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223B1 -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 Google Patents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223B1
KR101746223B1 KR1020100096603A KR20100096603A KR101746223B1 KR 101746223 B1 KR101746223 B1 KR 101746223B1 KR 1020100096603 A KR1020100096603 A KR 1020100096603A KR 20100096603 A KR20100096603 A KR 20100096603A KR 101746223 B1 KR101746223 B1 KR 101746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apter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253A (ko
Inventor
육상조
Original Assignee
육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상조 filed Critical 육상조
Priority to KR102010009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22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코드에 꽂혀지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연결된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홈서버에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보고하는 어댑터와, 어댑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단속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용이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각기 개별적으로 원하는 전기제품만을 단속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The adapter with the sensing function and standby power breaker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코드에 꽂혀지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원격적으로 특정 전기제품의 전원공급을 단속하여 줄 수 있는 어댑터 및 대기전력을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이란 전기제품이 OFF한 상태에서도 계속 소비되는 전력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 전기제품의 동작에 상관없이 내부저항이나 센서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일정하게 계속 소모되는 전력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멀티탭이나 혹은 콘센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간에 연결된 해당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얼마나 차단하였는지 혹은 비용을 얼마나 세이브했는지 알려주는 연결형 콘센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것은 제품들은 일일이 멀티탭이나 연결형 콘센트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를 손수 온/오프 동작시켜줘야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종래의 연결형 콘센트와 멀티탭은 각각 스위치와 구동부 그리고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져야만 하기 때문에 그 크기 커지고 복잡해지며 단가가 비쌀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홈네트워킹시스템은 개별적으로 특정 전기제품의 구동을 ON/OFF제어할 수는 있으나 OFF된 상태에서도 계속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는 없었으며, 특히 대기전력차단장치는 대기전력차단시 소비전력이 1W이상을 넘지 않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홈 네트워킹 시스템과는 별도로 혹은 분리되어 진행될 수밖에 없어서 원하는 때에 개별적으로 특정 전기제품의 전원을 단속하여 대기전원을 차단하여 줄 수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편리하게 플러그에 끼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부피 증가 없이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보고할 수 있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제품을 확인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On/Off단속할 수 있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기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특정 전기제품의 전원을 단속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서버를 통해 사용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서비스받고 원격적으로 특정 전기제품을 단속하여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제품의 플러그의 형상이나 콘센트의 형상에 따라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위치하여 중간에 끼워지는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결된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여부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식별정보를 홈서버로 전송하여 사용결과를 알리는 어댑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어댑터와 함께
다수개의 전원공급라인이 배설되어 있고 각각의 전원공급라인별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줄 수 있는 한편,
다수개의 어댑터별로부터 전송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각각 표출하여 알려주거나 혹은 대기전력의 차단상태를 각각 표출하여 알려주고
더불어 각각의 전기제품의 사용여부에 따라 각각의 전원공급라인별로 해당 전기제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홈서버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전력차단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서버와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특정 홈페이지로부터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더불어 허가받은 등록자만이 상기 홈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홈서버와 접속연결이 이루어졌을 때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호출하여 아이콘화된 상태로 혹은 리스트화된 상태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안내받은 리스트 중에서 혹은 아이콘들 중에 특정 아이콘이나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홈서버에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도록 지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댑터를 통해 용이하게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손수 온/오프시켜 주어야만 하는 스위치부와 구동부가 없기 때문에 부피를 최소화하였고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댑터와 전원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각기 개별적으로 원하는 전기제품만을 단속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홈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 원거리에서도 집안 내부의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원하는 전기제품만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단속하여 줄 수도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제2예에 따른 어댑터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서버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식별정보 등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서버와 어댑터 그리고 전기제품의 연결관계를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제품(1)의 플러그(2)에 장착된 상태로 콘센트(3)에 꽂혀지는 어댑터(10)와, 상기 어댑터(10)를 인식하고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줄 수 있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10)는 각각의 어댑터마다 서로 다른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특히 연결된 해당 전기제품(1)의 부하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1)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신호는 연결된 해당 전기제품(1)이 사용정지중일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이 감지신호에 의해 어댑터가 포함하고 있는 식별정보를 홈서버(30)로 전송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어댑터는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감지신호와 식별정보를 함께 홈서버(30)로 전송하여 사용상태를 알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어댑터(20)는 실시 예에 따라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에 식별카드나 센싱기능을 가진 태그가 투입되어 접속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해당 전기제품(1)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홈서버(30)에 전송하여 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식별카드나 태그는 각각의 태그나 카드마다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부하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1)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홈서버(30)와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혹은 일방으로 홈서버(30)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어댑터(20)의 접속부에 식별카드나 태그가 투입되어 접속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전원이 공급되면서 식별카드나 태그가 해당 전기제품(1)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부하에 따라 사용정지중이라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홈서버(30)로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부와 스위치부가 제거되어 부피를 최소하면서 각각의 전기제품(1)의 플러그(2)에 꽂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어댑터를 전기제품(1)의 플러그(2)에 꽂기만 하면 간단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홈네트워킹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의 식별카드나 태그에는 QR코드나 바코드 혹은 식별번호가 외관에 형성되어 있어, 스마트폰(40)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QR코드나 바코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더불어 식별번호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버튼입력을 통해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인식한 식별정보는 스마트폰(40)에 저장되고, 리모콘 혹은 홈서버(30)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서버(30)는, 다수개의 어댑터로부터 전송받은 식별정보 또는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각각의 전기제품(1)의 사용 여부를 표출하여 알려준다. 이때, 상기 홈서버(30)는 어댑터의 식별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화고 있어서, 어떠한 식별번호가 어떠한 전기제품(1)인지 혹은 어떠한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지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서버(30)는 식별정보를 리드하거나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접속이 허락된 스마트폰(40)이나 리모콘 등을 통해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홈서버(30)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나 식별카드에 어떠한 제품인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홈서버(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라인별로 분배하여 실내의 각 룸으로 공급하여 준다. 이때 상기 홈서버(30)는 직접 각각의 라인별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단속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서버(30)는 실시 예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각각의 라인별로 분배하여 공급해 주는 배전반과 연결되고, 상기 배전반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라인별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단속하여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홈서버(30)는 스마트폰(40)을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40)은 특정 홈페이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홈서버(30)와 정보교환을 실시하여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등록한 상태에서, 상기 홈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면, 각각의 전기제품(1)의 사용 상태를 호출하여 아이콘화여 표출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40)에 표출되어 지고 있는 아이콘을 조작하게 되면 홈서버(30)가 다수개의 전원공급라인 중 해당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전기제품(1)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원거리에서 차단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40)은 실시 예에 따라 중간에 등록된 스마트폰(40)인지 확인하는 인증업체의 등록서버(50)나 각각의 사용자마다 지정된 홈서버로 접속 연결이 되도록 하는 서비스업체의 등록서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가 전기제품(1)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홈서버에 보고하여 상기 홈서버에 의해 단속되어 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홈네트워킹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식별정보를 통해 원하는 전기제품(1)만을 각기 개별적으로 on/off 단속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홈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 어댑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홈서버에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집안 내부의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원하는 전기제품만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단속하여 줄 수도 있게 되었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는 연결부(11)와, 전원감지부(12)와, 차단제어부(13) 및 저장부(14)와, 송신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플러그(2)의 연결단자에 끼워져 콘센트(3) 구멍에 끼워졌을 때 중간에서 상기 콘센트(3)의 전원을 플러그(2)로 흘려주는 부분이다.
그리고 전원감지부(12)는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감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플러그(2)와 콘센트(3) 사이에 위치한 어댑터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어댑터의 연결부(11)를 통해 플러그(2)로 흐르는 전원을 감지하여 부하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혹은 사용정지중인지 감지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감지부(12)는 기준치 이하인 경우 혹은 갑자기 급격하게 수치가 변하는 경우에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연결된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일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차단제어부(13)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차단제어부(13)는 연결된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홈서버에 알리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이때의 차단제어부(13)는 전원감지부(12)가 사용정지중일 때 생성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호출하고 이를 송신부(15)를 통해 홈서버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해당 정기 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제어부(13)는 식별정보만 전송하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4)에 기록된 정보나 감지정보도 함께 전송하여 사용상태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5)는 상기 차단제어부(13)가 호출한 식별정보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저전력 무선 통신으로 홈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15)는 전력전선통신(PLC)통신을 통해 유선으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댑터의 외관에는 QR코드나 바코드 혹은 식별번호가 외관에 형성되어 있거나 인쇄되어 있어, 스마트폰(40)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QR코드나 바코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토록 할 수 있고, 더불어 식별번호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버튼입력을 통해 식별정보를 스마트폰(40)에 저장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저장된 식별정보는 리모콘 혹은 홈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토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감지부(26)와, 차단제어부(27) 및 저장부(28)와, 송신부(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별카드나 센싱기능을 가진 태그(25)가 어댑터의 접속부(22)에 끼워져 연결되어 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어댑터는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21)와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에 끼워져 접속되는 식별카드나 태그(25)는 전원감지부(26)와, 차단제어부(27) 및 저장부(28)와, 송신부(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어댑터(20)의 연결부(21)는 플러그(2)의 연결단자에 끼워져 콘센트(3) 구멍에 끼워졌을 때 중간에서 상기 콘센트(3)의 전원을 플러그(2) 쪽으로 흘려주는 부분이다.
또한, 접속부(22)는 투입구를 통해 식별카드나 태그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내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안쪽에는 연결부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태그 혹은 식별카드와 접촉하는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는 상기 식별카드나 태그가 연결부를 통해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감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필요한 전원 공급받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식별카드나 태그(25)의 전원감지부(26)는 연결부와 접속부를 통해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감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플러그(2)와 콘센트(3) 사이에 위치한 어댑터가 끼워져 연결되었을 때, 상기 어댑터의 연결부를 통해 플러그(2)로 흐르는 전원을 감지하여 부하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혹은 사용정지중인지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감지부는 기준치 이하이거나 이상인 경우 혹은 갑자기 급격하게 수치가 변하는 경우에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부하나 흐르는 전류가 기준치 이하로 사용정지중일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차단제어부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제어부(27)는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홈서버에 알리도록 지시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때의 차단제어부는 전원감지부가 사용정지중일 때 생성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호출하고 이를 송신부를 통해 홈서버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해당 정기 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제어부는 식별정보만 전송하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나 감지정보도 함께 전송하여 사용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29)는 상기 차단제어부가 호출한 식별정보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저전력 무선 통신으로 홈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는 전력전선통신(PLC)통신을 통해 유선으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별카드나 태그(25)는 QR코드나 바코드 혹은 식별번호가 외관에 형성되어 있거나 인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40)으로 QR코드나 바코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더불어 식별번호를 직접 눈으로 보고 버튼입력을 통해 식별정보를 스마트폰(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인식한 식별정보는 스마트폰(40)에 저장되고, 리모콘 혹은 홈서버에 전송되어 저장토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수개의 어댑터로부터 식별정보 혹은 감지정보를 전송받는 홈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서버(30)는 수신부(31)와, 데이터베이스(33), 표출부(34), 통신부(35), 구동부(36), 제어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실시 예에 따라 분전반(37)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먼저, 수신부(31)는 다수개의 어댑터 혹은 어댑터의 태그나 식별카드로부터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부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해당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주는 부분으로,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식별정보와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어떠한 전기제품인지 혹은 어떠한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해당 전기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해당 전기제품이 또는 해당 전원공급라인이 사용정지중인지를 표출부를 통해 알려준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ON/OFF 제어명령에 따라 다수개의 전원공급라인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토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부(32)는 직접 전원공급라인의 전원을 ON/OFF 단속할 수 있으나, 과전류나 이상전류 발생으로 인한 손상을 입지 않토록 다수개의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있는 분전반이나 누전차단부와 연결되어 해당 전원공급라인의 전원을 ON/OFF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통신부(35)를 통해 스마트폰(40)으로 ON/OFF 지시명령을 전달받아 공급되는 전원 단속하여 주며, 별도로 분전반이나 누전차단부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구동부에 전달받은 ON/OFF 지시명령을 인가하여 단속토록 지시한다. 그리고 이때의 제어부는 스마트폰(40)이 정당하게 등록된 스마트폰(40)인지 확인한 후에야 ON/OFF 지시명령을 구동부로 전달한다.
또한, 구동부(36)는 분전반과 연결되어 분전반을 제어하며,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폰(40)의 ON/OFF 지시명령을 전달받아 분전반이 정해진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다수개의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전반에 직접 ON/OFF 제어명령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ON/OFF 제어명령을 제어부에 인가하여 보고하고 표출부를 통해 차단된 사실을 알리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35)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정해진 사용자의 스마트폰(40)이 혹은 등록서버(50)와 연결이 이루어져 ON/OFF 제어명령을 전달받게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3)는 각 어댑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서 스마트폰(40)이 접속할 경우 혹은 상기 스마트폰(40)이 등록서버(50)를 통해 접속할 경우 등록된 스마트폰(40)인지 혹은 등록된 서버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등록서버(50)는 서비스업체의 등록서버(50)일 수도 있으며 외부어서 접속할 경우 인증받기 위한 등록서버(50)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홈서버(30)는 자체 구비된 영상기기나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기기 또는 리더기와 연결되어 어댑터 또는 식별카드나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서버는 다수개의 입력버튼을 통해 어댑터 또는 식별카드나 태그에 형성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40)은 특정 홈페이지로부터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더불어 허가받은 등록자만이 상기 홈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홈서버와 접속연결이 이루어졌을 때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호출하여 아이콘화된 상태로 혹은 리스트화된 상태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안내받은 리스트 중에서 혹은 아이콘들 중에 특정 아이콘이나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홈서버에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도록 지시하다.
이때의 스마트폰(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42), 구동모듈(45), 영상정보획득모듈(46), 식별정보인식모듈(47), 접속모듈(48), 입출력모듈(41), 저장모듈(44), 호출모듈(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각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입출력모듈(41)은 특정버튼 혹은 터치스크린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버튼을 선택하여 동작토록 하였을 때 입력된 사실과 동작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출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모듈이다.
또한, 호출모듈(43)은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구동토록 하고, 더불어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호출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모듈로서,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선택된 명령에 따라 호출모듈이 구동하게 되면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구동토록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호출모듈은 홈서버에 접속하여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표출하여 알려주게 된다. 이때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는 각 파트별로 아이콘화하여 인식하기 쉽게 알려줄 수 있으나 리스트화하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구동모듈(45)은 스마트폰(40)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어댑터 혹은 식별카드나 태그의 QR코드나 바코드 등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듈은 리더기를 동작시켜 태그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정보획득모듈(46)은 상기 구동모듈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통해 어댑터 또는 식별카드 혹은 태그의 QR코드 혹은 바코드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모듈이다. 이때, 상기 영상정보획득모듈은 촬영된 영상정보 중 불필요한 영상정보를 제거하고 필요한 QR코드 혹은 바코드의 영상정보만을 분리 추출하여 획득한다.
또한, 식별정보인식모듈(47)은 상기 영상정보획득모듈을 통해 획득한 QR코드 혹은 바코드의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인식한다. 더불어 상기 식별정보인식모듈을 리더기가 읽어들인 태그정보를 판독하고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2)은 각각의 모듈을 제어하여 정해진 동작을 취하도록 하는 모듈로서, 스크린상에 구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호출모듈을 구동시켜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구동토록 하고, 더불어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정보(사용상태)를 홈서버로부터 전송받도록 하는 한편 전송받은 사용정보를 입출력모듈을 통해 정해진 폼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혹은 아이콘화하여 표출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2)은 QR코드 혹은 바코드 혹은 태그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동모듈을 동작시켜 주고, 더불어 식별정보인식모듈을 통해 확인된 식별정보를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토록 하는 한편, 상기 식별정보를 홈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지시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다수개의 아이콘 중 혹은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인식된 어댑터의 식별정보를 저장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2)은 홈서버와 접속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정보를 호출하여 표출해 주고, 더불어 다수개의 아이콘 중 혹은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지정된 홈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단속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해당 전기제품을 ON/OFF 단속토록 하는 ON/OFF 지시명령을 지정된 홈서버로 혹은 등록서버(50)로 전송하여 전력을 ON/OFF 단속토록 지시한다.
또한, 접속모듈(48)은 상기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게 되면 지정된 홈서버로 혹은 등록서버(50)로 접속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호출모듈이 동작하여 사용정보를 호출하게 되면 호출된 사용정보를 제어모듈로 인가하여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해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홈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스마트폰을 통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어댑터나 식별카드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은 카메라를 구동시켜 어댑터나 식별카드 혹은 태그에 인쇄되어 있는 QR카드 혹은 바코드의 정보를 촬영하여 식별정보를 인식한다. 또한, 때에 따라서는 상기 스마트폰이 리더기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직접 어댑터나 태그의 식별정보를 리드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은 확인된 식별정보를 지정된 서비스 업체의 등록서버(50)로 혹은 인증서버를 거쳐 홈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등록서버는 스마트폰의 가입자 정보를 비롯한 스마트폰의 고유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를 확인한 다음에야 지정된 홈서버로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때에 따라서는 상기 스마트폰이 등록서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지정된 홈서버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홈서버 혹은 등록서버를 거쳐 전송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만일 등록되지 않은 식별정보라면 전송된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홈서버는 등록된 사실을 스마트폰에 안내하고 확인토록 한다.
또한, 상기 홈서버는 실시 예에 따라 영상기기 혹은 리더기와 직접 연결하여 혹은 상기 홈서버가 영상기기나 리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직접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홈서버는 외관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식별번호를 입력하고 등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확인하고 차단하여 줄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을 구동시켜 지정된 홈서버를 통해 사용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은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지정된 홈서버로 접속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면 홈서버로부터 사용정보를 전송받아 리스화된 상태로 혹은 아이콘화한 상태로 표출하여 주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은 직접 홈서버로 접속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등록서버를 거쳐 허가된 스마트폰인지 확인한 후에야 해당 홈서버로 접속 연결이 이루어지고, 홈서버로부터 사용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여기서 등록서버는 등록된 스마트폰인지 확인하는 한편 각각의 스마트마다 지정된 각각의 홈서버로 접속연결을 서비스한다. 그리고 홈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의 호출에 대응하여 사용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의 사용정보는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홈서버로 전송된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정보를 아이콘화하여 혹은 목록화하여 표출하여 주고, 특정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토록 지시하는 식별정보를 혹은 해당 전기제품을 ON/OFF 할 수 있는 On/OFF 지시명령을 홈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서버는 통신부를 통해 식별정보나 해당 전기제품을 ON/OFF 할 수 있는 On/OFF 지시명령을 전달받아 각각의 전원공급라인을 따라 해당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단속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홈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인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을 ON/OFF 단속토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댑터와 전원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상기 홈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해 원거리에서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확인하고 원하는 전기제품만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단속하여 줄 수도 있게 되었다.
1:전기제품 2:플러그
3:콘센트 10,20:어댑터
11,21:연결부 12,26:전원감지부
13,27:차단제어부 14,28:저장부
15,29:송신부 22,29:접속부
25:식별카드 또는 태그 30:홈서버
31:수신부 32:제어부
33:데이터베이스 34:표출부
35:통신부 36:구동부
37:분전반 40:스마트폰
41:입출력모듈 42:제어모듈
43:호출모듈 44:저장모듈
45:구동모듈 46:영상정보획득모듈
47:식별정보인식모듈 48:접속모듈
50:등록서버

Claims (13)

  1. 일측은 전기제품의 플러그의 연결단자에 대응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콘센트의 구멍에 대응하는 결합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내측에는, 플러그(2)의 연결단자가 끼워진 상태로 콘센트(3) 구멍에 끼워졌을 때, 중간에서 상기 콘센트(3)의 전원을 플러그(2) 쪽으로 흘려주는 연결부(21)와,
    상기 어댑터의 연결부를 통해 플러그로 흐르는 전원을 감지하여 부하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혹은 사용정지중인지 감지하는 한편,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일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전원감지부가 사용정지중일 때 인가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알리도록 지시하는 차단제어부와,
    상기 차단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식별정보 혹은 감지신호를 홈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홈서버로 알리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전기제품의 플러그에 어댑터를 장착하기만 하면,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 중이라는 사실을 홈서버에 알려 단속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2. 일측은 전기제품의 플러그의 연결단자에 대응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콘센트의 구멍에 대응하는 결합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내측에는, 플러그(2)의 연결단자가 끼워진 상태로 콘센트(3) 구멍에 끼워졌을 때, 중간에서 상기 콘센트(3)의 전원을 플러그(2) 쪽으로 흘려주는 연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의 외측에는, 일정한 내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내공간 안쪽에 연결부와 이어져 있는 접촉단자가 설치된 접속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접속부의 내공간 안쪽에는,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식별카드나 센싱기능을 가진 태그(25)가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식별카드 혹은 태그는, 연결부를 통해 플러그로 흐르는 전원을 감지하여 부하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중인지 혹은 사용정지중인지 감지하는 한편,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일 때에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전원감지부가 사용정지중일 때 생성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알리도록 지시하는 차단제어부와,
    상기 차단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식별정보 혹은 감지신호를 홈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중이라는 사실을 홈서버로 알리는 송신부를 형성하여,
    각각의 전기제품의 플러그에 식별카드 혹은 태그가 장착된 어댑터를 장착하기만 하면, 해당 전기제품이 사용정지 중이라는 사실을 홈서버에 알려 단속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각각의 어댑터 혹은 각각의 태그나 식별카드로부터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부에 인가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식별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어떠한 전기제품인지 혹은 어떠한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해당 전기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해당 전기제품이 또는 해당 전원공급라인이 사용정지중임을 표출부를 통해 알려주는 한편, 인가된 ON/OFF 제어명령에 따라 다수개의 전원공급라인 중 해당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정해진 사용자의 스마트폰인지 확인하고 ON/OFF 명령을 전달받는 통신부와,
    각 어댑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서 스마트폰이 접속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이 등록된 스마트폰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 정보 혹은 스마트폰의 고유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허가받은 등록자만이 홈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홈서버와 접속연결이 이루어졌을 경우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호출하여 아이콘화된 상태로 혹은 리스트화된 상태로 안내받을 수 있고, 더불어 안내받은 리스트 중에서 혹은 아이콘들 중에 특정 아이콘이나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홈서버에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도록 지시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전력전선통신(PLC)통신을 통해 유선으로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과전류나 이상전류 발생으로 인한 손상을 입지 않토록 다수개의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있는 분전반이나 누전차단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인가된 ON/OFF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분전반이나 누전차단부를 ON/OFF 단속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특정버튼을 선택하여 동작하였을 때 입력된 사실과 동작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출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입출력모듈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선택된 명령에 따라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구동토록 하고, 더불어 상기 홈서버와 접속연결이 이루어졌을 때 각각의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호출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호출모듈과,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어댑터 혹은 식별카드나 태그의 QR코드나 바코드 등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통해 어댑터 또는 식별카드 혹은 태그의 QR코드나 바코드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촬영된 영상정보 중 불필요한 영상정보를 제거하고 필요한 QR코드 혹은 바코드의 영상정보만을 분리 추출하여 획득하는 영상정보획득모듈과,
    상기 영상정보획득모듈을 통해 획득한 QR코드 혹은 바코드의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인식하는 식별정보인식모듈과,
    스크린상에 구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호출모듈을 구동시켜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을 구동토록 하고, 더불어 해당 전기제품의 사용정보(사용상태)를 홈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입출력모듈을 통해 정해진 폼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혹은 아이콘화하여 표출토록 하는 한편, 구동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식별정보인식모듈을 통해 확인된 QR코드 혹은 바코드 혹은 태그의 정보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홈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지시하며, 다수개의 아이콘 중 혹은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지정된 홈서버로 혹은 등록서버를 통해 홈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토록 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전원관리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게 되면 지정된 홈서버로 혹은 등록서버로 접속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러그 어댑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96603A 2010-10-05 2010-10-05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KR10174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03A KR101746223B1 (ko) 2010-10-05 2010-10-05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03A KR101746223B1 (ko) 2010-10-05 2010-10-05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253A KR20120138253A (ko) 2012-12-26
KR101746223B1 true KR101746223B1 (ko) 2017-06-12

Family

ID=4790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603A KR101746223B1 (ko) 2010-10-05 2010-10-05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547B1 (ko) 2013-06-12 2020-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2132245B1 (ko) 2014-03-19 2020-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63666A (ko) 2014-11-27 2016-06-07 (주)메이딧 스마트플러그 인증 및 등록 방법
KR101722696B1 (ko) * 2015-03-19 2017-04-1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00404B1 (ko) * 2015-03-19 2017-01-3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
TR201712927A2 (tr) * 2017-08-29 2017-09-21 Sueleyman Hilmi Yilmaz Akıllı Fiş-Priz Sistemi
CN110597142A (zh) * 2019-09-27 2019-12-20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安全测试控制***
KR102195042B1 (ko) * 2020-01-30 2020-12-28 주식회사 코보시스 네트워크를 통해 콘센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콘센트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콘센트 원격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075A (ja) * 2007-04-24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ウトレット、プラグ、アウトレットアダプタ、プラグアダプ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075A (ja) * 2007-04-24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ウトレット、プラグ、アウトレットアダプタ、プラグアダプ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253A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223B1 (ko)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어댑터
US6583719B2 (en) Setting apparatus and setting method each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in electric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927337B1 (ko) Rfid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KR101877913B1 (ko) 전기기기를 자동 감지하는 전원 콘센트, 이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71769B1 (ko)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가전 제품
CN102804548B (zh) 公共电源***
US20140088779A1 (en) Smart power strip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EP2278434A2 (en) Power suppl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JP2010114967A (ja) 電力使用量送信装置、電力使用量管理方法、電力使用量管理システム
US20150222497A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and server
KR101239526B1 (ko)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JP2010097390A (ja) データ書換システム
KR100440210B1 (ko) 온도 감지 및 감응형 전원접속구 및 스위치
KR102109906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nfc 통신 시스템
JP2012039695A (ja) 接続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801808B1 (ko)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06701B1 (ko) 복수의 콘센트 입력구를 구비한 전력절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KR100634448B1 (ko) 원격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8134277B (zh) 一种智能防盗插座***及控制方法
JP403043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型電気機器、通信アダプタ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KR200231921Y1 (ko)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
KR20120102891A (ko) 댁내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5113A (ko)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홈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10960B1 (ko)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