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805B1 - 접안용 펜더 - Google Patents

접안용 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805B1
KR101750805B1 KR1020140164260A KR20140164260A KR101750805B1 KR 101750805 B1 KR101750805 B1 KR 101750805B1 KR 1020140164260 A KR1020140164260 A KR 1020140164260A KR 20140164260 A KR20140164260 A KR 20140164260A KR 101750805 B1 KR101750805 B1 KR 101750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rail
present
fender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648A (ko
Inventor
양승호
김병우
김현태
조진욱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접안용 펜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방현재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접안용 펜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안용 펜더{Fender for Berthing}
본 발명은 접안용 펜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접안용 펜더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제작하게 되면, 제작 후 안벽에 접안하여 의장작업 외 기타 추가 제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안벽과 해양구조물과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펜더(fender)가 안벽과 해양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해양구조물이 안벽을 향해 접안하게 된다.
그러나 안벽 부근의 수심이 낮아 해양구조물이 안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의 이격이 필요하고, 조수간만의 차이 및 파도에 의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하방향 운동이 클 것으로 예측될 때, 일반적인 펜더만으로는 해양구조물의 안벽계류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81885 (공개일: 2012.07.20)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파도에 의해 해양구조물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해양구조물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접안용 펜더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안벽 부근의 수심이 얕을 경우,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해양구조물을 지지하는 접안용 펜더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방현재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접안용 펜더가 개시된다.
일단이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타단을 지지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되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2 홀 중 하나와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고정시키는 삽입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연장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레일이 구비됨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파도 또는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달라지는 해양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안벽 부근의 수심이 얕아 해양구조물이 안벽으로 가까이 접안될 수 없을 경우, 해양구조물을 향해 연장되어 해양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안벽 위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해양구조물을 향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안벽 위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해양구조물을 향해 배치되고, 연장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접안용 펜더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를 나타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100)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연장부(100), 방현재(200) 및 레일(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00)는 해양구조물(10)이 접안되는 안벽(20)으로부터 해양구조물(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해양구조물(10)은 조선소에서 제작된 후 의장작업 및 추가작업이 수행되는 선박 및 해양플랜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역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항만으로 접안하는 선박일 수 있다.
이 때 안벽(20)은 해양구조물(10)을 접안하기 위하여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벽구조물로서, 해양구조물(10)로 선원이 승강하고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설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를 나타낸 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00)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제3 부재(130) 및 삽입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10)는 안벽(20)에 장착되고 제1 홀(9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120)는 제1 부재(110)와 결합되고 제1 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되며, 복수의 제2 홀(9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130)는 제2 부재(120)와 결합되고 제2 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되며, 복수의 제3 홀(9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는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재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를 도시하여, 연장부(100)의 부재를 3개로 나타내었지만, 연장부(100) 부재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벽(20) 부근의 수심 및 작업환경에 따라 해양구조물(10)이 안벽(20)으로 다가올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연장부(100)의 부재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부(100)가 연장될 수 있는 거리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120)의 외측 상하부에 바퀴(420)가 구비되고, 제1 부재(110)의 내측 상하부에 제2 부재(120)의 바퀴(42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제1 부재(110)의 모서리 내측에 돌출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2 부재(120)의 바퀴(420)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400)는 제2 부재(120)의 바퀴(420)가 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부재(130)의 외측 상하부에 바퀴(420)가 구비되고, 제2 부재(120)의 내측 상하부에 상기 바퀴(420)가 삽입되어 바퀴(4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핀(150)은 복수의 제2 홀(920) 중 하나와 제1 홀(910)을 관통하여 제2 부재(120)를 제1 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삽입핀(150)은 제1 부재(110)로부터 인출된 제2 부재(120)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연장부(1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안벽(20) 부근의 수심이 낮아서 해양구조물(10)이 안벽(20)에 가까이 접근하기 힘들 경우, 해양구조물(10)과 안벽(20) 사이의 거리만큼 연장부(100)가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현재(200)는 연장부(100)의 일단에 장착되며 해양구조물(10)이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방현재(200)는 파랑이나 바람으로 인해 해양구조물(10)이 접안할 때 또는 계류 중 해양구조물(10)과 안벽(2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력 및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방현재(200)는 해수면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탄성 재질을 지녀, 해양구조물(10)의 접안 충격을 흡수하여 안벽(20)과의 충돌로 발생하는 해양구조물(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방현재(200)는 양측이 반원이고 중앙부가 원기둥인 실린더 형상을 지니며, 고무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방현재(200)와 연장부(100)를 연결하는 체인부(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인부(220)는 연장부(1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체인(chain)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방현재(200)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부재일 수 있다. 이 때 체인부(220)는 방현재(200)의 양단과 결합되어, 방현재(200)를 연장부(100)의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레일(300)(rail)은 안벽(20)에 설치되고, 연장부(100)와 결합되어 연장부(1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 때 레일(300)은 연장부(100)의 형성된 롤러(roller)(800)와 결합되며 롤러(800)는 레일(300)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파도에 의해 해양구조물(1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레일(300)을 따라 방현재(200)가 이동하여 해양구조물(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경우, 해양구조물(10)이 상하방향으로 크게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역시 레일(300)을 따라 방현재(200)가 이동하여 해양구조물(1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방현재(200) 및 연장부(10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방현재(200) 및 연장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미도시)(st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레일(300) 상에 구비되어 롤러(800)의 회전을 막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방현재(200)는 해양구조물(1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레일(300) 및 연장부(100)에 의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해양구조물(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안벽(20) 위로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해양구조물(10)을 향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100)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연장부(100), 방현재(200), 레일(300), 체인부(220), 스토퍼 및 힌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100), 방현재(200), 스토퍼 및 체인부(22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지니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힌지부(500)는 연장부(100), 레일(300) 및 방현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접안용 펜더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장부(100), 레일(300) 및 방현재(200)는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안벽(20)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접안용 펜더가 사용될 때 안벽(20) 위에 있는 연장부(100), 레일(300) 및 방현재(200)는,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해양구조물(1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힌지부(500)는 제1 회전부(510) 및 제2 회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510)의 일단은 안벽(20)에 장착되고, 제1 회전부(510)의 타단은 제2 회전부(520)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부(520)의 일단은 제1 회전부(510)와 힌지연결되고, 제2 회전부(520)의 타단은 레일(300)과 결합되며, 제2 회전부(520)는 제1 회전부(510)와 힌지연결된 제1 회전부(51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부(520)가 회전됨에 따라 제2 회전부(520)와 결합된 레일(300),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 역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레일(300)과 안벽(20)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보조부재(600)는 레일(300)과 안벽(20)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부재(600)의 일면은 레일(300)에 접촉하고 보조부재(600)의 타면은 안벽(20)과 접촉할 수 있다. 보조부재(600)가 레일(300)과 안벽(2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레일(300),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부재(600)는 상기 방현재(200)와 동일한 실린더 형상을 지니며, 고무재질이며 보조부재(600)의 크기는 작업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보조부재(600)에는 방현재(200)와 마찬가지로 체인부(220)가 구비되며, 체인부(200)는 보조부재(600)의 양단과 결합되어 보조부재(200)를 레일(300)의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안벽(20) 위로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가 해양구조물(10)을 향해 배치되고, 연장부(100)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연장부(100), 방현재(200), 레일(300), 체인부(220), 스토퍼 및 힌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의 연장부(100), 방현재(200), 스토퍼 및 체인부(220)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지니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지니는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의 레일(300)은 안벽(20)의 측면에 설치되고 힌지부(500)와 결합되어 힌지부(5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 때 레일(300)은 힌지부(500)의 제1 회전부(510)에 형성된 롤러(800)와 결합되며 롤러(800)는 레일(300)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는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접안용 펜더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는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안벽(20)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접안용 펜더가 사용될 때 안벽(20) 위에 있는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는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해양구조물(1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힌지부(500)는 제1 회전부(510) 및 제2 회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510)의 일단은 안벽(20)의 측면에 설치된 레일(300)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1 회전부(510)의 타단은 제2 회전부(520)와 힌지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부(520)의 일단은 제1 회전부(510)와 힌지연결되고, 제2 회전부(520)의 타단은 연장부(100)와 결합되며, 제2 회전부(520)는 제1 회전부(510)와 힌지연결된 제1 회전부(51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부(520)가 회전됨에 따라 제2 회전부(520)와 결합된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 역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안용 펜더는 레일(300)과 안벽(20)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보조부재(600)는 레일(300)과 연장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부재(600)의 일면은 연장부(100)에 접촉하고 상기 보조부재(600)의 타면은 레일(300)과 접촉할 수 있다. 보조부재(600)가 레일(300)과 연장부(10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연장부(100) 및 방현재(20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3 실시예의 보조부재(600)는 상기 방현재(200)와 동일한 실린더 형상 및 재질을 지니며, 보조부재(600)의 크기는 해양구조물(10)의 크기 및 작업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해양구조물 20: 안벽
100: 연장부 110: 제1 부재
120: 제2 부재 130: 제3 부재
150: 삽입핀 200: 방현재
220: 체인부 300: 레일
400: 가이드부 420: 바퀴
500: 힌지부 510: 제1 회전부
520: 제2 회전부 600: 보조부재
800: 롤러 910: 제1 홀
920: 제2 홀 930: 제3 홀

Claims (6)

  1.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방현재;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 또는 상기 연장부를 안벽의 상부로 회전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레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연장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힌지부는 일단이 상기 안벽에 고정되는 제 1 회전부 및 일단이 상기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회전부
    를 포함하는 접안용 펜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의 타단을 지지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안용 펜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제1 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되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2 홀 중 하나와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고정시키는 삽입핀을 포함하는 접안용 펜더.
  5. 삭제
  6. 삭제
KR1020140164260A 2014-11-24 2014-11-24 접안용 펜더 KR101750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60A KR101750805B1 (ko) 2014-11-24 2014-11-24 접안용 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60A KR101750805B1 (ko) 2014-11-24 2014-11-24 접안용 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648A KR20160061648A (ko) 2016-06-01
KR101750805B1 true KR101750805B1 (ko) 2017-06-26

Family

ID=5613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260A KR101750805B1 (ko) 2014-11-24 2014-11-24 접안용 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218B1 (ko) 2017-12-28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펜더
CN109518655B (zh) * 2019-01-21 2021-03-16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海警学院 一种港口防波堤用的防护装置
CN110144851B (zh) * 2019-05-15 2021-06-29 江苏赛尔橡胶股份有限公司 一种转动型高强度橡胶护舷
CN111945668A (zh) * 2020-07-27 2020-11-17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码头延伸靠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17B1 (ko) * 2010-11-04 2012-09-2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885A (ko) 2011-01-12 2012-07-20 한국과학기술원 선박용 펜더 및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17B1 (ko) * 2010-11-04 2012-09-2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648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05B1 (ko) 접안용 펜더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20008331A (ko) 횡동요 억제장치
KR101086764B1 (ko)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KR20160031789A (ko) 드릴쉽의 라이저 프로텍팅 시스템
US3595196A (en) Floating platform for vessel mooring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US8979436B2 (en) Water craft bumper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1316736B1 (ko) 선체 고정 장치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KR20130047241A (ko) 리프트형 선박 진수장치
KR102027218B1 (ko) 접이식 펜더
KR20160028148A (ko) 선박의 도장 손상 방지용 펜더
KR101722197B1 (ko) 계류 장치
KR102116417B1 (ko) 선박
KR101801803B1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KR101616362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20035266A (ko) 부유식 휀더 어셈블리
JP6181615B2 (ja) 洋上浮体構造物
KR101037209B1 (ko) 접안용 선체 보호 장치
JP6838261B2 (ja) 浮体の係留装置
KR101149500B1 (ko) 선박 이접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