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037B1 -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037B1
KR101747037B1 KR1020160076953A KR20160076953A KR101747037B1 KR 101747037 B1 KR101747037 B1 KR 101747037B1 KR 1020160076953 A KR1020160076953 A KR 1020160076953A KR 20160076953 A KR20160076953 A KR 20160076953A KR 101747037 B1 KR101747037 B1 KR 10174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llable
consonant
vowel
new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길
Original Assignee
장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길 filed Critical 장순길
Priority to KR102016007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자판에서 한글의 오타를 수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오타 수정 방법은 키의 장타를 통해 초성 수정 자음이나 중성 수정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한 음절의 초성에 자음이 더 입력될 경우는 교체를 하고, 중성에 모음이 더 입력될 경우 조합을 시도하고, 조합이 되지 못하면 교체를 하고, 종성에 자음이 더 입력될 경우는 조합을 시도하고 조합이 되지 못하면 분리된 음절의 초성이 되도록 하여, 지우기만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백스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오타를 바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을 사용하면 한글 오타를 수정할 때 음절을 통째로 지우지 않고 수정을 원하는 부분만 쉽고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Letters Input Method}
PC, 컴퓨터 터미널, 휴대 전화, 리모컨 등 전자 제품의 자판에서 키를 눌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오타 수정 방법.
PC, 컴퓨터 터미널, 휴대폰, 리모컨 등 여러 종류의 전자 기기에는 자판이 있고, 자판에 있는 여러 개의 키에는 영문 알파벳이나 한글 음소 등이 배정되어 있어, 키가 눌리면 해당 문자를 입력한다.
영문 알파벳 또는 한글 음소 키를 눌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문자가 입력되는 수가 있어서 이것을 고쳐야 할 경우가 종종 있고, 이미 입력되어 있던 문자도 변경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영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를 눌러 문자를 입력한 순서대로 알파벳들이 늘어서 있기 때문에 오타를 저지른 순간 즉시 멈추어서 백스페이스를 눌러 잘못 입력된 알파벳을 지우고 새로운 알파벳을 입력할 수가 있고, 이미 입력되어 있는 문자 중에서도 필요로 하는 어디든지 가서 원하는 문자만 골라 지우거나 새로운 알파벳을 추가하여 쉽게 고칠 수가 있다.
한글의 경우에는 종래의 한글 오토마타가 작동하여 사용자가 키를 눌러 입력한 순서대로 음소들이 늘어서 있지 않고 음절로 변환되어 늘어서 있고, 마지막으로 입력된 음절은 백스페이스를 반복 입력하여 일부 음소를 지우거나 추가 입력으로 변경이 가능한 상태에 있고(이하 이런 상태의 음절을 '편집 음절'이라 한다), 그 앞의 음절들은 백스페이스나 딜리트를 이용하여 음절을 통째로 지우기만 가능하고 부분 편집이 가능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이하 이런 상태의 음절을 '완성 음절'이라 한다).
한글의 편집 음절은 그 음절 내에 잘못 입력된 음소를 지우고 수정된 음소를 새로 입력하여 고칠 수는 있으나, 입력한 순서의 반대 방향으로 차례로 백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지우기를 반복하여 잘못 입력된 음소까지 지우고 나서 수정된 음소를 입력하고, 잘못 입력된 음소의 뒤에 있어 지워야 했던 나머지 음소들을 다시 입력해야 하고, 완성 음절은 백스페이스나 딜리트를 이용하여 한 음절씩 통째로 지우고 나서 수정된 음소들을 차례로 입력하여 수정된 음절을 완전히 새로 입력해야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오타를 수정하는 방법에 관한한 알파벳 입력에 비해 한글 입력은 타수가 많이 증가하고 불편하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영문의 경우에는 대체로 한글 오토마타 같은 것이 없고 (불어 독어 등 발음 기호를 더하는 경우 등에는 오토마타가 있다고 할 수 있음) 한글의 음소와 음절 같은 구분이 없어 편집 음절과 완성 음절의 구분이 없고 그렇기 때문에 수정 방법이 단순하여 오타를 수정하기 쉬운 반면 종래의 한글의 경우에는 음소에서 음절로 변환하기 위하여 오토마타가 필요하였으며 완성 음절과 편집 음절이 서로 구분되었고 완성 음절과 편집 음절의 수정 방법이 서로 다르고 수정이 쉽지 않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9300호는 한글 입력 수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한글을 구조화하여 표시하고 구조화된 글자에 포함된 자소를 다른 구조화된 글자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 문자를 수정 입력한다. 그래픽 화면에서 자소들을 드래그하여 편집하는 것으로 키를 눌러 수정하는 본 발명과는 구별된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2014-0075358은 오자를 선택하는 오자 선택부, 선택된 오자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자소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되는 자소가 초성, 중성, 및 종성 중에서 어떠한 자소인지를 확인하는 자소 확인부, 및 상기 선택된 오자에서 상기 확인된 자소를 정정하는 오자 정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다. 입력되는 자소가 자음이면 초성이나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고 사용자의 답을 받아 입력한 자음으로 초성이나 종성을 정정한다. 사용자가 처음부터 정해서 입력할 수는 없고 질문을 받아 답을 해야 하는 불편한 방식인 것이다. 그리고 종성은 하나의 자음으로 구성될 경우도 있지만 두 개의 자음으로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겹받침으로 정정하는 방법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중성의 경우에도 ㅏ 같이 하나의 모음이나 ㅘ 같이 두 개의 모음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모음을 입력하여 두 개의 모음으로 정정하려고 할 경우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가'를 입력하고자 하였을 때, '나'라고 잘못 입력하였다면, '나' 글자를 선택하고 다시 'ㄱ'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입력하기 원한 '가'로 수정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ㄱ'이 종성도 될 수 있어서 'ㄱ'을 입력하는 것이 '나'를 '낙'으로 변경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잊고 있어서 제대로 된 오타 정정 방법이 될 수가 없다. 정정이라고 하는 것이 교체를 의미하고 있어서 기존의 자소와 입력되는 자소 사이에 조합이 일어날 여지도 없다. ㅗ 를 ㅏ 로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ㅘ 로 바꿀 수도 있어야 하고, ㅗ 를 ㅞ 로 바꿀 수도 있어야 하고, 종성도 ㄹ 을 ㄱ 으로 바꿀 수도 있어야 하지만 ㄺ 으로 만들 수도 있어야 한다. 이처럼 오타 수정의 불완전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보다 불편함을 더 가져다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1024-0139702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 오브젝트 주변에, 편집값이 할당된 편집키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편집키에 할당된 편집값을 편집 오브젝트에 적용하여, 해당 텍스트가 수정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편집값이 할당된 편집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2016-0039519는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앤드래그를 사용하는 방식이라 본 발명과는 구별된다.
인터넷에는 서울 팝 키보드라는 앱이 있고, 여기에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한 글과 구현한 결과물을 볼 수 있다. 특히, 구글 플레이에서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 후에도 계속 업데이트하여 업로드될 것이다.
종래의 자판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중에 저지른 오타를 수정하거나, 입력되어 있는 한글을 수정하려고 할 때 한글이 완성 음절 또는 편집 음절 상태에 있는 까닭에 영문을 수정할 때에 비해 지우거나 다시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수가 많았다. 종래의 방법으로 편집 음절을 수정하려고 하면 뒤에서부터 입력한 순서의 반대로 하나씩 지워 나가서 필요한 데까지 지우고 새로운 음소를 입력하고 지웠던 나머지 음소를 다시 입력해야 하였다. 완성 음절의 초성, 중성, 종성 중 하나를 수정하려고 하면 그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수정된 음절을 새로 입력해야 하였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한글이 음소로 단위로 입력되고 음절 단위로 저장된다는 것이 컴퓨터에서는 하나의 단점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 한글 입력과 관련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음 오타 수정 방법 개선
2. 모음 오타 수정 방법 개선
3. 초성 수정 방법 개선
4. 중성 수정 방법 개선
5. 종성 수정 방법 개선
6. 한글 전용 자판 운용 방법 제공
종래에는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자음을 잘못된 자음으로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백스페이스 키를 눌러 오타를 지우고 맞는 자음을 입력하였다. 또 하나의 모음을 잘못된 모음으로 입력하였을 경우에도 백스페이스 키를 눌러 오타를 지우고 맞는 모음을 입력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해당 음절이 입력하는 과정에 있는 편집 음절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완성 음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완성 음절과 편집 음질을 구분하지 않고, 지움만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백스페이스 없이 맞는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여 필요한 수정을 끝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이것은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수정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한글을 입력할 때 편집 음절의 오타를 수정하거나, 이미 입력되어 있는 한글의 완성 음절을 수정할 때 불편을 덜고 좀 더 편리하도록 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글 입력 과정을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글의 여러 형태에 대한 정확한 명칭이 있으면 편리할 것이다.
한글의 자음은 ㄱ ㄴ ㄷ ㄲ ㄸ ㅃ ㅆ ㅉ 등과 같이 하나의 자음이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ㄳ ㄵ ㄶ ㄺ ㄻ 등과 같이 2개의 자음이 조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전자를 '단독 자음', 후자를 '조합 자음'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종성으로 사용될 수 없는 ㄸ ㅃ ㅉ 을 '종성 불가 자음'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나머지 단독 자음과 조합 자음을 '종성 가능 자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글의 모음 중에는 PC의 자판에 입력 키를 가지고 있는 모음들이 있는데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 ㅡ ㅣ ㅐ ㅒ ㅔ ㅖ 등이다. 또 PC의 자판에 입력 키는 없지만, PC의 자판에 입력 키를 가지고 있는 모음들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ㅘ ㅙ ㅚ ㅝ ㅞ ㅟ ㅢ 등의 모음이 있다. 전자를 '단독 모음', 후자를 '조합 모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글의 음절을 형태별로 분류할 때, ㄱ ㄴ ㅆ 등과 같이 단독 자음으로 된 음절이 있고, ㄳ ㄵ ㄺ 등과 같이 조합 자음으로 된 음절이 있고, ㅏ ㅓ ㅗ 등과 같이 단독 모음으로 된 음절이 있고, ㅘ ㅞ ㅢ 등과 같이 조합 모음으로 된 음절이 있고, 가 나 아 등과 같이 받침 없이 초성과 중성으로 된 음절이 있고, 갈 남 안 등과 같이 초성, 중성 및 홑받침으로 된 음절이 있고, 갉 낢 않 등과 같이 초성, 중성 및 겹받침으로 된 음절이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 자음 음절', '조합 자음 음절', '단독 모음 음절', '조합 모음 음절', '민받침 음절', '홑받침 음절', '겹받침 음절'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단독 자음 음절과 조합 자음 음절을 합하여 '자음 음절', 단독 모음 음절과 조합 모음 음절을 합하여 '모음 음절', 홑받침 음절과 겹받침 음절을 합하여 '받침 음절'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자음 음절과 모음 음절을 합하여 '불완전 음절', 민받침 음절과 받침 음절을 합하여 '완전 음절'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ㄳ ㄵ 등과 같은 조합 자음의 ㄱ ㄴ 등과 같이 앞에 위치한 자음을 '앞자음', ㅅ ㅈ 등과 같이 뒤에 위치한 자음을 '뒷자음'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ㄱ과 ㅅ, ㄴ과 ㅈ 같이 두 자음이 조합 자음이 될 수 있는 관계인 것을 '자음 조합 가능'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ㄱ과 ㄱ, ㅅ과 ㄱ, ㄺ과 ㄱ, ㄺ과 ㅇ 같이 조합 자음이 될 수 없는 관계인 것을 '자음 조합 불가'라고 부르기로 하고, 특별히 ㄺ ㅄ 등과 같이 조합 자음이 겹받침으로 사용될 때에는 ㄹ ㅂ 등과 같이 겹받침 중 앞에 위치한 자음을 '앞받침', ㄱ ㅅ 등과 같이 뒤에 위치한 자음을 '뒷받침'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ㅘ ㅞ 등과 같은 조합 모음의 ㅗ ㅜ 등과 같이 앞에 위치한 모음을 '앞모음', ㅏ ㅔ 등과 같이 뒤에 위치한 모음을 '뒷모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글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완전 음절의 형태로 사용된다. 불완전 음절은 아주 특수하게 예외적으로 적은 경우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한글을 자판을 통해 입력할 당시에는 낱 자음과 낱 모음의 형태이지만 입력 과정에서 잠시 자음 음절의 상태를 유지하다 곧 완전 음절을 구성하는데, 통상 이러한 음절을 구성하는 행위를 하는 부분을 오토마타라고 하고, 오토마타는 한글이 낱 음소들로부터 음절을 구성하는 규칙을 따르고 있다.
한글의 음절에는 자음과 모음이 아무런 규칙도 없이 제멋대로 섞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이 있어서 음절 하나하나의 구성을 지배하고 있다. 사용자가 불완전 음절을 입력하는 것을 금지할 수는 없지만, 자음 음절과 모음 음절을 입력하는 특수한 방법을 제공하면서 그런 특수한 방법에 의하지 않는 것은 완전 음절의 입력 과정으로 해석하기로 하면 위 한글 음절 구성 규칙은 더욱 엄격해지고 명료해진다.
이를테면 한 음절에는 초성과 중성이 각각 하나씩 있고 종성은 하나 있거나 없으며, 초성은 단독 자음으로 구성되고, 중성은 단독 모음이나 조합 모음으로 구성되며, 종성이 있는 경우에는 홑받침이나 겹받침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에서 초성을 입력한 후에 중성으로 'ㅗ' 다음에 'ㅓ'를 더 입력하면 'ㅓ'는 별도의 단독 모음 음절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한 대로 완전 음절의 입력 과정으로 해석하기로 하면 'ㅓ' 단독 모음 음절은 오타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같은 식으로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에서 초성을 입력하기 위해 'ㄱ'과 'ㄹ'을 입력하면 'ㄱ'과 'ㄹ'은 각각 별도의 단독 자음 음절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ㄹ'은 오타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에서 초성을 입력하기 위해 'ㄱ'과 'ㅅ'을 입력하면 'ㄳ'이 조합 자음 음절로 입력 되고, 중성으로 'ㅏ' 같은 모음이 입력되면 'ㄱ사'처럼 두 음절로 분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초성은 단독 자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ㄳ'은 초성이 될 수 없어 'ㅅ'은 오타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설명처럼 한글을 입력할 때에는 앞에 입력한 음소의 다음에 올 수 있는 음소와 올 수 없는 음소의 구분이 명확한데, 이것은 영어를 입력할 때에는 볼 수 없는 분명한 차이인데, 지금까지 이러한 차이가 오타를 일으키기 쉽고 수정할 때에 불편을 초래하여 나쁘게만 해석되었고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테면 상기 'ㄱ사'처럼 두 음절로 분리되어 입력된 오타의 경우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사'뿐만 아니라 'ㄱ' 단독 자음 음절까지 지운 후에 다시 입력을 시작하여야 했다. 종래에는 한 음소의 입력 다음에 올 수 없는 음소가 뒤따라 오면 단독 자음 음절이나 단독 모음 음절로 처리되었고, 이것은 오타를 만들기 쉬웠다. 오타가 생기면 사용자가 백스페이스를 한 번 또는 두 번 또는 세 번 눌러 오타가 되어 버린 것들을 모두 지우고 새로 입력해야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오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역으로 이용한다. 즉 앞에 입력한 음소 다음에 뒤따라 올 수 없는 음소가 오면 이것을 오타로 여기지 않고 백스페이스를 눌러 앞에 입력한 음소를 지운 후에 지운 음소를 교체하거나 조합하기 위해 입력한 음소로 해석하고 그에 따라 처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오타가 되었다고 판단하는 순간 백스페이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이 필요한 음소를 입력하기만 하면 오타를 고쳐 입력하게 된다.
종래에는 한글 자판에서 키를 눌러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자음이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으로 드는 것이 아니라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이라는 속성을 더 가지거나, 그 모음이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으로 드는 것이 아니라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이라는 속성을 더 가지거나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 자판에서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때에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이라는 속성을 더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을 통해 완전 음절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하여 수정이 필요할 때에 새로 입력한 음소를 직접 초성, 중성 또는 종성과 조합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수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영문은 오타가 있으면 어디든지 가서 오타 부분을 지우고 새로 입력하여 원하는 수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의 경우에는 오타가 있으면 오타 음절의 뒤에 가서 지우기 없이 바로 교체 음소를 입력하여 원하는 수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한글이 영문보다 오히려 더 편리하게 수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글이 영문보다 컴퓨터화에 불편하다는 오래 된 인상도 지울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한글 키와 숫자 키가 있는 자판의 한 예로서, PC의 자판에서 볼 수 있는 한글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맨 아래 줄은 영문 자판으로 전환, 기호 자판으로 전환, 한글 전용 자판으로 전환, 스페이스, 엔터, 쉬프트, 백스페이스와 같이 자판에서 필요로 하는 키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자판에는 한글 초성 중에서 ㄲ ㄸ ㅃ ㅆ ㅉ, 모음 중에서 ㅒ ㅖ 를 자판에서 볼 수 없는데 이러한 문자들은 각각 ㄱ ㄷ ㅂ ㅅ ㅈ 과 ㅐ ㅔ 가 배정된 키에 같이 배정되어 있으며, 입력 방법은 쉬프트 같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해당 키를 누르거나, 쉬프트 키와 해당 키를 동시에 누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키를 짧게 누르면 ㄱ ㄷ ㅂ ㅅ ㅈ ㅐ ㅔ, 키를 길게 누르면 ㄲ ㄸ ㅃ ㅆ ㅉ ㅒ ㅖ 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자판을 '한글과 숫자 자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자판에서는 보이지 않던 ㅃ ㅉ ㄸ ㄲ ㅆ ㅒ ㅖ 문자가 배정된 키가 보이고 있다. ㄲ ㄸ ㅃ ㅆ ㅉ ㅒ ㅖ 문자도 ㄱ이나 ㅐ와 같은 방법으로 키를 눌러 입력할 수 있다. 대신 숫자 키 일부분이 없어져서 숫자를 입력하기엔 알맞지 않게 되었다. 맨 아래 줄은 영문 자판으로 전환, 기호 자판으로 전환, 한글과 숫자 자판으로 전환, 스페이스, 엔터, 쉬프트, 백스페이스와 같이 자판에서 필요로 하는 키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글 전용 자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3은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 키가 있는 자판의 한 예로서, PC의 자판에서 볼 수 있는 알파벳들이 배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맨 아래 줄은 알파벳 전용 자판으로 전환, 기호 자판으로 전환, 한글 자판으로 전환, 스페이스, 엔터, 쉬프트, 백스페이스와 같이 자판에서 필요로 하는 키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알파벳과 숫자 자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보인 자판에서는 보이지 않던 발음기호들이 배정된 키가 보이고 있다. 불어, 독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에서 필요한 것들이다. 대신 숫자 키 일부분이 없어져서 숫자를 입력하기엔 알맞지 않게 되었다. 맨 아래 줄은 알파벳과 숫자 자판으로 전환, 기호 자판으로 전환, 한글 자판으로 전환, 스페이스, 엔터, 쉬프트, 백스페이스와 같이 자판에서 필요로 하는 키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알파벳 전용 자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5는 도 3에 보인 자판에서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꾼 것과 같다.
도 6은 도 4에 보인 자판에서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꾼 것과 같다.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수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원하지 않는 키를 실수로 누르거나, 눌러야 하는 키를 실수로 누르지 않고 다음 키를 누르거나 하여 발생할 수 있고, 제대로 키를 눌렀지만 맞춤법에 맞지 않았거나, 단어를 바꾸려고 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 이것들을 구별하지 않고 수정을 가할 문자를 모두 '오타'라고 부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한글 입력이 진행될 때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의 입력 뒤에 자음 조합 가능인 자음 2개를 앞쪽으로 포함하여 자음이 3개 연이어 오거나, 아니면 자음 조합 가능인 자음 2개와 모음 1개가 연이어 오거나, 아니면 자음 조합 불가인 자음이 2개 연이어 오거나, 아니면 자음 1개와 모음 1개가 연이어 오거나, 아니면 앞의 중성 모음과 모음 조합 불가인 모음 1개가 연이어 오면 앞뒤의 음절이 분리되며 앞의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을 포함한 음절은 완전 음절인 동시에 완성 음절이 되고 뒤의 음절은 완전 음절 또는 불완전 음절 상태에 있으면서 편집 음절이 된다.
자판에서 한글을 입력할 때에는 음소 단위로 이루어지고, 기록 저장될 때에는 음절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글 입력 과정에는 자연히 음소에서 음절로의 변환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한글 민받침 음절과 받침 음절은 도 1에 보인 자판에 있는 문자를 적게는 2개, 많게는 5개 사용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는 2개, '??'은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심한 경우 자판에서 6개까지 문자를 받기 전에는 하나의 음절이 고정되지 않고 변경이나 편집이 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 보면 자판으로부터 ㅈ ㅗ ㅏ ㄹ ㄱ이 순서대로 입력되면 처음 'ㅈ'에서 '조'로, '조'에서 '좌'로, '좌'에서 '좔'로, '좔'에서 '??'로 변경되는데, '??'은 다음에 백스페이스가 오면 다시 '좔'로 변경되고, 모음이 오면 '좔'로 변경되고, 자음이 오면 '??'로 그대로 있게 된다. 이렇게 변경이 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음절이 편집 음절이다. 세 경우 중 '??' 다음에 모음이 온 경우와 자음이 온 경우를 다시 살펴보면, 예를 들어 모음 'ㅏ'가 왔을 때에는 '좔가'로, 자음 'ㅇ'이 왔을 때에는 '?志?'으로 각각 음절이 둘로 나누어지고, 그 결과 '좔'과 '??'은 음절이 고정되어 이 음절들은 더 이상 변경이나 편집이 되지 않고 음절을 통째로 지우는 방법밖에 없게 된다. 이렇게 변경이 되지 않는 상태의 음절이 완성 음절이다. '좔'과 '??'처럼 된 완성 음절이 더 이상 변경이나 편집이 허용되지 않고 음절을 통째로 지우는 방법밖에 없게 된 것은 그것이 최선이기 때문이었다. 만약 완성 음절이 된 '좔'이나 '??'에 백스페이스를 입력하여 통째로 지우지 않고 한 음소씩 지우고 새 음소를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면 '??'을 '??'으로 변경하려고 할 경우 백스페이스를 5번 입력한 후 ㄱ ㅗ ㅏ ㄹ ㄱ을 입력하여야 하고, '??'을 '??'로 변경하려고 할 경우 백스페이스를 4번 입력한 후 ㅏ ㄹ ㄱ을 입력하여야 하는 등 전체적으로 타수가 많이 증가하여 매우 불편하였을 것이다. 이것으로 구성 문자가 많은 음절일수록 백스페이스를 한 번 입력하여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원하는 음절을 처음부터 새로 입력을 하는 것이 훨씬 낫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편집 음절과 완성 음절에 대해 백스페이스에 대한 반응을 달리하고 수정 방법을 다르게 만들 수밖에 없었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한글 오타 수정 방법은 한글이 편집 음절이거나 완성 음절인 상태에 있고, 입력된 순서대로 각 음소들이 늘어서 있지 않으며, 커서는 음절 단위로 움직여서, 각 음절 내에서 각 음소들이 들어가 있는 위치에까지 커서를 옮겨 다닐 수가 없었기 때문에 생긴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한글 한 음절에서 초성이나 중성의 수정이 필요한 때에 이것을 골라 지우고 수정할 수 있는 위치로 커서를 옮겨 갈 수 없었고 따라서 원하는 부분을 골라 수정할 수가 없었다. 적어도 지금까지의 상식으로는 커서를 옮겨 가야 지우거나 삽입하거나 할 수 있었고, 커서를 옮겨 가지 못하면 수정할 수가 없었다.
만약 커서를 음절 내부로 옮겨 다니거나 음절을 풀어헤쳐서 늘어 놓을 수 있다고 해도 최대 5개의 음소 사이를 움직여야 하므로 키를 누르는 횟수가 늘어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 지우는 방법과 고치는 방법도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다. 이를테면 '웰빙'이라고 해야 할 것을 '?故?'이라고 오타를 했다면 종래에는 '??'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웰'을 재입력하는데 키 5번이 필요했다. 만약 쉬프트와 왼쪽 화살표를 누르면 음절 속으로 커서가 들어간다고 하면 ㅐ와 ㅗ를 차례로 지우고 ㅜ와 ㅔ을 입력하면 될 것인데 총 6번 키 누름이 필요하다. 이런 식으로는 결과적으로 오히려 더 번거롭고 복잡해서 이득이 없는 것이다. 또 음절을 풀어헤쳐서 늘어 놓고 있지 않다면 ㅐ와 ㅗ를 지운 후에는 중성이 없고 초성과 종성만 있는 음절이 되어 음절의 형태가 이상하게 되어 어떻게 표시해야 할지 난감하게 된다. 또 지우고 새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겹쳐 쓰기 방식을 사용한다 해도 지우는 음소와 새로 입력하는 음소 수가 다를 수가 있어서 번거롭고 복잡한 것은 피할 수 없다.
자판에서 키를 누를 때 문자를 발생시키는 시기는 키가 눌렸을 때이거나 키가 놓였을 때이거나 키가 눌리고 있는 시간이 특정 시간을 초과할 때이다. 키가 눌렸을 때 문자를 발생시키면 키 눌림에 대한 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키가 눌렸을 때 일단 문자를 발생시키고 키가 눌리고 있는 시간이 특정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문자를 발생시키는 방법도 있는데 반응이 빠르고 다양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앞에 발생한 문자가 음절을 구성하고 있다가 취소되고 다음 문자와 음절을 다시 다르게 구성하게 되어 화면이 이랬다저랬다 변화가 많아서 혼란스러운 단점이 있다. 키가 놓였을 때 또는 키 눌림이 특정 시간을 초과할 때 문자를 발생시키고 키 눌림이 계속되어 특정 추가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문자를 발생시키면 반응은 조금 느릴 수 있지만 키가 눌린 시간에 따라서 다양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화면 변화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키에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담는 것이 이렇게 키를 누르는 시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기능키와 함께 문자 키를 사용하면 하나의 문자 키에 두 가지 해석을 담을 수가 있다. 쉬프트 키를 누르지 않고 'ㅁ' 키를 누르는 것과 쉬프트 키를 누르고 'ㅁ'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은 방법이다. 쉬프트 키를 누르는 방법에도 동시에 누르는 방법과 순차적으로 누르는 방법이 있다.
또 멀티탭방식을 활용하여 한 번 키를 누르는 것과 연거푸 두 번 키를 누르는 것으로 하나의 키에 두 가지 해석을 담을 수도 있다. 도 2와 같은 자판에서 사용하기 쉽다.
종래의 자판에서 키가 길게 눌리고 있으면 보통 해당 문자의 반복 입력이 일어났다. 상기 키가 눌린 시간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에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담는 방법을 사용하면 종래의 반복 입력 기능을 포기하여야 한다. 다행하게도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에서는 반복 입력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키를 짧게 눌렀다 놓는 것을 '단타', 키를 길게 눌렀다 놓는 것을 '장타'라고 부르기로 한다. 통상 키가 눌리고 있는 시간이 200ms 이하이면 단타, 이상이면 장타로 처리할 수 있으나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장타보다 키를 더 길게 누르는 것을 '이중 장타', 이중 장타보다 키를 더 길게 누르는 것을 '삼중 장타', 삼중 장타보다 키를 더 길게 누르는 것을 '사중 장타'라고 부르기로 한다. 각 장타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약 400ms 내지 500ms로 할 수 있으나 사람에 따라 다르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 한글 전용 자판과 알파벳 전용 자판에서는 한글과 숫자 자판이나 알파벳과 숫자 자판에 비해 장타와 이중 장타의 사이의 시간 간격이 좁게 조정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러 방법 중에서 키가 놓였을 때 또는 키 눌림이 특정 시간을 초과할 때 문자를 발생시키고 키 눌림이 계속되어 특정 추가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문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하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키를 누르는 방식은 키를 누르는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 중 단타, 장타, 이중 장타, 삼중 장타, 사중 장타를 사용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하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타, 장타 및 이중 장타에 대하여서는 키가 놓였을 때 키가 눌리고 있었던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를 한 번 발생시키고 키 눌림이 계속되어 삼중 장타 시간을 초과할 때와 사중 장타 시간을 초과할 때 각각 문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도 1에 보인 한글과 숫자 자판에는 ㅃ ㅉ ㄸ ㄲ ㅆ ㅒ ㅖ가 각각 ㅂ ㅈ ㄷ ㄱ ㅅ ㅐ ㅔ가 배정된 키에 함께 배정되어 있으므로 ㅃ ㅉ ㄸ ㄲ ㅆ ㅒ ㅖ는 각각 ㅂ ㅈ ㄷ ㄱ ㅅ ㅐ ㅔ가 배정된 키를 장타로 입력하고, 다른 문자는 그 문자가 배정된 키를 단타로 입력하는 것이 좋다. 도 2에 보인 한글 전용 자판에서는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포함한 모든 한글 문자를 그 문자가 배정된 키를 단타로 입력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단타 또는 장타를 누르는 것이 자음 키일 경우에는 그 자음이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으로 들고, 모음 키일 경우에는 그 모음이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으로 드는 방법이기 때문에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이라는 속성을 가지게 하거나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이라는 속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단타와 장타 이외에 더 많은 키 누름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보인 한글과 숫자 자판에는 ㅃ ㅉ ㄸ ㄲ ㅆ ㅒ ㅖ가 각각 ㅂ ㅈ ㄷ ㄱ ㅅ ㅐ ㅔ가 배정된 키에 함께 배정되어 있으므로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이라는 속성을 가지게 할 때에는 각각 ㅂ ㅈ ㄷ ㄱ ㅅ ㅐ ㅔ가 배정된 키를 삼중 장타로 입력하고, ㅃ ㅉ ㄸ ㄲ ㅆ ㅒ ㅖ 외의 다른 문자를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이라는 속성을 가지게 할 때에는 그 문자가 배정된 키를 이중 장타로 입력하는 것이 좋다. 도 2에 보인 한글 전용 자판에서는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포함한 모든 문자를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이라는 속성을 가지게 할 때에는 그 문자가 배정된 키를 이중 장타로 입력하는 것이 좋다.
도 1과 도 2를 합하여 다시 정리하면,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 또는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 입력을 위해 ㅂ ㅈ ㄷ ㄱ ㅅ ㅐ ㅔ를 입력하려면 ㅂ ㅈ ㄷ ㄱ ㅅ ㅐ ㅔ 키를 단타하고,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입력하려면 ㅂ ㅈ ㄷ ㄱ ㅅ ㅐ ㅔ 키를 장타하거나 ㅃ ㅉ ㄸ ㄲ ㅆ ㅒ ㅖ 키를 단타하고,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 입력을 위해 ㅂ ㅈ ㄷ ㄱ ㅅ ㅐ ㅔ를 입력하려면 ㅂ ㅈ ㄷ ㄱ ㅅ ㅐ ㅔ 키를 이중 장타하고,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입력하려면 ㅂ ㅈ ㄷ ㄱ ㅅ ㅐ ㅔ 키를 삼중 장타하거나 ㅃ ㅉ ㄸ ㄲ ㅆ ㅒ ㅖ 키를 이중 장타한다.
이중 장타와 삼중 장타 등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충분히 있을 수 있다. 이를테면 쉬프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쉬프트를 누르고 ㅂ ㅈ ㄷ ㄱ ㅅ ㅐ ㅔ 키를 눌러 입력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 또는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 입력을 위해 ㅂ ㅈ ㄷ ㄱ ㅅ ㅐ ㅔ를 입력할 때에는 해당 키를 단타로 입력하고,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입력할 때에는 쉬프트를 누르고 해당 키를 단타로 입력하고,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 입력을 위해 ㅂ ㅈ ㄷ ㄱ ㅅ ㅐ ㅔ를 입력할 때에는 해당 키를 장타로 입력하고, ㅃ ㅉ ㄸ ㄲ ㅆ ㅒ ㅖ를 입력할 때에는 쉬프트를 누르고 해당 키를 장타하여 입력하면 된다.
하나의 키에 여러 문자를 배정하고 소정의 시간 내에 키를 연이어 눌러 키에 배정된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멀티탭방식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키에 ㄱ ㅁ ㄲ이 배정되어 있으면 키를 한 번 눌러 ㄱ을 입력하고, 키를 두 번 눌러 ㅁ을 입력하고, 키를 세 번 눌러 ㄲ을 입력하는 것이다. 멀티탭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 또는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 입력 방법과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 입력 방법의 구분이 필요하다.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 또는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 입력 때에는 종전과 같이 키를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누르되 매번 키를 누르는 것을 모두 단타하고,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 입력 때에는 키를 한 번, 두 번 또는 세 번 누르되 마지막 누름은 장타로 하면 어렵지 않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 음절을 수정할 때에 편집 음절과 완성 음절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편집 음절과 같이 처리한다. 편의를 위해
앞 음절의 종성 또는 새 음절의 초성으로 드는 자음을 '새 자음' ,
앞 자음 음절의 중성 또는 앞 민받침 음절의 중성 또는 새 음절의 중성으로 드는 모음을 '새 모음' ,
앞 음절의 초성의 수정에 드는 자음 또는 그런 속성을 가진 자음을 '초성 수정 자음',
앞 음절의 중성의 수정에 드는 모음 또는 그런 속성을 가진 모음을 '중성 수정 모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새 자음과 새 모음을 ㄱ ㄴ ㄷ ㄲ ㄸ ㅏ ㅗ ㅐ ㅒ ㅖ 등과 같이 표시하고 초성 수정 자음과 중성 수정 모음을 ㄱ- ㄴ- ㄷ- ㄲ- ㄸ- ㅏ- ㅗ- ㅐ- ㅒ- ㅖ- 등과 같이 해당 문자에 '-'를 붙여 표시하기로 한다.
새 자음, 새 모음, 초성 수정 자음, 중성 수정 모음 등의 입력 방법은 상기 설명과 같이 도 1과 도 2처럼 자판에 따라 다르고, 쉬프트를 사용하는가, 멀티탭방식을 사용하는가 등에 따라 달라진다. 도 1과 도 2처럼 자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특정 문자가 하나의 키에 첫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와 하나의 키에 둘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처럼 한 키 안에서 해당 문자가 배정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과 도 2의 자판을 중심으로 새 자음 ㄱ ㄴ ㄷ ㄲ ㄸ 등, 새 모음 ㅏ ㅗ ㅐ ㅒ ㅖ 등, 초성 수정 자음 ㄱ- ㄴ- ㄷ- ㄲ- ㄸ- 등, 중성 수정 모음 ㅏ- ㅗ- ㅐ- ㅒ- ㅖ- 등을 각 문자의 입장에서 입력 방법을 한 번 살펴보면,
새 자음 ㄱ ㄴ ㄷ 등은 각각 ㄱ ㄴ ㄷ 등의 키를 단타하고,
새 자음 ㄲ ㄸ 등은 ㄲ ㄸ 등이 그 키에 첫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ㄲ ㄸ 등의 키를 단타하며 ㄲ ㄸ 등이 그 키에 둘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ㄱ ㄷ 등의 키를 장타하고,
새 모음 ㅏ ㅗ ㅐ 등은 각각 ㅏ ㅗ ㅐ 등의 키를 단타하고,
새 모음 ㅒ ㅖ 등은 ㅒ ㅖ 등이 그 키에 첫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ㅒ ㅖ 등의 키를 단타하며 ㅒ ㅖ 등이 그 키에 둘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ㅐ ㅔ 등의 키를 장타하고,
초성 수정 자음 ㄱ- ㄴ- ㄷ- 등은 각각 ㄱ ㄴ ㄷ 등의 키를 이중 장타하고,
초성 수정 자음 ㄲ- ㄸ- 등은 ㄲ ㄸ 등이 그 키에 첫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ㄲ ㄸ 등의 키를 이중 장타하며 ㄲ ㄸ 등이 그 키에 둘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ㄱ ㄷ 등의 키를 삼중 장타하고,
중성 수정 모음 ㅏ- ㅗ- ㅐ- 등은 각각 ㅏ ㅗ ㅐ 등의 키를 이중 장타하고,
중성 수정 모음 ㅒ- ㅖ- 등은 ㅒ ㅖ 등이 그 키에 첫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ㅒ ㅖ 등의 키를 이중 장타하며 ㅒ ㅖ 등이 그 키에 둘째 문자로 배정된 경우 각각 ㅐ ㅔ 등의 키를 삼중 장타하는 것이다.
모음 ㅗ에 ㅏ, ㅜ에 ㅔ 가 더 입력되면 ㅘ, ㅞ 같이 앞뒤의 두 모음이 바로 조합 모음이 될 수 있다. 그러나 ㅏ와 ㅗ, ㅜ와 ㅐ 등은 조합 모음이 될 수 없고, ㅝ와 ㅏ, ㅝ와 ㅓ, ㅝ와 ㅔ, ㅝ와 ㅣ 등도 바로 조합 모음이 될 수 없다. 이런 경우 ㅝ의 뒷모음 ㅓ를 떼어 버리면 앞모음 ㅜ와 ㅏ는 둘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없어도 ㅜ와 ㅓ는 둘이 ㅝ 같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있고 ㅜ와 ㅔ는 둘이 ㅞ 같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있고 ㅜ와 ㅣ도 ㅟ 같이 둘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ㅝ에서 ㅓ를 버리고 구한 ㅜ와 ㅓ의 조합 모음 결과 ㅝ는 그 전에 비해 달라지는 것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단독 모음에 모음이 더 입력될 경우, 두 모음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있을 경우에는 그대로 실행되고, 두 모음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독 모음은 지워지고 뒤에 입력한 모음으로 교체된다. 조합 모음에 모음이 더 입력될 경우, 조합 모음의 앞모음과 뒤에 입력한 모음이 이전과 다른 조합 모음이 될 경우에는 그대로 실행되고, 조합 모음의 앞모음과 뒤에 입력한 모음이 조합 모음이 될 수 없거나 이전과 같은 조합 모음이 될 경우 조합 모음은 지워지고 뒤에 입력한 모음으로 교체된다. ㅏ와 ㅗ, ㅜ와 ㅐ, ㅝ와 ㅏ, ㅝ와 ㅓ 등은 각각 ㅗ, ㅐ, ㅏ, ㅓ 등으로 교체된다는 것인데, 이것은 모음에 모음을 더 입력하여 오타가 되는 경우 모음 앞에 백스페이스를 생략했다고 보고 백스페이스로 모음을 하나씩 지워 나가며 조합 또는 교체를 실행하는 것과 같다. 여기서 ㅗ와 ㅏ, ㅜ와 ㅔ 같이 바로 조합 모음이 될 수 있는 관계인 것과, ㅝ와 ㅔ, ㅝ와 ㅣ 같이 조합 모음의 뒷모음을 버리고 앞모음과 뒤에 입력한 모음이 조합하여 이전과 다른 조합 모음이 될 수 있는 관계인 것을 '모음 조합 가능'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모음 조합에 따라 생성되는 조합 모음으로 두 모음을 교체하는 것을 '모음 조합 교체'라고 부르기로 한다. ㅏ와 ㅗ, ㅜ와 ㅐ, ㅝ와 ㅏ, ㅝ와 ㅓ 같이 바로 조합 모음이 될 수도 없고 조합 모음의 앞모음과 뒤에 입력한 모음이 조합 모음이 될 수도 없고 될 수 있다고 해도 이전과 같은 조합 모음이 되는 관계인 것을 '모음 조합 불가'라고 부르기로 하고 뒤에 입력한 모음으로 두 모음을 교체하는 것을 '모음 단독 교체'라고 부르기로 한다.
자음의 뒤에 자음이 더 입력되는 경우 두 자음이 자음 조합 가능이면 조합 자음이 되고, 자음 조합 불가이면 두 자음이 따로따로 있는 것이 기본일 것이다. 그래서 종성에서는 홑받침이 겹받침이 되거나 아니면 홑받침 또는 겹받침은 그대로 두고 뒤에 입력된 자음이 새 음절이 된다. 그러나 초성에 있어서는 조합 자음은 오타가 되고, 두 자음이 따로따로 있는 것도 오타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성 자음에 자음이 더 입력되는 경우 뒤에 입력된 자음은 백스페이스를 생략한 채 앞의 자음을 지우고 교체하기 위해 입력된 자음으로 해석하여 앞의 초성 자음을 지우고 교체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완전 음절의 초성 자음에 초성 수정 자음이 더 입력되면 초성은 조합 자음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음 조합 가능 여부와 무관하게 오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오타로 처리되지 않고 기존의 초성 자음을 지우고 초성 수정 자음으로 교체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아'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ㄴ'이 입력되면 '아'가 '나'가 되고, 앞 음절이 '알'인 경우에는 초성 수정 자음 'ㄴ'이 입력되면 '알'이 '날'이 된다.
단독 모음 음절의 초성에 초성 수정 자음이 더 입력되면 단독 모음 음절에는 초성 자음이 실제로는 없기 때문에 초성 수정 자음이 단독 모음 음절의 초성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ㅗ'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ㄱ'이 입력되면 'ㅗ'가 '고'가 된다.
민받침 음절에 새 자음이 더 입력되면 민받침 음절에는 종성 자음이 실제로는 없기 때문에 새 자음이 민받침 음절의 종성이 된다. 단, 새 자음이 종성이 될 수 없는 경우에는 새 자음이 민받침 음절과 분리되어 단독 자음 음절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아'이고 새 자음 'ㄴ'이 입력되면 '아'가 '안'이 되고, 앞 음절이 '아'이고 새 자음 'ㄸ'이 입력되면 '아'가 '아ㄸ'이 된다.
받침 음절의 종성 자음에 새 자음이 더 입력된 경우 받침 음절의 종성과 새 자음이 자음 조합 가능이면 받침 음절의 종성이 그 조합 자음으로 교체되고, 자음 조합 불가이면 새 자음이 받침 음절과 분리되어 단독 자음 음절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알'인 경우에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알'이 '앍'이 되고, 새 자음 'ㄴ'이 입력되면 '알'이 '알ㄴ'이 되고, 앞 음절이 '앍'인 경우에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앍'이 '앍ㄱ'이 된다.
단독 자음 음절 뒤에 새 자음이 입력되면 오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오타로 처리되지 않고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새 자음으로 교체되되,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과 새 자음이 다른 자음이고 단독 자음 음절의 앞에 홑받침 음절이 있으면서 그 홑받침이 새 자음과 자음 조합 가능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홑받침 음절의 홑받침이 그 홑받침과 새 자음의 조합 자음으로 교체되고,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과 새 자음이 같은 자음이고 단독 자음 음절의 앞에 홑받침 음절이 있으면서 새 자음이 종성 가능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홑받침 음절의 홑받침이 새 자음으로 교체되고, 새 자음이 종성 불가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홑받침 음절의 홑받침도 지워지고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되고,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과 새 자음이 같은 자음이고 단독 자음 음절의 앞에 겹받침 음절이 있으면서 겹받침의 뒷받침이 새 자음과 같은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겹받침 음절의 겹받침이 새 자음으로 교체되고, 겹받침의 뒷받침이 새 자음과 다른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겹받침의 앞받침과 새 자음이 자음 조합 가능이면 겹받침이 그 앞받침과 새 자음의 조합 자음으로 교체되고, 겹받침의 앞받침과 새 자음이 자음 조합 불가이면 겹받침의 뒷받침은 지워지고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들이 ' ㄴ'이고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 ㄴ'이 ' ㄱ'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ㄴ'이고 새 자음 'ㄷ'이 입력되면 '일ㄴ'이 '일ㄷ'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읽ㄴ'이고 새 자음 'ㄷ'이 입력되면 '읽ㄴ'이 '읽ㄷ'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ㄴ'이고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일ㄴ'이 '읽'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ㄴ'이고 새 자음 'ㄴ'이 입력되면 '일ㄴ'이 '인'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ㄸ'이고 새 자음 'ㄸ'이 입력되면 '일ㄸ'이 '이ㄸ'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읽ㄱ'이고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읽ㄱ'이 '익'이 되고, 앞 음절들이 '잃ㄱ'이고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잃ㄱ'이 '읽'이 되고, 앞 음절들이 '잃ㄴ'이고 새 자음 'ㄴ'이 입력되면 '잃ㄴ'이 '일ㄴ'이 된다.
자음 음절에 초성 수정 자음이 더 입력되면 오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오타로 처리되지 않고 자음 음절의 자음은 초성 수정 자음으로 교체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들이 ' ㄴ'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ㄱ'이 입력되면 ' ㄴ'이 ' ㄱ'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ㄴ'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ㄷ'이 입력되면 '일ㄴ'이 '일ㄷ'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읽ㄴ'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ㄷ'이 입력되면 '읽ㄴ'이 '읽ㄷ'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ㄴ'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ㄱ'이 입력되면 '일ㄴ'이 '일ㄱ'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ㄴ'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ㄴ'이 입력되면 '일ㄴ'이 '일ㄴ'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일ㄸ'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ㄸ'이 입력되면 '일ㄸ'이 '일ㄸ'이 되고, 앞 음절들이 '읽ㄱ'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ㄱ'이 입력되면 '읽ㄱ'이 '읽ㄱ'이 되고, 앞 음절들이 '잃ㄱ'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ㄱ'이 입력되면 '잃ㄱ'이 '잃ㄱ'이 되고, 앞 음절들이 '잃ㄴ'이고 초성 수정 자음 'ㄴ'이 입력되면 '잃ㄴ'이 '잃ㄴ'이 된다.
모음 음절 뒤에 새 자음이 입력되면 오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오타로 처리되지 않고 모음 음절의 모음을 지우고 새 자음으로 단독 자음 음절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ㅗ'이고 새 자음 'ㄱ'이 입력되면 'ㅗ'가 'ㄱ'이 되고, 앞 음절이 'ㅘ'이고 새 자음 'ㄴ'이 입력되면 'ㅘ'가 'ㄴ'이 된다.
완전 음절이나 모음 음절 뒤에 중성 수정 모음이 더 입력되는 경우, 완전 음절이나 모음 음절의 모음과 중성 수정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완전 음절이나 모음 음절의 모음이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완전 음절이나 모음 음절의 모음이 모음 단독 교체가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오'이고 중성 수정 모음 ㅣ가 입력되면 '오'가 '외'가 되고, 앞 음절이 '왈'이고 중성 수정 모음 ㅣ가 입력되면 '왈'이 '욀'이 되고, 앞 음절이 '얼'이고 중성 수정 모음 ㅣ가 입력되면 '얼'이 '일'이 되고, 앞 음절이 'ㅗ', 'ㅘ' 또는 'ㅓ'이고 중성 수정 모음 ㅣ가 입력되면 각각 'ㅚ', 'ㅚ', 'ㅣ'가 된다.
단독 자음 음절 뒤에 중성 수정 모음이 입력되면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중성 수정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민받침 음절이 된다. 조합 자음 음절 뒤에 중성 수정 모음이 입력되면 조합 자음의 앞자음과 뒷자음이 분리되어 앞자음은 지우고 뒷자음이 초성이 되어 중성 수정 모음과 함께 민받침 음절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ㄱ'이고 중성 수정 모음 'ㅗ'가 입력되면 'ㄱ'이 '고'가 되고, 앞 음절이 'ㄳ'이고 중성 수정 모음 'ㅜ'가 입력되면 'ㄳ'이 '수'가 된다.
민받침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민받침 음절의 중성 모음과 새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중성 모음은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중성 모음이 모음 단독 교체가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오'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오'는 '외'가 되고, 앞 음절이 '와'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와'는 '외'가 되고, 앞 음절이 '외'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외'는 '이'가 되고, 앞 음절이 '어'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어'는 '이'가 된다.
모음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모음 음절의 모음과 새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모음 음절의 모음은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모음 음절의 모음은 모음 단독 교체가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ㅗ'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ㅗ'는 'ㅚ'가 되고, 앞 음절이 'ㅘ'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ㅘ'는 'ㅚ'가 되고, 앞 음절이 'ㅚ'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ㅚ'는 'ㅣ'가 되고, 앞 음절이 'ㅓ'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ㅓ'는 'ㅣ'가 된다.
받침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면 겹받침인 경우 앞자음과 뒷자음이 분리되어 앞자음은 받침 음절의 종성이 되고 뒷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되어 새 모음과 함께 민받침 음절이 되고, 홑받침인 경우 받침 음절에서 분리되어 받침 음절은 민받침 음절이 되고 홑받침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되어 새 모음과 함께 민받침 음절이 된다. 자음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면 조합 자음인 경우 앞자음과 뒷자음이 분리되어 앞자음은 지워지고 뒷자음은 초성이 되어 새 모음과 함께 민받침 음절이 되고, 단독 자음인 경우 초성이 되어 새 모음과 함께 민받침 음절이 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읽'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읽'은 '일기'가 되고, 앞 음절이 '일'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일'이 '이리'가 되고, 앞 음절이 'ㄺ'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ㄺ'이 '기'가 되고, 앞 음절이 'ㄹ'이고 새 모음 'ㅣ'가 입력되면 'ㄹ'이 '리'가 된다.
백스페이스를 단타하면 앞 음절을 종성, 중성, 초성의 순서로 한 음소씩 지우고, 백스페이스를 장타하면 앞 음절을 통째로 지운다. 백스페이스를 장타하면서 계속 오래 누르고 있으면 키가 놓일 때까지 음절을 통째로 지우기가 반복된다.
예를 들면, 앞 음절이 '읽'이고 백스페이스 단타가 입력되면 '읽'이 '일'이 되고, 앞 음절이 '일'이고 백스페이스 단타가 입력되면 '일'이 '이'가 되고, 또 백스페이스 단타가 입력되면 '이'가 'ㅇ'이 되고, 또 백스페이스 단타가 입력되면 'ㅇ'이 없어진다. 앞 음절들이 '읽기와'이고 백스페이스 장타가 입력되면 '읽기와'가 '읽기'가 되고, 백스페이스 키가 계속 눌려 있으면 '읽기'가 '읽'이 되고, 다음에는 '읽'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오타 수정 방법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방법과 다른 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 수 있도록 여러 유형별 예를 가지고 자세하게 개시한다.
완전 음절의 종성을 수정하여 민받침 음절을 받침 음절로 변경하거나, 받침 음절을 민받침 음절로 변경하거나, 받침 음절의 홑받침을 겹받침으로 변경하거나, 받침 음절의 겹받침을 홑받침으로 변경할 때 종래에는 편집 음절과 완성 음절의 수정 방법이 달랐다. 편집 음절은 아래 예 1과 같이 민받침 음절을 받침 음절로 변경하거나 받침 음절의 홑받침을 겹받침으로 변경하려면 자음을 입력하였다. 받침 음절을 민받침 음절로 변경하거나 받침 음절의 겹받침을 홑받침으로 변경하려면 백스페이스를 입력하였다. 완성 음절은 예 2와 같이 백스페이스로 민받침 음절이나 받침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음절 전체를 새로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경우 예 3과 같이 편집 음절이든 완성 음절이든 새 자음을 입력하면 민받침 음절은 받침 음절로 변경되고, 받침 음절의 홑받침과 입력한 새 자음이 자음 조합 가능이면 겹받침으로 변경되고 아니면 입력한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된다. 받침 음절의 홑받침에 백스페이스 단타가 입력되면 민받침 음절로 변경되고 받침 음절의 겹받침에 백스페이스 단타가 입력되면 홑받침으로 변경된다. 받침 음절의 겹받침에 새 자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된다. 예 3에 적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키 조작을 편집 음절에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4와 같은 결과가 되고, 완성 음절에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5와 같은 결과가 된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해 5가지 경우에 대한 예를 6개씩 열거하였다.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백스페이스를 '빽'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1. 아+ㄱ→악, 일+ㄱ→읽, 일+ㄴ→일ㄴ, 악+빽→아, 읽+빽→일, 읽+ㄱ→읽ㄱ
2. 아+빽+악→악, 일+빽+읽→읽, 일+ㄴ→일ㄴ, 악+빽+아→아, 읽+빽+일→일, 읽+ㄱ→읽ㄱ
3. 아+ㄱ→악, 일+ㄱ→읽, 일+ㄴ→일ㄴ, 악+빽→아, 읽+빽→일, 읽+ㄱ→읽ㄱ
4. 아+ㄱ→악, 일+ㄱ→읽, 일+ㄴ→일ㄴ, 악+빽→아, 읽+빽→일, 읽+ㄱ→읽ㄱ
5. 아+ㄱ→아ㄱ, 일+ㄱ→일ㄱ, 일+ㄴ→일ㄴ, 악+빽→'', 읽+빽→'', 읽+ㄱ→읽ㄱ
자음 음절의 자음을 수정하려고 할 때 종래에는 아래 예 1과 같이 자음 음절을 지우고 자음을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경우 예 2와 같이 백스페이스 없이 새 자음을 입력한다. 종래에는 오타가 되었을 것은 입력한 새 자음을 자음 음절의 자음을 지우고 교체하기 위해 입력된 것으로 해석하여 바로 교체를 실행한다. 단, 자음 음절의 앞에 받침 음절이 있고 자음 음절의 자음과 입력한 새 자음이 같은 자음인 경우에는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받침 음절의 종성과 새 자음은 예 2와 같이 된다. 예 2에 적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키 조작을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3과 같은 결과가 된다. 예 2를 통해 보인 방법은 종성을 수정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데, 종성을 수정할 때에 기존의 종성을 백스페이스로 지우고 수정된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 대신 수정된 새 자음을 2번 내지 3번 입력하여 수정을 마칠 수 있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해 3가지 경우에 대한 예를 6개씩 열거하였다.
1. ㄴ+빽+ㄱ→ㄱ, 일ㄴ+빽+빽+읽→읽, 일ㄴ+빽+빽+인→인, 읽ㄱ+빽+빽+익→익, 읽ㅇ+빽+빽+잉→잉, 읽ㅎ+빽+빽+잃→잃
2. ㄴ+ㄱ→ㄱ, 일ㄴ+ㄱ→읽, 일ㄴ+ㄴ→인, 읽ㄱ+ㄱ→익, 읽ㅇ+ㅇ→일ㅇ, 읽ㅎ+ㅎ→잃
3. ㄴ+ㄱ→ㄴㄱ, 일ㄴ+ㄱ→일ㄴㄱ, 일ㄴ+ㄴ→일ㄴㄴ, 읽ㄱ+ㄱ→읽ㄱㄱ, 읽ㅇ+ㅇ→읽ㅇㅇ, 읽ㅎ+ㅎ→읽ㅎㅎ
모음 음절을 자음으로 수정하려고 할 때 종래에는 아래 예 1과 같이 백스페이스로 모음 음절을 지우고 새로운 자음을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경우 예 2와 같이 백스페이스 없이 새 자음을 입력하면 이것을 모음 음절을 교체하기 위해 입력된 것으로 해석하여 바로 교체를 실행한다. 예 2에 적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키 조작을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3과 같은 결과가 된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해 3가지 경우에 대한 예를 2개씩 열거하였다.
1. ㅏ+빽+ㄴ→ㄴ, ㅏ+빽+ㅆ→ㅆ, ㅘ+빽+빽+ㄴ→ㄴ
2. ㅏ+ㄴ→ㄴ, ㅏ+ㅆ→ㅆ, ㅘ+ㄴ→ㄴ
3. ㅏ+ㄴ→ㅏㄴ, ㅏ+ㅆ→ㅏㅆ, ㅘ+ㄴ→ㅘㄴ
완전 음절 및 모음 음절의 모음을 수정하려고 할 때 종래에는 편집 음절과 완성 음절의 수정 방법이 달랐다. 편집 음절은 아래 예 1과 같이 민받침 음절과 모음 음절의 모음이 입력되는 모음과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이 될 수 있는 경우에는 모음을 입력하고, 민받침 음절과 모음 음절의 모음이 입력되는 모음과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이 될 수 없는 경우에는 백스페이스를 입력하고 모음을 입력하였다. 받침 음절인 경우 백스페이스를 입력하여 종성을 지우고 나서 모음에 대해 민받침 음절에 했던 것과 같은 처리를 하여 모음을 수정하고 지웠던 종성을 다시 입력하였다. 완성 음절은 예 2와 같이 백스페이스로 민받침 음절, 받침 음절 및 모음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새로운 모음이나 새로운 모음이 들어간 음절을 새로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경우 예 3과 같이 편집 음절이든 완성 음절이든 백스페이스 없이 새 모음 또는 중성 수정 모음을 입력한다. 두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두 모음이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새로 입력한 모음을 모음을 교체하기 위해 입력된 것으로 해석하여 모음 단독 교체가 실행된다. 예 3에 적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키 조작을 편집 음절에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4와 같은 결과가 되고, 완성 음절에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5와 같은 결과가 된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해 5가지 경우에 대한 예를 6개씩 열거하였다.
1. ㅗ+ㅏ→ㅘ, ㅏ+빽+ㅓ→ㅓ, 어+빽+ㅘ→와, 와+빽+ㅣ→외, 왈+빽+빽+빽+ㅏ+ㄹ→알, 왈+빽+빽+빽+ㅝ+ㄹ→월
2. ㅗ+빽+ㅘ→ㅘ, ㅏ+빽+ㅓ→ㅓ, 어+빽+와→와, 와+빽+외→외, 왈+빽+알→알, 왈+빽+월→월
3. ㅗ+ㅏ→ㅘ, ㅏ+ㅓ→ㅓ, 어+ㅘ→와, 와+ㅣ→외, 왈+ㅏ-→알, 왈+ㅜ-+ㅓ-→월
4. ㅗ+ㅏ→ㅘ, ㅏ+ㅓ→ㅏㅓ, 어+ㅘ→어ㅘ, 와+ㅣ→와ㅣ, 왈+ㅏ→와라, 왈+ㅜ+ㅓ→와뤄
5. ㅗ+ㅏ→ㅗㅏ, ㅏ+ㅓ→ㅏㅓ, 어+ㅘ→어ㅘ, 와+ㅣ→와ㅣ, 왈+ㅏ→왈ㅏ, 왈+ㅜ+ㅓ→왈ㅝ
완성 음절 및 모음 음절의 초성을 수정하려고 할 때 종래에는 편집 음절과 완성 음절의 수정 방법이 달랐다. 편집 음절은 아래 예 1과 같이 백스페이스를 반복 입력하여 앞 음절을 모두 지우고 초성 자음부터 새로 입력하였다. 완성 음절은 예 2와 같이 백스페이스를 입력하여 앞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음절 전체를 새로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경우 예 3과 같이 편집 음절이든 완성 음절이든 초성 수정 자음을 입력한다. 초성에는 자음이 하나밖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초성으로 있던 자음은 초성 수정 자음으로 교체되고, 초성 자음이 없으면 초성 수정 자음이 초성으로 삽입된다. 예 3에 적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키 조작을 편집 음절에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4와 같은 결과가 되고, 완성 음절에 종래의 방법대로 적용하여 처리하면 예 5와 같은 결과가 된다. 다음은 이해를 돕기 위해 5가지 경우에 대한 예를 4개씩 열거하였다.
1. 가+빽+빽+나→나, 갈+빽+빽+빽+날→날, ㅏ+빽+가→가, ㅏ+빽+싸→싸
2. 가+빽+나→나, 갈+빽+날→날, ㅏ+빽+가→가, ㅏ+빽+싸→싸
3. 가+ㄴ-→나, 갈+ㄴ-→날, ㅏ+ㄱ-→가, ㅏ+ㅆ-→싸
4. 가+ㄴ→간, 갈+ㄴ→갈ㄴ, ㅏ+ㄱ→ㅏㄱ, ㅏ+ㅆ→ㅏㅆ
5. 가+ㄴ→가ㄴ, 갈+ㄴ→갈ㄴ, ㅏ+ㄱ→ㅏㄱ, ㅏ+ㅆ→ㅏㅆ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자음 음절과 모음 음절의 특수한 입력 방법은 스페이스를 입력한 후에 단독 자음 음절이나 모음 음절을 입력하고 스페이스를 입력하는 것이다. 스페이스는 뒤에 지울 수 있다. 조합 자음 음절은 기호 자판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호 자판의 키에 조합 자음을 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타 수정 방법을 따라서 여러 가지 오타를 수정하는 예를 살펴보되 키 조작과 관련하여 주의를 기울여 보면,
'울'을 '웰'로 수정하려면 '울'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ㅔ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ㅔ 키를 이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웰'을 '엘'로 수정하려면 '웰'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ㅔ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ㅔ 키를 이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울'을 '엘'로 수정하려면 '울'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ㅔ를 2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ㅔ 키를 이중 장타 2번 하는 것이다.
'엘'을 '옐'로 수정하려면 '엘'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ㅖ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ㅔ 키를 삼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울'을 '옐'로 수정하려면 '울'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ㅖ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ㅔ 키를 삼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올'을 '옐'로 수정하려면 '올'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ㅖ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ㅔ 키를 삼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곰'을 '괌'로 수정하려면 '곰'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ㅏ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ㅏ 키를 이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괌'을 '감'로 수정하려면 '괌'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ㅏ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ㅏ 키를 이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곰'을 '감'로 수정하려면 '곰' 뒤에서 중성 수정 모음 ㅏ를 2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ㅏ 키를 이중 장타 2번 하는 것이다.
'물'을 '굴'로 수정하려면 '물' 뒤에서 초성 수정 자음 ㄱ을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ㄱ 키를 이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물'을 '꿀'로 수정하려면 '물' 뒤에서 초성 수정 자음 ㄲ를 1번 입력하여야 한다. 이것은 ㄱ 키를 삼중 장타 1번 하는 것이다.
수정할 내용에 따라 키를 선택하고, 이중 장타인지 삼중 장타인지를 선택하고, 1번 누르는 것인지 2번 누르는 것인지를 선택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번거롭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좀 더 단순하고 간편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어떤 키를 조작함에 있어서 이중 장타 1번, 이중 장타 2번, 삼중 장타 1번, 삼중 장타 2번에 따른 수정 내용이 다르다고 하면 이러한 것을 그 키를 누르고 있으면 시간 경과에 따라 이중 장타 1번, 이중 장타 2번, 삼중 장타 1번, 삼중 장타 2번에 해당하는 수정을 하나씩 차례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이기를 반복하면 사용자가 키를 누르기도 쉽고 결과를 선택하기도 쉬울 것이다. 키를 누르고 있다가 원하는 결과가 보일 때 키를 놓으면 되기 때문에 매우 쉬울 수 밖에 없다. 이를테면 문자 '울' 뒤에서 키를 눌러 단타, 장타, 이중 장타, 삼중 장타, 사중 장타의 시간을 경과하면 '울'은 '웰', '엘', '옐'로 한 단계씩 변화해 갈 것인데 필요한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에 키를 놓아 변화를 중지시키면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PC와 스마트폰 등 자판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대부분의 전자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없음

Claims (2)

  1. 자판에서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키 조작을 새 자음, 새 모음, 초성 수정 자음, 중성 수정 모음의 입력으로 구분 짓고,
    새 자음은 앞에 있는 음절의 종성에 입력되거나 새 음절의 초성에 입력되고,
    새 모음은 앞에 있는 자음 음절의 중성에 입력되거나 민받침 음절의 중성에 입력되거나 새 음절의 중성에 입력되고,
    초성 수정 자음은 앞에 있는 음절의 초성에 더 입력되고,
    중성 수정 모음은 앞에 있는 음절의 중성에 더 입력되고,
    새 자음이 입력되면 앞에 있는 음절이 민받침 음절이면서 새 자음이 종성이 될 수 있으면 새 자음이 그 종성이 되고, 앞에 있는 음절이 홑받침 음절이면서 그 종성이 새 자음과 자음 조합 가능이면 그 종성은 그 조합 자음으로 교체되고, 새 자음이 종성이 될 수 없거나 앞에 있는 음절이 겹받침 음절이거나 앞에 있는 음절이 홑받침 음절이라도 그 종성이 새 자음과 자음 조합 불가이면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되고,
    새 모음이 입력되면 앞에 있는 음절이 민받침 음절이면서 그 중성과 새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모음 단독 교체가 되고, 앞에 있는 음절이 홑받침 음절이면 그 홑받침을 분리하여 홑받침 음절은 민받침 음절이 되고 분리된 홑받침은 새 모음과 조합하여 새 음절이 되고, 앞에 있는 음절이 겹받침 음절이면 그 앞받침 자음이 종성으로 남고 그 뒷받침 자음이 새 모음과 조합하여 새 음절이 되고,
    초성 수정 자음이 더 입력되면 앞에 있는 음절이 완전 음절이면 그 초성은 초성 수정 자음으로 교체되고,
    중성 수정 모음이 더 입력되면 앞에 있는 음절이 완전 음절이면서 그 중성과 중성 수정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모음 단독 교체가 되고,
    새 자음, 새 모음, 초성 수정 자음, 중성 수정 모음 중 하나가 입력되고 앞에 한글 음절이 없는 경우에는 새 음절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독 자음 음절 뒤에 새 자음이 입력되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새 자음으로 교체되되,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과 새 자음이 다른 자음이고 단독 자음 음절의 앞에 홑받침 음절이 있으면서 그 홑받침이 새 자음과 자음 조합 가능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홑받침 음절의 홑받침이 그 홑받침과 새 자음의 조합 자음으로 교체되고,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과 새 자음이 같은 자음이고 단독 자음 음절의 앞에 홑받침 음절이 있으면서 새 자음이 종성 가능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홑받침 음절의 홑받침이 새 자음으로 교체되고, 새 자음이 종성 불가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홑받침 음절의 홑받침도 지워지고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되고,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과 새 자음이 같은 자음이고 단독 자음 음절의 앞에 겹받침 음절이 있으면서 겹받침의 뒷받침이 새 자음과 같은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앞에 있는 겹받침 음절의 겹받침이 새 자음으로 교체되고, 겹받침의 뒷받침이 새 자음과 다른 자음이면 단독 자음 음절은 지워지고 겹받침의 앞받침과 새 자음이 자음 조합 가능이면 겹받침이 그 앞받침과 새 자음의 조합 자음으로 교체되고, 겹받침의 앞받침과 새 자음이 자음 조합 불가이면 겹받침의 뒷받침은 지워지고 새 자음은 새 음절의 초성이 되고,
    조합 자음 음절 뒤에 새 자음이 입력되면 조합 자음 음절의 자음은 지워지고 새 자음으로 교체되고,
    모음 음절 뒤에 새 자음이 입력되면 모음 음절의 모음을 지우고 새 자음으로 단독 자음 음절이 되고,
    단독 자음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면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새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민받침 음절이 되고,
    조합 자음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면 조합 자음의 앞자음과 뒷자음이 분리되어 앞자음은 지워지고 뒷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새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민받침 음절이 되고,
    모음 음절 뒤에 새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모음 음절의 모음과 새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모음 음절의 모음은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모음 음절의 모음은 모음 단독 교체가 되고,
    자음 음절에 초성 수정 자음이 더 입력되면 자음 음절의 자음은 초성 수정 자음으로 교체되고,
    모음 음절에 초성 수정 자음이 더 입력되면 초성 수정 자음이 모음 음절의 초성이 되고,
    단독 자음 음절에 중성 수정 모음이 더 입력되면 단독 자음 음절의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중성 수정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민받침 음절이 되고,
    조합 자음 음절에 중성 수정 모음이 더 입력되면 조합 자음의 앞자음과 뒷자음이 분리되어 앞자음은 지우고 뒷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중성 수정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민받침 음절이 되고,
    모음 음절에 중성 수정 모음이 더 입력되는 경우, 모음 음절의 모음과 중성 수정 모음이 모음 조합 가능이면 모음 음절의 모음이 모음 조합 교체가 되고, 모음 조합 불가이면 모음 음절의 모음이 모음 단독 교체가 되고,
    백스페이스를 단타하면 앞 음절을 종성, 중성, 초성의 순서로 한 음소씩 지우고, 백스페이스를 장타하면 앞 음절을 통째로 지우고, 백스페이스를 장타하면서 계속 오래 누르고 있으면 키가 놓일 때까지 음절을 통째로 지우기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1020160076953A 2016-06-21 2016-06-21 문자 입력 방법 KR10174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53A KR101747037B1 (ko) 2016-06-21 2016-06-21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53A KR101747037B1 (ko) 2016-06-21 2016-06-21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037B1 true KR101747037B1 (ko) 2017-06-14

Family

ID=5921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953A KR101747037B1 (ko) 2016-06-21 2016-06-21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71A (ko) 2018-02-13 2019-08-2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어플리케이션 장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장치, 단말기 및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방법
KR102502846B1 (ko) * 2022-06-16 2023-02-23 이춘형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KR20230051732A (ko) 2021-10-11 2023-04-18 장순길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71A (ko) 2018-02-13 2019-08-2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어플리케이션 장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장치, 단말기 및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방법
KR20230051732A (ko) 2021-10-11 2023-04-18 장순길 문자 입력 방법
KR102502846B1 (ko) * 2022-06-16 2023-02-23 이춘형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9078A (ja) コンピュータ入力システム
US5124702A (en) Keyboaard for a word typewriter
KR101747037B1 (ko) 문자 입력 방법
RU2223864C2 (ru) Способ скоростного набора на клавиатуре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JP2008293498A (ja) 日本語入力方法
CN104503599B (zh) 一种基于36键位的藏文输入***
KR101129689B1 (ko)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JP3223652B2 (ja) 日本語入力手段を有する装置
CN110955336A (zh) 一种汉字输入法
JP2014155215A (ja) かな文字の入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キーボード
KR102663680B1 (ko)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US7253751B2 (en) Method for writing language components
KR101053934B1 (ko)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JP2006217557A (ja) 携帯・固定電話および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の日本語とアルファベット表示入力装置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10108653A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0258B1 (ko) 문자 입력 방법
KR20050113564A (ko) 간단한 문자 입력 방식
JP2022124432A (ja) 九列五段キーボード
JP4500353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402478B1 (ko)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