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05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050B1
KR101751050B1 KR1020100042236A KR20100042236A KR101751050B1 KR 101751050 B1 KR101751050 B1 KR 101751050B1 KR 1020100042236 A KR1020100042236 A KR 1020100042236A KR 20100042236 A KR20100042236 A KR 20100042236A KR 101751050 B1 KR101751050 B1 KR 10175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ice
tray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904A (ko
Inventor
황정연
강진원
유명동
서운규
정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050B1/ko
Priority to PCT/KR2011/003395 priority patent/WO2011139116A2/en
Priority to US13/696,091 priority patent/US8881951B2/en
Publication of KR2011012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디스펜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펜서 바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이동하여 용기 수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디스펜서 구조가 평상시에는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고, 증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가 음식물 저장을 위한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에 따라 탑마운트 타입,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및 바텀 프리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탑마운트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입이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며, 바텀 프리저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다.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 음식물을 인출 또는 수납할 수 있는 홈바 도어 구조에 더하여,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 물이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 구조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도어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후면이 돌출되면서 고내 용적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디스펜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냉장고 도어의 후면 두께를 작게 하여 고내 용적을 늘릴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펜서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냉장고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함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디스펜서 사용 시에만 선택적으로 함몰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에는 물 또는 얼음을 받기 위한 용기를 수용하는 용기 수용부가 정의되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의하여, 상기 용기 수용부를 정의하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벽이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물이나 얼음을 취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펜서 바디가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유지하거나, 냉장고 도어의 전면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사용자에게 디스펜서가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지 않을 때에는 트레이가 디스펜서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레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디스플레이부가 나타나므로,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깔끔하게 디자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 깊이가 기존의 디스펜서에 형성되는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의 깊이보다 작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지게 되며, 그 결과 고내 용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8은 도 4의 II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구성하는 이동 트레이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 및 냉동실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식 도어일 수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13)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드로어 타입 도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에도 장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에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수용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측방에는 디스플레이(14)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하여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를 작동하는 경우에만 물의 온도, 고내 온도 등에 관한 정보가 도어 전면에 표시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제시한다. 즉,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의 전면에는 어떤 표시도 나타나지 않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는 순간, 상기의 정보가 활성화되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 방법으로서, 점진적으로 밝아진 후 점진적으로 빛이 소멸하는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타입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디스펜서 하우징(2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헤드(23)와,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디스펜서 바디(22) 및,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하단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하단 사이에 개입되고,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트레이(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는, 얼음 취출 버튼(25)이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는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의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전면이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며, 전면 테두리부를 지나는 면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 하우징(21)과, 디스펜서 바디(22)와, 디스펜서 헤드(23) 및 트레이(2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양 측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구동부(28)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저면에는 상기 트레이(26)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구동부(29)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상면 전단에는 물취출구(211)가 형성되어, 상기 물취출 버튼(24)을 누르면, 상기 물취출구(211)의 직상방에 놓이는 물꼭지(미도시)로부터 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바디(22)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23)보다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얼음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하단부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상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단차지고, 상기 단차지는 부위에 아이스 슈트(251)의 토출구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전면이 디스펜서 헤드(23)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전면과 디스펜서 바디(22)의 전면 및 도어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을 눌러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퇴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 내부에는 얼음 취출을 위한 디스차지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의 출구측 단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입구측 단부와 연통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의 배면 또는 고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의 아이스 메이커, 아이스 빈 및 디스차지 덕트의 구조는 종래의 냉장고에 적용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26)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트레이(261)와, 전방으로 인출되는 이동 트레이(262) 및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63)를 포함한다.
상세히, 슬라이드 가이드(263)는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트레이(262)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 운동만 수행한다.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작동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이동 트레이(261)는,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전방으로 인출되고, 물 또는 얼음 취출이 끝나면 후퇴하여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제 1 구동부(28)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측면부 상측 및/또는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수직한 상태로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구동부(28)는, 구동 모터(281)와, 상기 구동 모터(28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283)와, 상기 샤프트(283)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283)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피니언(28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82)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측면에 형성되는 랙(221)과 맞물린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29)도 상기 제 1 구동부(28)와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291), 샤프트(293) 및 피니언(29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저면에 형성되는 랙(후술함)에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들(28,29)은 상기 제어부(27)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취출 버튼(24)과 얼음 취출 버튼(25)의 배면에는 스위치(30)가 연결되어,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30)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스위치도 가능하다. 상기 버튼들(24,25)이 눌러지면 상기 스위치(30)가 온되고, 스위치 온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물 또는 얼음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양 측면에는 랙(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221)에는 상기 피니언(282)이 맞물려서, 상기 피니언(28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에 용기 수용을 위한 공간, 즉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26)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얼음 취출 명령뿐 아니라 물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도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II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슬라이드 가이드(263)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는 상기 고정 트레이(261)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를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저면에 형성되는 랙(264)에 상기 피니언(292)이 맞물려서, 상기 피니언(29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이동 트레이(262)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에 의하여 흔들림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에는 보스 형태의 서포터(265)가 삽입되고, 상기 서포터(26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267)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265)는 상기 탄성 부재(26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서포터(265)는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저면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265)가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저면에 형성된 슬리브 또는 홈에 단순히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하단부에 의하여 상승 거리가 제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서 상하 이동만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면 충분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구성하는 이동 트레이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물 취출 버튼(24) 또는 얼음 취출 버튼(25)의 조작에 의하여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구동부(29)의 구동 모터(291)가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292)이 회전하여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세히,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상측 후단부와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전단부에는 각각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262a,26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상기 탄성 부재(267)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들(262a,262b)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부드럽게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후퇴할 때에도 상기 경사면들(262a,263a) 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부드럽게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완전히 인출되어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트레이(262)와 고정 트레이(261)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룬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물 취출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트레이(26)가 인출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유지하거나, 냉장고 도어의 전면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사용자에게 디스펜서가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트레이(26)가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레이(26)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 깊이가 기존의 디스펜서에 형성되는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의 깊이보다 작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지게 되며, 그 결과 고내 용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디스펜서 하우징(2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펜서 바디(22)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 형성되는 물취출 버튼(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1)의 상면에는 물취출구(211)가 형성된다.
상세히, 본 실시예는 디스펜서 어셈블리(20)를 통하여 물취출만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하우징(21)의 개구부 전체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후방 이동에 의하여 물 취출구(211)가 외부로 노출되고, 동시에 물 저장 용기를 받는 용기 수용부가 정의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디스펜서 어셈블리(20)를 통하여 얼음 취출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상면에는 아이스 슈트(251)가 형성되고, 디스펜서 바디(22)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1)가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는 얼음 취출 버튼(25) 만이 형성된다. 그외의 구조는 이전 실시예에 개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물취출구(211)와 아이스 슈트(251)가 디스펜서 헤드(23)와 디스펜서 바디(22)를 경계짓는 단차면에 모두 형성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작동이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물 취출구(211)가 상기 아이스 슈트(251)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도 13은 물 취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물 취출 버튼(24)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단,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 취출구(211)만 노출되는 거리 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14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22)가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1)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트레이(26)는 물 취출시와 얼음 취출시에 모두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어느 하나의 동작 때에만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와, 디스펜서 바디(22) 및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7)

  1.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전면이 개구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면을 덮도록 결합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펜서 바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어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취출 버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취출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디스펜서 바디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랙;
    상기 랙에 결합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취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물 또는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외측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 외부로 드러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어, 물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물 취출 버튼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어,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얼음 취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바닥에 제공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취출 버튼 또는 얼음 취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트레이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상측에 제공되는 디스펜서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취출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 헤드에 형성되고,
    상기 얼음 취출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얼음 취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헤드의 전면부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전면부 및 상기 도어의 전면부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보다 후방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와 디스펜서 바디의 경계 부분까지 연장되는 아이스 슈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후퇴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구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취출 버튼 및 얼음 취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 및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트레이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과,
    상기 트레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트레이와,
    저면에 상기 랙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트레이와,
    상기 이동 트레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내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트레이의 저면에 접촉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이동 트레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삭제
  17. 삭제
KR1020100042236A 2010-05-06 2010-05-06 냉장고 KR10175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36A KR101751050B1 (ko) 2010-05-06 2010-05-06 냉장고
PCT/KR2011/003395 WO2011139116A2 (en) 2010-05-06 2011-05-06 Refrigerator
US13/696,091 US8881951B2 (en) 2010-05-06 2011-05-0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36A KR101751050B1 (ko) 2010-05-06 2010-05-0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04A KR20110122904A (ko) 2011-11-14
KR101751050B1 true KR101751050B1 (ko) 2017-06-26

Family

ID=4539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36A KR101751050B1 (ko) 2010-05-06 2010-05-0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881B1 (ko) * 2013-07-15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987A1 (en) * 2006-11-23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987A1 (en) * 2006-11-23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04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6215B1 (en) Refrigerator
US8640484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KR101513628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97264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78993B1 (ko) 디스펜서용 조작레버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8875538B2 (en) Refrigerator
US8413460B2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81951B2 (en) Refrigerator
KR20230131499A (ko) 냉장고
KR102040609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KR20240052062A (ko) 냉장고
KR101751050B1 (ko) 냉장고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102230228B1 (ko) 냉장고
JP2010071564A (ja) 冷蔵庫
KR102375257B1 (ko) 냉장고
KR102124037B1 (ko) 냉장고
KR101507845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KR20140104094A (ko) 냉장고
KR101611609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20220035364A (ko) 냉장고
KR20240051634A (ko) 냉장고
KR102158881B1 (ko) 냉장고
KR20240051646A (ko) 냉장고
KR2024005162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