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45B1 -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45B1
KR101763745B1 KR1020160002465A KR20160002465A KR101763745B1 KR 101763745 B1 KR101763745 B1 KR 101763745B1 KR 1020160002465 A KR1020160002465 A KR 1020160002465A KR 20160002465 A KR20160002465 A KR 20160002465A KR 101763745 B1 KR101763745 B1 KR 10176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clonal antibody
dengue virus
antibody
fragment
ligh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150A (ko
Inventor
장용석
김새해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42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vir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7Framework region [F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는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 모두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뎅기 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용 키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서열분석을 통해 확보된 CDR 서열을 추후 항체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화 항체 또는 인간항체로 개발하여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용 항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Monoclonal antibody against envelope domain Ⅲ of four serotype dengue viru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뎅기열 바이러스는 년간 5천만명에서 1억명이 고통을 받고 있는 세계적인 주요 질환으로서, 년간 25,000명이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다. 뎅기(열)은 모기 매개성 질환이며, 감기증상을 보이다가 뎅기출혈열(DHF) 또는 뎅기쇼크증후군(DSS)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뎅기열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치료제의 개발이 무척 중요하나 이 질환의 경우 중복감염(다른 타입의 뎅기 바이러스에 의한 두 번째 감염)이 되면 훨씬 심각한 DHF/DSS 증세를 보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통한 환자 증세 완화가 최선의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뎅기열 바이러스는 4가지 혈청형(serotype)이 있으며, 이 중에서 사람의 항체 형성에 주로 관여하는 외막 단백질(envelope)은 약 70%의 상동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막 단백질은 도메인 1(domain 1), 도메인 2(domain 2) 및 도메인 3(domain 3)으로 구별되고, 이 중에서 도메인 3은 숙주세포의 고황화 헤파린(highly sulfated heparan sulfate; HSHS)에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세포내 침투를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외막 단백질의 도메인 3과 도메인 2는 당화(glycosylation)되어 있으며, 중화 에피토프(neutrializing epitope)를 가지고 있어서, 뎅기 바이러스 감염 시, 항체 형성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도메인 1은 주로 외막 단백질의 구조적 역할을 담당하며 dimer 형성에 관여하고, 혈액내에서 낮은 수준의 항체를 형성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9777호에는 '뎅기 바이러스 세로타입 1 E 프로틴에 특이적인 인간 단일클론 항체 및 그들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520084호에는 '뎅기열 바이러스의 표피 단백질 도메인 1에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뎅기열 바이러스 항체의 신속진단키트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뎅기 바이러스 2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envelope domain Ⅲ, EDⅢ)을 항원으로 하여, EDⅢ에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클론을 개발하고,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단일클론 항체가, EDⅢ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뿐만 아니라, 4가지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 모두를 인식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envelope domain Ⅲ, ED Ⅲ)에 결합하는, 마우스로부터 유래된 상보성 결정영역(CDR) 및 프레임 워크 영역(FR)을 포함하는 항체로서,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중쇄 CDR1; 서열번호 2로 기재된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된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과, 서열번호 4로 기재된 경쇄 CDR1; 서열번호 5로 기재된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된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의심되는 개체의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처리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는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 모두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뎅기 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용 키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서열분석을 통해 확보된 CDR 서열을 추후 항체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화 항체 또는 인간항체로 개발하여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용 항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A)는 뎅기 바이러스 2 혈청형의 E 단백질 구조 및 항원으로 사용된 EDⅢ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B)는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반응성을 살펴본 결과이며, (C)는 EDⅢmAb-61 단클론 항체의 아형을 ELISA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고, (D)는 4가지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반응성을 면역 형광 염색을 통해 살펴본 결과이다. rEDⅢ, 재조합 EDⅢ 단백질; cell lysate, DENV-2를 포함하고 있는 세포 용해물; isotype, 일반 생쥐 IgG1을 1차 항체로 사용한 대조군; bar=50㎛.
도 2는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중쇄(A) 및 경쇄(B) 아미노산 및 염기서열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의 rEDⅢ에 대한 반응성을 웨스턴 블랏(A) 및 ELISA(B)를 통해 확인한 결과와, 배양 배지에서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만을 분리 정제하여 뎅기 바이러스 4가지 각 혈청형으로 감염된 Vero 세포에 처리하여 항체 반응성을 면역 형광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C)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은 뎅기 바이러스의 외막 도메인 Ⅲ(envelope domain Ⅲ, EDⅢ)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마우스로부터 유래된 상보성 결정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과 프레임 워크 영역(framework region, FR)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은,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중쇄 CDR1; 서열번호 2로 기재된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된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과, 서열번호 4로 기재된 경쇄 CDR1; 서열번호 5로 기재된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된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가변영역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가변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혈청형(serotype)"은 일반적으로, 뎅기 바이러스 내에 상이한 변이를 지칭한다. 뎅기 바이러스 유전자 군을 포함하는 4가지 상이한 뎅기 바이러스 혈청형(DV1-4)은 아미노산 수준에서 서로 대략 25% 내지 40% 상이하다. 뎅기 바이러스의 4가지 혈청형은 병원성에서 변하지만, 이들 모두 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에 만연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보성 결정영역(CDR)"은 항원의 인식에 관여하는 고리모양의 부위로서 이 부위의 서열이 변함에 따라 항체의 항원에 대한 특이성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변영역(variable region)"이란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서열상의 많은 변이를 보이는 부위를 의미하고, 가변영역에는 상보성 결정영역인 CDR1, CDR2 및 CDR3가 존재한다. 상기 상보성 결정영역 사이에는 프레임 워크 영역(FR) 부분이 존재하여 상보성 결정영역 고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일클론 항체"란 단일한 항원성 부위(단일 에피토프)에 대해서 지시되어 이와 특이적인 결합을 하는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단일클론항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융합 방법(fusion method)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클론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항원 단백질을 주사한 마우스와 같은 면역학적으로 적합한 숙주 동물로부터의 면역 세포와 암 세포주를 융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런 두 집단의 세포 융합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융합시키고 항체 생산 세포를 표준적인 배양 방법에 의해 증식시킨다. 한계 희석법(limited dilution)에 의한 서브 클로닝을 실시하여 균일한 세포 집단을 수득하고 난 뒤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시험관 또는 생체 내에서 대량으로 배양한다.
본 발명에서 항체(antibody)는 전체(whole) 항체 형태를 의미하며, 전체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는 마우스 항체(mouse antibody), 인간항체(fully human antibody), 인간화 항체(humanized antibody), 키메릭 항체(chimeric antibody) 및 재조합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우스 항체는 유전공학적인 기법을 통해 면역화 반응 유발 확률이 적은 인간화 항체 또는 인간항체로 제조하여 치료용 항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의 절편"이란,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2 및 Fv 등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카복시 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국제공개 특허 WO 88/10649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쇄 Fv(dsFv)는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c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가변영역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투여된 생체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당화(glycosylation) 및/또는 페길화(PEGylation)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당화(glycosylation)"는 글리코실기를 단백질에 전위시키는 가공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당화는 글리코실 전달효소에 의해 글리코실기가 표적 단백질의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또는 히드록실리신 잔기에 결합되어 수행되는데, 상기 당화된 단백질은 생체조직의 구성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표면에서 세포인식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당화 또는 상기 당화의 패턴을 변화시켜서 항체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페길화(PEGlation)"는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도입함으로써, 항체의 혈중 체류시간을 향상시키는 가공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로 고분자 나노 입자를 페길화하는 것에 의해, 나노 입자의 표면의 친수성이 증가되며 병원균, 노폐물 및 외부 유입 물질을 포식하고 소화시키는 인체 내의 대식세포(macrophage) 등을 포함하는 면역 기능으로부터의 인식을 방지하는 소위 스텔스 효과(stealth effect)를 통한 신체 내에서의 빠른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길화에 의하여 항체의 혈중 체류 시간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길화는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 그룹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아민 그룹의 결합에 의해 아미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페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사이의 분자량을 갖고, 선형 또는 가지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화 및/또는 페길화는 본 발명의 항체의 기능을 유지하는 한 당업계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다양한 당화 및/또는 페길화 패턴이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항체는 다양한 당화 및/또는 페길화 패턴이 변형된 변이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9로 기재된 염기서열이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이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경쇄 및 중쇄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코돈의 축퇴성(degeneracy)으로 인하여 또는 상기 인간항체의 경쇄 및 중쇄 또는 그의 단편을 발현시키고자 하는 생물에서 선호되는 코돈을 고려하여, 코딩영역으로부터 발현되는 항체의 경쇄 및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코딩영역에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코딩영역을 제외한 부분에서도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수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 유전자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와 동등한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한, 하나 이상의 핵산 염기가 치환, 결실, 삽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변이될 수 있으며, 이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은 단쇄 또는 이중쇄일 수 있으며, DNA 분자 또는 RNA(mRNA) 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중쇄 및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현 벡터"란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bly linked)"이란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핵산 발현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발현 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발현 벡터는 프로모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엘리먼트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시그널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 코돈 및 종결 코돈은 일반적으로 면역원성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일부로 간주되며, 유전자 작제물이 투여되었을 때 개체에서 반드시 작용을 나타내야 하며 코딩 서열과 인프레임(in frame)에 있어야 한다. 일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원핵 세포에는 lac, tac, T3 및 T7 프로모터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진핵세포에는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프로모터, 마우스 유방종양 바이러스(MMTV) 프로모터, 사람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프로모터, HIV의 긴 말단 반복부(LTR) 프로모터, 몰로니 바이러스 프로모터,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프로모터, 로우스 사코마 바이러스(RSV) 프로모터 뿐만 아니라, β-액틴 프로모터, 사람 헤모글로빈, 사람 근육 크레아틴, 사람 메탈로티오네인 유래의 프로모터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발현 벡터는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마커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내성, 영양 요구성, 세포 독성제에 대한 내성 또는 표면 단백질의 발현과 같은 선택가능 표현형을 부여하는 마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제(selective agent)가 처리된 환경에서 선별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하므로 형질전환된 세포가 선별 가능하다.
또한, 벡터는 복제가능한 발현 벡터인 경우, 복제가 개시되는 특정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복제원점(replication origin)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러스 (예를 들어, 바쿨로바이러스) 또는 파지 벡터, 및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숙주 세포의 게놈내로 삽입될 수 있는 벡터도 사용 가능하다. 전체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발현하는 벡터는, 경쇄와 중쇄가 하나의 벡터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벡터 시스템이거나 또는 경쇄와 중쇄를 각각 별도의 벡터에서 발현시키는 시스템 모두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두 벡터는 동시 형질전환(cotransfomation) 및 표적 형질전환(targeted transformation)을 통하여 숙주세포로 도입하고, 경쇄(또는 중쇄)를 함유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하고 경쇄를 발현하는 선별된 세포를 중쇄(또는 경쇄)를 포함하는 벡터로 다시 형질전환하여 경쇄 및 중쇄 모두를 발현하는 세포를 최종적으로 선별한다. 또한, Fab 형태의 항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인간 경쇄의 가변영역(VL)과 불변영역(CL) 및 인간 중쇄의 가변영역(VH)과 첫 번째 불변 영역 도메인(CH1)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삽입한 벡터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상기 벡터의 적합한 숙주세포는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또는 스타필로코쿠스 속(Staphylococcus sp.)과 같은 원핵 세포일 수 있다. 또한,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sp.)과 같은 진균, 피치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쉬조사카로마세스 속(Schizosaccharomyces sp.) 및 뉴로스포라 크라사(Neurospora crassa) 같은 효모, 그 밖의 하등 진핵 세포 및 곤충으로부터의 세포와 같은 고등 진핵생물의 세포와 같은 진핵 세포일 수 있다. 또한 식물, 포유동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숭이 신장 세포 7(COS7), NSO 세포, SP2/0,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CHO), W138, 어린 햄스터 신장(BHK) 세포, MDCK, 골수종 세포주, HuT 78 세포 및 HEK 293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숙주세포로의 형질 전환"은 핵산을 유기체, 세포, 조직 또는 기관에 도입하는 어떤 방법도 포함되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숙주 세포에 따라 적합한 표준 기술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런 방법에는 전기충격유전자전달법(electroporation), 원형질 융합, 인산 칼슘(CaPO4) 침전, 염화 칼슘(CaCl2) 침전,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 이용한 교반, 아그로박테리아 매개된 형질전환, PEG, 덱스트란 설페이트,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및 건조/억제 매개된 형질전환 방법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a) 본 발명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배양액으로부터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 제조에서 형질전환체의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과정은 당업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수득한 항체는 정제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다양한 통상의 정제 방법, 예를 들면 투석, 염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크로마토그래피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항체는 항원에 대한 친화도(affinity)가 증가된 항체이다. 용어 "친화도"는 항원의 특정부위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결합하는 능력으로, 항체의 항원에 대한 특이성과 함께 고도의 친화도는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뎅기 바이러스의 4가지 혈청형 모두의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므로, 뎅기 바이러스의 침입을 중화시켜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뎅기열(dengue fever) 또는 뎅기출혈열(dengue hemorrhagic fever)을 포함할 수 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어 생기는 병으로 고열을 동반하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뎅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뎅기열의 증상은 갑작스럽게 고열이 나서 발열은 3~5일간 계속되고, 심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식욕부진이 생긴다. 초기에 때로 신체 전반에 붉은 반점이 나타난다. 열이 떨어지면서 온 몸에 피부 발진이 1~5일간 계속되는데, 초기에는 얼굴, 목 및 가슴 부위에 좁쌀 모양의 발진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다가 3~4일째에 가슴과 몸통에서 시작하여 팔다리와 얼굴로 퍼지게 된다. 전신의 림프절이 커지지만 간이나 비장은 촉진되지 않는다. 코피나 잇몸 출혈 등의 경미한 출혈이 질병 경과 중에 나타난다. 성인의 경우 혈변을 보거나 월경과다, 목 부위의 림프절이 붓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뎅기출혈열은 뎅기열의 심한 형태로, 이 경우 환자는 열이 떨어지면서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다가 상태가 급속히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매우 심한 쇠약감이나 불안증세가 생기고, 식은땀이 나며, 입 주위가 파랗게 되기도 한다. 가슴의 늑막에 물이 차고, 배에 물이 차는 복수가 생겨서 배가 불러지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다. 뎅기쇼크 증후군이 계속되면 장에서 출혈이 생겨 혈변이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가 좋지 않아 사망할 확률이 40~50%에 달하지만, 적극적인 중환자 치료를 받으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의심되는 개체의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처리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뎅기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개체의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와 반응시키고,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을 검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생물학적 시료"란,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조직 부검 시료(뇌, 피부, 림프절, 척수 등), 세포 배양 상등액, 파열된 진핵세포 및 세균 발현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생물학적 시료를 조작하거나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본 발명의 항체와 반응시켜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의 존재 또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원-항체 복합체"란, 시료 중의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 항원과 이를 인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결합물을 의미하며, 이러한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은 비색법(colormetric method), 전기화학법(electrochemical method), 형광법(fluorimetric method), 발광법(luminometry), 입자계수법(particle counting method), 육안측정법(visual assessment) 및 섬광계수법(scintillation counting metho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응용과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항원-항체 복합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가지 표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 표지체로서 사용되는 효소로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β-D-갈락토시다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β-라타마제 등을 포함하며, 형광물로는 플루오레세인, Eu3+, Eu3+ 킬레이트 또는 크립테이트 등을 포함하며, 리간드로는 바이오틴 유도체 등을 포함하며, 발광물로는 아크리디늄 에스테르, 이소루미놀 유도체 등을 포함하며, 미소입자로는 콜로이드 금, 착색된 라텍스 등을 포함하며, 방사성 동위원소로는 57Co, 3H, 125I, 125I-볼톤(Bonton) 헌터(Hunter) 시약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항원-항체 복합체를 효소면역흡착법(ELISA)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효소면역흡착법은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원을 인지하는 항체를 이용하는 직접적 ELISA,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원을 인지하는 항체의 복합체에서 포획 항체를 인지하는 표지된 이차 항체를 이용하는 간접적 ELISA,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체와 항원의 복합체에서 항원을 인지하는 표지된 또 다른 항체를 이용하는 직접적 샌드위치 ELISA,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항체와 항원의 복합체에서 항원을 인지하는 또 다른 항체와 반응시킨 후 이 항체를 인지하는 표지된 이차 항체를 이용하는 간접적 샌드위치 ELISA 등 다양한 ELISA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은 검출 표지를 가질 수 있으며, 검출 표지를 가지지 않을 경우는 이들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포획할 수 있고, 검출표지를 가지는 또 다른 항체를 처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의 검출 유무와 관련된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키트는 분석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을 가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시약류들은 시그마 케미컬(미국)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BALB/c 생쥐(암컷, 5주령)는 오리엔트 바이오(한국)로부터 구매하였다.
2. 바이러스 및 세포주
환자로부터 분리한 네가지 뎅기 바이러스는 Truong 박사(베트남 국립보건연구원)로부터 제공받았으며, C6/36 세포주는 ATCC(미국)로부터 구매하여 5%(v/v) FBS(소태아혈청, Etobicoke, 캐나다)가 첨가된 최소영양배지를 이용하여 28℃, CO2 조건에서 배양하며 증식시켰다. SP2/0-Ag14, CHO-K1 및 Vero 세포주 역시 ATCC로부터 구매하여 Dulbecco's 최소영양배지와 10% FBS가 첨가된 F-12K 배지를 사용하여 37℃,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 재조합 단백질
DENV-2로부터 유래한 재조합 EDⅢ(rEDⅢ) 단백질을 면역원으로 사용하였다. DENV-2의 EDⅢ 유전자는 DENV-2 감염된 C6/36 세포로부터 증폭시키고, pREST 발현 벡터(Novagen, 독일)에 클로닝하였다. rEDⅢ 단백질은 BL21(DE3) E. coli에서 발현시키고, Ni-NT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Bio-rad, 미국)을 통해 정제하였다.
4. B 세포 하이브리도마 클론의 생성 및 유지
rEDⅢ 단백질 100㎍으로 주사 후 한달 후 동량으로 일주일에 한번씩 2주 주사하여 면역화한 생쥐로부터 지라세포를 준비한 후 1㎖의 PEG-1500(Roche Diagnostics GmbH, 독일)를 사용하여 SP2/0-Ag14 골수종 세포주와 융합시켰다. 융합된 세포는 HAT(hypoxanthine-aminopterin-thymidine)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EDⅢ 특이적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는 항원 directed ELISA를 통해 재선별하였으며, 단클론 하이브리도마는 한계 희석법을 통해 획득하였다.
5. 하이브리도마 클론으로부터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클로닝 및 일과성 발현
하이브리도마 클론 #61의 총 RNA는 RNeasy 미니 키트(Qiagen, 독일)를 사용하여 준비하였고, cDNA 합성은 QuantiTect 역전사 시스템(Qiagen)을 이용하였다. 면역글로불린 경쇄 및 중쇄 유전자는 Ig-Primer 세트(Millipore, 미국)를 사용하여 98℃ 10초, 55℃ 30초, 72℃ 1분의 사이클을 30회 반복하는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여 증폭하였다. PCR 산물은 pcDNA3.1 포유류 세포 발현 벡터(Invitrogen, 미국)로 서브클로닝하였다.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벡터를 lipofectamin 3000(Invitrogen)을 이용하여 CHO-K1 세포에 형질전환하였다. 간단하게, 플라스미드 DNA와 지질(lipofectamin)의 1:1 혼합물을 준비하고, 이를 세포에 처리한 후 1일 후에 배양 배지를 G418 설페이트가 포함된 신선한 배지로 교환하였다.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CHO-K1을 4일간 배양하고 4℃, 3,000rpm, 10분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단백질 G 컬럼(GE Healthcare, 영국)을 사용하여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항체들을 분리하였다.
6.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DⅢ 단백질 또는 항-아형(anti-isotype) 항체로 코팅된 ELISA 플레이트의 각 웰은 3% BSA(소혈청알부민)가 녹아있는 PBS로 블록킹하였다. 그 후 블록킹 용액을 제거하고 웰을 세척한 후, #61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배양액을 각 웰에 넣고 반응시킨 후, 붙어있는 항체를 알카라인 포스페이트가 붙어있는 이차 항체와 순차적인 배양을 통해 검출하였다. 최종적으로,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p-nitrophenyl phosphate) 용액을 첨가하고, 효소 활성을 ELISA 리더기(Packard Instrument, 미국)로 측정하였다.
7. 웨스턴 블랏 분석
rEDⅢ 단백질 및 DENV를 포함하고 있는 Vero 세포 용해물을 15% SDS-PAGE 겔에 로딩하여 분리한 후 PVDF 멤브레인에 트랜스퍼하였다. 면역블롯팅(Immunoblotting)은 EDⅢ 특이적 단클론 항체 EDⅢmAb-61, #61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배양액, 항-뎅기 바이러스 항체(AbD Serotec, 영국)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시각화를 위해서, HRP(horseradish perosidase)가 붙어있는 이차항체와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을 사용하였다.
8. 면역 형광 염색(Immunofluorescent staining)
DENV로 감염된 Vero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후, 3% BSA가 녹아있는 PBS로 블록킹하고,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와 반응시킨 후,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가 결합된 이차 항체(BD Bioscience, 미국)를 반응시켜 세포를 염색하였다. DAPI(Invitrogen)로 핵을 염색한 후 공초점 주사 레이져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arl zeiss, 독일)으로 시료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1. EDⅢ 특이적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클론 #61
뎅기 바이러스의 E 단백질은 세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EDⅢ는 297번째 아미노산부터 394번째 아미노산까지이다(도 1A). rEDⅢ 단백질을 준비하기 위해서, EDⅢ 유전자를 pREST 발현 벡터로 클로닝하고, 대장균 시스템에서 발현시킨 후 Ni-NTA 친화성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rEDⅢ는 폴리히스티딘, T7 유전자 및 Xpress 에피토프를 가진 약 15kDa의 단백질이다. EDⅢ-특이적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기 위해서, rEDⅢ로 면역화한 생쥐로부터 분리한 지라세포를 SP2/0-Ag14 골수종 세포와 융합하여 EDⅢ 특이적 ELISA를 통해 7개의 클론을 선별하였다. 그 중, #61 하이브리도마 클론으로부터 유래한 단일클론 항체가 rEDⅢ 뿐만 아니라, DENV-2를 포함하고 있는 세포 용해물의 E 단백질까지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B), #61 하이브리도마 클론의 항체 아형은 IgG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C). 이에 본 발명에서는 #61 하이브리도마 클론으로부터 유래한 단일클론 항체를 EDⅢmAb-61로 명명하였다. 상기 EDⅢmAb-61 항체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항체가 다른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에 반응하는지 살펴보았다. 면역 형광 염색 결과,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가 4가지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 모두를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D).
상기의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의 하이브리도마 클론이 생산하는 단일클론 항체가 네 가지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 모두의 EDⅢ에 특이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서열 분석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을 분석하기 위해서, #61 하이브리도마 클론으로부터 준비된 중쇄 및 경쇄 유전자를 T 벡터로 클로닝하고, 제노텍(한국)에 의뢰하여 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쇄 유전자는 19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신호 펩타이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변 영역은 IgBLA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중쇄의 V 유전자는 IGHV1-12*01 생식 계통 유전자(germ line gene)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D 유전자는 IGHD2-9*01, IGHD2-2*01 및 IGHD2-7**01 생식 계통 유전자와, 그리고 J 유전자는 IGHJ4*01 생식 계통 유전자와 일치하였다. IMGT/Junction 분석을 통해 예측된 중쇄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CARWLRNYAMDYW이었다. 경쇄 유전자 분석 결과 또한 V 유전자는 IGKVI-110*01 생식 계통 유전자와 J 유전자는 IGKJ2*01 생식 계통 유전자와 일치하였다. 경쇄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CSQSTHDPYTF로 확인되었다(도 2).
실시예 3.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뎅기 바이러스 검출 분석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중쇄 및 경쇄 유전자를 pcDNA3.1 벡터로 서브클로닝하고 CHO-K1 세포에서 발현시켰다.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CHO 세포의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rEDⅢ 단백질 검출을 웨스턴 블랏(도 3A)과 ELISA(도 3B)로 분석하였다.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가 뎅기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백질 G 컬럼을 통해 배양 배지로부터 단일클론 항체만 분리하였다. 분리된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를 4가지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 각각에 감염된 Vero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형광 염색을 통해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가 모든 혈청형의 뎅기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C).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EDⅢmAb-61 단일클론 항체가 EDⅢ에 특이적인 항체임을 알 수 있었다.
<110>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20> Monoclonal antibody against envelope domain III of four serotype dengue virus and uses thereof <130> PN15453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1 <400> 1 Gly Tyr Thr Phe Thr Ser Tyr Asn 1 5 <210> 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2 <400> 2 Ile Tyr Pro Gly Asn Gly Tyr Thr Ser 1 5 <210> 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3 <400> 3 Cys Ala Arg Trp Leu Arg Asn Tyr Ala Met Asp Tyr Trp 1 5 10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1 <400> 4 Gln Ser Leu Val His Ser Asn Gly Asn Thr Tyr Leu 1 5 10 <210> 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2 <400> 5 Val Ser Asn 1 <210> 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3 <400> 6 Cys Ser Gln Ser Thr His Asp Pro Tyr Thr Phe 1 5 10 <210> 7 <211> 1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400> 7 Met Gly Trp Ser Tyr Ile Ile Leu Phe Leu Val Ala Thr Ala Thr Gly 1 5 10 15 Val His Ser Gln Val Gln Leu Gln Gln Pro Gly Ala Glu Leu Val Lys 20 25 30 Pro Gly Ala Ser Val Lys Met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35 40 45 Thr Ser Tyr Asn Met His Trp Val Lys Gln Thr Pro Gly Gln Gly Leu 50 55 60 Glu Trp Ile Gly Ala Ile Tyr Pro Gly Asn Gly Tyr Thr Ser Tyr Asn 65 70 75 80 Gln Lys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Ala Asp Arg Ser Ser Ser 85 90 95 Thr Ala Tyr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100 105 110 Tyr Phe Cys Ala Arg Trp Leu Arg Asn Tyr Ala Met Asp Tyr Trp Gly 115 120 125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Ala Lys Thr 130 135 140 <210> 8 <211> 1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400> 8 Met Arg Ala Pro Ala Gln Phe Phe Gly Phe Leu Leu Leu Trp Phe Pro 1 5 10 15 Ala Ser Ser Ser Asp Val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20 25 30 Val Ser Leu Gly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35 40 45 Leu Val His Ser As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Tyr Leu Gln Lys 50 55 60 Pro Gly Gln Ser Pro Lys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65 70 75 80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85 90 95 Thr Leu Lys Ile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Phe 100 105 110 Cys Ser Gln Ser Thr His Asp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115 120 125 Leu Glu Ile Lys Arg Ala Asp Ala Ala Pro Thr Val 130 135 140 <210> 9 <211> 4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400> 9 atgggatgga gctatatcat cctcttcttg gtagcaacag ctacaggtgt ccactcccag 60 gtgcaactgc agcagcctgg ggctgagctg gtgaagcctg gggcctcagt gaagatgtcc 120 tgcaaggctt ctggctacac atttaccagt tacaatatgc actgggtaaa gcagacacct 180 ggacagggcc tggaatggat tggagctatt tatccaggaa atggttatac ttcctacaat 240 cagaagttca aaggcaaggc cacattgact gcagacagat cctccagcac agcctacatg 300 cagctcagca gcctgacatc tgaggactct gcggtctatt tctgtgcaag atggttacga 360 aactatgcta tggactactg gggtcaagga acctcagtca ccgtctcctc agccaaaacg 420 420 <210> 10 <211> 4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400> 10 atgagggccc ctgctcagtt ttttgggttc ttgttgctct ggtttccagc ttccagcagt 60 gatgttgtga tgacccaaac tccactctcc ctgcctgtca gtcttggaga tcaagcctcc 120 atctcttgca gatctagtca gagccttgta cacagtaatg gaaacaccta tttacattgg 180 tacctgcaga agccaggcca gtctccaaag ctcctgatct acaaagtttc caaccgattt 240 tctggggtcc cagacaggtt cagtggcagt ggatcaggga cagatttcac actcaagatc 300 agcagagtgg aggctgagga tctgggagtt tatttctgct ctcaaagtac acatgatccg 360 tacacgttcg gaggggggac caagctggaa ataaaacggg ctgatgctgc accaactgta 420 420

Claims (10)

  1.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envelope domain Ⅲ, ED Ⅲ)에 결합하는, 마우스로부터 유래된 상보성 결정영역(CDR) 및 프레임 워크 영역(FR)을 포함하는 항체로서,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중쇄 CDR1; 서열번호 2로 기재된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된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과, 서열번호 4로 기재된 경쇄 CDR1; 서열번호 5로 기재된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된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클론 항체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가변영역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가변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
  3. 제1항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의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4. 제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5. 제4항의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인간을 제외한 형질전환체.
  6. (a) 제5항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배양액으로부터 제1항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의심되는 개체의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처리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뎅기 바이러스 외막 도메인 Ⅲ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절편을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10. 제9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키트.
KR1020160002465A 2016-01-08 2016-01-08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763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65A KR101763745B1 (ko) 2016-01-08 2016-01-08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65A KR101763745B1 (ko) 2016-01-08 2016-01-08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150A KR20170085150A (ko) 2017-07-24
KR101763745B1 true KR101763745B1 (ko) 2017-08-01

Family

ID=5942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465A KR101763745B1 (ko) 2016-01-08 2016-01-08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7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774B1 (ko) 2018-05-08 2019-07-03 한국세라믹기술원 뎅기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피브로넥틴 edb 단백질 스캐폴드
KR20200099732A (ko) * 2019-02-15 2020-08-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뎅기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 도메인 ⅲ 유래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조기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812B1 (ko) * 2018-12-19 2019-11-2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뎅기 바이러스 edi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na 압타머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350A (ja) 2003-01-31 2007-08-30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抗デング熱ウイルス抗体、組成物、方法および使用
US8637035B2 (en) 2010-07-16 2014-01-28 Academia Sinica Anti-dengue virus antibod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350A (ja) 2003-01-31 2007-08-30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抗デング熱ウイルス抗体、組成物、方法および使用
US8637035B2 (en) 2010-07-16 2014-01-28 Academia Sinica Anti-dengue virus antibodi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Immunol. 2012,188(10):4971-497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774B1 (ko) 2018-05-08 2019-07-03 한국세라믹기술원 뎅기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피브로넥틴 edb 단백질 스캐폴드
KR20200099732A (ko) * 2019-02-15 2020-08-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뎅기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 도메인 ⅲ 유래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조기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69928B1 (ko) 2019-02-15 2020-10-2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뎅기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 도메인 ⅲ 유래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조기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150A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8508B2 (ja) 抗プロ/潜在型ミオスタチン抗体およびその使用
RU2760582C2 (ru) Анти-LAG-3 антитела
US20190367589A1 (en) Anti-jagged 1/jagged 2 cross-reactive antibodies, activatable anti-jagged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7070932B2 (ja) Baff-r標的化キメラ抗原受容体修飾t細胞及びその使用
CN109563169A (zh) 抗hla-g特异性抗体
TW201731870A (zh) 人類免疫不全病毒中和抗體
KR20140104945A (ko) 항-axl 항체 및 그의 용도
KR20140104944A (ko) 항-axl 항체 및 그의 용도
WO2016167306A1 (ja) 抗ヒトNotch4抗体
CA2920890A1 (en) Antibodies to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and uses thereof
KR20230009441A (ko) 항-tigit 항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TW201623331A (zh) 抗黑色素瘤細胞黏著分子(mcam)抗體類及使用彼等之相關方法
WO2022068810A1 (zh) 抗Claudin18.2和CD3的双特异性抗体以及其用途
KR101763745B1 (ko) 뎅기 바이러스 4가지 혈청형의 외막 도메인 ⅲ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JP2021503915A (ja) ヒト組織因子を標的とするヒト化抗体
WO2021254481A9 (zh) 抗Claudin18.2抗体以及其用途
KR20060097526A (ko) 탄저독소에 특이적인 단일클론 항체
KR20140043795A (ko) 가용성 인테그린 α4 변이체
JP2020090528A (ja) ヒト及びマウスSema3Aに交差結合する抗体及びその用途
EP4119581A1 (en) Novel fab dimers
TWI816621B (zh) 抗體及其應用
WO2022068809A1 (zh) 抗cd3抗体以及其用途
KR101998029B1 (ko) Mic-1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856904B1 (ko) Pauf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TW202417516A (zh) Ptk7結合蛋白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