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020B1 -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020B1
KR101761020B1 KR1020150153746A KR20150153746A KR101761020B1 KR 101761020 B1 KR101761020 B1 KR 101761020B1 KR 1020150153746 A KR1020150153746 A KR 1020150153746A KR 20150153746 A KR20150153746 A KR 20150153746A KR 101761020 B1 KR101761020 B1 KR 10176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analysis result
analysis
targe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971A (ko
Inventor
이병재
정민재
Original Assignee
국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토연구원 filed Critical 국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0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도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은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침수 해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지역 내에 도시 계획을 적용할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침수 해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상기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침수 면적 감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System For Supporting Urban Planning and Method For Urban Plann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시 계획을 수립할 때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도시 계획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기후로 인하여 태풍, 홍수와 집중호우 등 기후에 따른 자연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관측된 바가 없이, 일정한 주기나 패턴에 따르지 않고 자연재해가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예측과 적절한 대응방안 미흡으로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지난 몇 십 년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의 규모는 크게 감소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주된 이유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피해 요소의 집중과 집중호우, 돌발홍수 같은 기상이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동안의 홍수 대응 노력은 주로 구조물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나, 이미 도시화의 진행 정도에 따라 구조적인 대책의 한계점이 나타나기도 하며, 많은 예산 소요로 인해 완벽한 구조적 대책의 수립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0716호(발명의 명칭: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 2012. 1. 4. 공개)에서는 이상홍수 취약성 지수와 범람 위험도를 조합하여 선택적 홍수방어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0903716호(발명의 명칭: 3차원 재해 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 2009. 6. 19. 공개)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특정 지역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미리 예측하면서 3차원 그래픽에 의한 사실적인 표현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재해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공간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지역 계발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재해 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적 대책을 용이하게 수립하고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는 폭우 등 재해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대책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도시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지역 내에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한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는, 각각 유출해석 그래프, 강우 그래프, 침수 해석 정보, 결과 리포트 및 재해 취약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하는 단계; 강우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형 분석 결과와 강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지형의 유수 흐름 방향, 유수 누적도 및 하천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의 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중에서 적용 불가능지역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후보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각각에 대응되는 예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중 가용 예산을 초과하는 후보 지역을 제외한 후보 지역을 상기 개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은,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파일을 로딩하고,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 대상 지역 내의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상기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한 개발 효과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분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개발 효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는, 각각 유출해석 그래프, 강우 그래프, 침수 해석 정보, 결과 리포트 및 재해 취약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강우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하며, 상기 지형 분석 결과와 설정된 강우 조건에 기초하여 재해 취약 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형의 유수 흐름 방향, 유수 누적도 및 하천 크기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의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중에서 적용 불가능지역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후보 지역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각각에 대응되는 예산을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중 가용 예산을 초과하는 후보 지역을 제외한 후보 지역을 상기 개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지역 내에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한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재해 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적 대책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도시 계획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지형을 분석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강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재해 취약 지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개발 대상 지역의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디스플레이하는 개발 효과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디스플레이하는 분석 결과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분석 결과"라 할 때, 이는 "제 1 분석 결과" 또는 "제 2 분석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지리적 기초 정보"는 지역에 대한 지형의 특징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기초 정보"는 수치 표고 모델 자료(Digital Elevation Model; DEM), 토지 이용도, 토양도, 지적도, 용도 지역 지구도, 건축물 대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수치 표고 모델 자료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3차원 좌표로 나타낸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토지 이용도는 토지의 이용 상황을 나타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토양도는 토양에 대하여 종류별 특성 및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지적도는 토지의 소재나 경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용도 지역 지구도는 도시 계획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건축물 대장은 건물의 위치, 면적이나 용도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분석 대상 지역"이라 함은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영역으로써, 지리적 기초 정보 중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도시 계획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S110 단계에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디스플레이(1230)를 통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리적 기초 정보의 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210)는 아이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210)를 이용하여 지리적 기초 정보의 유형이 선택되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저장부(1210)에 저장된 파일들 중에서 선택된 유형의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의 형태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이용하여 지리적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의 제어부(1220)는 선택된 파일을 로딩함으로써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예를 들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지리적 기초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지리적 기초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 대상 지역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획득된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기 전에 분석 대상 지역의 유역 출구 및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유역 출구 및 파라미터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유역 출구는 유수가 분석 대상 지역에서 빠져 나가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설정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임계 기여 면적(Constant critical source area), 사면수로 단면비(Channel width/height ratio for hillslope), 하천수로 단면비(Channel width/height ratio for channel network), 최대 하천조도계수(Maximum strickler roughness for the channel network), 최소 하천조도계수(Minimum strickler roughness for the channel network), 포화 수리 전도도(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지표하 하도폭(Width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sub surface water flow), 침투층 최대저류고(Bottom discharge parameter for the infilteration reservoir capacity), 침투층 저류상수(Multiplying parameter for infilteration reservoir capacity), 및 차단층 저류상수(Multiplying parameter for the interception reservoi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분석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이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S310 단계에서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S310 단계에서 지형을 분석하여 분석 대상 지역의 유출해석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유출해석 그래프는 도 1의 S120 단계의 제 1 분석 결과 및 S150 단계의 제 2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S315 단계에서 강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설정된 강우 조건에 따른 강우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강우 그래프는 도 1의 S120 단계의 제 1 분석 결과 및 S150 단계의 제 2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지형 분석 결과와 강우 조건에 기초하여 재해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S310 단계에서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지형을 분석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분석 대상 지역(410)을 복수의 셀들로 구분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각 셀들의 유수 흐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지리적 기초 정보에는 지형의 높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높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셀들의 유수 흐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어부(1220)를 이용하여 각 셀들의 유수 흐름 방향을 벡터(420)로 표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어부(1220)를 이용하여 유수 흐름 방향에 기초해 유수 누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들의 유수 누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셀(421)의 유수 누적도(430)를 산출하기 위하여,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셀(421)의 주변 셀들 중에서 벡터의 방향이 제 1 셀(421)을 향하고 있는 셀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셀(421)을 향하고 있는 제 2 셀(422), 제 3 셀(423), 제 4 셀(424)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셀(421)의 유수 누적도를 선택된 셀들의 수와 선택된 셀들 각각의 유수 누적도를 더한 값을 제 1 셀(421)의 유수 누적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 1 셀(421)의 유수 누적도는 선택된 셀들의 수인 3과 제 2 셀(422), 제 3 셀(423), 제 4 셀(424) 각각의 유수 누적도인 11, 0, 1을 더한 값인 15가 제 1 셀(421)의 유수 누적도가 된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결정된 유수 누적도에 기초하여 하천망을 분석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유수 누적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셀을 하천망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유수 누적도가 5 이상이 셀들(440)이 위치하는 영역이 하천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하천망의 면적에 따라 하천 크기를 분석(내지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5는 S315 단계에서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이 강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강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디스플레이(1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이용하여 강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강우 설정 영역(510), 폭우정보 설정 영역(520), 강우 지속시간 대비 모의시간 설정 영역(530), 시간분포 설정 영역(540)을 포함할 수 있다. 강우 설정 영역(510)은 유출 및 침수지역 분석에 필요한 강우의 유형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폭우정보 설정 영역(520)은 대상 유역 및 IDF(Intens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강우 지속시간 대비 모의시간 설정 영역(530)은 강우 지속시간에 비한 모의시간의 배수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분포 설정 영역(540)은 해당 유역의 강우관측소 및 Huff 분위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에 미리 저장된 강우 조건에 대한 정보 이외에도 별도의 강우 관측소나 측정치 등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강우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강우 조건이 설정되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설정된 강우 조건에 따른 강우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강우 그래프는 분석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재해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S320 단계에서 지형 분석 결과와 강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침수 해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침수 해석 정보는 분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침수 해석 정보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가 지형 분석 결과 및 설정된 강우 조건에 따른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 침수되는 지역으로 판단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침수되는 지역에 기초하여 재해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침수되는 깊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30cm)이상인 지역을 재해 취약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재해 취약 정보는 분석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침수 해석을 수행한 후 유출이 정상적으로 해석될 때까지 파라미터를 조정하며 유출모형을 보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S120 단계에서 상기 기술된 분석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입력된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분석 결과는 유출해석 그래프, 강우 그래프, 침수 해석 정보, 결과 리포트 및 재해 취약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해석 그래프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량과 강우량에 따른 유역 출구 지점의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또한, 강우 그래프는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강우량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또한, 침수 해석 정보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 해석 결과 침수 지역(610)을 나타내는 지도일 수 있다. 또한, 결과 리포트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정보, 강우 그래프, 재해 취약 지역(620), 범람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재해 취약 지역(620)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침수 해석 정보에 따른 홍수 위험 지도(710)와 지적도(720)를 중첩한 결과(730)를 재해 취약 지역(620)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도 1의 S140 단계에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시대응지역 분류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시대응지역 분류 결과는 도시계획적 대책이 적용 가능한 지역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영역을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도시대응지역 분류 결과는 분석 대상 영역을 적용 불가능지역, 우선 적용지역, 최우선 적용 지역, 및 기타 적용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분석 대상 지역 중에서 적용 불가능지역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이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적용 불가능지역, 우선 적용지역, 최우선 적용 지역, 및 기타 적용지역 등을 선택하기 위한 분류 선택 영역(810)과 도시대응지역 분류 결과 표시 영역(8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대응지역 분류 결과 표시 영역(820)은 분류 선택 영역(810)에서 선택된 유형으로 분류된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의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표시된 영역들 중에서 적용 불가능지역을 제외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830)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을 개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개발 대상 지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영역(830)은 결정된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지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140 단계에서 결정되는 개발 대상 지역에 적용될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 계획 기법은 지정된 개발 대상 지역에 어떤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 계획을 수립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이 개발 대상 지역의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디스플레이부(1230)를 통해서 개발 대상 지역의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시 계획 기법 분석 버튼(910), 도시 계획 기법 적용 탭(920), 도시 계획 기법 분류 선택 영역(921), 도시 계획 기법 시설물 선택 영역(922), 도시 계획 기법 선택 영역(9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도시 계획 기법 적용 탭(920)을 이용하여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시 계획 기법 분류 선택 영역(921)을 통해 도시 계획 기법 분류를 선택하고, 도시 계획 기법 시설물 선택 영역(922)을 통해 도시 계획 기법 시설물을 선택한 후, 도시 계획 기법 선택 영역(923)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개발 대상 지역에 선택된 도시 계획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복수 개의 도시 계획 기법을 개발 대상 지역에 적용한 후, 사용자에 의해 도시 계획 기법 분석 버튼(910)이 선택되면, 복수 개의 도시 계획 기법을 적용한 비교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복수 개의 도시 계획 기법 각각에 따라 예상되는 침수 면적 감소율이나 예산 비용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복수의 후보 지역을 결정한 후, 복수의 후보 지역 각각에 대응되는 예산을 산출할 수 있다.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복수의 후보 지역 중 가용 예산을 초과하는 후보 지역을 제외한 후보 지역을 개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의 S150 단계에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설정된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분석 대상 지역 내에서 개발 대상 지역을 개발한 경우에 대한 모의 결과를 제 2 분석 결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도 1의 S160 단계에서,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인 효과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이 디스플레이하는 개발 효과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160 단계에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유출 해석 결과(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출 해석 결과(1010)는 시간에 따른 강우량, 제 1 분석 결과에 포함된 도시 계획 적용 전 출구지점 유출량, 제 2 분석 결과에 포함된 도시 계획 적용 후 출구지점 유출량, 제 2 분석 결과에 포함된 저류지 저류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분석 결과에 포함된 분석 대상 지역 내의 침수 면적과 제 2 분석 결과에 포함된 분석 대상 지역 내의 침수 면적을 비교하여 침수 면적 감소량(1020)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제 1 분석 결과에 포함된 유출 곡선과 제 2 분석 결과에 포함된 유출 곡선(1030)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이 디스플레이하는 분석 결과(110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식으로 분석 결과(1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부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부 실기 예에 따른 분석 결과(1100)는 분석 대상 지역(1110), 강우 정보(1120), 범람도(1130), 예상 침수지역(1140), 개발 대상 지역(1150), 및 도시 계획 기법에 따른 예산 정보(1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유사한 다른 구성요소로 치환하거나,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저장부(1210), 제어부(1220), 및 디스플레이(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10)는 지리적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10)는 HDD, RAM,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riveR)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저장부(1210)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함으로써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220)는 다른 방법으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0)는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1220)는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분석 대상 지역 내의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인 개발 효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0)는 제 1 분석 결과 및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0)는 제 1 분석 결과가 획득된 경우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개발 효과 정보가 획득된 경우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는 각각 유출해석 그래프, 강우 그래프, 침수 해석 정보, 결과 리포트 및 재해 취약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120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강우 조건을 설정하고,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하여 재해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도시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유수 누적도 정보 및 침수 해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지역 내에 도시 계획을 적용할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개발 대상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유수 누적도 정보 및 침수 해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상기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침수 면적 감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상기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지역을 복수의 사각셀로 구분하는 단계;
    각 사각셀에 해당하는 지형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각셀의 유수 흐름 방향을 벡터로 표현하되, 사각셀의 변 또는 꼭지점을 향하는 8가지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갖는 벡터로 표현하는 단계; 및
    각 사각셀의 벡터가 향하는 방향, 및 임의의 사각셀과 인접하여 위치한 다수의 인접셀 중 상기 표현된 벡터의 방향이 상기 임의의 사각셀을 향하는 인접셀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임의의 사각셀의 유수 누적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의 유역 출구 및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포함되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통해 상기 유역 출구 및 상기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 중 어느 일부에는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배치되며, 다른 일부에는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을 적용 불가능지역, 우선 적용지역, 최우선 적용 지역, 및 기타 적용지역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한 도시 대응지역 분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는,
    각각 유출해석 그래프, 강우 그래프, 결과 리포트 및 재해 취약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하는 단계;
    강우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형 분석 결과와 강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지형의 유수 흐름 방향, 유수 누적도 및 하천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의 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중에서 상기 적용 불가능지역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후보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각각에 대응되는 예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중 가용 예산을 초과하는 후보 지역을 제외한 후보 지역을 상기 개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7.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지리적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파일을 로딩하고,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유수 누적도 정보 및 침수 해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 대상 지역 내의 개발 대상 지역에 도시 계획을 적용하여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다시 분석함으로써 유수 누적도 정보 및 침수 해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상기 제 2 분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침수 면적 감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발 효과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분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제 1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개발 효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개발 효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지역을 복수의 사각셀로 구분하고,
    각 사각셀에 해당하는 지형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각셀의 유수 흐름 방향을 벡터로 표현하되, 사각셀의 변 또는 꼭지점을 향하는 8가지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갖는 벡터로 표현하며,
    각 사각셀의 벡터가 향하는 방향, 및 임의의 사각셀과 인접하여 위치한 다수의 인접셀 중 상기 표현된 벡터의 방향이 상기 임의의 사각셀을 향하는 인접셀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임의의 사각셀의 유수 누적도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기 전에,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의 유역 출구 및 지리적 기초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포함되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통해 상기 유역 출구 및 상기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 중 어느 일부에는 도시 계획 기법을 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배치되며, 다른 일부에는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을 적용 불가능지역, 우선 적용지역, 최우선 적용 지역, 및 기타 적용지역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한 도시 대응지역 분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석 결과 및 제 2 분석 결과는,
    각각 유출해석 그래프, 강우 그래프, 결과 리포트 및 재해 취약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분석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강우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지리적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을 분석하며, 상기 지형 분석 결과와 설정된 강우 조건에 기초하여 재해 취약 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형의 유수 흐름 방향, 유수 누적도 및 하천 크기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의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분석 대상 지역 중에서 상기 적용 불가능지역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상기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후보 지역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각각에 대응되는 예산을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후보 지역 중 가용 예산을 초과하는 후보 지역을 제외한 후보 지역을 상기 개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13.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이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삭제
KR1020150153746A 2015-11-03 2015-11-03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KR10176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46A KR101761020B1 (ko) 2015-11-03 2015-11-03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46A KR101761020B1 (ko) 2015-11-03 2015-11-03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71A KR20170051971A (ko) 2017-05-12
KR101761020B1 true KR101761020B1 (ko) 2017-07-24

Family

ID=5874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46A KR101761020B1 (ko) 2015-11-03 2015-11-03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711B1 (ko) 2018-08-24 2019-08-19 이상수 도시 계획 설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748B (zh) * 2017-11-28 2020-06-02 浙江工业大学 城市规划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196100B1 (ko) * 2018-02-22 2020-12-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토지 이용 최적화 배분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방법
KR102111348B1 (ko) 2019-12-06 2020-05-1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시계열 트래킹 및 데이터 정합에 기반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KR102119530B1 (ko) 2020-05-11 2020-06-05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요소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데이터 정합에 기반한 upis 정보공유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16B1 (ko) * 2008-08-25 2009-06-19 성환도 3차원 재해 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16B1 (ko) * 2008-08-25 2009-06-19 성환도 3차원 재해 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711B1 (ko) 2018-08-24 2019-08-19 이상수 도시 계획 설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71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020B1 (ko)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CN112819235B (zh) 预测区域内降水径流产生的河道水流量的方法和装置
KR101942058B1 (ko) 전산유체역학과 해양특성을 이용한 해수면 상승 침수 시뮬레이션 방법
TWI802599B (zh) 危險度評估系統及危險度評估程式
KR20190098774A (ko) 침수 예측 방법 및 침수 예측 장치
KR101450233B1 (ko) 산사태해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지하수 분포 예측 방법
JP7153330B2 (ja) 土砂災害予測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土砂災害予測方法及び地図情報
Pilotti et al. Dam-break modeling in alpine valleys
Momm et al. Disaggregating soil erosion processes within an evolving experimental landscape
CN116187554A (zh) 流域的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
KR101782559B1 (ko) 수치표고모델 기반 댐 건설 계획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00043489A (ko) Dem을 이용한 하천네트워크 생성방법
KR101266951B1 (ko) 침수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60062470A (ko)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29937A (ko) 열섬 효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Omran et al. A GIS-based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tool for the assessment of gully erosion processes
Qiu et al. Spatio-temporal estimation of shallow landslide hazard triggered by rainfall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
CN108062631B (zh) 城市内涝风险评估方法、装置及终端
JP7491779B2 (ja) 浸水深推定装置及び方法
Aziz et al. Optimal design of rain gauge network in Johor by using geostatistics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KR101755521B1 (ko) 레이더 폴리곤 기법을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방법
Hou et al. Automatic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EMs Base on Heuristic Search.
JP6277018B2 (ja) 洪水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洪水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Shen et al. Flood inundation extent mapping based on block compressed tracing
JP4349981B2 (ja) 土中水分解析装置、土中水分解析方法、土中水分解析プログラム及びタンクモデル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