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923B1 -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 Google Patents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923B1
KR101760923B1 KR1020160069228A KR20160069228A KR101760923B1 KR 101760923 B1 KR101760923 B1 KR 101760923B1 KR 1020160069228 A KR1020160069228 A KR 1020160069228A KR 20160069228 A KR20160069228 A KR 20160069228A KR 101760923 B1 KR101760923 B1 KR 101760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unit
heavy object
horizontal dir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규일
김성관
Original Assignee
(주)테크니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니컬코리아 filed Critical (주)테크니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6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2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2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parts being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2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parts being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2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1/26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는,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하는 운반 대차로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안착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복수 개의 제1체결공이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수평방향과 교차되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기준바와, 복수 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기준바 내에 삽입되고 삽입된 영역의 조절로부터 제1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바 및 상기 기준바와 상기 조절바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바와 상기 조절바에는 말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되며 상면에 제3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길이 조절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길이 조절부로부터 상기 걸림부까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에 장착되는 걸림팔이 형성되는 제2길이 조절부; 상기 중량물의 후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을 관통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의 위치를 수평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팔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고무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MOVING CART FOR HEAVYWEIGHT WITH TRAPPED PART}
본 발명은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여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설치시 발생하는 마찰을 제거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운반 및 설치하기 위하여 호이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운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호이스트(hoist)는 창고, 철도역,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에 사용되는 장비로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올린 다음 이송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호이스트는 체인의 끝에 장착된 후크(hook)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후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위치에 화물을 옮긴다.
그러나, 호이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걸림부(11)가 형성된 중량물(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설치 대상물(20, 도 11 참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량물(10)을 수평으로 고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흔들림이 심하여 위치 고정이 매우 어렵고, 중량물(10)과 피설치 대상물(20) 간에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여 파손 등의 위험이 있다.
한편,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적인 산업현장에서는 운반대차를 통하여 중량물을 운반한다. 그러나, 종래 운반대차는 운반할 수 있는 중량물(10)의 크기가 제한적이며, 중량물(1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운반대차를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물(10)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운반대차에 올려진 상태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삽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323호 (2013.07.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734호 (2011.12.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048호 (2010.06.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401호 (2013.06.04.)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는,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시, 자유롭고 용이한 길이조절을 통하여 중량물의 크기와 관계없이 중량물을 수평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함으로써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설치시 발생하는 마찰을 제거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는,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하는 운반 대차로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안착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복수 개의 제1체결공이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수평방향과 교차되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기준바와, 복수 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기준바 내에 삽입되고 삽입된 영역의 조절로부터 제1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바 및 상기 기준바와 상기 조절바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바와 상기 조절바에는 말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되며 상면에 제3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길이 조절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길이 조절부로부터 상기 걸림부까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에 장착되는 걸림팔이 형성되는 제2길이 조절부; 상기 중량물의 후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을 관통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의 위치를 수평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팔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고무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길이 조절부는, 제4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길이 조절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바퀴가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착부를 상호 연결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착부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시, 흔들림 없이 고정하며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고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제거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또한, 제1길이 조절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중량물의 제1방향에 따른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중량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길이 조절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중량물의 제2방향에 따른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중량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에 의하여 중량물을 걸림팔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중량물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며, 중량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운반과정에서 중량물의 고정을 위한 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운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베이스부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1길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1길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1길이 조절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2길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2길이 조절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가압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가압부가 중량물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가압부가 장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1000)는,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시, 자유롭고 용이한 길이조절을 통하여 중량물의 크기와 관계없이 중량물을 수평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함으로써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설치시 발생하는 마찰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100)와, 제1길이 조절부(1200)와, 제2길이 조절부(1300) 및 가압부(1400,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설치 대상물(20, 도 11 참조)은 실린더이며, 중량물(10)은 실린더가 피스톤과의 마찰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 안쪽에 끼우는 금속 통인 실린더 라이너일 수 있다. 피설치 대상물(20)과 중량물(10)의 종류, 크기,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 피설치 대상물(20)은 실린더, 중량물(10)은 실린더 라이너 인 것으로 예를 든다.
베이스부(1100)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1000)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으로서, 안착부(1110)와, 수직 프레임(1120) 및 이동부(1130)를 포함한다.
안착부(1110)는 중량물(10)을 운반하기 위하여 중량물(10)이 놓여지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으로 마련되며, 이동부(113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된다.
수직 프레임(1120)은 사용자가 파지하며 후술하는 제1길이 조절부(12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안착부(1110)의 상면 일측에 수직 형성된다. 수직 프레임(112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로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보다 용이한 파지를 위하여 수직 프레임(1120)에 별도의 핸들부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1120)에는 기준바(1210, 도 5 참조)와 조절바(1220, 도 5 참조)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1120a , 1120b,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이때, 기준바(1210)의 크기가 조절바(1220)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되므로, 각 삽입공(1120a , 1120b)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베이스부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동부(1130)는 중량물(10)이 안착되는 안착부(11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131)와, 링크부(1132) 및 실린더부(1133)를 포함한다.
지지부(1131)의 하면에는 이동바퀴(1131a)가 설치되어 이동바퀴(1131a)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1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지지부(1131)와 연결된 안착부(1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바퀴(1131a)는 방향성 캐스터로 적용되었으나, 이동바퀴(1131a)는 이 외에도 사용되는 사용처의 환경이나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바퀴가 적용될 수 있다.
링크부(1132)와 실린더부(1133)는 지지부(1131)에 대하여 안착부(11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승강수단이다.
링크부(1132)는 복수 개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링크부재(1132a, 1132b, 1132c, 1132d)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든다.
지지부(1131)와 안착부(1110)에는 링크연결부(1132e)가 각각 설치되며, 링크부(113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안착부(1110)에 설치된 링크연결부(1132e)와 지지부(1131)에 형성된 링크연결부(1132e)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링크부재(1132a)는 안착부(1110)에 설치된 링크연결부(1132e)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4링크부재(1132d)는 지지부(1131)에 형성된 링크연결부(1132e)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부재(1132a)와 제2링크부재(1132b)는 대략 X자 형상으로 결합되며, 회동로드(1132f)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회동로드(1132f)에는 롤러부재(1132g)가 결합되며, 이 롤러부재(1132g)는 지지부(1131) 및 안착부(1110)의 가이드레일(1131b, 도 2 참조)에 제2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링크부재(1132a)와 제2링크부재(1132b)는 각각의 회동로드(1132f)들이 교차지점에서 회동하여 롤러부재(1132g)가 가이드레일(1131b)을 따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회동로드(1132f)의 상단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안착부(1110)가 하강하여 지지부(1131)와 서로 근접하게 될 경우 링크부(1132)가 압축되고, 안착부(1110)가 상승하여 지지부(1131)와 서로 멀어지게 될 경우 링크부(1132)가 인장된다.
제3링크부재(1132c)와 제4링크부재(1132d)는 각각 제2링크부재(1132b)와 제1 링크부재(1132a)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3링크부재(1132c)는 하단이 제2링크부재(1132b)의 회동로드(1132f)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링크부재(1132d) 역시 제1링크부재(1332a)의 회동로드(1132f)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X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한편, 제1, 제4 링크부재(1132a, 1132d)의 결합부분과, 제2, 제3 링크부재(1132b, 1132c)의 결합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보강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미도시)에 의해 중량물(10)의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링크부(1132)는 복수 개의 X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착부(111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그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린더부(1133)는 실린더 본체(1133a)와 로드(1133b)를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1133a)는 지지부(1131)에 설치된 실린더 연결부(1131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로드(1133b)는 안착부(1110)에 설치된 로드 연결부(1110a)에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드(1133b)는 실린더 본체(1133a)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며, 실린더 본체(1133a) 내부에서 로드(1133b)가 배출되면 안착부(1110)와 지지부(113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안착부(1110)가 상승하고, 로드(1133b)가 실린더 본체(1133a) 내부로 삽입되면 안착부(1110)와 지지부(113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근접함으로써 안착부(1110)가 하강한다. 여기서, 실린더부(1133)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1길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1길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1길이 조절부의 정면도이다.
제1길이조절부(1200)는 중량물(10)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2방향(수평방향)과 교차되는 제1방향을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1길이 조절부(1200)는 수직 프레임(1120) 상에 장착되며, 기준바(1210)와 조절바(1220) 및 체결부재(1240)를 포함한다.
기준바(1210)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내부에는 조절바(1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1210b)가 형성된다. 기준바(1210)의 전·후면에는 제1체결공(1210a)이 형성된다. 제1체결공(1210a)은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한편, 기준바(1210)의 단부에는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가 형성된다.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는 제2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며,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의 상·하면에는 제3체결공(1230a)이 형성된다.
조절바(1220)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되 기준바(1210)의 크기보다 작게 마련되어 일부가 기준바(1210) 내부에 삽입된다. 조절바(1220)의 전·후면에는 제1체결공(1210a)과 대응되는 제2체결공(1220a)이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조절바(1220)는 기준바(1210)와 달리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제2체결공(1220a)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바(1220)는 기준바(1210) 내부에 삽입되는 영역의 조절을 통하여 제1길이 조절부(12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체 길이를 조절 후 체결부재(1240)를 제1체결공(1210a)과 제2체결공(1220a)에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1240)는 볼트·너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절바(1220)의 단부에도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가 형성된다.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는 제2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며,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 상·하면에는 제3체결공(1230a)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2길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제2길이 조절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2길이 조절부(1300)는 중량물(10)의 크기와 관계없이 중량물(10)을 용이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길이 조절부(1300)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기준바(1210)와 조절바(1220)의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에 삽입된다. 제2길이 조절부(1300)는 상·하면에 제3체결공(1230a)와 대응되는 제4체결공(1300a)이 복수 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다. 제2길이 조절부(1300)의 삽입위치를 통하여 제1길이 조절부(1200)로부터 걸림부(11)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1240)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2길이 조절부(1300) 말단에는 중량물(10)의 걸림부(11)에 삽입되는 걸림팔(1310)이 형성된다. 걸림팔(1310)은 제1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팔(1310)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팔(1310)의 경사로 인하여 중량물(10)을 보다 깊이 피설치 대상물에 삽입할 수 있다.
나아가, 걸림팔(1310)의 안쪽면에는 고무판이 삽입될 수 있다. 고무판에 의하여 중량물(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가압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가압부가 중량물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가압부가 장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가압부(1400)는 안착부(1110) 상에 안착된 중량물(10)을 걸림팔(1310) 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가압부(1400)는 제1관통공(1210a) 및 제2관통공(1220a)을 관통하여 중량물(10)의 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1400)는 대략 판형의 가압부재(1410)와 조절나사(1420)로 마련될 수 있으며, 조절나사(1420)를 통해 가압부재(1410)의 위치를 제2방향을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중량물(10) 상에 형성된 걸림부(11)에 걸림팔(1310)이 삽입되나, 걸림부(11)와 걸림팔(1310) 간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부(1130)에 의해 안착부(1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량물(10)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피설치 대상물(2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가압부(1400)는 중량물(10)을 걸림팔(13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중량물(10)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량물(10)을 안착부(1110) 상에 안착시킨 후, 제1길이 조절부(1200)를 중량물(10)의 폭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기준바(1210) 내부에 삽입된 조절바(122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한 뒤 체결부재(1240)를 제1체결공(1210a)과 제2체결공(1220a)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 후, 중량물(10)의 걸림부(11)의 위치에 따라 제2길이 조절부(1300)의 길이를 조절한다. 기준바(1210)와 조절바(1220)의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1230) 상에 삽입된 제2길이 조절부(1300)의 위치를 조절한 뒤 체결부재(1240)를 제3체결공(1230a)과 제4체결공(1300a)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제1길이 조절부(1200)와 제2길이 조절부(1300)의 조절 순서는 상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걸림부(11)에 걸림팔(1310)이 삽입된 뒤 가압부(1400)를 제1관통공(1210a) 및 제2관통공(1220a)을 관통시켜 중량물(10)의 후면을 가압한다. 가압부(1400)를 통하여 중량물(10)이 걸림부(11)에 밀착됨으로써 중량물(1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중량물(10)의 고정이 완료된 후, 피설치 대상물(20)의 위치(높이)에 따라 안착부(1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실린더 본체(1133a) 내부로부터 배출된 로드(1133b)의 길이를 조절한다. 로드(1133b)의 길이 변화에 따라 롤러부재(1132g)가 가이드레일(1131b)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대략 X자 형상으로 결합된 제1링크부재(1132a)와 제2링크부재(1132b)가 회동로드(1132f)에 의해 회동하며, 제1링크부재(1132a)와 제2링크부재(1132b)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4링크부재(1132d) 및 제3링크부재(1132c)가 회동하여,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회동로드(1132f)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111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중량물(10)의 높이를 조절한 후, 피설치 대상물(20) 측으로 운반 한 뒤 마찰을 최소화한 상태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시, 자유롭고 용이한 길이조절을 통하여 중량물의 크기와 관계없이 중량물을 수평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함으로써 용이한 운반이 가능하며 설치시 발생하는 마찰을 제거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1100 : 베이스부 1200 : 제1길이 조절부
1210 : 기준바 1220 : 조절바
1300 : 제2길이 조절부 1310 : 걸림팔
1400 : 가압부

Claims (5)

  1. 피설치 대상물에,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운반 및 삽입설치하는 운반 대차로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안착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복수 개의 제1체결공이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며 수평방향과 교차되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기준바와, 복수 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기준바 내에 삽입되고 삽입된 영역의 조절로부터 제1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바 및 상기 기준바와 상기 조절바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바와 상기 조절바에는 말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되며 상면에 제3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길이 조절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2길이 조절부 삽입부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길이 조절부로부터 상기 걸림부까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에 장착되는 걸림팔이 형성되는 제2길이 조절부;
    상기 중량물의 후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을 관통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의 위치를 수평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팔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안쪽면에는 고무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 조절부는,
    제4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길이 조절부와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바퀴가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착부를 상호 연결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착부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5. 삭제
KR1020160069228A 2016-06-03 2016-06-03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KR10176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28A KR101760923B1 (ko) 2016-06-03 2016-06-03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28A KR101760923B1 (ko) 2016-06-03 2016-06-03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923B1 true KR101760923B1 (ko) 2017-08-04

Family

ID=5965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28A KR101760923B1 (ko) 2016-06-03 2016-06-03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9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73A (ko) 2017-12-27 2019-07-05 (주)하이드로훼스트 도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킹방법
KR20190081060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두산 배터리 스탠드
KR20200052564A (ko) 2018-11-07 2020-05-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중량물 운반 장치
KR102165252B1 (ko) * 2020-03-24 2020-10-13 마다준 클램핑 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KR20220001627U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터빈 미터 운반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877A (ja) * 2003-11-28 2005-06-2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ビードセパレーターの搬送台車
JP2009299371A (ja) * 2008-06-13 2009-12-24 Yoshinobu Sato 昇降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877A (ja) * 2003-11-28 2005-06-2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ビードセパレーターの搬送台車
JP2009299371A (ja) * 2008-06-13 2009-12-24 Yoshinobu Sato 昇降台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73A (ko) 2017-12-27 2019-07-05 (주)하이드로훼스트 도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킹방법
KR20190081060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두산 배터리 스탠드
KR102359823B1 (ko) 2017-12-29 2022-02-0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배터리 스탠드
KR20200052564A (ko) 2018-11-07 2020-05-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중량물 운반 장치
KR102165252B1 (ko) * 2020-03-24 2020-10-13 마다준 클램핑 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KR20220001627U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터빈 미터 운반용 장치
KR200496273Y1 (ko) 2020-12-24 2022-12-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터빈 미터 운반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923B1 (ko)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US7243904B1 (en) Door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63187B1 (ko) 유리 흡착 이송장치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6712230B2 (en) Perfected device to transport vehicles in assembly lines
JP6075183B2 (ja) 組付用台車
JP5309864B2 (ja) 台車による搬送装置
KR101796643B1 (ko) 트롤리커넥터용 승강식 이동셋팅장치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101787036B1 (ko) 팔레트 이송용 대차
CN110712671B (zh) 一种用于运输导管的运输车
KR101916035B1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JPH03211195A (ja) 航空機の車輪付き脚搬送交換装置
KR102360149B1 (ko) 슬링 재단을 위한 이송 및 리프트장치
JP6587876B2 (ja) 荷役装置
CN208135787U (zh) 一种桶装焊丝起吊运输装置
JP2002059841A (ja) キャリヤー
CN211442559U (zh) 物料周转车和物料运输设备
KR101763650B1 (ko) 사다리차의 유동 방지장치
JP7057916B2 (ja) 階段用運搬装置
JP2016192981A (ja) 可搬型消防ポンプの積み下ろ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消防自動車
KR20130092166A (ko) 테이블 리프트
US5374155A (en) Stowable load stabilizer for forklift mast
DE102008046174A1 (de) Flurfördereinrichtung, Einrichtung zum Aufnehmen eines von einer Flurfördereinrichtung geförderten Stückguts, und System mit einer Flurfördereinrichtung und einer solchen Einrichtung
KR101644351B1 (ko)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