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970B1 -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970B1
KR101749970B1 KR1020160087182A KR20160087182A KR101749970B1 KR 101749970 B1 KR101749970 B1 KR 101749970B1 KR 1020160087182 A KR1020160087182 A KR 1020160087182A KR 20160087182 A KR20160087182 A KR 20160087182A KR 101749970 B1 KR101749970 B1 KR 10174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ple
stabilizer
anvil
guid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튤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튤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튤립
Priority to KR102016008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970B1/ko
Priority to PCT/KR2016/007549 priority patent/WO2018008789A1/ko
Priority to US15/210,890 priority patent/US9855042B1/en
Priority to CN201710020571.5A priority patent/CN107582122B/zh
Priority to EP17152104.0A priority patent/EP3266386B1/en
Priority to EP20200601.1A priority patent/EP3782559A1/en
Priority to ES17152104T priority patent/ES2854704T3/es
Priority to JP2017016546A priority patent/JP639093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17/07207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aples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28Arrangement of the sta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57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anv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1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8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sled or its stap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85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은 병리검사용 조직을 획득할 수 있는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러에 사용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테이플 카트리지, 앤빌, 푸셔유닛, 드라이빙 웨지, 스테빌라이저유닛 및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상기 푸셔유닛과 이웃하여 배치되되,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앤빌 사이에 배치되는 조직을 잡아주게 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End-effector of Surgical linear stapler}
본 발명은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은 병리검사용 조직을 획득할 수 있는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러에 사용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복부 및 흉부 장기 수술에서 장기의 절단 및 문합에 많이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이러한 외과용 스테이플러로는 개흉 또는 개복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오픈(open)용 스테이플러와, 흉강경, 복강경에 사용되는 엔도(endo)용 스테이플러가 있다.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수술부위의 절단과 동시에 장기의 문합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시간의 단축뿐 아니라, 수술부위의 정확한 스테이플링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조직 절단 및 스테이플링을 위하여 외과용 스테이플링사를 사용할 때보다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적은 장점으로 인해 현대 외과 수술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특히,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암 수술에 있어 암 조직을 절단하고, 절단 부위를 스테이플링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테이플러에 의하여 스테이플링되고 절단된 후 제거되는 수술부위 중 동결절편 조직검사를 위하여 획득되는 절단면으로부터 인접하게 위치하는 생체조직은 스테이플에 의하여 조직이 손상되기 때문에 절단마진에 암세포가 남아 있는지에 대하여 정확하게 검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6762호(발명의 명칭: 수술용 스테이플 및 이를 구비한 자동문합기, 공고일자: 2006년 11월 23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은 병리검사용 조직을 획득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직을 스테이플링하기 위한 스테이플이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대응되며,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에서 토출되는 상기 스테이플을 성형하기 위한 앤빌;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서 상기 스테이플과 대응되게 배치되되, 외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높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플을 밀어내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시키는 푸셔유닛;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푸셔유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드라이빙 웨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상기 푸셔유닛과 이웃하여 배치되되,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앤빌 사이에 배치되는 조직을 잡아주는 스테빌라이저유닛; 그리고,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스테이플링된 조직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드라이빙 웨지를 이동시키는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조직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 중 상기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하부몸체는 상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의 단면 중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는 제2 단면은 라운드진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단면폭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하되, 상기 피가압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유닛과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슬릿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절단되어 제거되는 조직 중 상기 스테이플에 손상되지 않는 병리검사용 조직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중 상기 제1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중 상기 제1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및 제2 스테빌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과,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푸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푸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는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폭방향인 제3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 토출슬릿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토출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푸셔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은 제2 방향을 따른 복수 개의 단위 토출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푸셔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토출슬릿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빙 웨지는 상기 푸셔유닛을 가압하는 제1 웨지와, 상기 제1 웨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을 가압하는 제2 웨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웨지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1 웨지의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1 토출높이가 상기 푸셔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2 토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높이는 상기 푸셔유닛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1 토출높이가 상기 푸셔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2 토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앤빌은 앤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앤빌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앤빌홈 집합체 및 제2 앤빌홈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앤빌홈 집합체 중 상기 제2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3 거리는 상기 제2 앤빌홈 집합체 중 상기 제2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4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앤빌본체는 상기 제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에서 정의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은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앤빌본체에는 상기 제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의 표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홈 또는 상기 표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앤빌은 앤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앤빌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앤빌홈 집합체 및 제2 앤빌홈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앤빌본체는 상기 제1 앤빌홈 집합체와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는 제1 표면과, 상기 제2 앤빌홈 집합체와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는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앤빌이 상대이동하면서 조직을 스테이플링 할 때 스테빌라이저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면서 상기 조직의 절단면과 스테이플링선 사이의 조직을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 인하여 상기 조직이 찢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블레이드가 상기 조직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장기를 두 영역으로 절단 및 스테이플링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을 기준으로 제거되는 장기부위의 스테이플링선까지의 거리가 인체에 남는 수술부위의 스테이플링선까지의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거되는 수술부위에서 조직검사를 위한 생체조직의 절단마진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제거되는 장기의 수술부위에서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 병리검사용 조직영역을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러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테이플러에 구비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구비된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구비된 단위 스테빌라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스테이플용 말단장치에 구비된 제1 푸셔와 제2 푸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서 푸셔유닛 및 스테빌라이저유닛이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가압되기 전과 가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도 7은 도 1의 스테이플러에 의하여 조직이 스테리플링되기 전과 절단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2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3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단위 스테빌라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서 푸셔유닛 및 스테빌라이저유닛이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가압되기 전과 가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의하여 조직이 스테리플링되기 전과 절단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4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5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카트리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스테이플 말단장치에 구비된 단위 스테빌라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구비된 엔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7 실시 예에 구비된 엔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8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9 실시 예에 구비된 엔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10 실시 예에 구비된 엔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4의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8 실시 예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유닛 및 푸셔유닛을 대체할 수 있는 푸셔 겸용 스테빌라이저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리검사용 조직을 획득할 수 있는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러 및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러는 핸들어셈블리, 연장샤프트(5) 및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어셈블리는 지지손잡이(1), 조작손잡이(2), 당김손잡이(3), 회전헤드(4) 및 컨트롤바(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바는 상기 연장샤프트(5) 및 상기 회전헤드(4)를 관통하면서 상기 조작손잡이(2)와 연동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당김손잡이(3)와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바는 상기 조작손잡이(2)의 조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당김손잡이(3)를 사용자가 후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헤드(4)는 상기 핸들어셈블리의 전방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바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핸들어셈블리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연장샤프트(5) 및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를 360°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연장샤프트(5)는 상기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와 상기 회전헤드(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샤프트(5)의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바의 일부분이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스테이플링 샤프트(10),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20), 앤빌(600), 푸셔유닛(200), 드라이빙 웨지(300), 스테빌라이저유닛(400) 및 블레이드(510) 갖는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20)는 스테이플 카트리지(100),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커버(21), 상기 상부커버(21)상에 구비되는 식별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에는 조직(A)을 스테이플링하기 위한 스테이플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앤빌(600)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와 대응되며,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에서 토출되는 상기 스테이플을 성형하게 된다.
상기 푸셔유닛(200)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상에서 상기 스테이플과 대응되게 배치되되, 외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의 높이방향인 제1 방향(Z)으로 상기 스테이플을 밀어내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는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상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X)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푸셔유닛(200)을 상기 제1 방향(Z)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상에 상기 푸셔유닛(200)과 이웃하여 배치되되,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와 상기 앤빌(600) 사이에 배치되는 조직을 잡아주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스테이플링된 조직을 절단하는 블레이드(510)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를 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는 제1 가이드슬릿(120),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40) 및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X)을 따라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의 중심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51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50)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50)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 토출슬릿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단위 토출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50)의 폭은 상기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폭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40)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50)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의 폭방향인 제3 방향(Y)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1)과, 상기 제3 방향(Y)을 따라 상기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1)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1-2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1)은 하나의 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40)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1)과, 상기 제3 방향(Y)과 반대방향인 제4방향(Y')을 따라 상기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1)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2-2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2)과, 상기 제4 방향을 따라 상기 제2-2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2)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2-3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1)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1)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1)에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들은 상기 푸셔유닛(200)에 의하여 토출되고, 상기 앤빌(600)에 의하여 성형되면서 상기 조직상에서 제1 스테이플링선(1aa)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1)에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들은 제2 스테이플링선(3aa)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직(A)이 절단되는 절단면(A1)에서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절단면(A1)에서 상기 제2 스테이플링선(3aa)까지의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절단면(A1)과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 사이의 조직은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제거되는 조직 중에서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은 병리검사용 조직영역이 얻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상에 배치되는 조직의 수술부위(A)는 상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가상 절단선(A0)을 기준으로 두 개의 수술부위로 절단된다. 상기 두 개의 수술부위 중 하나는 제거되는 제1 수술부위(C)이고, 나머지 하나는 인체에 잔존하는 제2 수술부위(B)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가 작동되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수술부위(C)는 절단면(A1)과 평행한 2열의 스테이플링선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2 수술부위(B)는 상기 절단면(A1)과 평행한 3열의 스테이플링선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 수술부위(C)의 스테이플링선들 중 상기 절단면(A1)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과 상기 절단면(A1)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2 수술부위(B)의 스테이플링선들 중 상기 절단면(A1)에 가장 가까운 제2 스테이플링선(3aa)과 상기 절단면(A1) 사이의 거리(D2)보다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술부위(C) 중 상기 절단면(A1)에서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 사이에 있는 생체조직은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전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병리검사용 조직으로 적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장기를 두 영역으로 절단 및 스테이플링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을 기준으로 제거되는 장기부위의 스테이플링선까지의 거리가 인체에 남는 수술부위의 스테이플링선까지의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거되는 수술부위에서 조직검사를 위한 생체조직의 절단마진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제거되는 장기의 수술부위에서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 병리검사용 조직영역을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와 상기 앤빌(600)이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조직을 스테이플링 할 때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되면서 상기 조직의 절단면(A1)과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 사이의 조직을 잡아줌으로 인하여 상기 조직이 찢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510)가 상기 조직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식별수단(23)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상에서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이 배치된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과 상기 앤빌(600) 사이에 배치되는 조직은 스테이플에 의하여 스테이플링되지 않기 때문에 조직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식별수단(23)은 상기 조직이 상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절단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은 병리검사용 조직영역이 포함되는 조직, 즉 인체에서 제거되는 조직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술 중의 착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별수단(23)은 상기 상부커버(21)의 외측면에 특정색깔로 페인팅되거나, 외부에서 식별가능한 색깔을 갖는 테이프, 모양을 갖는 돌기 등의 형태로 상기 상부커버(21)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식별수단(23)은 형광물질이 포함된 재료로 제작되거나, 엘이디(LED)와 같은 조명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 즉 단위 스테빌라이저는 상기 조직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410)와, 상기 접촉부재(410)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410)는 상기 피가압부재(420)에서 연장형성되는 상부몸체(413)와, 상기 상부몸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하부몸체(411)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411)는 상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411a)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면(411b)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몸체(411)의 단면 중 상기 제2 방향(X)과 평행하는 단면은 라운드진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411a)으로 갈수록 단면폭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411a)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좁은 폭을 가지면서 평면이 될 수도 있고, 하나의 중심선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가압부재(420)는 상기 접촉부재(41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피가압부재(420)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가압부재(420) 중 일단부의 높이는 상기 일단부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타단부의 높이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피가압부재(420)의 일단부는 상기 피가압부재 중 상기 스테이플링 샤프트(10)와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S1이 S2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상기 접촉부재(410)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410) 중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부터 토출되는 영역이 일정한 토출높이를 가지게 된다.
도 2, 도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유닛(200)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에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들을 상기 제1 방향(Z)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제1 푸셔(210)와,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40)에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들을 상기 제1 방향(Z)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제2 푸셔(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푸셔(210)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푸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셔(22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위푸셔들을 포함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푸셔(210)는 상기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1)에 내장되어 있는 제1-1 스테이플을 가압하기 위한 제1-1 푸셔부(211)와, 상기 제1-2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32)에 내장되어 있는 제1-2 스테이플을 가압하기 위한 제1-2 푸셔부(213)와, 상기 제1-1 푸셔부(211)와 상기 제1-2 푸셔부(213)를 연결하는 제1 푸셔연결부(214)와,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가압되는 제1 푸셔가압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푸셔부(211)는 제1-1 스테이플의 본체를 가압하기 위한 제1-1 본체가압부(211b)와, 제1-1 스테이플의 다리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1 본체가압부(211b)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제1-1 다리가압부(2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푸셔부(213)는 제1-2 스테이플의 본체를 가압하기 위한 제1-2 본체가압부(213b)와, 제1-2 스테이플의 다리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2 본체가압부(213b)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제1-2 다리가압부(213a)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본체가압부(211b)의 하단면과 상기 제1-2 본체가압부(213b)의 하단면은 각각 제1-1 스테이플의 본체 및 제1-1 스테이플의 본체를 가압하여야 하기 때문에 평면 형상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제1-1 다리가압부(211a) 및 상기 제1-2 다리가압부(213a)는 카트리지 본체(110)에 형성된 스테이플 설치홈(미도시)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1 스테이플과 제1-2 스테이플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1-1 푸셔부(211)와 상기 제1-2 푸셔부(213)는 상기 제1 푸셔연결부(214)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방향(X)과 평행한 상기 제1 푸셔(210)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푸셔(220)는 상기 제2 방향(X)과 평행한 상기 제2 푸셔(220)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2-1 푸셔부(221) 및 제2-3 푸셔부(223)와, 상기 제2-1 푸셔부(221) 및 상기 제2-3 푸셔부(223)의 전단방향, 즉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 푸셔(22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영역에 형성되는 제2-2 푸셔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푸셔부(221), 제2-2 푸셔부(222) 및 상기 제2-3 푸셔부(223)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1), 상기 제2-2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2) 및 상기 제2-3 스테이플 토출공라인(143)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제2-1 스테이플, 제2-2 스테이플 및 제2-3 스테이플을 각각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1 푸셔부(221), 제2-2 푸셔부(222) 및 상기 제2-3 푸셔부(223)의 세부적인 형상은 상기 제1-2 푸셔부(2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단위푸셔의 길이는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는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과 대응되는 단위 푸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의 높이(H2)는 상기 푸셔유닛(200)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1 토출높이(H4)가 상기 푸셔유닛(200)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되는 제2 토출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토출높이(H3)는 0.1 ~ 1mm 정도 이고, 상기 제1 토출높이(H4)는 0.12~1.25mm 정도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토출높이와 상기 제2 토출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과 상기 앤빌(600)의 사이에는 조직이 직접적으로 배치되지만, 상기 푸셔유닛(200)과 상기 앤빌(600)사이에는 스테이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토출높이(H4)가 상기 스테이플의 두께만큼 상기 제2 토출높이보다 높아야만 상기 앤빌(600)과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 사이의 조직이 안정적으로 잡혀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직은 찢어짐이 없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안전하게 절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는 웨지본체(310), 제1 웨지(320), 제2 웨지(330), 제3 웨지(340), 제4 웨지(350) 및 가이드웨지(360)를 포함한다.
상기1 웨지(320)는 상기 웨지본체(310)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며, 외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1 푸셔(21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 웨지(330)는 상기 제1 웨지(32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웨지본체(310)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웨지(360)는 상기 웨지본체의 중심영역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기 제2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웨지(340) 및 상기 제4 웨지(350)는 상기 웨지본체(3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웨지(36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웨지(320) 및 제2 웨지(330)의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웨지(340) 및 상기 제4 웨지(350)는 상기 제2 푸셔(220)를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방향(Z)에 따른 상기 제1 웨지(320)의 돌출높이와 상기 제2 웨지(330)의 돌출높이는 동일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웨지(330)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1 웨지(320)의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지들은 서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과 상기 푸셔유닛(200)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2 웨지(330)의 돌출높이가 상기 제1 웨지(320)의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되는 제1 토출높이(H4)가 상기 푸셔유닛(200)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되는 제2 토출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앤빌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기 앤빌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스테빌라이저유닛(1400)이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카트리지 본체(110)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도 제1 가이드슬릿(120)과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30)의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하나의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150)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1400)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유닛의 단면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1400)은 접촉부재(1410), 피가압부재(1420)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1410)는 상부몸체(1413) 및 하부몸체(1411)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1411)는 상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면을 가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1400)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10을 기준으로, S3이 S4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1400)이 하나의 부재로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와 상기 앤빌(600) 사이에 배치되는 조직을 한꺼번에 잡아주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구비되는 스테빌라이저유닛(2400)은 스테이플 카트리지(100)상에 배치되되, 제1 가이드슬릿(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2410) 및 제2 스테빌라이저(2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2410)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2420)도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형상은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의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제1 단위 스테빌라이저는 조직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2411)와, 상기 접촉부재(2411)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재(2413)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2411)는 상기 피가압부재(2413)에서 연장형성되는 상부몸체(2411b)와, 상기 상부몸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10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하부몸체(2411a)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2411a)는 상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면을 가진다.
상기 피가압부재(2413)는 상기 접촉부재(2411)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가압부재(2413)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피가압부재(2413)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지만, 상기 접촉부재(2411)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재(2411)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므로 상기 제1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30)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40)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30)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24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161)과,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40)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2420)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163)이 형성된다.
한편, 푸셔유닛(1200)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30)에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들을 상기 제1 방향(Z)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제1 푸셔(1210)와,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40)에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들을 상기 제1 방향(Z)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제2 푸셔(1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푸셔(1210)와 상기 제2 푸셔(12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푸셔(2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의 (a)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 및 상기 푸셔유닛이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의 (b)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 및 상기 푸셔유닛이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스테이플에 의하여 조직이 스테이플링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의 (b)는 스테이플링 후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조직이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이다.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2410) 및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2420)가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30) 및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40)에 스테이플이 각각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상기 제1 푸셔(1210), 상기 제2 푸셔(1220),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2410) 및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2420)가 가압되면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조직의 절단면(A1)을 기준으로 양측 조직에 각각 2 열의 스테이플링선들이 일정간격으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상에 배치되는 조직의 수술부위(A)는 상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가상 절단선(A0)을 기준으로 두 개의 수술부위로 절단된다. 상기 두 개의 수술부위 중 하나는 제거되는 제1 수술부위(C)이고, 나머지 하나는 인체에 잔존하는 제2 수술부위(B)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가 작동되면,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수술부위(C)는 절단면(A1)과 평행한 2열의 스테이플링선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2 수술부위(B)는 상기 절단면(A1)과 평행한 2열의 스테이플링선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 수술부위(C)의 스테이플링선들 중 상기 절단면(A1)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과 상기 절단면(A1)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2 수술부위(B)의 스테이플링선들 중 상기 절단면(A1)에 가장 가까운 제2 스테이플링선(3aa)과 상기 절단면(A1) 사이의 거리(D1)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과 상기 제2 스테이플링선(3aa)은 모두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제거되는 조직, 즉 상기 제1 수술부위(C) 중 상기 절단면(A1)에서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 사이에 있는 생체조직은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전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병리검사용 조직으로 적합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3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제3 실시 예와 달리, 제1 스테빌라이저(3410) 및 제2 스테빌라이저(3420)가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각각 형성되어 카트리지 본체(110)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도 제1 가이드슬릿(120)과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30)의 사이에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하나의 제1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17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슬릿(120)과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1140) 사이에 상기 제2 방향(X)을 다라 하나의 제2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173)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3410) 및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3420)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유닛에 구비된 제1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단면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카트리지 본체(110)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유닛의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 푸셔유닛의 단위 푸셔의 길이,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2130)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2140)의 각각의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400)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닛(200)은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푸셔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2130)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1180)은 제2 방향을 따른 복수 개의 단위 토출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단위 푸셔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X)에 따른 상기 단위 토출슬릿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셔유닛(200)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의 푸셔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는 접촉부재(4410), 피가압부재(442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4410)는 상부몸체(4413) 및 하부몸체(4411)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4411)는 상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4411a)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면(4411b)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앤빌(600)은 앤빌본체(610)를 포함하며, 상기 앤빌본체(610)에는 블레이드(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슬릿(620)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앤빌홈 집합체(630) 및 제2 엔빌홈 집합체(64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앤빌홈 집합체(630)는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1 앤빌홈 라인(631)과, 상기 제1-1 앤빌홈 라인(631)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1-2 앤빌홈 라인(6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앤빌홈 라인(631)은 하나의 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2 방향(X)을 따라 상기 카트리지 본체(1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앤빌홈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엔빌홈 집합체(640)는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앤빌홈 라인(641)과, 상기 제2-1 앤빌홈 라인(641)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2-2 앤빌홈 라인(642)과, 상기 제2-2 앤빌홈 라인(642)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2-3 앤빌홈 라인(6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1 앤빌홈 라인(631)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제3 거리는 상기 제2-1 앤빌홈 라인(641)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제4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1 앤빌홈 라인(631)은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2131)과 대응되고, 상기 제2-1 앤빌홈 라인(641)은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2141)과 대응된다.
따라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조직(A)이 절단되는 절단면(A1)에서 제1 스테이플링선(1aa)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절단면(A1)에서 제2 스테이플링선(3aa)까지의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절단면(A1)과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 사이의 조직은 스테리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510)에 의하여 제거되는 조직 중에서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은 병리검사용 조직영역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앤빌본체(610)는 상기 제1-1 앤빌홈 라인(631)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에서 정의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6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650)은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게 되는데, 상기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650)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5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5 실시 예와 달리, 앤빌본체(610)에는 제1-1 앤빌홈 라인(631)과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표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도 19의 4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돌기(16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7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5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5 실시 예와 달리, 앤빌본체(610)에는 제1-1 앤빌홈 라인(631)과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표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도 19의 4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홈(26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8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5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에 구비된 앤빌(600)은 앤빌본체(610)를 포함하며, 상기 앤빌본체(610)에는 블레이드(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슬릿(620)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앤빌홈 집합체 (1630)및 제2 엔빌홈 집합체(16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앤빌본체(610)는 상기 제1 앤빌홈 집합체(1630)와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스테빌라이저(5410)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는 제1 표면(3651)과, 상기 제2 엔빌홈 집합체(1640)와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에 형성되어 제2 스테빌라이저(5420)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는 제2 표면(36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표면(3651)과 제2 표면(3652)은 평면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가 작동되면,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수술부위(C)는 절단면(A1)과 평행한 2열의 스테이플링선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2 수술부위(B)는 상기 절단면(A1)과 평행한 2열의 스테이플링선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 수술부위(C)의 스테이플링선들 중 상기 절단면(A1)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과 상기 절단면(A1)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2 수술부위(B)의 스테이플링선들 중 상기 절단면(A1)에 가장 가까운 제2 스테이플링선(3aa)과 상기 절단면(A1) 사이의 거리(D1)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과 상기 제2 스테이플링선(3aa)은 모두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제거되는 조직, 즉 상기 제1 수술부위(C) 중 상기 절단면(A1)에서 상기 제1 스테이플링선(1aa) 사이에 있는 생체조직은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전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병리검사용 조직으로 적합하게 된다.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9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8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8 실시 예와 달리, 앤빌본체(610)에는 제1-1 앤빌홈 라인(1631)과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표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제1 스테빌라이저(도 24의 541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대응돌기(4651)와, 제2-1 엔빌홈 라인(1641)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표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제2 스테빌라이저(도 24의 542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대응돌기(46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10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는 상술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의 제8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8 실시 예와 달리, 앤빌본체(610)에는 제1-1 앤빌홈 라인(1631)과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표면에 함몰형성되어 제1 스테빌라이저(도 24의 541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대응홈(5651)과, 제2-1 엔빌홈 라인(1641)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620) 사이의 표면에 함몰형성되어 제2 스테빌라이저(도 24의 542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대응홈(56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8 실시 예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유닛 및 푸셔유닛을 대체할 수 있는 푸셔 겸용 스테빌라이저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푸셔 겸용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술한 제8 실시 예에 구비된 푸셔유닛과 스테빌라이저유닛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셔 겸용 스테빌라이저유닛(400)은 푸셔부(710)와, 스테빌라이저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부는 도 5의 (a)의 제1 푸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부(720)는 도 21의 스테빌라이저유닛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푸셔부와 상기 스테빌라이저부(7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드라이빙 웨지(300)에 의하여 동시에 카트리지 본체의 높이방향인 제1 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지지손잡이 2: 조작손잡이
3: 당김손잡이 4: 회전헤드
5: 연장샤프트 10: 스테이플인 샤프트
21: 상부커버 23: 식별수단
100: 스테이플 카트리지 110: 카트리지 본체
120: 제1 가이드슬릿 130: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140: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150: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
200: 푸셔유닛 210: 제1 푸셔
220: 제2 푸셔 300: 드라이빙 웨지
310: 제2 웨지 320: 제1 웨지
400: 스테빌라이저유닛 410: 접촉부재
41l: 하부몸체 413: 상부몸체
420: 피가압부재

Claims (20)

  1. 조직을 스테이플링하기 위한 스테이플이 내장되어 있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대응되며,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에서 토출되는 상기 스테이플을 성형하기 위한 앤빌;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서 상기 스테이플과 대응되게 배치되되, 외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높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플을 밀어내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시키는 푸셔유닛;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푸셔유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드라이빙 웨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상기 푸셔유닛과 이웃하여 배치되되,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앤빌 사이에 배치되는 조직을 잡아주는 스테빌라이저유닛; 그리고,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스테이플링된 조직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드라이빙 웨지를 이동시키는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조직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 중 상기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하부몸체는 상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단면 중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는 제2 단면은 라운드진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단면폭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하되, 상기 피가압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전체높이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닛과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빙 웨지에 의하여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슬릿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절단되어 제거되는 조직 중 상기 스테이플에 손상되지 않는 병리검사용 조직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중 상기 제1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중 상기 제1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과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를 말단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및 제2 스테빌라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 및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제1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과, 상기 제2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와 상기 제1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분이 토출되는 제2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푸셔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푸셔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는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폭방향인 제3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라인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 토출슬릿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토출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빌라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유닛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푸셔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플 토출공 집합체는 복수 개의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토출슬릿은 제2 방향을 따른 복수 개의 단위 토출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스테빌라이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푸셔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단위 스테이플 토출공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단위 토출슬릿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웨지는 상기 푸셔유닛을 가압하는 제1 웨지와, 상기 제1 웨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을 가압하는 제2 웨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웨지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1 웨지의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1 토출높이가 상기 푸셔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2 토출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높이는 상기 푸셔유닛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1 토출높이가 상기 푸셔유닛이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제2 토출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앤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앤빌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앤빌홈 집합체 및 제2 앤빌홈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앤빌홈 집합체 중 상기 제2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3 거리는 상기 제2 앤빌홈 집합체 중 상기 제2 가이드슬릿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의 제4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본체는 상기 제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에서 정의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은 상기 스테빌라이저유닛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대응표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본체에는 상기 제1 앤빌홈 라인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의 표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홈 또는 상기 표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스테빌라이저 대응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앤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앤빌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앤빌홈 집합체 및 제2 앤빌홈 집합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앤빌본체는 상기 제1 앤빌홈 집합체와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는 제1 표면과, 상기 제2 앤빌홈 집합체와 상기 제2 가이드슬릿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테빌라이저의 하단부와 대응되면서 상기 조직을 잡아주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KR1020160087182A 2016-07-08 2016-07-08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KR10174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82A KR101749970B1 (ko) 2016-07-08 2016-07-08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PCT/KR2016/007549 WO2018008789A1 (ko) 2016-07-08 2016-07-12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US15/210,890 US9855042B1 (en) 2016-07-08 2016-07-15 End effector of surgical linear stapler
CN201710020571.5A CN107582122B (zh) 2016-07-08 2017-01-12 外科线性缝合器的端部执行器
EP17152104.0A EP3266386B1 (en) 2016-07-08 2017-01-19 End effector of surgical linear stapler
EP20200601.1A EP3782559A1 (en) 2016-07-08 2017-01-19 End effector of surgical linear stapler
ES17152104T ES2854704T3 (es) 2016-07-08 2017-01-19 Efector final de grapadora lineal quirúrgica
JP2017016546A JP6390930B2 (ja) 2016-07-08 2017-02-01 ステープラー用末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82A KR101749970B1 (ko) 2016-07-08 2016-07-08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970B1 true KR101749970B1 (ko) 2017-07-03

Family

ID=5785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82A KR101749970B1 (ko) 2016-07-08 2016-07-08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55042B1 (ko)
EP (2) EP3266386B1 (ko)
JP (1) JP6390930B2 (ko)
KR (1) KR101749970B1 (ko)
CN (1) CN107582122B (ko)
ES (1) ES2854704T3 (ko)
WO (1) WO2018008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7930A (zh) * 2020-12-07 2021-04-09 苏州贝诺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直线切割吻合器钉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0048B2 (en) * 2016-12-21 2021-08-17 Cilag Gmbh International Method for resetting a fuse of a surgical instrument shaft
US11298128B2 (en) 2017-06-28 2022-04-12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system couplable with staple cartridge and radio frequency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433843B2 (en) * 2017-06-30 2019-10-08 Aesculap Ag Wedge assembly for surgical staple cartridge
USD827006S1 (en) * 2017-09-06 2018-08-28 Hiwin Technologies Corp. Robotic arm
USD827005S1 (en) * 2017-09-06 2018-08-28 Hwin Technologies Corp. Robotic arm
CN111466981B (zh) * 2019-01-24 2021-05-28 苏州英途康医疗科技有限公司 钉仓组件及外科手术器械
CN110664448A (zh) * 2019-11-05 2020-01-10 江苏省肿瘤医院 一种适用于腔镜手术的缝合器
US11918275B2 (en) 2021-04-30 2024-03-05 Cilag Gmbh International Electrosurgical adaptation techniques of energy modality for combination electrosurgical instruments based on shorting or tissue impedance irregularity
US20220346781A1 (en) * 2021-04-30 2022-11-03 Cilag Gmbh International Staple cartridge comprising staple drivers and stability supports
US11944295B2 (en) 2021-04-30 2024-04-02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end effector with longitudinal sealing step
US11857184B2 (en) 2021-04-30 2024-01-02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 rotation-driven and translation-driven tissue cutting knife
WO2023138124A1 (zh) * 2022-01-20 2023-07-27 薛建新 一种用于外翻式缝合器的执行机构、缝合器及缝合器质量检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6383A1 (en) 2010-09-30 2013-10-03 Ethicon Endo-Surgery, Inc. Anvil layer attached to a proximal end of an end effector
WO2016044216A1 (en) 2014-09-15 2016-03-24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stapler with self-adjusting staple height
JP2016509525A (ja) 2013-02-08 2016-03-31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thicon Endo−Surgery,Inc. 外科用ステープル留め装置のための多重厚植え込み可能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5361A (en) * 1997-09-23 1999-02-0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A2322061A1 (en) * 1999-10-05 2001-04-05 Anil K. Nalagatla Stapling instrument having two staple forming surfaces
US7641091B2 (en) * 2005-10-04 2010-01-05 Tyco Healthcare Group Lp Staple drive assembly
US8523042B2 (en) * 2009-10-21 2013-09-03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rving a tissue margin
US9480476B2 (en) 2010-09-30 2016-11-01 Ethicon Endo-Surgery, Llc Tissue thickness compensator comprising resilient members
US8777004B2 (en) * 2010-09-30 2014-07-15 Ethicon Endo-Surgery, Inc. Compressible staple cartridge comprising alignment members
CN103169517B (zh) * 2011-12-22 2015-07-15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外科缝切器的钉仓
CN104321024B (zh) * 2012-03-28 2017-05-24 伊西康内外科公司 包括多个层的组织厚度补偿件
CN105073028B (zh) * 2013-02-08 2018-09-14 伊西康内外科公司 附接到端部执行器的近侧端部的砧座层
ES2699982T3 (es) * 2013-03-14 2019-02-13 Applied Med Resources Grapadora quirúrgica con cavidades parciales
JP2015107222A (ja) 2013-12-04 2015-06-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ステープラ
RU2676520C2 (ru) * 2014-02-24 2018-12-29 ЭТИКОН ЭНДО-СЕРДЖЕРИ, ЭлЭлСи. Концевой эффектор для сшивания ткани
US9839422B2 (en) * 2014-02-24 2017-12-12 Ethicon Llc Implantable layers and methods for altering implantable layers for use with surgical fastening instruments
US10542988B2 (en) 2014-04-16 2020-01-28 Ethicon Llc End effector comprising an anvil including projections extending therefrom
US20150297222A1 (en) 2014-04-16 2015-10-22 Ethicon Endo-Surgery, Inc. Fastener cartridges including extension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CN104382626A (zh) * 2014-11-19 2015-03-04 北京中法派尔特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吻合器的钉匣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6383A1 (en) 2010-09-30 2013-10-03 Ethicon Endo-Surgery, Inc. Anvil layer attached to a proximal end of an end effector
JP2016509525A (ja) 2013-02-08 2016-03-31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thicon Endo−Surgery,Inc. 外科用ステープル留め装置のための多重厚植え込み可能層
WO2016044216A1 (en) 2014-09-15 2016-03-24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stapler with self-adjusting staple heigh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7930A (zh) * 2020-12-07 2021-04-09 苏州贝诺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直线切割吻合器钉匣
CN112617930B (zh) * 2020-12-07 2022-02-08 苏州贝诺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直线切割吻合器钉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82122A (zh) 2018-01-16
JP6390930B2 (ja) 2018-09-19
JP2018000929A (ja) 2018-01-11
WO2018008789A1 (ko) 2018-01-11
EP3782559A1 (en) 2021-02-24
EP3266386B1 (en) 2020-12-02
US20180008264A1 (en) 2018-01-11
ES2854704T3 (es) 2021-09-22
US9855042B1 (en) 2018-01-02
CN107582122B (zh) 2020-05-22
EP3266386A1 (en)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70B1 (ko) 스테이플러용 말단장치
US10383628B2 (en) Surgical linear stapler
US10912562B2 (en) End effectors, surgical stapl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18176414A1 (en) Staple cartridge assembly and surgical instrument with the same
US6978922B2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7988026B2 (en) Endocutter with staple feed
JPH1189848A (ja) 外科手術器具カートリッジとその製造方法
WO2013143257A1 (zh) 具有e形导向件的直线型切割元件
EP4226869A1 (en) End effectors and surgical stapling devices
JP2020530803A5 (ko)
KR101605051B1 (ko) 스테이플 및 이를 이용하는 문합기
CA2386003C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KR101788243B1 (ko)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 장치
KR101577625B1 (ko) 병리검사용 조직을 획득할 수 있는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 장치
CN110575212A (zh) 缝钉成型件及使用其的外科吻合器
CN114403964A (zh) 一种缝合钉带和外科缝合器
CN115426958A (zh) 具有切割板的砧座组件
CN114403961A (zh) 一种缝合钉和外科缝合器
CN111297424A (zh) 缝合钉成型件及外科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