일(6)로 진입하여 제1바퀴(73)가 상기 누름판(81b)을 눌러 레버(81)를 회전시킬 때 그와 동시에 레버(81)의 멈춤판(81c)이 상승하여 스토퍼(81d)가 제2바퀴(74) 후방을 차단하여 승강부재(7)를 구속함으로써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보관 중에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부재 이동방지수단(8);
상기 승강부재(7) 바닥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9);
상기 베이스(3)에 설치되고, 모터(10a)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정,역회전하고 이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10b)가 상기 승강부재(7)와 연결되어 승강부재(7)를 승강시키며, 화재발생시 모터(10a)가 구동하여 상기 이동레일(6)에 탑재된 승강부재(7)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 및 지상으로 하강시키는 윈치(10);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에 의해 베이스(3)가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베이스(3)에 탑재된 이동레일(6)이 각 외벽레일(5)과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3)에 설치된 이동센서(11a)와 각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고정센서(11b)를 포함하는 제1감지센서(11);
상기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에 탑재될 때만 베이스 이동수단(4)이 베이스(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레일(6) 또는 받침대(82)에 설치되어 승강부재(7)의 탑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2);
상기 승강부재(7)가 각 외벽레일(5)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부재(7)와 건축물의 각층 전역에 설치된 탈출구(H)가 일치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각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를 포함하는 제3감지센서(13);
상기 승강부재(7) 저면에 설치되고, 이 승강부재(7)가 탑승한 탈출자를 지상으로 피신시키기 위해 지상에 근접될 때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C)가 윈치(10)의 모터(10a) 구동을 정지시켜 승강부재(7)가 지상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4감지센서(14);
옥상의 난간(A-1) 측벽에 돌출되는 지지벽(15);
상기 옥상레일(2)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벽(15) 저면에 고정되고, 옥상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베이스(3) 일측단 상부를 지지하여 베이스(3) 하부에 위치한 옥상레일(2)이 와이어(10b)의 장력에 의해 옥상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래킷(16);
상기 베이스(3) 측면에 장착되고, 이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를 청소하는 이동브러쉬(17);
상기 이동브러쉬(17) 양측에 장착되고,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위치한 장애물을 치워 제거하는 장애물 제거부재(18);
상기 제1감지센서(11)의 고정센서(11b)측에 설치되고 청소모터(19a)에 의해 회전하면서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이 베이스(3) 측면에 장착된 상기 이동센서(11a)를 청소하는 고정브러쉬(19);
상기 승강부재(7)의 아암(71) 단부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2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암(71)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71)이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외벽레일(5) 내벽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아암(71)의 양측면 마찰을 줄이는 측면롤러(20);
상기 측면롤러(20)가 수용홈(20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롤러(20)의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21);
상기 측면롤러(20) 샤프트와 탄성부재(21) 사이에 끼워져 일측은 측면롤러(20)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탄성부재(21)와 밀착되어 정지되는 스러스트베어링(22);
일단이 승강부재(7)의 프레임(7a) 상부에 힌지핀(23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7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로킹부재(23b)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며, 상부에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전의 관창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부재(23c)가 장착된 관창지지대(23);
탈출구(H)의 위치정보 및 탈출자의 체중과 대비되는 중량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미리 입력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 제1감지센서(11)의 감지신호, 제2감지센서(12)의 감지신호, 제3감지센서(13)의 감지신호, 제4감지센서(14) 감지신호 및 중량감지센서(9)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윈치(10) 및 베이스 이동수단(4)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 및
건축물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의 위치정보를 상기 콘트롤러(C)에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7)의 제1바퀴(73)가 레버(81)의 누름판(81b) 상부에 제2바퀴(74)가 멈춤판(81c)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스토퍼(81d)가 제2바퀴(74) 후방을 차단한 상태로 승강부재(7)가 이동레일(6)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탈출자가 탈출구(H)로 대피하여 구조신호를 보낼 때 외부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탈출구(H) 위치정보를 콘트롤러(C)에 입력하면 콘트롤러(C)는 이 위치정보와 일치된 미리 입력된 탈출구(H)의 위치를 확인하여 중량감지센서(9), 제1감지센서(11) 중 베이스(3)에 설치된 이동센서(11a)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고정센서(11b), 제2감지센서(12), 제3감지센서(13) 중 승강부재(7)에 설치된 이동센서(13a)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에 설치된 고정센서(13b), 제4감지센서(14), 베이스 이동수단(4) 및 윈치(10), 및 청소모터(19a)를 ON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콘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제2감지센서(12)가 이동레일(6)상에 승강부재(7)가 탑재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이 베이스(3)를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로 이동시키고 이동하는 베이스(3)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11)의 이동센서(11a)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와 가장 가까운 외벽레일(5)측에 설치된 ON 상태에 있는 고정센서(11b)를 감지할 때 정지되어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을 일치시키며;
상기 이동레일(6)과 외벽레일(5)이 일치하는 과정에서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때 장애물 제거부재(18)가 이동하면서 장애물을 밀치거나 강제로 이동시켜 제거하면 이동브러쉬(17)는 고정센서(11b)와 접촉하여 청소하고, 고정브러쉬(19)는 콘트롤러(C)의 명령에 의해 회전하는 청소모터(19a)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센서(11a)와 접촉하여 청소함으로써 양측 이동센서(11a)와 고정센서(11b)는 서로를 감지하기 전에 청소가 진행되고;
이후, 윈치(10)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10b)를 풀면 경사진 이동레일(6)상에 탑재된 승강부재(7)는 자중에 의해 레버(81)를 회전시키면서 하강하여 그의 제2바퀴(74)가 레버(81)의 멈춤판(81c)에 돌출된 스토퍼(81d)에서 벗어나 외벽레일(5)로 이동한 후 자체에 설치된 이동센서(13a)가 탈출자가 대피한 탈출구(H)에 설치되어 ON 상태에 있는 고정센서(13b)를 감지할 때 정지되고;
이후, 탈출자가 상기 정지된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중량감지센서(9)가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무게가 입력된 무게 이상이 되어 탈출자의 탑승을 인식하면, 윈치(10)의 모터(10a)가 구동하여 승강부재(7)를 다시 하강시키고 이 과정에서 승강부재(7) 하부에 설치된 제4감지센서(14)가 지상을 감지할 때 승강부재(7)가 정지되어 탑승자가 지상으로 피신토록 하고;
상기 탈출자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롤러(20)가 외벽레일(5) 및 이동레일(6) 내벽과 구름접촉하여 마찰력을 완화시키며;
탈출자 구조 후 소방관이 상기 승강부재(7)에 탑승하여 소화전의 관창을 상기 관창지지대(23)의 고정부재(23c)에 고정시켜 화재를 진압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A roof rail (2) installed along the rim of the roof (A) parallel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base 3 movably installed in the roof rail 2 and carrying components mounted on the roof rail 2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roof rail 2;
A base moving means (4) for providing power for the base (3) to reciprocate along the roof rail (2);
And an opening 52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51 so that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ov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51. A hook HK so that the hook 53 can be received vertically so that the hook HK can be received in the hook hole 53 and the tunnel 53 The fitting projections 55 protrude from both sides of one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to receive the fitting protrusions 55, And a locking protrusion 5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concrete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vertically embedd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approach the exit H formed in each layer of the building, And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moved, And a plurality of the single rail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close to the escape hits H, each of the arranged upper portions extends to the roof A and each extended upper end thereof extends toward the roof rail 2 An outer wall rail 5 bent in a curved shape;
The roller 72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7 can be mounted and the lower portion is penetrated so that the roller 72 can be moved to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se 3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rail 5 so that the base 3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roof rails 5, The lifting member 7 moun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espective outer wall rails 5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outer wall rails 5 moving closest to the escape hatches A moving rail 6 for feeding;
A roller 72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rm 71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is received in the outer rail 5 and the moving rail 6 and connected to the wire 10b of the winch 10, 10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ovable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to escape to the ground by escaping to the exit H in the case of a building fire, An elevating member 7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heels 73 and 74 are mounted;
A pushing plate 81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inge shaft 81a and a lever 81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opping plate 81c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81a. A hinge shaft 81a of the lever 81 is rotatably installed on a pedestal 82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rails 6 and a stopper 81d for restricting the pushing plate 81b, And an elastic member 83 for pushing up the pressure plate 81b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elevation member 7 enters the inclined moving rail 6 to be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The stop plate 81c of the lever 81 rises and the stopper 81d cuts off the rear of the second wheel 74 and the elevation member 7) to prevent the elevating member (7) from descending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storage in the moving rail (6);
A weight detecting sensor 9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ing member 7 to detect the weight of the occupant;
The drum 1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driving the motor 10a and the wire 10b wound on the drum 1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7 to elevate the elevating member 7 An elevating member H which is driven by the motor 10a when the fire occurs and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is escaped from the escape hatch and the winch 10 is lowered to the ground;
When the base 3 is reciprocated by the base moving means 4 along the roof rail 2 and the movable rail 6 mounted on the base 3 coincides with the respective outer wall rails 5, A first detection sensor 11 including a movement sensor 11a provided on the base 3 and a fixed sensor 11b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outer wall rail 5 so as to be able to detect the movement sensor 11a;
The base moving means 4 is provided on the moving rail 6 or the base 82 so as to move the base 3 only when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ing rail 6, A second sensing sensor 12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sensor 10 is mounted;
When the elevating member 7 ascends and descends along each of the outer wall rails 5 and the elevation member 7 and the escape opening H installed on the entire floor of the building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 third sensing sensor 13 including an installed moving sensor 13a and a fixed sensor 13b installed at each of the escape holes H;
The elevator 7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senses when the elevator 7 approaches the ground to escape to the ground so that the controller C drives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A fourth sensing sensor 14 for stopping the elevating member 7 from interfering with the ground;
A supporting wall 15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of the roof railing A-1;
A roof 3 which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wall 15 in parallel with the roof 2 and supports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base 3 which reciprocates along the roof 2, 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of by the tension of the wire 10b;
A moving brush 17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3 for cleaning the fixing sensor 11b of the first sensing sensor 1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rail 5 when the base 3 moves;
An obstacle removing member 18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rush 17 for removing an obstacle located between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when the base 3 moves;
The movement sensor 11a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3 when the base 3 is mov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cleaning motor 19a is installed on the fixed sensor 11b side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A stationary brush 19 for cleaning;
The arm 71 is rotatably installed in a receiving groove 20a formed at both ends of the arm 71 of the elevating member 7 and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arm 71 so that the arm 71 is rotatable about the outer rail 5, A side roller (20) for reducing both side friction of the arm (71)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6)
An elastic member 21 for tightly adhering the shaft of the side roller 20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ide roller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0a;
A thrust bearing 22 sandwiched between the shaft of the side roller 20 and the elastic member 21, one side of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ide roller 2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1;
One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7a of the lifting member 7 by a hinge pin 23a and the other end is locked or released by a locking member 23b movably fitted in the frame 7a, A nozzle support 23 mounted with a fixing member 23c for fixing a fire hydrant by a fire hydrant so as to suppress a fire;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opening H and weight information comparable to the body weight of the escapee are inputted in advance and the instruction inputted from outsid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the detection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12 The driving of the winch 10 and the base moving means 4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detected by the third sensing sensor 13, a sensing signal of the fourth sensing sensor 14, (C); And
And input means for inputting, to the controller (C),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xit (H) from which the escapee escapes when a building fire occurs,

The first wheel 73 of the elevating member 7 is positioned above the push plate 81b of the lever 81 and the second wheel 74 is positioned above the detent plate 81c and the stopper 81d is positioned on the second wheel When a fire is generated in the building and the escapee escapes to the escape opening H and sends a rescue signal in a state where the elevation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in a state where the rear of the elevation member 74 is blocked, The controller C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previously entered exit port H coinciding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exit port H to the weight sensor 9, A moving sensor 11a provided on the base 3 of the detecting sensor 11 and a fixing sensor 11b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person escapes, A movement sensor 13a provided on the elevation member 7 of the third detection sensor 13 and a fixed sensor 13b provided on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e is evacuated and the fourth detection sensor 14, Controlling the stage 4 and the winches 10, and the cleaning motor (19a) to an ON state;
When the second sensing sensor 12 senses that the elevating member 7 is mounted on the movable rail 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the base moving means 4 moves the base 3 The movement sensor 11a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11 provided on the moving base 3 moving to the outer wall rail 5 closest to the escape opening H where the escape is evacuated is provided with an escape opening H Stops when detecting the fixed sensor 11b in the ON stat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losest outer wall rail 5 to align the movable rail 6 with the outer wall rail 5;
When an obstacle is present between th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in the course of matching the moving rail 6 and the outer wall rail 5, the obstacle removing member 18 moves and pushes the obstacle or forcibly moves The moving brush 1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sensor 11b to be cleaned and the fixed brush 19 is moved by a moving motor 19a rotating by a cleaning motor 19a rotated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C 11a so that the cleaning of the both-side moving sensor 11a and the fixed sensor 11b is performed before sensing each other;
Thereafter, when the motor 10a of the winch 10 is driven to release the wire 10b wound on the drum, the elevating member 7 mounted on the inclined moving rail 6 rotates the lever 81 by its own weight The second wheel 74 moves away from the stopper 81d protruding from the detent plate 81c of the lever 81 and moves to the outer wall rail 5, Is stopped when detecting the fixed sensor 13b which is installed at the escape port H to be evacuated and is in the ON state;
Thereafter, when the escape person is aboard the suspended elevation member 7, the weight sensing sensor 9 senses the weight of the passenger, and when the sensed weight is greater than the input weight and recognizes the boarding of the escapee, The elevator 7 is stopped when the fourth sensor 14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ng member 7 senses the ground in this process. To flee to the earth;
The side roller 2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wall rail 5 and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rail 6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scapement, thereby relieving frictional force;
Wherein the firefighter is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7) to fix the fire hydrant to the fixing member (23c) of the nozzle support base (23) so as to suppress the f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C)에 외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은 콘트롤러(C)에 무선방식으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리모컨이며, 상기 리모컨을 승강부재(7), 또는 건축물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승강부재(7)와 건축물 경비실에 모두 구비하여, 승강부재(7)에 탑승한 탈출자 또는 건축물 근무자가 콘트롤러(C)에 명령을 입력하여 승강부재(7)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external command to the controller (C) is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wirelessly inputt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C), and the remot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member (7) The elevator 7 and the building guard room are provided so that an escapee or a building worker who aboard the elevation member 7 inputs a command to the controller C to control the elevation position of the elevation member 7 Fire - fighting buildings unmanned life - saving devi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H)는 건축물의 발코니(A-2), 창문, 외부와 연결된 복도 또는 베란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The fire extinguish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escape opening (H) comprises a balcony (A-2) of a building, a window, a corridor or a veranda connected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은 상기 옥상레일(2) 일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러(C)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구동모터(41);
상기 옥상레일(2)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41)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제2구동모터(42); 및
상기 제1,2구동모터(41)(42)의 각 샤프트에 연결된 드럼에 감기고 그 경로상에 상기 베이스(3)가 연결되어, 상기 제1,2구동모터(41)(4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와이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oving means (4) comprises: a first driving motor (4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reverse by driving the controller (C);
A second drive motor (4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reverse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drive motor (41); And
The base 3 is wound on a drum connected to the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41 and 42, And a wire (43) reciprocating the base (3) according to a reverse rotation of the base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이동수단(4)은 상기 옥상레일(2) 일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러(C)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1구동모터(41);
상기 옥상레일(2)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4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롤러(44); 및
상기 제1구동모터(41)의 샤프트에 연결된 드럼 및 상기 종동롤러(44)에 긴장되게 감기고 그 경로상에 상기 베이스(3)가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3)를 왕복이동시키는 와이어(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oving means (4) comprises: a first driving motor (4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ing forward and reverse by driving the controller (C);
A driven roller (44)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of rail (2)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motor (41); And
A drum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and the driven roller 44 are wound tightly and the base 3 is connected on the path thereof so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41 And a wire (45) for reciprocating the base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A-1)을 옥상(A)의 테두리 안쪽으로 이동시켜 세움 설치하고, 옥상레일(2)을 옥상 테두리와 상기 난간(A-1) 사이에 확보된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난간(A-1) 측벽에 돌출된 지지벽(15)이 베이스(3) 상부를 지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The roof rail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ling (A-1)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rim of the roof (A) , And a support wall (15) protruding from a sidewall of the handrail (A-1) supports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3).
KR1020170061937A 2017-05-19 2017-05-19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KR101771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937A KR101771712B1 (en) 2017-05-19 2017-05-19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937A KR101771712B1 (en) 2017-05-19 2017-05-19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712B1 true KR101771712B1 (en) 2017-08-25

Family

ID=5976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937A KR101771712B1 (en) 2017-05-19 2017-05-19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7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3764A (en) * 2018-04-02 2018-07-17 彭方 Ring building rescue run device
CN110533869A (en) * 2019-08-12 2019-12-03 国网浙江电动汽车服务有限公司 A kind of fire behavior prior-warning device suitable for parking sta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89B1 (en) 2006-12-15 2007-03-2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Drive system of life structure elevator of skyscraper
JP2012188216A (en) 2011-03-10 2012-10-04 Toshiba Elevator Co Ltd Doorway safety device of elevator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89B1 (en) 2006-12-15 2007-03-2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Drive system of life structure elevator of skyscraper
JP2012188216A (en) 2011-03-10 2012-10-04 Toshiba Elevator Co Ltd Doorway safety device of elevator 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3764A (en) * 2018-04-02 2018-07-17 彭方 Ring building rescue run device
CN110533869A (en) * 2019-08-12 2019-12-03 国网浙江电动汽车服务有限公司 A kind of fire behavior prior-warning device suitable for parking st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979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KR101771711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KR101173585B1 (en)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US20060065485A1 (en)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NL2011756C2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CN101249300A (en) Hoisting machine escape life saving system for tall building
KR100701790B1 (en)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system of skyscraper
US7191873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2145592B1 (en)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having safety handle
US4042066A (en) Portable emergency fire fighting and rescue elevator
RU2009147468A (en) DEVICE FOR EVACUATION FROM BUILDINGS IN FIRE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KR101771712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KR20170119945A (en) Fire Evacuation Device For High-Rise Buildings
KR20070024457A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ement
KR101747941B1 (en) Fire-fighting apparatus for high rise building
JP2005305076A (en) Elevator for fire escape
KR101771710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KR101771709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WO2015180628A1 (en) Building with fire-fighting and rescuing system
CN203154635U (en) Descent control device
KR20040076853A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102629044B1 (en) Fire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KR101004601B1 (en) A emergency escap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