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804B1 - 기능성 상의 - Google Patents

기능성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804B1
KR101768804B1 KR1020160038894A KR20160038894A KR101768804B1 KR 101768804 B1 KR101768804 B1 KR 101768804B1 KR 1020160038894 A KR1020160038894 A KR 1020160038894A KR 20160038894 A KR20160038894 A KR 20160038894A KR 101768804 B1 KR101768804 B1 KR 101768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leeve
closing
exten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riority to KR102016003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804B1/ko
Priority to PCT/KR2017/003454 priority patent/WO20171714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상의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소매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소매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돌출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소매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몸체부, 소매부, 또는 개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소매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당겨질 때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펴질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상의{FUNCTIONAL UPPER CLOTHING}
본 발명은 기능성 상의에 관한 것이다.
오십견(frozen shoulder)은 어깨 부위의 노화나 부상 등으로 어깨 부위의 통증과 함께 운동의 제한이 있는 경우를 총칭한다. 발병연령은 30대 이상으로 다양하며, 특히 50대에서 잘 생긴다 하여 오십견이라 불려진다. 오십견의 정확한 병명은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관절낭의 염증 발생으로 인해 관절 운동에 제한이 가해지는 질병이다.
오십견의 발병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주로 노화에 따른 어깨 관절 주위 연부 조직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된다. 그밖에 어깨 관절의 부상이나 깁스를 풀고 난 후 또는 입원 등으로 장기간 어깨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후에도 발생되며, 어떤 경우에는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그밖에 당뇨병이나 목 디스크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오십견은 적절한 운동 및 약물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동결견의 경우에는 대체로 운동 치료를 주로 수행하며 수술에 이르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오십견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어깨 관절을 움직이는데 많은 통증과 어려움을 호소하는데, 특히 앞 트임이 없는 니트와 같은 의류를 입기 위해 팔을 올리거나, 셔츠 등을 입기 위해 상의에 팔을 집어 넣는 동작을 수행할 때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오십견 등의 질병이나, 골절 등과 같은 외상 또는 뇌출혈 등과 같은 뇌 혈관 질환에 따라 팔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기능성 상의가 종래 출원된 바 있으며, 이들 선행기술들은 환자복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복들은 단순히 입원 환자의 몸에 입히기 편한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착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착용자의 손이 돌출되는 소매 끝이나 소매의 특정부분으로부터 착용자의 목이 돌출되는 개구부까지 전체가 절개되어 있는 경우, 착용자는 한 팔을 이용해 전체가 양단으로 분리된 소매부분과 어깨, 목 부분을 체결하거나 분리해야 하므로 어깨나 목 부분을 분리하거나 체결하기 어려워 상의를 입거나 벗는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도 스스로 부담 없이 상의를 착용하거나 탈의할 수 있도록 팔과 어깨, 목 부분이 분리되고 결합되는 개선된 기능성 상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상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소매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소매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돌출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소매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몸체부, 소매부, 또는 개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소매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당겨질 때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나 소매부, 개폐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연장부가 있어 연장부를 입으로 물거나, 연장부를 목 뒤로 넘겨 연장부가 당겨지는 쪽 손으로 연장부를 당겨 반대편 손으로 개폐부를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개폐부로 지퍼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소매부분에서 어깨 부분이나 목 부분에 형성되는 의복의 굴곡 부분에도 불구하고, 연장부가 지퍼를 당기게 되어 어깨 부분부터 목 부분 끝단까지 팽팽하게 유지함으로써, 팔이나 어깨를 움직이기 어려운 착용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상의의 목 부분에 있는 개구부까지 용이하게 지퍼를 체결하거나 목 부분 끝단으로부터 편리하게 지퍼를 분리하여 손쉽게 상의를 입거나 벗을 수 있다. 개폐부로 하나의 결합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다.
연장부가 개폐부와 상응하거나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폐부나 몸체부, 소매부와 결합하는 경우, 연장부를 당겼을 때 기능성 상의의 굴곡이 있는 부분이 효과적으로 펴져 개폐부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돌출부가 소매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부로 사용되는 지퍼 등이 돌출부와 소매부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걸리지 않고 좀 더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손목이 돌출되는 소매 하단부가 분리되지 않는 경우, 옷을 입거나 벗는데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소매부와 몸체부가 양분되고 결합될 수 있어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이 편리하게 의복을 착용하거나 탈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분된 소매부 및 몸체부의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서로 종류가 다른 체결 유닛을 사용할 수도 있어 개폐부의 위치에 맞게 필요에 따라 체결 유닛을 다르게 설치할 수 있고, 착용자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분리할 수도 있다.
오십견 환자 등 찜질이 필요한 사람들이 찜질 팩을 기능성 상의의 설치부에 삽입하여 냉 찜질 또는 온 찜질을 할 수 있어 오십견에 의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개폐부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연장부가 당겨진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개폐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소매 하단부가 있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개폐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원단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개폐부(400)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연장부(500)가 당겨진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개폐부(400)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능성 상의는 몸체부(100), 소매부(200), 절개부(300), 개폐부(400), 연장부(500),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상의는 개구부(11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소매부(200),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상기 소매부(200)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된 절개부(300), 상기 절개부(300)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300)를 개폐하는 개폐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 소매부(200) 또는 개폐부(4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연장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500)는 당겨질 때 상기 개폐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0)의 연장 방향은 상기 개폐부(400)의 배치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0)는 상기 개폐부(400)의 상기 개구부(110) 방향에 위치하는 끝단(410)과 연결되며, 착용자가 상기 연장부(500)의 일부를 입에 물거나 손으로 당겨, 상기 개폐부(400)를 개폐하려는 팔의 반대편 팔의 손으로 상기 개폐부(40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0)는 줄이나 끈 또는 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 및/또는 소매부(200)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상기 연장부(500)를 고정하는 고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0)는 상기 고정부(600)와 결합하는 결합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기능성 상의에서 착용자의 팔이 삽입되는 소매부(200)를 제외한 부분으로 착용자의 몸통과 어깨, 목이 착용되는 부분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는 몸체부(100)에서 착용자의 목이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소매부(200)는 몸체부(100)로부터 연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팔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어깨와 목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뜻할 수 있다.
절개부(300)는 몸체부(100)와 소매부(200)의 절개된 부분으로, 몸체부(100)의 개구부(110)로부터 손이 노출되는 소매부(200)의 끝단까지 또는 후술하는 소매 하단부(210) 전까지 소매의 길이 방향으로 양분되는 부분이다.
개폐부(400)는 절개부(300) 근처에 배치되어 절개부(30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부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일례로, 기능성 상의의 일측에만 개폐부(400)가 설치된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개폐부(4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400)는 지퍼(450), 벨크로(460), 자석 단추(470) 및 스냅 단추(480) 중 어느 하나의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00)는 팔이나 어깨가 불편한 사람들의 의류 착용을 돕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분할된 양단의 절개부(300)에 상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폐부(400)가 지퍼(450)로 구성될 경우, 상기 개폐부(400)는 제1개폐부(450a) 및 제2개폐부(450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퍼(450)의 경우에는 양단이 상보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부(4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개폐부(400)는 통상 '찍찍이'라고 통칭되는 벨크로(Velcro)(460)나 자석을 이용한 자석 단추(470) 또는 '똑딱이 단추'라고 통칭되는 스냅 단추(48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벨크로(460)나 자석 단추(470) 또는 스냅 단추(480)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체결수단들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고, 2개 내지 3개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벨크로(460)로 구성할 경우, 손이 통과하며 빈번하게 걷어 올리는 소매의 하단 부분은 벨크로(46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그 외의 부분은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벨크로(460)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로만 구성하여 한번에 접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자석 단추(470) 또는 스냅 단추(480)로 구성할 경우, 소매의 하단 부분은 자석 단추(470) 또는 스냅 단추(480)을 듬성듬성하게 배치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촘촘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
절개부(300)와 개폐부(4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상측에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팔이 접히는 안쪽 측면에 배치되어, 다른 손으로 손쉽게 개폐부(400)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500)는 몸체부(100)나 소매부(200) 또는 개폐부(4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착용자가 연장부(500)를 당겨 의복의 소매부(200)로부터 몸체부(100)로 변화하는 부분이나, 어깨부분으로부터 목 부분의 개구부(110)까지 굴곡이 있는 부분을 당겨 팽팽하게 펴질 수 있게 하여, 용이하게 개폐부(400)를 체결하거나 분리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장부(500)는 개폐부(400)의 배치 방향과 상응하거나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폐부(400)와 결합하거나 몸체부(100)나 소매부(200)와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부(500)가 개폐부(400)와 상응하거나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폐부(400)나 몸체부(100), 소매부(200)와 결합하는 경우, 연장부(500)를 당겼을 때 기능성 상의의 굴곡이 있는 부분이 효과적으로 펴져 개폐부(400)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500)는 일단이 몸체부(100)의 개구부(110)가 시작되는 목 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있거나, 개폐부(400)의 개구부(110) 방향 끝단(410)으로부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500)는 소매부(200), 몸체부(100) 또는 개폐부(400)의 어느 부분과도 결합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부(500)는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연장부(500)는 일단이 개부부(110) 방향에 위치하는 개폐부(400)의 끝단(410)과 결합하고 타단이 기능성 상의의 내부나 외부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500)는 줄이나 끈 또는 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00)를 당기는 방법은 일례로, 착용자가 연장부(500)를 입으로 물고 당기거나, 착용자가 연장부(500)를 목 뒤로 넘긴 뒤 개폐부(400)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려는 쪽의 손으로 연장부(500)를 잡아당길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500)의 길이는 착용자가 연장부(500)를 입으로 물고 당길 수 있는 길이를 갖거나, 착용자가 연장부(500)를 목 뒤로 넘긴 뒤 개폐부(400)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려는 쪽의 손으로 연장부(500)를 잡아당길 수 있는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00)는 연장부(500)를 의복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600)는 몸체부(100) 또는 소매부(200)의 내부나 외부 표면에 위치할 수 있고, 몸체부(100)와 소매부(200) 모두의 내부나 외부표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600)는 줄이나 끈 또는 띠 형태의 연장부(5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리 형태(6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리 형태(610)의 고정부(600)가 어깨 부분이나 소매 부분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600)는 벨크로(460), 자석 단추(470), 스냅 단추(480) 등일 수 있다.
결합부(510)는 연장부(50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연장부(500)를 고정부(6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510)는 고정부(600)가 벨크로(460)인 경우 벨크로(460)이거나, 고정부(600)가 자석 단추(470)나 스냅 단추(480) 등일 때는 그에 상응하는 결합구로 구성되어 고정부(6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소매 하단부(210)가 있는 사시도이다.
기능성 상의는 착용자의 손이 노출되는 상기 소매부(200)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양분되지 않는 소매 하단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매 하단부(210)는 착용자의 손이 돌출되는 소매부(20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정도 떨어져 있는 지점까지의 소매 부분으로 전술한 절개부(300)에 의해 양분되지 않는 부분이다. 소매부(200)가 끝단까지 양분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매 하단부(210)는 절개부(300)에 의해 양분되지 않아도 양분되지 않는 부분이 착용자가 기능성 상의를 입거나 벗을 때 불편함이 없는 정도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소매 하단부(210)가 없는 경우, 착용자가 팔을 움직이기가 불편하여 한 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한 손으로 소매 끝단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의복의 착용과 탈의가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소매부(200)의 끝단까지 양분되는 경우, 소매 끝의 양분되는 부분이 쉽게 해질 수 있어 소매 하단부(210)가 양분되지 않는 경우에 기능성 상의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개폐부(400)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능성 상의는 몸체부(100), 소매부(200), 절개부(300), 개폐부(400), 연장부(500), 고정부(600), 설치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00), 소매부(200), 절개부(300), 개폐부(400), 연장부(500), 고정부(6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부(400)는, 양분된 상기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절개부(300)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유닛(420), 및 양분된 상기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절개부(300)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체결유닛(420)과 종류가 다른 제2체결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400)는 지퍼(450), 벨크로(460), 자석 단추(470) 및 스냅 단추(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상의는 양분된 상기 절개부(3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00)는 양분된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절개부(300)를 결합시키는 제1체결유닛(420)과 양분된 상기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절개부(300)를 결합시키며 제1체결유닛(420)과 종류가 다른 제2체결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유닛은 개폐부(400)를 결합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전술한 지퍼(450), 벨크로(460), 자석 단추(470), 스냅 단추(480) 등일 수 있다.
개폐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종류로 이루어진 체결유닛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종류로 이루어진 체결유닛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400)가 지퍼(450)라는 한 종류의 체결유닛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폐부(400)가 지퍼(450)와 스냅 단추(480)의 두 종류의 체결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일례로, 개폐부(400)는 지퍼(450), 벨크로(460), 자석 단추(470), 스냅 단추(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개폐부(400)에는 이외의 다른 체결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퍼(450)가 사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목 방향에 위치하는 지퍼(450)의 끝단(410)에 연장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설치부(700)는 착용자가 기능성 상의를 착용한 채 찜질 팩(800)을 사용하는 경우 찜질 팩(800)을 기능성 상의에 설치하는 부분으로 절개부(300)의 양분된 부분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설치부(700)에는 찜질 팩(800)이 삽입되는 찜질 팩(800) 수용부가 결합될 수 있다.
찜질 팩(800)은 냉 찜질과 온 찜질이 모두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찜질이 가능한 1회용 종이 찜질 팩(800)일 수도 있다. 오십견의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온 찜질이 필요할 때도 있고, 냉 찜질이 필요할 때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찜질 팩(800)을 교체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원단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능성 상의는 몸체부(100), 소매부(200), 절개부(300), 개폐부(400), 연장부(500), 고정부(600), 돌출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00), 소매부(200), 절개부(300), 개폐부(400), 연장부(500), 고정부(6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상의는 개구부(11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소매부(200),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하며, 상기 소매부(200)로부터 상기 개구부(110)까지 연장되는 돌출부(900),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상기 소매부(200)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된 절개부(300), 상기 절개부(300)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300)를 개폐하는 개폐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 소매부(200), 또는 개폐부(4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연장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900)는 상기 소매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500)는 당겨질 때 상기 개폐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펴질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900)는 소매부(200)로부터 개구부(110)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몸체부(100)와 결합하고 절개부(300)를 포함한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900)는 소매부(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례로, 소매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900)가 없는 경우, 소매부(200)와 몸체부(100)가 별개로 제작되어 재봉선 등으로 연결됨으로써, 개폐부(400)로 사용되는 지퍼(450) 등이 소매부(200)와 몸체부(100) 사이를 통과할 때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의복의 원단 제작시 돌출부(900) 부위를 소매부(200)와 하나의 원단으로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기능성 상의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십견 환자 또는 골절 등 부상을 당해 팔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착용하는 외출용으로도 가능한 의복의 팔과 어깨, 목 부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여, 팔을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의복을 입거나 벗을 수 있어 편리하다. 특히, 환자복이 아닌 일반 외출용 복장 또는 등산복과 같은 기능성 복장에 손쉽게 적용 가능하다. 즉,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폐부(400)가 지퍼(450) 하나로 구성된 경우, 연장부(500)가 목 부분 지퍼(450)의 끝단(410)과 결합되어 있어 입으로 연장부(500)를 물어 당겨 개폐부(400)를 어깨부분으로부터 목부분 끝단까지 굴곡없이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연장부(500)에 의해 몸체부(100)의 개폐부(400)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경우, 연장부(500)를 당기지 않는 쪽의 손으로 목 부분 끝까지 지퍼(450)를 손쉽게 결합하거나 목 부분 끝단으로부터 용이하게 지퍼(450)를 분리할 수 있다.
손목이 노출되는 소매 하단부(210)가 분리되지 않아 옷을 입거나 벗는데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소매부(200)와 몸체부(100)가 양분되고 결합될 수 있어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이 편리하게 의복을 착용하거나 탈의할 수 있다. 소매 하단부(210)가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의복의 착용이나 탈의에 불편이 없으나, 목 부분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는 팔이나 어깨가 아픈 사용자가 의복을 입거나 벗기가 어려워 목 부분 끝단은 개구부(110)까지 개폐부(40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상의는 양분된 소매부(200) 및 몸체부(100)의 절개부(300)를 결합하는 개폐부(400)를 서로 종류가 다른 체결 유닛을 사용할 수 있어 개폐부(400)의 위치에 맞게 필요에 따라 체결 유닛을 다르게 설치할 수 있고, 착용자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체결 유닛 중에서 필요한 부분에만 연장부(500)를 결합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연장부(500)를 결합할 수 도 있다.
오십견 환자 등 찜질이 필요한 사람들이 찜질 팩(800)을 설치부(700)에 삽입하여 냉 찜질 또는 온 찜질을 수행할 수 있어 오십견에 의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소매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900)가 있어, 돌출부(900)가 없는 경우 몸체부(100)와 소매부(200)를 연결하는 재봉선 등에 지퍼(450) 등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좀 더 용이하게 지퍼(450) 등을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일체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만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개구부
200 : 소매부 210 : 소매 하단부
300 : 절개부 400 : 개폐부
410 : 개폐부의 끝단 420 : 제1체결유닛
430 : 제2체결유닛 450 : 지퍼
460 : 벨크로 470 : 자석 단추
480 : 스냅 단추 500 : 연장부
510 : 결합부 600 : 고정부
610 : 고리 형태 700 : 설치부
800 : 찜질 팩 900 : 돌출부

Claims (1)

  1.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소매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소매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돌출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소매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몸체부, 소매부, 또는 개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소매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당겨질 때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펴지는 기능성 상의.
KR1020160038894A 2016-03-31 2016-03-31 기능성 상의 KR10176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94A KR101768804B1 (ko) 2016-03-31 2016-03-31 기능성 상의
PCT/KR2017/003454 WO2017171415A1 (ko) 2016-03-31 2017-03-30 기능성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94A KR101768804B1 (ko) 2016-03-31 2016-03-31 기능성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804B1 true KR101768804B1 (ko) 2017-08-17

Family

ID=5975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894A KR101768804B1 (ko) 2016-03-31 2016-03-31 기능성 상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8804B1 (ko)
WO (1) WO2017171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25B1 (ko) * 2020-12-29 2021-07-26 주식회사 소프엔티 방역방호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12Y1 (ko) 2005-03-07 2005-06-13 김태원 상의
JP5116055B2 (ja) 2010-10-14 2013-01-09 経子 平岩 介護用上着
JP5237481B1 (ja) 2012-05-08 2013-07-17 由美子 太田 自立支援用衣服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11A (ja) * 1995-06-16 1997-01-07 Nagai Emiko 長袖部肩部襟部開閉衣類
KR101402374B1 (ko) * 2012-10-26 2014-06-03 문희숙 통풍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12Y1 (ko) 2005-03-07 2005-06-13 김태원 상의
JP5116055B2 (ja) 2010-10-14 2013-01-09 経子 平岩 介護用上着
JP5237481B1 (ja) 2012-05-08 2013-07-17 由美子 太田 自立支援用衣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25B1 (ko) * 2020-12-29 2021-07-26 주식회사 소프엔티 방역방호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415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US7404213B2 (en) Convertible wet suit
US11642239B2 (en) Apparatus that enables non-penetrating sex
US20150335077A1 (en) Reversible Sling Shirt
US20220047000A1 (en) Nicu gar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JP2007520646A (ja) パンツ
KR101768804B1 (ko) 기능성 상의
KR101609994B1 (ko) 기능성 상의
US1858201A (en) Pajama trousers
US20220071329A1 (en) Garment with Integrated Belt Member
KR101588166B1 (ko) 기능성 상의
JP5237481B1 (ja) 自立支援用衣服
US20150320623A1 (en) Post-surgical drain management garment
WO2020089940A1 (en) User friendly underwear with multiple locking systems
JP6188062B2 (ja) 男性用パンツ
JP3174920U (ja) 下半身用の衣服
JP4603033B2 (ja) 介護用衣服
CN207979054U (zh) 一种危重症类患者病号服
JP6352564B1 (ja) 被介護者用寝間着
JP3053587U (ja)
JP2024054438A (ja) 男性用下着および陰茎固定サポート装具
JP2005131062A (ja) 介護用パンツ
CA2538651C (en) Garment with end closing means
JP3132958U (ja) 防寒ショーツ
JP2005307414A (ja) 介護用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