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16B1 -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16B1
KR101757116B1 KR1020160067253A KR20160067253A KR101757116B1 KR 101757116 B1 KR101757116 B1 KR 101757116B1 KR 1020160067253 A KR1020160067253 A KR 1020160067253A KR 20160067253 A KR20160067253 A KR 20160067253A KR 101757116 B1 KR101757116 B1 KR 10175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earth retaining
installing
reinforc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면에 배수기능이 구비되어 보강재와 다짐토로 형성된 흙구조물인 보강토 옹벽의 약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보강블록과 보강재, 다짐토로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흙구조물 배면에 방수포와 배수재를 구비하고 보강토 옹벽 흙구조물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고 배수기능을 구비하여 보강토 옹벽 흙구조물의 물에 의한 약화를 방지하고 배면에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은 물의 물의 침투방지를 위한 방수포(1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잡석(2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제1유공배수관(300); 보강토옹벽 배면 하부에 설치되는 부직포(4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드레인보드(5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하여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제2유공배수관(550);이 포함되고,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 배면토가 포설되어 다짐되는 블록(20); 상기 기초(10) 배면에 포설되는 골재(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 상기 골재(30)와 같이 포설 및 다짐되는 다짐토(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은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기초(10) 배면에 다짐대용 골재(30) 및 다짐토(5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S40); 블록(20)을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배수기능의 최하단부 레벨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보강토옹벽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S70);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S80); 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S90); 상기 잡석(200) 자체 또는 상기 잡석(200)을 담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를 적층하며 상기 부직포(400)를 겹친 상기 방수포(100)를 이어 올리는 단계(S10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00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Equipped with Water Inflow Prevention and Draining Water Function}
본 발명은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면에 배수기능이 구비되어 보강재와 다짐토로 형성된 흙구조물인 보강토옹벽의 약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보강블록과 보강재, 다짐토로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흙구조물 배면에 방수포와 배수재를 구비하고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고 배수기능을 구비하여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의 물에 의한 약화를 방지하고 배면에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옹벽은 기초(10), 블록(20), 그리드(또는 봉재)(40), 다짐토(50)로 구성되는 흙구조물(S)을 의미한다(도 1). 이러한 흙구조물은 주로 배면이 산지가 되는 경우가 많다. 흙구조물의 배면이 산지이고 이를 절개하여 보강토옹벽과 같은 흙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산지 내에 형성되어 있는 지하수가 흙구조물 내로 유입되게 되어 흙구조물이 약화되고 이로 인해 흙구조물 자체가 불안정하게 된다(도 2). 산지 절개지가 아니고 성토지에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이라 하더라도 보강토옹벽으로 만들어진 영역이 넓고 지표면에서 침투한 물이 보강토옹벽 배면으로 영향을 미치는 여건이 있다면 전술한 보강토옹벽의 불안정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다짐 성토한 흙구조물은 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계되므로 그 설계상의 조건을 확보하여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절개지에 시공한 보강토옹벽의 붕괴가 잦은 편이고 이로 인한 사회적 피해가 대두된 바 있다. 국내에서 시공되는 보강토옹벽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블록(20)과 그리드(40), 기초(10)에는 관심도가 높지만 배면지반에서의 침투에 의한 보강토체 흙구조물의 약화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것이 그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강토옹벽의 구성에 있어서 블록 바로 배면에 포설되는 잡석을 배수층으로 오판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는 배수층이 아니라 다짐대용 골재(30)에 해당된다. 즉, 블록을 쌓고 그 배면을 흙다짐할 경우 다짐에너지에 의해 블록이 밀려 나와서 블록의 이탈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짐하지 않아도 되는 재료인 잡석을 일부 폭만큼만 포설하는 것이 바로 다짐대용 골재(30)이다. 블록(20) 배면에 포설하는 다짐대용 골재(30)를 배수층으로 사용하게 되면 그리드(봉재)를 포함한 흙구조물 배면에서 블록까지 물의 침투를 허용하는 것이 되므로 물이 침투하는 과정에서 다짐된 흙구조물은 약화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그리드(40)와 흙의 경계면에서의 마찰도 약화되어 보강토옹벽 전체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변형성이 크게 되어 붕괴로 이어지기도 한다. 기 설치된 보강토옹벽 전면 블록(20)에서 물이 지속적으로 비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보강토옹벽은 종국에는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배면에서 침투한 물이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증거이므로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여야 하나 기술적 대응책의 마련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 단계부터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가 산지의 영향을 받고 물의 영향이 우려된다면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이 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하는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개시하려는 유사 선행기술에는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0288호 ‘현장시공이 용이한 절토부 보강토 옹벽 설치공법’이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은 보강토 옹벽 설치공법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 블록(10)이 다수개가 직렬로 나열되어 구비된 뒤, 수직으로 적층되는 단계(S100);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홀(11)에 연결철근(20)이 결합되는 단계(S110); 상기 결합홀(11)에 결합된 연결철근(2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연결바(30)가 상호 이격되어 연결되는 단계(S120); 상기 연결바(30)와 절토부 법면(1)에 경사지게 설치된 소일네일(2)을 커플러(40)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 블록을 고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을 고정하는 단계(S130)의 커플러(40)는, 상기 연결바(30)가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몸체(52)와, 상기 제 2 몸체(52)의 하단부에 경사진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소일네일(2)이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몸체(51)와, 상기 제1몸체(51)와 제2몸체(5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51)가 경사진 소일네일(2)의 각도에 맞춰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힌지장치(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50)와; 상기 제1몸체(51)의 관통홀에 나사결합되어 소일네일(2)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소일네일(2)이 제1몸체(51)의 관통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일네일(2)의 일단부에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수평으로 절개되어 나누어지는데, 내주연에 소일네일(2)의 외주연이 걸리도록 걸림홈(61)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61)이 소일네일(2)의 외주연에 걸림으로써, 소일네일(2)의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되는 고정링(60)과; 상기 제2몸체(52)의 관통홀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바(3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30)가 제2몸체(52)의 관통홀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연결바(30)에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수평으로 절개되어 나누어지는데, 내주연에 연결바(30)의 외주연이 걸리도록 걸림홈(71)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71)이 연결바(30)의 외주연에 걸림으로써, 연결바(30)의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되는 조절링(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결바(30)와 소일네일(2)를 상호 연결하는 기술을 개시하는 특징이 있다.
다른 유사 선행기술에는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152호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이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은 축조된 다수의 표면재(10);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의 전단이 상기 표면재(10)에 결합함과 아울러, 다짐되는 배후토사에 매설되는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 후방 메쉬형 보강재(200)의 전단이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의 후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다짐되는 배후토사에 매설되는 상기 후방 메쉬형 보강재(200);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의 후단과 상기 후방 메쉬형 보강재(200)의 전단을 나선형 구조로 결합하는 나선형 결합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 및 후방 메쉬형 보강재(200)는 상기 표면재(10)와 평행한 방향 및 직교 방향의 격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 결합재(300)는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의 후단 및 후방 메쉬형 보강재(200)의 전단의 각각의 격자(a)를 관통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의 후단의 격자(a)들과 상기 후방 메쉬형 보강재(200)의 전단의 격자(a)들의 일부가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선형 결합재(300)는 복수가 전후방향으로 이격하여, 상기 겹쳐진 각각의 격자(a)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 메쉬형 보강재(100)의 후단에는 연장부(110)가 후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0)는 하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배면에 배수기능이 구비되어 보강재와 다짐토로 형성된 흙구조물인 보강토옹벽의 약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보강블록과 보강재, 다짐토로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흙구조물 배면에 방수포와 배수재를 구비하고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고 배수기능을 구비하여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의 물에 의한 약화를 방지하고 배면에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 공법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KR10-1360288(B1) KR10-1425152(B1)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면에서 유입되는 지하수나 지표침투에 의한 물을 흙구조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배면에서 유입수 차단 및 배수기능을 구비하여 흙구조물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은 물의 물의 침투방지를 위한 방수포(1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잡석(2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제1유공배수관(300); 보강토옹벽 배면 하부에 설치되는 부직포(4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드레인보드(5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하여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제2유공배수관(550);이 포함되고,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 배면토가 포설되어 다짐되는 블록(20); 상기 기초(10) 배면에 포설되는 골재(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 상기 골재(30)와 같이 포설 및 다짐되는 다짐토(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은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기초(10) 배면에 다짐대용 골재(30) 및 다짐토(5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S40); 블록(20)을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배수기능의 최하단부 레벨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보강토옹벽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S70);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S80); 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S90); 상기 잡석(200) 자체 또는 상기 잡석(200)을 담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를 적층하며 상기 부직포(400)를 겹친 상기 방수포(100)를 이어 올리는 단계(S10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00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산지에 설치되어 지하수 및 강우의 지표유입에 의해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이 약화되어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보강토옹벽의 배부름 현상, 붕괴로 이어지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토옹벽의 경제성과 시공성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그 안정성도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보강토옹벽의 붕괴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강토옹벽 구성에 대한 모식도;
도 2는 보강토옹벽에서 발생하는 배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보강토옹벽에서 발생하는 배부름 현상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 배면에서 방수포, 유공배수관 및 배수잡석을 이용한 차단 및 배수 기능 구현에 대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 배면에서 방수포, 유공배수관 및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차단 및 배수 기능 구현에 대한 모식도;
도 6(a)은 도 4의 유공배수관 및 배수잡석 구성의 상세 모식도;
도 6(b)는 도 5의 유공배수관 및 드레인보드 구성의 상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의 실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의 제1세부 실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의 제2세부 실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의 제3세부 실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강토옹벽 배면에서 배수기능만 확보하는 것 외에 보강토옹벽 흙구조물(S) 속으로의 물의 침투도 방지하여야 한다. 배수기능은 잡석(200) 또는 드레인보드(500) 및, 제1유공배수관(300) 구성으로 확보 가능하며, 잡석(200)은 배면 경사면(1)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일정 높이로 쌓아 올려야 하므로 마대에 넣어 쌓는 방식을 택하고, 이렇게 하더라도 물의 흐름에 동반되는 세립분 이동 및 잡석 내부 막힘(clogging)현상에 의해 배수기능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잡석(200) 주변은 부직포(400)로 감싸 배수기능이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강토옹벽 흙구조물(S)로의 물의 침투방지를 위한 차단기능은 방수포(100)를 설치하여 배수기능을 통과하여 흙구조물 측으로 유입되는 물을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토옹벽 흙구조물이 장기적으로도 물의 영향 없이 시공 시 형성한 다짐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공단계는,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 기초 배면에 다짐토(50) 및 다짐대용 골재(3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a); 블록(20)을 일정 높이까지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b); 보강토옹벽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 제1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 배수용 잡석(200) 또는 그 마대를 쌓아올리며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이어 올리는 단계(c); (a)와 (b)단계를 반복 시공하는 단계; (c)단계를 추가 시공하는 단계; (a)와 (b)단계를 반복 시공하여 보강토옹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흙구조물인 보강토옹벽 배면에 물 유입의 차단 및 배수기능이 구비되어 흙구조물이 물에 의한 약화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공단계는 하나의 예시이며, 현장여건에 비추어 시공순서는 조정될 수 있다. 즉, 보강토옹벽(기초, 블록, 보강재, 흙포설 및 다짐)의 시공과 차단 및 배수 기능을 위한 방수포(100), 부직포(400), 드레인보드(500), 제1유공배수관(300), 잡석(200) 포설 또는 쌓기 등의 공정은 별개로 진행될 수 있다. 배수용 잡석(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배수용 잡석(200) 대신 드레인보드(500)를 설치하여 배수기능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수용 잡석(200)이나 드레인보드(500)는 장기적으로 세립분 침투에 의해 물길이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야 하므로 물의 유입부측에는 부직포(400)와 같은 필터재를 함께 설치토록 한다. 또한, 배수용 잡석(200) 및 제1유공배수관(300)에 모이는 물은 다짐된 흙구조물에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포(100)를 설치하도록 한다. 제1유공배수관(300)은 장래에 세립분에 의해 막힐 우려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유공배수관(300) 주변 부직포(410)로 감싸두어 제2유공배수관(550, 도면 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포(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포와 흙과의 접촉부는 부직포(400)를 덧대어 흙과 직접 접촉을 방지하도록 한다. 배면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서는 방수포(100)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산지는 예상과 달리 많은 물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방수포(100)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수포(100), 배수용 잡석(200)이나 드레인보드(500)는 물의 유입 정도에 따라 또 물이 유출되는 위치에 따라 일부 구간에 국한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제1유공배수관(300)은 보강토옹벽의 전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지형조건에 따라 보강토옹벽 단면 상 하부 전면으로 유도하여 배수가 원활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술한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은 물의 침투방지를 위한 방수포(100); 1차적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잡석(200); 2차적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제1유공배수관(300); 보강토옹벽 배면 하부에 설치되는 부직포(400); 3차적 배수기능 구현을 위한 드레인보드(500); 배수기능 구현을 위하여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제2유공배수관(550);이 포함되고,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 배면토가 포설되어 다짐되는 블록(20); 상기 기초(10) 배면에 포설되는 골재(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 상기 골재(30)와 같이 포설 및 다짐되는 다짐토(5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포(100)는 상기 보강토옹벽의 흙구조물(S)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상기 보강토옹벽 시공 초기의 다짐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잡석(200)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에 넣어 배면 경사면(1)에 적층하고, 주위를 상기 부직포(400)로 반요하여 상기 잡석(200)의 세립분 이동 및 클로깅 현상을 방지시켜 배수 기능을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상기 제2유공배수관은 배면 경사면의 종방향으로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을 전부 설치하거나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배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지정지단계(S1000); 다짐토 구성단계(S2000); 배수구조 형성단계(S3000); 배수구조 완성단계(S4000);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세부적으로는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기초(10) 배면에 다짐대용 골재(30) 및 다짐토(5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S40); 블록(20)을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배수기능의 최하단부 레벨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보강토옹벽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S70);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S80); 제1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S90); 상기 잡석(200) 자체 또는 상기 잡석(200)을 담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를 적층하며 상기 부직포(400)를 겹친 상기 방수포(100)를 이어 올리는 단계(S10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00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S90 단계 이후에는 드레인보드(500)를 상기 배면지반에 설치하는 단계(S120a);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20a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30);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S10 단계 내지 상기 S60 단계와 에 대한 보강토옹벽의 시공과 상기 방수포(100), 상기 잡석(200), 상기 제1유공배수관(300), 상기 부직포(400) 및 상기 드레인보드(500)의 설치 공정인 상기 S70 단계 내지 상기 S130 단계는 별개로 진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120a 단계는 제2유공배수관(550)을 상기 배면지반에 설치하는 단계(S120b);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20b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30);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포(100), 상기 잡석(200), 상기 제1유공배수관(300), 상기 부직포(4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의 설치 공정인 상기 S70 단계 내지 상기 S130 단계는 별개로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배면 경사면
10 : 기초
20 : 블록
30 : 골재
40 : 인장재
50 : 다짐토
100 : 방수포
200 : 잡석
300 : 제1유공배수관
400 : 부직포
410 : 유공배수관 주변 부직포
500 : 드레인보드
550 : 제2유공배수관(미도시)
S : 흙구조물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방수포(100); 잡석(200); 제1유공배수관(300); 부직포(400); 드레인보드(500); 제2유공배수관(550); 기초(10); 블록(20); 골재(30); 인장재(40); 다짐토(50);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상기 제2유공배수관은 배면 경사면의 종방향으로 포설되며,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을 전부 설치하거나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배수 기능을 확보하며, 상기 방수포(100)는 보강토옹벽의 흙구조물(S)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상기 보강토옹벽 시공 초기의 다짐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잡석(200)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에 넣어 배면 경사면(1)에 적층하고, 주위를 상기 부직포(400)로 반요하여 상기 잡석(200)의 세립분 이동 및 클로깅 현상을 방지시켜 배수 기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기초(10) 배면에 다짐대용 골재(30) 및 다짐토(5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S40);
    블록(20)을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배수기능의 최하단부 레벨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보강토옹벽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S70);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S80);
    제1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S90);
    상기 잡석(200) 자체 또는 상기 잡석(200)을 담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를 적층하며 상기 부직포(400)를 겹친 상기 방수포(100)를 이어 올리는 단계(S10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00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7. 방수포(100); 잡석(200); 제1유공배수관(300); 부직포(400); 드레인보드(500); 제2유공배수관(550); 기초(10); 블록(20); 골재(30); 인장재(40); 다짐토(50);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상기 제2유공배수관은 배면 경사면의 종방향으로 포설되며,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을 전부 설치하거나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배수 기능을 확보하며, 상기 방수포(100)는 보강토옹벽의 흙구조물(S)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상기 보강토옹벽 시공 초기의 다짐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잡석(200)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에 넣어 배면 경사면(1)에 적층하고, 주위를 상기 부직포(400)로 반요하여 상기 잡석(200)의 세립분 이동 및 클로깅 현상을 방지시켜 배수 기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기초(10) 배면에 다짐대용 골재(30) 및 다짐토(5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S40);
    블록(20)을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배수기능의 최하단부 레벨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보강토옹벽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S70);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S80);
    제1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S90);
    드레인보드(500)를 상기 배면지반에 설치하는 단계(S120a);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20a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8. 방수포(100); 잡석(200); 제1유공배수관(300); 부직포(400); 드레인보드(500); 제2유공배수관(550); 기초(10); 블록(20); 골재(30); 인장재(40); 다짐토(50); 상기 부직포(400)로 감싼 상기 제2유공배수관은 배면 경사면의 종방향으로 포설되며,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을 전부 설치하거나 상기 잡석(200), 상기 드레인보드(500) 및 상기 제2유공배수관(5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배수 기능을 확보하며, 상기 방수포(100)는 보강토옹벽의 흙구조물(S)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상기 보강토옹벽 시공 초기의 다짐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잡석(200)은 섬유상 재질의 마대에 넣어 배면 경사면(1)에 적층하고, 주위를 상기 부직포(400)로 반요하여 상기 잡석(200)의 세립분 이동 및 클로깅 현상을 방지시켜 배수 기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보강토옹벽을 설치할 기초지반 및 배면지반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보강토옹벽의 기초(1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기초(10) 배면에 다짐대용 골재(30) 및 다짐토(50)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30);
    인장력을 분담하는 인장재(40)를 설치하는 단계(S40);
    블록(20)을 설치하고, 배면토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배수기능의 최하단부 레벨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보강토옹벽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400)를 겹친 방수포(100)를 설치하는 단계(S70);
    배수용 잡석(200)을 포설하는 단계(S80);
    제1유공배수관(300)을 설치하는 단계(S90);
    제2유공배수관(550)을 상기 배면지반에 설치하는 단계(S120b);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시공하고 상기 S120b 단계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단계(S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9. 삭제
KR1020160067253A 2016-05-31 2016-05-31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75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253A KR101757116B1 (ko) 2016-05-31 2016-05-31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253A KR101757116B1 (ko) 2016-05-31 2016-05-31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16B1 true KR101757116B1 (ko) 2017-07-26

Family

ID=5942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253A KR101757116B1 (ko) 2016-05-31 2016-05-31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879B1 (ko) 2019-09-06 2020-12-16 김재봉 보강토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102210048B1 (ko) 2020-06-17 2021-02-01 김석환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KR102554314B1 (ko) 2022-09-19 2023-07-11 박광일 자립형 보강토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219A (ja) * 2006-07-21 2008-02-07 Bridgestone Corp 盛土工法用遮水シート、盛土構造、及び、盛土工法
KR100981258B1 (ko) * 2009-11-25 2010-09-10 윤정배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219A (ja) * 2006-07-21 2008-02-07 Bridgestone Corp 盛土工法用遮水シート、盛土構造、及び、盛土工法
KR100981258B1 (ko) * 2009-11-25 2010-09-10 윤정배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879B1 (ko) 2019-09-06 2020-12-16 김재봉 보강토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102210048B1 (ko) 2020-06-17 2021-02-01 김석환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KR102554314B1 (ko) 2022-09-19 2023-07-11 박광일 자립형 보강토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0476331B1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WO2017034633A1 (en) Free-flowing waterproofing system
KR101757116B1 (ko) 물의 침투 차단과 배수 기능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612521B1 (ko) 변형억제 및 합벽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6960135B2 (ja) 堤防補強構造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CN114875936A (zh) 一种用于高路堑边坡边沟排水及防护的施工方法
KR100789976B1 (ko)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KR102210048B1 (ko)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US10113285B2 (en) Revetment system
JP3654424B2 (ja) 堤防のドレーン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89450B1 (ko) 겹침 말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0388077B1 (ko) 이피에스블록을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 및수평 토압 저감시스템
KR102176194B1 (ko)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JPH01146020A (ja) 盛土による基礎構築体とその築造方法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0905661B1 (ko)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200433390Y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스템
KR100666102B1 (ko)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JPH10168985A (ja) 地表水の浸透を促進させるため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