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868B1 -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 Google Patents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868B1
KR101767868B1 KR1020170010489A KR20170010489A KR101767868B1 KR 101767868 B1 KR101767868 B1 KR 101767868B1 KR 1020170010489 A KR1020170010489 A KR 1020170010489A KR 20170010489 A KR20170010489 A KR 20170010489A KR 101767868 B1 KR101767868 B1 KR 10176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rod
loading
metal
move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운환
Original Assignee
정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환 filed Critical 정운환
Priority to KR102017001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8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65G47/8838Fixed stop with a linearly movable pusher element which lifts or releases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65G47/8846Fixed stop with a pivoting pusher element which lifts or releases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eeder for a meta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feeder for a metal bar includes: a first loading unit for loading metal bars; a second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metal bars moved from the first loading unit by being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loading unit;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metal bar moved from the second loading unit. The metal bar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moves in a width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metal bar after being moved in a height direction. The metal ba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loading unit one by one. After the metal bar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one by one from the second loading unit, the metal bar is moved to the transfer unit by being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metal bar. The metal bar is transferr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bars initially loaded and arranged can be transferred one by one to a following machining process by an automatic operation method. Also, the automatic feeder for a metal bar can prevent crack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urface during a process of supplying the heavy metal bar to the following machining process and can supply the metal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a new processing device.

Description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본 발명은 금속재 봉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 봉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이후의 가공 공정으로 하나씩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a metal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a metal rod, which can be supplied one by one in a subsequent processing step without caus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metal rod to be.

각종 기계류 또는 자동차의 부품 등은 최초 금속재의 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다.Various machinery, automobile parts, and the like are often formed by cutting a rod of the initial metal material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cessing the same.

금속재 봉 가공을 위해 절단 장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하나씩 구분하여 절단장치 내부로 공급해야 한다.In order to supply to the cutting device for machining the metal rods, they must be supplied one by one into the cutting device.

종래 금속재 봉을 절단 장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금속재 봉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사람의 인력으로 하나씩 절단장치로 이동시켜 공급해야 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upply the metal rods into the cutting apparatus, the metal rods have to be moved from the shelves or frames for loading to the cutting apparatus one by one by the human force.

통상적으로 최초 절단 전의 금속재 봉은 그 길이가 수 미터에 이르는데, 특히 직경이 수 cm 에 이르는 강재의 봉은 그 무게가 매우 무겁다.Normally, a metal rod before the first cutting is several meters in length, and a steel rod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centimeters is very heavy.

금속재 봉은 최초 많은 갯수가 소정의 선반 또는 프레임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이들을 하나씩 인력에 의해 들어올려 절단 장치로 공급해야 하는데, 금속재 봉은 표면이 매끄러워 파지가 용이하지 않아, 최초 소정의 공간 내에 적재된 상태의 금속재 봉들 중에서 하나씩 집어 올려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The metal rods must be lifted up by a force by one hand in a state in which a large number of metal rods are loaded on a predetermined shelf or frame, and the metal rods are supplied to the cutting device. The metal rods are smooth and difficult to grasp, It is a very cumbersome task to pick up one of the metal rods in a state and move to a predetermined place.

그런데, 가공하고자 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금속재 봉이 절단장치 내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특히 큰 직경의 봉이 절단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전체 금속재 봉의 무게가 무거워 이를 절단장치로 공급하는 작업은 매우 힘든 작업이 된다.Howev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t to be machined, a metal rod of various diameters must be fed into the cutting device. In particular, when a large diameter rod is to be cut, the entire metal rod is heavy, do.

또한, 무거운 금속재 봉을 절단장치로 하나씩 공급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봉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부품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addition, in the course of supplying the heavy metal rods one by one with the cutting device, scratches are often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rods by impact, and in such a case, it may be a cause of defective parts finally 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 적재 배치된 금속재 봉을 하나씩 이후의 가공 공정으로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rod automatic feeding devic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nsfer the metal rods initially loaded and disposed one by one to a subsequent machining proces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재 봉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후속 가공 장치로 하나씩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configured to be fed one by one to a subsequent machining apparatus without caus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metal r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 장치와 같은 후속 가공 장치 내부로 금속재 봉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rod automatic feeding devic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eeding a metal rod into a subsequent machining device such as a cutting device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는 금속재 봉들을 적재하기 위한 제 1 적재부와, 상기 제 1 적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적재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금속재 봉들을 적재하기 위한 제 2 적재부와,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금속재 봉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재부에 적재된 금속재 봉은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적재부로 하나씩 이송되며,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금속재 봉이 하나씩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부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은 그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a metal rod, comprising: a first loading unit for loading metal rods; a second load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loading unit, And a conveying portion for conveying the metal rods moved from the second loading portion, wherein the metal rods stacked on the first loading portion ar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one of the metal rods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by one by one from the second loading portion, and then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its own weight to move to the feeding portion, and the metal rod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transfer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적재부는 상기 금속재 봉들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의 측부에서 기립 배치되는 측부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재부와 제 2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지지프레임에는 상기 금속재 봉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부재가 설치된다.Preferably, the first stacking portion includes a lower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metal rods, and a side support frame standing upright from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tack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acking portion and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a lifting member for raising the metal rod is provided on the side support frame to be disposed.

여기서, 상기 상승부재는 상기 금속재 봉을 지지하여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승강롤러부와, 상기 승강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The raising member includes a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etal rod and feeding the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upward, a raising and lowering roller portion for slidably supporting the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on the side support frame, And a cylinder.

그리고, 상기 승강롤러부는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씩 설치될 수 있다.The pair of elevating roller units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실린더의 하단부는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drive cylinder is rotatably fixed via an axis.

또한, 상기 제 2 적재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프레임은 상기 이송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pporting frame for supporting the metal rod in the second loading part is inclined toward the conveying part.

그리고, 상기 제 1 적재부의 하부지지프레임은 상기 제 2 적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frame of the first loading part may be inclined toward the second loading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에서 금속재 봉을 지지하는 상면은 상기 제 2 적재부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적재된 금속재 봉들을 접촉하는 측면은 만곡된 곡면의 측단면으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for supporting the metal rod in the elevating portion is inclined so as to be lower toward the second loading portion, and the side for contacting the loaded metal rods is formed as a curved curved side surface.

여기서, 상기 승강부의 상면은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적재부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 1 적재부에 적재되는 금속재 봉 직경의 0.6 배 내지 1.4 배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된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pport frame toward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is installed to protrude 0.6 to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2 적재부와 상기 이송부의 경계에는 금속재 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돌출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이송부로 이동된 금속재 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돌출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 보다 낮게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A first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metal rod i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the transfer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metal rod moved to the transfer portion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portion , And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upward lower than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portion.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제 2 돌출지지부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portion is inclined to be lower toward the second projecting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상기 이송부로 금속재 봉을 하나씩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에서 상기 금속재 봉과 대면하는 측의 대면단부는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측의 고정단부는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And a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ferring the metal rod from the second loading unit to the transfer unit one by one, wherein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facing the metal rod is rotatable upward,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금속재 봉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재의 대면단부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2 적재부로 상기 금속재 봉 직경의 0.6 배 내지 1.4 배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된다.Preferably,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mitt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by 0.6 to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mitting member is rotated and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ro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적재부의 측부지지프레임은 상기 금속재 봉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The side support frame of the first loading part may be inclined toward the metal rod.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의 대면단부에는 링크가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단부는 상기 제 2 적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축에 고정되어,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링크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대면단부가 상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link is coupl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end of the link is fixed to a shaft provided below the second loading part. By raising and lowering the link by the driving cylinder, the opposite end rotates up and down Lt; / RTI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 2 돌출지지부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movable toward the second projecting support portion side.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와 제 2 돌출지지부 사이에 놓여진 금속재 봉을 지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를 포함한다.Here, the conveying portion includes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metal rod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and supporting portions.

또한,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support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적재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과 접촉되는 바닥에는 원형 단면의 접촉지지부재가 상기 금속재 봉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다.Preferably, a contact support memb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install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etal rod at the bottom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rod in the second loading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적재부에는 상기 금속재 봉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된다.Preferably,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tal rod is installed in the second loading part.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재 봉의 유무에 따라 상기 상승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The lifting member is driv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metal rod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 2 적재부에서 두 군데 이상 설치된다.Here, th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at two or more positions in the second loading section.

본 발명에 의해, 자동운전 방식에 의해 최초 적재 배치된 금속재 봉들을 하나씩 이후의 가공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rods initially placed and placed by the automatic operation method can be transferred one by one to a subsequent machining process.

또한, 무거운 금속재 봉을 이후의 가공 공정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봉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져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cratch from being generated due to an impact on the surface of the rod during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heavy metal rod to a subsequent processing step.

또한, 이후의 공정 장치 내부로 금속재 봉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급할 수 있다.Further, the metal rod can be fed into the subsequent process apparatus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봉 자동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자동공급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자동공급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자동공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자동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상승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상승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상승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8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부지지프레임과 승강부의 측면도이며,
도 9 는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11 은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측면도이며,
도 12 는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13 은 전달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4 는 제 2 적재부에 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metal rod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eeder,
3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feeder,
4 is a side view of the automatic feeder,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member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Figure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member,
7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member,
8 is a side view of the side support frame and the elevation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10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oading part and the conveying part,
11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the transporting portion,
1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the transporting por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tting member,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second loading sec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봉 자동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자동공급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자동공급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자동공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자동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상승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상승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상승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8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부지지프레임과 승강부의 측면도이며, 도 9 는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11 은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측면도이며, 도 12 는 제 2 적재부와 이송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13 은 전달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4 는 제 2 적재부에 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metal rod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eeder, FIG. 3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feed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member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FIG.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member, FIG. 7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member,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tting member,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oading unit with the detection sensor installed.

도 1 내지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는 금속재 봉(100)들을 적재하기 위한 제 1 적재부(10)와, 상기 제 1 적재부(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적재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금속재 봉(100)을 적재하기 위한 제 2 적재부(20)와, 상기 제 2 적재부(20)로부터 이동된 상기 금속재 봉(1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재부(10)에 적재된 금속재 봉(100)은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폭(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적재부(20)로 하나씩 이송되며, 상기 제 2 적재부(20)로부터 금속재 봉(100)이 하나씩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부(30)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부(30)에서 상기 금속재 봉(10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4, an automatic metal rod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cking unit 10 for stacking metal rods 100, a second stacking unit 1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tacking unit 10, A second loading unit 20 for loading the metal rod 100 moved from the first loading unit 20 and a transfer unit 30 for transferring the metal rod 100 moved from the second loading unit 20 The metal rods 100 mounted on the first loading section 10 ar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n moved in the width (radial) direction by their own weights and transported one by one to the second loading section 20. [ The metal rods 100 are moved one by one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 and then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ir own weight to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rtion 30. In the transfer portion 30, (100)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 적재부(10)는 크레인과 같은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많은 수의 금속재 봉들을 적재 수용하는 구성이다.The first loading unit 10 is configured to load and receive a large number of metal rods transferred through a transfer device such as a crane.

상기 금속재 봉은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의 봉일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원형 단면의 봉일 수 있다.The metal rod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but may typically be a circular cross-section.

상기 제 1 적재부(10)는 하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100)들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프레임(2)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에 결합되어 측부에서 기립 설치되는 측부지지프레임(4)을 포함한다.The first loading unit 10 includes a lower supporting frame 2 for supporting the metal rods 100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ide supporting frame 4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ing frame 2 and rising from the side, .

상기 제 1 적재부의 하부지지프레임(2)은 상기 제 2 적재부(20)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The lower support frame (2) of the first loading part is inclined to be lower toward the second loading part (20).

그리하여,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 상에 놓여지는 금속재 봉(100)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 적재부(20)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us, the metal rod 100 placed on the lower support frame 2 is configured to be moved toward the second loading unit 20 by its own weight.

상기 제 1 적재부(10) 바로 옆에는 금속재 봉들을 단층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제 2 적재부(20)가 배치된다.A second stacking part 20 for disposing the metal rods as a single layer is disposed immediately beside the first stacking part 10. [

여기서, 금속재 봉들이 단층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적재부(10)와는 대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적재부(10)에서는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금속재 봉들이 복수의 층으로 층층이 쌓여져 배치됨에 비해, 상기 제 2 적재부(20)에서는 금속재 봉들이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반경 방향을 따라 하나씩 배치됨을 의미한다.Here, the metal rods are disposed as a single layer in contrast to the first loading section 10. In the first loading section 10, the metal rods transferred by the crane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second loading part 20, the metal rods are arranged one by o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2 적재부(20) 역시 상기 금속재 봉(100)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프레임(2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은 상기 이송부(30)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The second mounting part 20 also includes a lower support frame 22 for supporting the metal rods 100 from below and the lower support frame 22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ward the transferring part 30. [

그리하여, 상기 제 2 적재부(20)의 하부지지프레임(22) 상에 놓여지는 금속재 봉은 자중에 의해 굴러 상기 이송부 측으로 이동되도로 구성된다.Thus, the metal rod placed on the lower support frame 22 of the second loading section 20 is configured to be rolled by its own weight and moved to the transfer section side.

상기 제 2 적재부(20)에서 상기 금속재 봉(100)과 접촉되는 하부지지프레임(22)에는 원형 단면의 접촉지지부재(24)가 상기 금속재 봉(100)의 직경(폭) 방향으로 설치된다.A contact support member 24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installed in a diameter (width) direction of the metal rod 100 in the lower support frame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rod 100 in the second loading unit 20 .

상기 접촉지지부재(24)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재(24)가 상기 금속재 봉(100)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금속재 봉이 굴러 상기 이송부 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된다.The contact support member 24 i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etal rod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support member 24 has a circular section and the contact in the process of the metal rod being moved to the transfer unit side The area is minimized.

그리하여, 상기 금속재 봉(100)의 구름 과정에서 작용되는 마찰이 최소화되고 충격에 의한 표면 흠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friction acting in the rolling process of the metal rod 100 is minimized and the occurrence of surface scratches due to the impact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 2 적재부(20)를 구성하는 하부지지프레임(22)에는 상기 금속재 봉(10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27-1, 27-2)가 설치된다.Sensing sensors 27-1 and 27-2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tal rod 100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ing frame 22 constituting the second loading unit 20. [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7)는 상기 제 2 적재부(20)를 구성하는 하부지지프레임(22)에서 두 군데 이상 설치된다.Here, the detection sensor 27 is installed at two or more positions in the lower support frame 22 constituting the second loading unit 20. [

즉, 상기 감지센서(27)는 상기 제 2 적재부(20)를 구성하는 하부지지프레임(22)에서 상기 이송부(30)에 가까운 측에 하나(27-1)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제 1 적재부(10)에 가까운 측에 하나(27-2) 이상 설치된다.That is, the detection sensor 27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frame 22 constituting the second loading unit 20 on the side closer to the transfer unit 30, And one (27-2) or more is provided on the side close to the unit 10.

그리하여, 자중에 의해 굴러 상기 이송부(30) 쪽으로 몰려 배치되는 금속재 봉(100)이 상기 제 2 적재부(20) 상에서 어느 정도 적재되었는지 갯수를 감지하게 된다.Thus, the number of metal rods 100 that are rolled by their own weights and placed on the conveyance unit 30 is detected on the second loading unit 20.

상기 감지센서(27)로서는 상기 제 2 적재부(20)에 배치되는 금속재 봉(100)을 감지할 수 있는 종류이면 제한은 없으며, 포토센서 또는 광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27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metal rod 100 disposed on the second loading unit 20, and a photo sensor or an optical sensor can be used.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적재부(20)에 직접 인접하여 상기 이송부(30)가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30)에서 상기 제 2 적재부(20)와 경계가 되는 부분에는 상기 이송부(30)로 이송된 금속재 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돌출지지부(32)와 제 2 돌출지지부(34)가 설치된다.4, the transfer unit 30 is disposed directly adjacent to the second loading unit 20, and a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30, which is bounded by the second loading unit 20, A first protrusion support portion 32 and a second protrusion support portion 34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metal rod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rtion 30 are provided.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의 높이는 상기 제 2 돌출지지부(34) 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설치된다.The height of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portion 32 is set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projecting support portion 34.

또한,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의 상면(32-1)은 상기 제 2 돌출지지부를 향할 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32-1 of the first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32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lower toward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이송부(30)에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와 제 2 돌출지지부(34) 사이에 놓여지는 금속재 봉을 지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38)가 설치된다.The convey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roller 38 for conveying the metal rods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and supporting portions 32 and 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하여, 상기 이송롤러(38)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재 봉(10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어, 예를 들어 절단 장치와 같은 이후 공정을 위한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Thus, by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38, the metal rod 100 can be conveye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fed to a device for subsequent processing, for example a cutting device.

도 5 내지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적재부(10)와 제 2 적재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지지프레임(4)에는 상기 금속봉재(1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부재(40)가 설치된다.5 to 7, a side support frame 4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ading unit 1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 raising member (not shown) for raising the metal rod 100 40 are installed.

여기서, 상기 상승부재(40)는 상기 금속재 봉(100)을 지지하여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부(42)와, 상기 승강부(42)를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승강롤러부(44-1, 44-2)와, 상기 승강부(42)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46)를 포함한다.The raising member 40 includes a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42 for supporting the metal rod 100 and transporting the raising and lowering member 42 to the upper side and the raising and lowering portion 42 for slidably supporting the side support frame 4 And a driving cylinder 46 for vertically moving the elevating portion 42. The elevating roller portion 44-1,

그리하여, 상기 구동실린더(4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42)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적재부(10)에 복수의 층으로 적재된 금속재 봉(10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The lifting portion 42 is moved upward by driving the driving cylinder 46 so that the metal rods 100 stacked in the plurality of layers are lifted up to the first loading portion 10.

상기 승강롤러부(44-1, 44-2)는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의 양측에 각각 한쌍씩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42)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안내한다. The pair of elevating roller portions 44-1 and 44-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frame 4 so as to guide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portion 42 in a stable manner.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2)에서 금속재 봉을 지지하는 상면(42-1)은 상기 제 2 적재부(20)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surface 42-1 supporting the metal rod in the elevating portion 42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lowered toward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 As shown in FIG.

그리하여, 상기 승강부(4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승되는 금속재 봉이 자중에 의해 승강부(42)의 상면(42-1)을 따라 굴러 상기 제 2 적재부(20)로 이동된다.Thus, the metal rod lifted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elevating portion 42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ng portion 42 by its own weight to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

즉,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이 경사져 형성되므로, 상기 승강부(42)가 상승되는 동안에는 금속재 봉이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과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승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의 상면(42-1)이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의 상면(4-1)에 다다를 경우 경사져 형성되는 상기 승강부 상면(42-1)을 따라 제 2 적재부(20)쪽으로 굴러 이동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ng portion 42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metal rods are prevented from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ng portion 42 and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side supporting frame 42, (4-1) of the side support frame (4) when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on portion reaches the upper surface (4-1) of the side support frame (4) 42-1 toward the second stacking unit 20 side.

이러한 이동을 위해,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의 상면(4-1) 역시 상기 제 2 적재부(20)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For this movement, the upper surface 4-1 of the side support frame 4 is also inclined so as to be lower toward the second loading part 20. [

한편, 상기 승강부(42)에서 제 1 적재부(10)에 적재된 금속재 봉(100)들을 접촉하는 측면(42-2)은 만곡된 곡면의 측단면으로 형성된다.The side surface 42-2 of the elevating portion 42 contacting the metal rods 100 mounted on the first loading portion 10 is formed as a curved side surface.

상기와 같이 승강부(42)가 상승함으로써, 금속재 봉(100)을 제 2 적재부(20)로 이송한 이후에 상기 승강부(42)는 하강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승강부(42)의 측면(42-2)은 상기 금속재 봉(100)들의 표면과 부딪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승강부(42)의 측면(42-2)을 부드럽게 만곡된 곡면의 측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금속재 봉(100)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After the lifting portion 42 is lifte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portion 42 is lowered after the metal rod 10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 In this process, The side surface 42-2 of the side surface 42-2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portion 42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metal rods 100 so that the side surface 42-2 of the elevating portion 42 is formed as a smoothly curved side surface, 100 are not scratched.

또한, 상기와 같이 금속재 봉(100)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실린더(46)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축(48)을 중심으로 다소간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metal rod 100 from being scratched, the driving cylinder 46 is fixed to be rotatable about a shaft 48 provided at the lower end.

그리하여, 상기 승강부(42)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단부의 축(48)을 중심으로 상기 승강부(42)가 다소간 유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승강부(42)의 측면(42-2)에 의해 금속재 봉(100)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된다.Thus, the elevating portion 42 can be rotated somewhat fluidly around the shaft 48 at the lower end during the descending of the elevating portion 42, so that the side surface 42- 2 to minimize the force applied to the metal rod 100.

그리고, 상기 승강롤러부(44-1, 44-2)가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의 양측에 각각 한쌍씩 설치됨으로써, 상기 승강부(42)가 하강되는 동안 상기 구동실린더(46)가 축(48)을 중심으로 다소 회전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지지할 수 있다.A pair of the elevating roller portions 44-1 and 44-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frame 4 so that the driving cylinder 46 is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the elevating portion 42 is lowered. It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it is slightly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48.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과 측면(42-2)은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으로부터 상기 제 1 적재부(10) 쪽으로 다소간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돌출되는 정도(P1)는 상기 제 1 적재부(10)에 적재되는 금속재 봉(100) 직경의 0.6 배 내지 1.4 배만큼 돌출된다.The upper surface 42-1 and the side surface 42-2 of the elevating portion 42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somewhat toward the first loading portion 10 from the side supporting frame 4, Is protruded by 0.6 to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00) loaded on the first loading part (10).

그리하여, 상기 승강부(42)가 상승되는 때에 상기 상면(42-1)에 의해 하나의 금속재 봉(100) 만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승강부(42-1)의 상면(42-1)과 측면(42-2)이 상기 제 1 적재부(10) 쪽으로 돌출된다.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ng portion 42-1 is formed so that only one metal rod 10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42-1 when the elevating portion 42 is raised. And the side surface 42-2 protrude toward the first loading portion 10. [

만약, 상기와 같이 돌출되는 폭의 크기가 상기 금속재 봉(100) 직경의 0.6 배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에 하나의 금속재 봉(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렵게 되며, 상기 돌출되는 폭의 크기가 1.5 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에 동시에 두 개의 금속재 봉(100)이 얹혀질 수 있다.When the width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smaller than 0.6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00, the metal rod 100 is s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lift portion 42 Two metal rods 100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ng portion 42 at the same time.

따라서, 상기 승강부(42)에서 측부지지프레임(4) 쪽으로 돌출되는 폭(P1)을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승강부(42) 상승시 하나의 금속재 봉(100) 만이 얹혀져 상승될 수 있다.Therefore, by making the width P1 protruding from the elevating portion 42 toward the side supporting frame 4, only one metal rod 100 can be raised and raised when the elevating portion 42 is elevated.

그리고, 상기 승강부(42)의 상면에 얹혀지는 하나의 금속재 봉(100-1) 위에 또 다른 금속재 봉(100-2)이 얹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 에서와같이 상기 제 1 적재부(10)의 측부지지프레임(4)은 상기 금속재 봉(100) 쪽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8, in order to prevent another metal rod 100-2 from being placed on one metal rod 100-1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42, The side support frame 4 of the side plate 10 may be inclined toward the metal rod 100.

그리하여, 상기 승강부(42)가 상승되는 동안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에 하나의 금속재 봉(100-1) 만이 얹혀지고, 그 위에 얹혀질 수 있는 금속재 봉(100-2)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에 의해 상기 제 1 적재부(10)로 낙하되도록 유도된다.Thus, only one metal rod 100-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elevation part 42 while the elevation part 42 is lifted, and the metal rod 100- 2 are guided to fall into the first loading section 10 by the side support frame 4 formed to be inclined.

또는,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에서 상기 승강롤러부(44-1, 44-2)와 접촉되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승강부(42)가 상승되는 동안 미세한 진동이 발생되어, 윗쪽 금속재 봉(100-2)이 낙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fine convex and concave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support frame 4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levating roller portions 44-1 and 44-2, so that minute vibrations are generated while the elevating portion 42 is lifted, The upper metal rod 100-2 may be configured to drop.

따라서, 상기 승강부(42)에 의해 상기 제 1 적재부(10)에 적재된 금속재 봉(100)은 상기 측부지지프레임(4)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굴러서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적재부(20)로 하나씩 이송된다.Therefore, the metal rod 100 mounted on the first loading part 10 by the elevating part 42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side supporting frame 4, And transported one by one to the second loading unit 20. [

그리하여, 상기 제 2 적재부(20)에는 금속재 봉(100)들이 하나의 층으로 그 직경 또는 폭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배치된다.Thus, the metal rods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diameter or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stacking portion 20 as a single layer.

또한, 상기 이송부(30) 부분에는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상기 이송부(30)로 금속재 봉(100)을 하나씩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50)가 설치된다.The transfer unit 30 is provided with a transfer member 50 for transferring the metal rods 100 from the second loading unit to the transfer unit 30 one by one.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재(50)는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재 봉(100)을 대면하는 측의 대면단부(52)에는 링크(58)가 결합된다.11, the transmission member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and a link 58 is coupled to a facing end portion 52 of the side facing the metal rod 100. As shown in Fig.

상기 전달부재(50)의 대면단부(52)에 결합되는 링크(58)의 단부는 상기 제 2 적재부(20) 하부에 설치되는 축(5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An end of the link 58 coupled to the opposite end 52 of the transmission member 50 is rotatably fixed to a shaft 56 provided below the second loading unit 20. [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50)에서 상기 대면단부(52) 타측의 고정단부(54)는 축(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fixed end portion 54 on the other side of the facing end portion 52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is rotatably fixed by an axis 55.

그리하여, 상기 링크(58)에 결합되는 구동실린더(57)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대면단부(52)가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Thus, by driving the drive cylinder 57 coupled to the link 58, the facing end 5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upward.

상기 전달부재(50)의 대면단부(52)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로부터 상기 제 2 적재부(20) 측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설치된다.The opposite end 52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is installed to protrude somewhat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0 side.

즉, 상기 전달부재(5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금속재 봉(10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태에, 상기 전달부재(50)의 대면단부(52)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로부터 상기 제 2 적재부(20) 측으로 다소간(P2) 돌출되어, 상기 전달부재(50)의 상면(52-1)에 하나의 금속재 봉(100)이 얹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ront end 52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is moved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to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mitting member 50 is rotated upw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rod 100, So that the metal rod 10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52-1 of the transmission member 50 by being slightly protruded towar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0 side.

상기와 같이 전달부재(50)의 상면(52-1)에 하나의 금속재 봉(100)이 얹혀질 수 있도록 상기 전달부재(50)의 대면단부(52) 측은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로부터 상기 제 2 적재부(20) 측으로 상기 금속재 봉(100) 직경의 0.6 배 내지 1.4 배만큼(P2) 돌출된다.The side of the opposite end 52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so that one metal rod 100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52-1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 (P2) by 0.6 to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00) towar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0).

그리하여, 상기 전달부재(50)의 고정단부(54)를 중심으로 대면단부(52) 측이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적재부(20)로부터 금속재 봉(100)이 하나씩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50)의 상면(52-1)으로 굴러 상기 이송부(30)로 이동된다.The metal rod 100 is moved upward one by one from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 by rotating the opposite end 52 side upward about the fixed end portion 54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And is moved to the conveying unit 30 by rolling on the upper surface 52-1 of the transmitting member 50 by the rear weight.

그리하여, 상기 제 2 돌출지지부(34)와 돌출부(37) 사이에 금속재 봉(100)이 수용된다.Thus, the metal rod 100 is received between the second projecting support portion 34 and the projecting portion 37.

여기서, 도 1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와 제 2 돌출지지부(34)에는 위치조절용 핸들(60)이 연동되어, 상기 핸들(6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돌출지지부와 제 2 돌출지지부(34)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12, a position adjusting handle 6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rojecting support portion 32 and the second projecting support portion 34 to rotate the handle 60, And the second projection supporting portion 34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와 제 2 돌출지지부(34)는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64)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64)의 나사산과 연동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축(62)이 상기 핸들(6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6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64)가 상기 축(6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와 제 2 돌출지지부(34)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and supporting portions 32 and 34 are coupled to a support plate 64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threaded shaft The support plate 64 is moved along the shaft 62 by rotating the handle 60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32 and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62 are engaged with the handle 6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34 can be adjusted.

그리하여,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와 상기 제 2 돌출지지부(34)을 이동시켜, 상기 전달부재(50)의 대면단부(52) 측이 상기 제 1 돌출지지부(32)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34 are moved so that the side of the opposite end 52 of the transmission member 50 protrudes outside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이 대면단부(52)가 제 1 돌출지지부(32)로부터 제 2 적재부(20) 측으로 돌출되는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금속재 봉(100)을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acing end 52 protruding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32 towar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etal rod 100 having various diameters can be mov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etal rod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크레인 등의 운반 수단에 의해 다량의 금속재 봉(100)이 이동되어 상기 제 1 적재부(10)에 적재된다.First, a large amount of the metal rod 100 is moved by a conveying means such as a crane, and is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10. [

이후, 상기 상승부재(40)의 승강부(42)가 상방으로 상승됨에 따라, 하나의 금속재 봉(100)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부(42)의 상면(42-1)을 굴러 제 2 적재부(20)로 이동된다.Thereafter, as the lifting portion 42 of the lifting member 40 is lifted upward, one metal rod 100 is moved upward so that the upper surface 42-1 of the lifting portion 42 is lifted up, 2 stacking portion 20 in the same manner.

상기 제 2 적재부(20)로 이동된 금속재 봉(100)의 갯수는 상기 제 2 적재부(20)를 구성하는 하부지지프레임(22)에 설치되는 상기 감지센서(27-1, 27-2)들에 의해 감지된다.The number of the metal rods 100 moved to the second loading unit 20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detection sensors 27-1 and 27-2 installed in the lower supporting frame 22 constituting the second loading unit 20. [ ). ≪ / RTI >

만약, 상기 감지센서(27-1, 27-2)들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재 봉(100)의 갯수가 미리 지정된 소정의 갯수가 안될 경우에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상승부재(40)가 작동되어 제 1 적재부(10)로부터 제 2 적재부(20)로 금속재 봉(100)을 이동시킨다.If the number of the metal rods 100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s 27-1 and 27-2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numbe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90 causes the raising member (40) is operated to move the metal rod (100) from the first loading section (10) to the second loading section (20).

상기와 같이 제 2 적재부(20)로 이동된 금속재 봉(100)은 이후 상기 전달부재(50)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30)로 하나씩 이동된다.The metal rod 100 moved to the second loading unit 20 is moved to the transfer unit 30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ring unit 50 as described above.

상기 이송부(30)로 이동된 금속재 봉은 상기 이송롤러(38)가 회전됨으로써,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절단장치와 같은 이후 공정을 위한 장치로 공급된다.The metal rod moved to the conveying unit 30 is move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roller 38 and supplied to a device for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a cutting device.

상기 상승부재(40)와 전달부재(50) 및 이송롤러(38)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 1 적재부(10)로부터 제 2 적재부(20) 및 이송부(30)를 거쳐 이후의 공정 장치로 금속재 봉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mber 40 and the transferring member 50 and the transferring roller 3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o that the second stacking unit 20 and the transferring unit 38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stacking unit 10, 30), the metal rod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subsequent processing apparatus.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제 1 적재부
20: 제 2 적재부
30: 이송부
40: 상승부재
50: 전달부재
60: 핸들
90: 제어부
10: First loading part
20: Second loading section
30:
40: lifting member
50:
60: Handle
90:

Claims (22)

금속재 봉들을 적재하기 위한 제 1 적재부와;
상기 제 1 적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적재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금속재 봉들을 적재하기 위한 제 2 적재부와;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이동된 상기 금속재 봉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재부에 적재된 금속재 봉은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적재부로 하나씩 이송되며,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금속재 봉이 하나씩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자중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부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은 그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A first stacking portion for stacking the metal rods;
A second stack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tacking portion for stacking the metal rods moved from the first stacking portion;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metal rod moved from the second loading unit,
The metal rods stacked on the first stacking portion ar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n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ir own weight to be transported one by one to the second stacking portion,
The metal rods ar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one by one from the second loading section, then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ir own weight, and are moved to the transfer section,
Wherein the metal rod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tal r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재부는 상기 금속재 봉들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의 측부에서 기립 배치되는 측부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재부와 제 2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지지프레임에는 상기 금속재 봉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unting portion includes a lower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metal rods;
And a side support frame standing upright from a side of the lower support frame,
And a lifting member for raising the metal rod is installed on the side support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part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재는,
상기 금속재 봉을 지지하여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승강롤러부와;
상기 승강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member comprises:
A lifting unit for supporting the metal rod and transporting the lifting unit upward;
An elevating roller portion for slidably supporting the elevating portion on the side support frame;
And a drive cylinder for vertically moving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롤러부는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ir of elevating roller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의 하단부는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cylinder is rotatably fixed through a shaf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재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프레임은 상기 이송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metal rods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conveying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재부의 하부지지프레임은 상기 제 2 적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er support frame of the first loading unit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econd loading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서 금속재 봉을 지지하는 상면은 상기 제 2 적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적재된 금속재 봉들을 접촉하는 측면은 만곡된 곡면의 측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ortion supporting the metal rod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loading portion,
Wherein the side surface contacting the loaded metal rods is formed as a side end surface of a curved curved su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상면은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적재부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 1 적재부에 적재되는 금속재 봉 직경의 0.6 배 내지 1.4 배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side support frame toward the first loading portion,
Wherein the metal rod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by 0.6 to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load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재부와 상기 이송부의 경계에는 금속재 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돌출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이송부로 이동된 금속재 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돌출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 2 돌출지지부 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protrusion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metal rod i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the transfer portion,
A second protrusion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metal rod moved to the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ortion,
Wherei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to protrude lower than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제 2 돌출지지부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clined so as to be lower towar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재부로부터 상기 이송부로 금속재 봉을 하나씩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에서 상기 제 2 적재부 측의 금속재 봉과 대면하는 측의 대면단부는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측의 고정단부는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metal rods from the second loading portion to the transfer portion one by one,
Wherein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facing the metal ro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side is rotatable upward and the other fixed end portion is rotatably fixed by a shaf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금속재 봉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재의 대면단부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2 적재부로 상기 금속재 봉 직경의 0.6 배 내지 1.4 배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mitting member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by 0.6 to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mitting member is rotated and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rod Features automatic metal rod feed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재부의 측부지지프레임은 상기 금속재 봉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ide support frame of the first loading part is inclined toward the metal r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대면단부에는 링크가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단부는 상기 제 2 적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축에 고정되고,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링크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대면단부가 상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link is coupl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and an end of the link is fixed to a shaft provided below the second stacking unit,
And the opposite end is rotatable up and down by lifting and lowering the link by a drive cylind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지지부와 상기 제 2 돌출지지부는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돌출지지부와 제 2 돌출지지부 사이에 놓여진 금속재 봉을 지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veying portion includes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metal rod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and supporting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지지프레임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ide support fram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재부에서 상기 금속재 봉과 접촉되는 바닥에는 원형 단면의 접촉지지부재가 상기 금속재 봉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contact support memb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install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metal rod at a bottom of the second loading sec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r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재부에는 상기 금속재 봉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oad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tal ro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재 봉의 유무에 따라 상승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the lifting member is driv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tal rod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 2 적재부에서 두 군데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at two or more positions in the second loading unit.
KR1020170010489A 2017-01-23 2017-01-23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KR101767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489A KR101767868B1 (en) 2017-01-23 2017-01-23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489A KR101767868B1 (en) 2017-01-23 2017-01-23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868B1 true KR101767868B1 (en) 2017-08-14

Family

ID=6014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489A KR101767868B1 (en) 2017-01-23 2017-01-23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86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6944A (en) * 2017-08-15 2017-11-10 广州广日物流有限公司 A kind of angle steel charging equipment
KR102258108B1 (en) * 2020-07-06 2021-06-01 주식회사 아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metal pipe
CN114751141A (en) * 2022-04-26 2022-07-15 亳州市亚珠新材料有限公司 Automatic replacement equipment for carbon rod processing
KR102425903B1 (en) * 2022-03-21 2022-07-28 (주) 성원특수강 Automatic cutting apparatus of round bar
KR20220119999A (en) * 2021-02-22 2022-08-30 정우하이텍 주식회사 Detecting system for welding-seam of pipe member
CN115535581A (en) * 2022-08-31 2022-12-30 昆山宣润精密机械有限公司 Barrel surface flame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KR102639620B1 (en) * 2023-08-10 2024-02-22 주식회사 까사 Loading machine for angular type b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333A (en) 1998-11-24 2000-06-13 Maeda Seikan Kk Bar feeding device
KR101507984B1 (en) 2015-01-06 2015-04-07 박영견 Heating and Feeding apparatus for forging cylinder shape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333A (en) 1998-11-24 2000-06-13 Maeda Seikan Kk Bar feeding device
KR101507984B1 (en) 2015-01-06 2015-04-07 박영견 Heating and Feeding apparatus for forging cylinder shape material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6944B (en) * 2017-08-15 2023-09-08 广州广日物流有限公司 Angle steel feeding equipment
CN107336944A (en) * 2017-08-15 2017-11-10 广州广日物流有限公司 A kind of angle steel charging equipment
KR102258108B1 (en) * 2020-07-06 2021-06-01 주식회사 아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metal pipe
KR20220005391A (en)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아스코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metal pipe
KR20220005390A (en)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아스코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ated metal pipe
KR102424028B1 (en) 2020-07-06 2022-07-22 주식회사 아스코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ated metal pipe
KR102466893B1 (en) 2020-07-06 2022-11-11 주식회사 아스코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metal pipe
KR102543026B1 (en) * 2021-02-22 2023-06-13 정우하이텍 주식회사 Detecting system for welding-seam of pipe member
KR20220119999A (en) * 2021-02-22 2022-08-30 정우하이텍 주식회사 Detecting system for welding-seam of pipe member
KR102425903B1 (en) * 2022-03-21 2022-07-28 (주) 성원특수강 Automatic cutting apparatus of round bar
CN114751141A (en) * 2022-04-26 2022-07-15 亳州市亚珠新材料有限公司 Automatic replacement equipment for carbon rod processing
CN115535581A (en) * 2022-08-31 2022-12-30 昆山宣润精密机械有限公司 Barrel surface flame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KR102639620B1 (en) * 2023-08-10 2024-02-22 주식회사 까사 Loading machine for angular type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68B1 (en) Automatic feeder for metal bar
KR101559352B1 (en) 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tire
KR101691943B1 (en) Method of transfer pallet unit of Palletizer and Palletizer
JPH1148046A (en) Method of continuously processing consecutive product along production line
KR100785285B1 (en) Device for adjusting edge position of coil
US5788461A (en) Automatic depalletizer
JP2009249139A (en) Device for receiving take-up sheet-like art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967069B1 (en) Roll body transport device
KR100682089B1 (en) Damaging detection apparatus of belt conveyer
KR101253876B1 (en) Belt conveyor
JP2019194114A (en) Belt lifting prevention device for belt conveyor
JP4781936B2 (en) Pallet centrifugal dehydrator
JPH1191930A (en) Work delivery device
KR20210000837A (en) Apparatus for removing iron piece
JP2016215358A (en) Hand device, article transfer device and article transfer method
KR101225731B1 (en) Sensing device of belt conveyor
JP5762347B2 (en) Roll body transport device
KR101776580B1 (en) Apparatus for loading a wood
JP3294122B2 (en) Article processing equipment
KR200189609Y1 (en) Thin sheet feeding apparatus
KR20190133872A (en) Material uneven load preventing apparatus of conveyor
KR100858126B1 (en) The supply apparatus which it follows in steel sleeve width
KR100581623B1 (en) Parking apparatus for solving a transfer failure of a pallet due to a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a lift and a ca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llet transfer
KR102266952B1 (en) Enhanced film roll automatic support unit for display panels
KR20120110317A (en) Sensing device for damage of belt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