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515B1 -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515B1
KR101753515B1 KR1020160017713A KR20160017713A KR101753515B1 KR 101753515 B1 KR101753515 B1 KR 101753515B1 KR 1020160017713 A KR1020160017713 A KR 1020160017713A KR 20160017713 A KR20160017713 A KR 20160017713A KR 101753515 B1 KR101753515 B1 KR 10175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bject point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dr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호
Original Assignee
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호 filed Critical 정용호
Priority to KR102016001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및 제어계측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작업현장 내 근무 중인 현장 근로자 혹은 가동 중에 있는 현장 구조물의 센싱 감지가 이상상태로 체킹될 시 작업현장 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이 위치한 지점으로 날아가 현장 모습을 신속히 촬영하고 그에 따른 응급조치를 빠르게 진행시켜 작업현장 내 근무환경 개선 및 안전을 도모한다.

Description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Image Recording Control System for Managing a Field Safe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및 제어계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현장 내 근무 중인 현장 근로자 혹은 가동 중에 있는 현장 구조물의 센싱 감지가 이상상태로 체킹될 시 작업현장 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드론을 원격 제어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건설공사 현장에는 다수의 현장 근로자가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안전사고도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현장 근로자에 대한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현장 근로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매우 소수로 운용되고 있으므로,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 특히, 중장비 등이 많이 사용되는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사고의 발생률이나 위험성이 더 높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안전관리장치는 공사현장에 설치된 구조물에 의한 위해 요소 발생시, 경보/경광등/SMS 등을 통해 위험상황을 표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장비 안에서는 운전하는 기사가 경보를 들을 수 없고, 장비 밖에서는 현장 소음이 너무 크기 때문에 경보음을 들을 수 없었다. 공사현장에 있는 근로자는 현장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 중인 상태이므로 경광등을 주시할 수도 없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관리 장치는 안전상태정보를 현장 근로자에게 전달하기까지 최대 수십 분이 걸리는 현 시스템의 운영상의 문제를 원인으로 한 불의의 사고에 대처함에 있어서 애로사항이 크다는 현실적인 장벽에 봉착한 상태였다. 즉,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어야 하고 비용도 역시 과다하게 소요되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0308443-0000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546717-0000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6-0000356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541359-0000
본 발명의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드론을 동작시켜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을 촬영하여 안전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드론의 사용만으로도 작업현장 내 상황들을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될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관리에 관한 비용지출을 최대한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드론을 이용해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삼차원 촬영위치, 영상 촬영기의 수평 촬영각도 및 수직 촬영각도가 모두 고려함을 통해 시각적으로나 공감각적으로 제 3 자에게 제공되는 정확한 실제촬영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위험지역으로 선정된 작업현장 내 전문 안전요원이 인명 또는 고가장비의 수리를 위해 급히 파견되기 전 미리 드론을 급파시킴으로써 작업현장 내 일어날 수 있을 많은 위험요소를 미리 파악함은 물론, 드론을 통해 전달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안전지역에 위치한 곳에서 충분히 관찰 및 모니터링할 수 있음으로써, 인명피해의 확산을 최대한 줄이고 근무지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신뢰성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쾌적한 산업환경 조성 및 그에 따른 이윤창출의 기대감으로 파생될 수 있을 복지증진 향상 및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은, 현장 근로자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센싱정보와 제 1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1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상태가 제 1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현장 구조물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2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센싱정보와 제 2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작동상태가 제 2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동작시켜 화면 표출하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제 1 및 제 2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경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표출하는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을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설정된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해 상기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의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의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하고,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의 현장 모습을 최적촬영 각도가 가리키는 수직축 상의 높이에서 최적 촬영하는 드론; 및 상기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 상기 드론의 현 위치 및 현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상기 드론의 최적 촬영시간을 미리 설정해 둠을 통해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최적 촬영시간이 경과됨을 통보받을 시에 상기 원래 위치로 돌아가라는 귀가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에게 명령 지시하며, 상기 드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온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에 대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이 현장 근로자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센싱정보와 제 1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1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이 상기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상태가 제 1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이 현장 구조물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2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센싱정보와 제 2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이 상기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작동상태가 제 2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가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동작시켜 화면 표출하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제 1 및 제 2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경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 드론이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을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설정된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해 상기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의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의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하는 단계; 상기 드론이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의 현장 모습을 최적촬영 각도가 가리키는 수직축 상의 높이에서 최적 촬영하는 단계; 및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 상기 드론의 현 위치 및 현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상기 드론의 최적 촬영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는 단계;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최적 촬영시간이 경과됨을 통보받을 시에 상기 원래 위치로 돌아가라는 귀가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에게 명령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온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에 대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드론을 동작시켜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을 촬영하여 안전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드론의 사용만으로도 작업현장 내 상황들을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될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관리에 관한 비용지출을 최대한 절감시키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해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삼차원 촬영위치, 영상 촬영기의 수평 촬영각도 및 수직 촬영각도가 모두 고려함을 통해 시각적으로나 공감각적으로 제 3 자에게 제공되는 정확한 실제촬영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지역으로 선정된 작업현장 내 전문 안전요원이 인명 또는 고가장비의 수리를 위해 급히 파견되기 전 미리 드론을 급파시킴으로써 작업현장 내 일어날 수 있을 많은 위험요소를 미리 파악함은 물론, 드론을 통해 전달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안전지역에 위치한 곳에서 충분히 관찰 및 모니터링할 수 있음으로써, 인명피해의 확산을 최대한 줄이고 근무지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신뢰성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쾌적한 산업환경 조성 및 그에 따른 이윤창출의 기대감으로 파생될 수 있을 복지증진 향상 및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하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내 포함된 드론의 실제 이동경로를 시뮬레이션화시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 5로부터 연장된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1000)은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00),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 드론(무선 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 Dron, 400) 및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하며, 도 2, 3에 도시된 유무선 통신망은 공지의 WLAN(Wireless LA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현장 근로자(10)에 부착된 각 센서들(20)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 1 센싱정보와 제 1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1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현장 근로자(10)를 대상으로 한 작업상태가 제 1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현장 근로자(10)에 부착된 각 센서들(20)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ex : 가속도 변위치, 속도 변위치, 체온 변위치, 심박 변위치, 기울기 변위치, 유독 가스량 변위치(또는 현존 산소량 변위치) 및 전류량 변위치를 포함)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제 1 센싱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치들을 기반으로 이상상태를 판단하여 이상상태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 일시적으로 RF 송수신부 내 내부 메모리에 이벤트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음향 출력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LED를 발광시킨다.
음향 출력부는 현장 근로자(10)에 부착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과 별도로 커널형 이어폰 또는 오픈형 이어폰 형태로 형성하여 주변소음에도 위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부와 심박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하나의 이어폰 형태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심박 센서, 가속도 센서, 감전 센서, 온도 센서, 산소 센서, GPS 송수신부를 실장할 수 있도록 제작된 통신 모듈이라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변형률계, 균열계, 하중계, 풍향/풍속계, 침하계 등의 센서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센서들(20)은 경우에 따라 A 타입(가속도 센서, 심박 센서, 온도 센서, 감전 센서), B 타입(가속도 센서, 심박 센서, 온도 센서, 감전 센서, GPS 센서)으로 나누어 실장할 수도 있다.
심박 센서는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을 소지한 현장 근로자의 심박 상태를 감지한 후 저주파 통과필터를 거쳐 필터링된 심박 변위치를 측정하는데, 이에 따라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이벤트 상황에 대한 현장 근로자의 심박수치를 기설정된 기준 심박수치와 비교하여 5% 내지 +5% 오차범위를 벗어나 상회(上廻)하거나 하회(下廻)한 상태의 심박수치가 생성된 이벤트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지한다.
감전 센서는 전기량 변위치를 측정하고, 온도센서는 현장 근로자의 체온 상태를 감지한 후 체온 변위치를 측정한다.
산소 센서는 현장 구조물(210) 주변에서 발생되거나 발생 중인 유독 가스량 변위치 또는 현존 산소량 변위치를 감지 및 측정하는 것으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현장 구조물(210) 주변에서 발생된 산재, 재난 또는 화재로 인해 발생된 다른 이벤트 상황에 대한 지속시간 및 현존 산소량을 기설정된 기준 지속시간 및 기준 산소량과 비교하여 5% 내지 +5% 오차범위를 벗어나 하회(下廻)한 상태의 지속시간 및 현존 산소량이 생성된 다른 이벤트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지한다.
또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는 가속도 센서를 분리해 현장 근로자(10)의 신체 부위별(예를 들어 머리, 몸통, 허벅지, 종아리 등)로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부피와 무게의 최소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때, 현장 근로자(10)의 신체 부위별로 부착하는 가속도 센서는 플렉시블한 소재(ex : ABS 소재 등)의 직사각형의 얇은 프레임에 부착하고 다시 프레임을 작업자의 옷에 부착하도록 하여 인체 기울기 측정의 정확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속도와 주파수, 가속도와 지속시간, 기울기(각도)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이상상태를 더 판단한다.
또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현장 근로자(10)의 신체 부위별로 부착한 가속도 센서을 통해 현장 근로자(10)의 행동패턴을 파악(각 부위별로 부착한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을 통해 어떤 자세로 작업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여 어느 부위에 충격이 가해졌는가를 판별(예를 들어 급격한 머리나 다리 꺾임 등)이 가능하다.
또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추가적으로 측정한 체온치와 심박수가 설정한 값 이상으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또는 심박수와 산소량이 설정한 값 미만으로 일정시간 이상 지속 되는지의 판단에 따라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일예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이 안전모 또는 작업복에 부착된 경우, 인체의 각 부위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는 안전모 또는 작업복의 탈의 상태, 외부 충격 상태, 움직임 상태를 인지하여 기울기 변위치를 측정한다.
즉,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탈의 되거나, 외부 충격이 안전모 또는 작업복에 가해지거나,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이동한 경우, 가속도 센서는 바로 그때 일어난 이벤트 상황에 대한 순간 가속도 값을 즉각 포착해 낸다.
이에 따라,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순간 가속도 값을 기설정된 기준 순간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5% 내지 +5% 오차범위를 벗어나 상회(上廻)하거나 하회(下廻)한 상태의 순간 가속도 값이 생성된 이벤트 상황(예를 들어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탈의되거나, 외부 충격이 안전모 또는 작업복에 가해지거나,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이동한 경우 등)을 위험상황으로 인지한다.
다른 일 예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탈의되거나, 외부 충격이 안전모 또는 작업복에 가해지거나,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이동한 경우인 이벤트 상황에 대한 지속시간 및 가속도 적분값을 기설정된 기준 지속시간 및 기준 가속도 적분값과 비교하여 5% 내지 +5% 오차범위를 벗어나 상회(上廻)하거나 하회(下廻)한 상태의 지속시간 및 가속도 적분값이 생성된 이벤트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지한다.
또 다른 일예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탈의되거나, 외부 충격이 안전모 또는 작업복에 가해지거나, 안전모 또는 작업복이 외부요인에 의해 이동한 경우인 이벤트 상황에 대한 각도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각도값과 비교하여 5% 내지 +5% 오차범위를 벗어나 상회(上廻)하거나 하회(下廻)한 상태의 각도값이 생성된 이벤트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지한다.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은 이벤트 상황에 대한 체온값을 기설정된 기준 체온값과 비교(또는 전기량 변위치와 기 설정된 기준 전기량 변위치와 비교)하여 5% 내지 +5% 오차범위를 벗어나 상회(上廻)하거나 하회(下廻)한 상태의 체온값이 생성된 이벤트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지한다.
이어서,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00)은 현장 구조물(210)에 부착된 각 센서들(220)로부터 센싱되는 제 2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 2 센싱정보와 제 2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00)은 현장 구조물(210)을 대상으로 한 작동상태가 제 2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00)은 심박 센서를 제외한 구성들이 실장할 수 있도록 제작된 통신모듈이라 할 수 있으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변형률계, 균열계, 하중계, 풍향/풍속계, 침하계 등의 센서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센서들(220)은 경우에 따라 C 타입(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산소 센서), D 타입(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산소 센서, 정밀 GPS 센서)로 나누어 실장할 수도 있다.
이때,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00)은 센싱처리부, 연산처리부를 집적화(interation)하고, 심박 센서, 감전 센서, 온도 센서, 산소 센서도 분리하여 하나의 외장 부착형 패드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센싱처리부는 ADC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연산처리부는 센싱처리부에서 처리한 신호를 기반으로 이벤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 각각은 자가 실장 영상촬영기를 이용해 현장 근로자 혹은 현장 구조물이 속한 현장 내 작업상태를 실시간으로 2D 촬영(또는 3D 촬영)하고, 근거리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뎀(ex : Wifi, 블루투스, IrDA, NFC, CSMA/CD, ZigBee, HomeRF, WiMedia, UWB 등)과 교통된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나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를 검색한 후, 쌍방향 교신된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나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에게 2D 촬영(또는 3D 촬영)된 작업상태 영상정보를 즉시 전달한다.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는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00)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00)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동작시켜 화면 표출한다.
또한,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는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시 제 1 및 제 2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경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표출한다.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은 근거리 통신망 혹은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후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터블렛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PDA, 웹 패드, 스마트 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용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필수 구성요소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어서, 드론(400)은 원래 위치에 정지하여 있다가, 하기 기재될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로부터 이동경로 명령정보 및 촬영명령 정보를 수신한다.
촬영명령 정보에는 드론(400)이 촬영을 실시할 위치에 대한 GPS 위치정보와, 드론(400)이 촬영을 실시할 때 영상 촬영기의 수평 촬영각도(α) 및 수직 촬영각도(β)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수평 촬영각도(α)는 36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각도라 할 수 있고, 수직 촬영각도(β)는 180°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각도라 할 수 있다. 영상 촬영기는 드론(400) 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드론(400)은 기장착된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현장 근로자(10) 또는 현장 구조물(210)의 현장모습을 촬영할 때, 촬영되는 실제영상 영상정보는 제 1 대상지점(x, y, z) 또는 제 2 대상지점(a, b, c)에 따라 달라지며 이외에도 영상 촬영기 자체의 촬영각도(α, β)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론(400)은 동일한 촬영위치에서 현장 근로자(10) 또는 현장 구조물을 촬영하더라도 영상 촬영기의 수평 촬영각도(α)가 달라지면 서로 다른 실제영상 영상정보가 얻어지고, 동일한 촬영위치에서 현장 구조물을 촬영하더라도 영상 촬영기의 수직 촬영각도(β)가 달라지면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실제영상 영상정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드론(400)을 이용한 영상촬영기에서 촬영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는 3차원 촬영위치를 결정하는 3개축(예컨대, x, y, z)와, 영상 촬영기의 촬영각도를 결정하는 2개의 변수[예컨대, 수평 촬영각도(α) 및 수직 촬영각도(β)], 즉 5개의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드론(400)은 영상 촬영기의 하우징 내 안착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5개의 변수가 모두 고려된 제어상태에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정확히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드론(400)은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을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설정된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해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에 해당되는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에 해당되는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다.
드론(400)은 장착된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현장 근로자(10) 또는 현장 구조물(210)의 현장 모습을 최적촬영 각도가 가리키는 수직축(Z축) 상의 높이에서 최적 촬영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드론(400)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제 1 대상지점(x,y,z)에서 제 2 대상지점(a,b,c)으로 이동하거나 제 2 대상지점(a,b,c)에서 제 1 대상지점(x,y,z)으로 이동도 가능하다.
또한, 드론(400)은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5)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x',y',z')에서 제 1 대상지점(x,y,z) 혹은 제 2 대상지점(a,b,c)으로 이동하거나, 제 1 대상지점(x,y,z) 혹은 제 2 대상지점(a,b,c)에서 제 1' 대상지점(x',y',z')으로 이동 가능하다.
드론(400)은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다른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215)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2'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2' 대상지점(a',b',c')에서 제 1 대상지점(x,y,z) 혹은 제 2 대상지점(a,b,c)으로 이동하거나, 제 1 대상지점(x,y,z) 혹은 제 2 대상지점(a,b,c)에서 제 2' 대상지점(a',b',c')으로 이동 가능하다.
드론(400)은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제 2' 대상지점(a',b',c')에서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15)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x',y',z')으로 이동하거나, 제 1' 대상지점(x',y',z')에서 제 2' 대상지점(a',b',c')으로 이동 가능하다.
드론(400)은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로부터 송출된 귀가명령 신호 수신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의 복귀위치 정보를 추출해 복귀위치 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원래 위치를 가리키는 좌표점(α,β,γ)을 찾아 자동으로 회귀 이동한다.
계속해서,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는 제 1 대상지점(x,y,z) 또는 제 2 대상지점(a,b,c)으로 자리 이동한 드론(400)의 현 위치 및 현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는 드론(400)의 최적 촬영시간을 미리 설정해 둠을 통해 드론(400)으로부터 최적 촬영시간이 경과됨을 통보받을 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라는 귀가명령 신호를 드론(400)에게 명령 지시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는 드론(4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온 현장 근로자(10) 또는 현장 구조물(210)에 대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300)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600)에 전달한다.
또한, 드론 제어용 통신단말기(500)는 드론(400)이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제 1 삼차원 좌표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의 영상을 촬영한 후 원래 위치로 회귀이동하기까지의 드론 이동 영상과, 드론(400)이 실시간으로 위치하는 드론 위치 삼차원 좌표를 화면에 표시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는 드론(400)을 대상으로 최적촬영 각도의 조정, 수직축(Z축) 상의 높이 조절 및 영상 촬영기의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를 원격 제어함을 통해 실제현장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지원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는 실제현장 영상정보의 해상도를 320*240, 640*480, 720*480, 1280*720 또는 1920*1080으로 변환한 후 MPEG 포맷이나 DV 포맷으로 압축(인코딩)한다.
여기서, MPEG 포맷이나 DV 포맷으로 압축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는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에 전달된 후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총괄 관리 서버에 의해 복원(디코딩)되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총괄 관리 서버는 복원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자신의 해상도(ex : 320*240, 640*480, 720*480, 1280*720 또는 1920*1080 등)에 맞도록 자동 설정하고 복원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에 유의한다.
상기 언급된 작업상태 영상정보 역시도 실제현장 영상정보와 마찬가지로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에 의해 해상도가 설정되며, MPEG 포맷 또는 DV 포맷으로 압축된 작업상태 영상정보는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총괄 관리 서버에 의해 복원(디코딩) 및 자신의 해상도(ex : 320*240, 640*480, 720*480, 1280*720 또는 1920*1080 등)에 맞도록 자동 설정 및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실제현장 영상정보는 드론(400)을 표시하는 점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화면에서 점멸되는 영상일 수 있다. 드론(400)이 촬영하고 있는 자리의 좌표는 드론(400)이 위치한 삼차원 좌표이며, 위도, 경도 및 고도로 이루어진 GPS 좌표이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500)는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촬영이 실시된 위치에 대한 정보에 연동하여 저장하거나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촬영이 실시된 시간에 대한 정보에 연동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200)의 총괄 관리 서버(600)는 도 2,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업데이트시켜 수시 제공하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을 시 현장 근로자(10)와 현장 구조물(210)에 대한 응급조치 명령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재난 발생 구조요원이 소지한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700)로 긴급 송출한다.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700)는 총괄 관리 서버(600)로부터 전달된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가 각기 가리키는 제 1 대상지점(x,y,z) 또는 제 2 대상지점(a,b,c)을 GPS 통신망을 통해 찾아내 긴급표시 화면으로 표출해 준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6를 참조하면,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작업현장 내 근무 중인 현장 근로자 혹은 가동 중에 있는 현장 구조물의 센싱 감지가 이상상태로 체킹될 시 작업현장 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이 위치한 지점으로 날아가 현장 모습을 신속히 촬영하고 그에 따른 응급조치를 빠르게 진행시켜 작업현장 내 근무환경 개선 및 안전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먼저,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은 현장 근로자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S100), 제 1 센싱정보와 제 1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1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은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상태가 제 1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킨다(S120).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은 현장 구조물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2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S130), 제 2 센싱정보와 제 2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40).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은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작동상태가 제 2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킨다(S150).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는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S160).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는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동작시켜 화면 표출하며(S170),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시 제 1 및 제 2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경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표출한다(S180).
드론은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을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설정된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해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의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의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다(S190).
드론은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의 현장 모습을 최적촬영 각도가 가리키는 수직축 상의 높이에서 최적 촬영한다(S200).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는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 드론의 현 위치 및 현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드론의 최적 촬영시간을 미리 설정해 둔다(S210).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는 드론으로부터 최적 촬영시간이 경과됨을 통보받을 시에 원래 위치로 돌아가라는 귀가명령 신호를 드론에게 명령 지시한다(S220).
드론은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귀가명령 신호를 수신할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의 복귀위치 정보를 추출해 복귀위치 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원래 위치 지점을 찾아 자동으로 회귀 이동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는 드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온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구조물에 대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에 전달한다(S230).
총괄 관리 서버는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업데이트시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시 제공하는 동작을 실시하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을 시 현장 근로자와 현장 구조물에 대한 응급조치 명령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재난 발생 구조요원이 소지한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로 긴급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좀 더 추가적인 동작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 용이하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는 드론을 대상으로 최적촬영 각도의 조정, 수직축(Z축) 상의 높이 조절 및 영상 촬영기의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를 원격 제어함을 통해 실제현장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지원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는 실제현장 영상정보의 해상도를 320*240, 640*480, 720*480, 1280*720 또는 1920*1080으로 변환한 후 MPEG 포맷이나 DV 포맷으로 압축한다.
압축된 실제현장 영상정보는 이를 수신하는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에 전달된 후,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에 의해 복원되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드론을 대상으로 제 1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드론은 제 1 대상지점에서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제 2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드론을 대상으로 제 2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드론은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드론을 대상으로 제 3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드론은 다른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2'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2'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에서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한다.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드론을 대상으로 제 4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드론은 제 2' 대상지점에서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제 1' 대상지점에서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한다.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는 총괄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가 각기 가리키는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을 GPS 통신망을 통해 찾아내 긴급표시 화면으로 표출해 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2000 :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100 :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200 :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
300 :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4OO : 드론
500 :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 600 : 총괄 관리 서버
700 :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

Claims (18)

  1. 현장 근로자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센싱정보와 제 1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1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상태가 제 1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현장 구조물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2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센싱정보와 제 2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작동상태가 제 2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동작시켜 화면 표출하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제 1 및 제 2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경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표출하는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을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설정된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해 상기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의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의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하고,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의 현장 모습을 최적촬영 각도가 가리키는 수직축 상의 높이에서 최적 촬영하는 드론; 및
    상기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 상기 드론의 현 위치 및 현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상기 드론의 최적 촬영시간을 미리 설정해 둠을 통해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최적 촬영시간이 경과됨을 통보받을 시에 상기 원래 위치로 돌아가라는 귀가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에게 명령 지시하며, 상기 드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온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에 대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 각각은,
    자가 실장 영상촬영기를 이용해 상기 현장 근로자 혹은 현장 구조물이 속한 현장 내 작업상태를 실시간으로 2D 촬영(또는 3D 촬영)하고, 근거리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뎀과 교통된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나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를 찾아 상기 2D 촬영(또는 3D 촬영)된 작업상태 영상정보를 즉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는,
    상기 드론을 대상으로 상기 최적촬영 각도의 조정, 상기 수직축(Z축) 상의 높이 조절 및 상기 영상 촬영기의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를 원격 제어함을 통해 상기 실제현장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지원하거나,
    상기 실제현장 영상정보의 해상도를 320*240, 640*480, 720*480, 1280*720 또는 1920*1080으로 변환한 후, MPEG 포맷이나 DV 포맷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상기 제 1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2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다른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2'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2'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실시함에 따라 상기 제 2' 대상지점에서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1'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귀가명령 신호 수신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의 복귀위치 정보를 추출해 상기 복귀위치 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상기 원래 위치의 좌표점을 찾아 자동으로 회귀 이동하며,
    상기 영상 촬영기의 하우징 내 안착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괄 관리 서버는,
    상기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업데이트시켜 수시 제공하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을 시 상기 현장 근로자와 현장 구조물에 대한 응급조치 명령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재난 발생 구조요원이 소지한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로 긴급 송출하며,
    상기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는,
    상기 총괄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가 각기 가리키는 상기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을 GPS 통신망을 통해 찾아내 긴급표시 화면으로 표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9. 삭제
  10.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이 현장 근로자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1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센싱정보와 제 1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1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이 상기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상태가 제 1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이 현장 구조물에 부착된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제 2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센싱정보와 제 2 설정 기준치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이 상기 현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작동상태가 제 2 이상상태로 판단될 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가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동작시켜 화면 표출하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제 1 및 제 2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경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
    드론이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을 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설정된 원래 위치로부터 출발해 상기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의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삼차원 좌표의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하는 단계;
    상기 드론이 영상 촬영기를 이용해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의 현장 모습을 최적촬영 각도가 가리키는 수직축 상의 높이에서 최적 촬영하는 단계; 및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으로 자리 이동한 상기 드론의 현 위치 및 현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상기 드론의 최적 촬영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는 단계;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최적 촬영시간이 경과됨을 통보받을 시에 상기 원래 위치로 돌아가라는 귀가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에게 명령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온 상기 현장 근로자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에 대한 실제현장 영상정보를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총괄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 또는 상기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 각각은,
    자가 실장 영상촬영기를 이용해 상기 현장 근로자 혹은 현장 구조물이 속한 현장 내 작업상태를 실시간으로 2D 촬영(또는 3D 촬영)하고, 근거리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뎀과 교통된 상기 현장 관리용 통신 단말기나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를 찾아 상기 2D 촬영(또는 3D 촬영)된 작업상태 영상정보를 즉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을 대상으로 상기 최적촬영 각도의 조정, 상기 수직축(Z축) 상의 높이 조절 및 상기 영상 촬영기의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를 원격 제어함을 통해 상기 실제현장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현장 영상정보의 해상도를 320*240, 640*480, 720*480, 1280*720 또는 1920*1080으로 변환한 후 MPEG 포맷이나 DV 포맷으로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을 대상으로 원격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상기 제 1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2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을 대상으로 원격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을 대상으로 원격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다른 현장 구조물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2'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2' 대상지점에서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1 대상지점 혹은 제 2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드론을 대상으로 원격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상기 제 2' 대상지점에서 다른 인체 부착형 통신모듈의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를 토대로 확대 설정한 제 1' 삼차원 좌표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제 1' 대상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1' 대상지점에서 상기 제 2' 대상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이,
    상기 귀가명령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의 복귀위치 정보를 추출해 상기 복귀위치 정보로부터 인지되는 원래 위치 지점을 찾아 자동으로 회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총괄 관리 서버가,
    상기 현재위치 알림용 컨텐츠를 업데이트시켜 수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이벤트 정보 또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을 시 상기 현장 근로자와 현장 구조물에 대한 응급조치 명령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재난 발생 구조요원이 소지한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로 긴급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조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총괄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 1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 또는 제 2 현재 동적(또는 정적) 위치정보가 각기 가리키는 상기 제 1 대상지점 또는 제 2 대상지점을 GPS 통신망을 통해 찾아내 긴급표시 화면으로 표출해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60017713A 2016-02-16 2016-02-16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75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713A KR101753515B1 (ko) 2016-02-16 2016-02-16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713A KR101753515B1 (ko) 2016-02-16 2016-02-16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515B1 true KR101753515B1 (ko) 2017-07-05

Family

ID=5935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713A KR101753515B1 (ko) 2016-02-16 2016-02-16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5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74B1 (ko) * 2017-11-14 2018-05-14 주식회사 로탈 조선소 내 위치 데이터 기반 작업 지시 시스템
KR102151637B1 (ko) * 2020-07-08 2020-09-03 한화시스템(주) 드론의 영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050842A (zh) * 2023-02-01 2023-05-02 东华理工大学 城市地下工程施工安全风险动态控制方法及***
CN116486585A (zh) * 2023-06-19 2023-07-25 合肥米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i机器视觉分析预警的生产安全管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00B1 (ko) * 2009-05-14 2010-04-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인항공기 통제 시스템
KR101543542B1 (ko) * 2014-11-06 2015-08-10 김경숙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KR101550780B1 (ko) * 2015-02-13 2015-09-08 (주)하이레벤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00B1 (ko) * 2009-05-14 2010-04-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인항공기 통제 시스템
KR101543542B1 (ko) * 2014-11-06 2015-08-10 김경숙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KR101550780B1 (ko) * 2015-02-13 2015-09-08 (주)하이레벤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74B1 (ko) * 2017-11-14 2018-05-14 주식회사 로탈 조선소 내 위치 데이터 기반 작업 지시 시스템
KR102151637B1 (ko) * 2020-07-08 2020-09-03 한화시스템(주) 드론의 영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050842A (zh) * 2023-02-01 2023-05-02 东华理工大学 城市地下工程施工安全风险动态控制方法及***
CN116050842B (zh) * 2023-02-01 2023-08-04 东华理工大学 一种城市地下工程施工安全风险动态控制方法及***
CN116486585A (zh) * 2023-06-19 2023-07-25 合肥米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i机器视觉分析预警的生产安全管理***
CN116486585B (zh) * 2023-06-19 2023-09-15 合肥米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i机器视觉分析预警的生产安全管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515B1 (ko) 현장안전 관리를 위한 영상촬영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9275097B (zh) 基于uwb的室内定位与监测***
KR101774872B1 (ko) 작업자 안전감시 시스템
JP6812772B2 (ja) 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22727B1 (ko) 가스검출 경보시스템
JP6635529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装置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JP6858063B2 (ja) 作業現場で発生した事象に関連するデータを収集するための作業情報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8242125A (zh) 一种多功能施工安全监控仪
CN207883094U (zh) 一种多功能施工安全监控仪
CN105962908B (zh) 飞行体温检测器控制方法及装置
EP3098794A1 (en)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intelligent mobile devices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KR20220007460A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CN108540941A (zh) 一种远程监控安全保障***
US20160335862A1 (en) Tactical personal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CN104602140A (zh) 应用于救援的移动终端及***
JP2014146288A (ja) 監視システム
US11538323B2 (en) Telematics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improving worksite safety
CN115426616A (zh) 一种基于救援场景救援人员动态在线监测***及方法
KR20210086790A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7337157U (zh) 一种消防员红外定位ar显示头盔及消防指挥***
JP5982273B2 (ja) 撮影システム
KR102518496B1 (ko)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KR101532209B1 (ko)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