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469B1 -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69B1
KR101733469B1 KR1020150146527A KR20150146527A KR101733469B1 KR 101733469 B1 KR101733469 B1 KR 101733469B1 KR 1020150146527 A KR1020150146527 A KR 1020150146527A KR 20150146527 A KR20150146527 A KR 20150146527A KR 101733469 B1 KR101733469 B1 KR 10173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area
unit
smart switch
sensor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837A (ko
Inventor
김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to KR102015014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0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05B37/0227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구역에 설치되고,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00)가 내장된 스마트 스위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Smart switch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구역에 설치되는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으로,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내장된 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들을 상이하게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형광등, 백열등, 3파장 광원등 등과 같은 실내 조명 또는 전등(입실등)은 입실자가 출입문 근처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수동으로 점멸된다.
이러한 전등이 실내의 중앙부위 천정에 설치되고, 이에 소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전선이 연결되는데, 특정 실내를 기준으로 외부로부터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는 부위를 전원공급원이라 할 때, 상기 전원공급원과 상기 전등 사이에 상기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상기 전등에 전원공급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점멸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에 입실한 사람이 어두운 실내의 조도를 높이려고 하면,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 근처의 상기 전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점등한다.
이러한 수동조작의 형태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는 전등 자동점멸장치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아파트 및 빌라 계단, 공동화장실, 학교 등과 같이 특정 개인의 실내 거주장소와는 달리 불특정 다수인의 출입이 잦으면서도, 수동조작을 통해 점등하는 스위치의 설치가 오히려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로 이어지는 곳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점멸장치는 일정한 동작 감지 센서 및 이에 결부되어 타이머 및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출입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전등을 자동으로 점멸할 수 있다.
허나, 이러한 자동점멸장치의 경우, 입실자가 계속적으로 입실상태를 유지하더라고 상기 점멸장치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한정된 시간동안만 점등되고 이 후 점멸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으며,
입실자가 계속적인 점등을 소망할 경우, 동작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포착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반경 이상 과장된 움직임을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내장된 센서부에 다양한 센서(동체 감지 센서 및 카운트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설정구역 내에 입실, 퇴실 움직임 신호와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앞서서 언급한 종래의 조명등에 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스위치와 연계할 경우, 사용자가 조명등을 교체할 시, 스위치까지 전면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08-0064393호("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자동 점등하는 일괄제어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외출 전 상태의 점등상태로 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하도록 하는 일괄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64393호(공개일자 2008.07.0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구역에 설치되는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으로,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내장된 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들을 상이하게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되고,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00)가 내장된 스마트 스위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1 전등 버튼부(210),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콘센트 버튼부(220) 및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수동 버튼부(230) 를 형성하되, 각각의 버튼부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00)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상기 센서부(100)에서의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상기 센서부(100)에서의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형성하되,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에 의해 감지되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 및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입실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카운트 센서로부터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각 버튼부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3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4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 및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되는 스마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으로,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스마트 스위치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센싱 정보를 상이하게 이용하여, 스마트 스위치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설정구역 내의 스마트 스위치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하는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센서로 동체 감지 센서(특히, PIR 센서)를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카운트 센서와 동체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어, 센서들을 통해서 생성된 신호 또는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정구역 중 특별 관리를 위한 특정 공간(화장실 등)을 지정할 경우, 노약자나 아동들이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입실 움직임과 퇴실 움직임의 분석, 공간 내 움직임의 분석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는, 재난 발생시 설정구역의 입실 움직임 정보와 퇴실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각 장소 또는 각 공간에 남아있는 인원수를 정확히 카운팅하여 효과적인 인명 구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스위치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된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된 센서(100)를 이용하여, 스마트 스위치(10)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센서(100)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ㅈ보를 상이하게 이용하여, 연계되어 있는 설정구역 내의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위치(10)와 스마트 스위치에 내장된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는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각각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동체 감지 센서는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초음파 센서,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PIR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정확도가 높아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00)가 동체 감지 센서(특히, PIR 센서)를 단독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에 의해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와 더불어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는 사용자의 입/퇴실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문틀 등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00)가 동체 감지 센서(특히, PIR 센서)와 카운트 센서로 구성될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입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면서 상기 센서부(100)의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카운트 센서로부터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0)는 동체 감지 센서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동체 감지 센서 및 카운트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 감지 센서 단독으로 구성될 경우, 동체 감지 센서는 스마트 스위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체 감지 센서 및 카운트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 동체 감지 센서는 스마트 스위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트 센서는 스마트 스위치의 일측면(가로방향) 모두에 형성되거나, 좌측면 또는 우측면(가로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서 모든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조명수단을 점멸하여 자동 절전 모드로서, 전기수단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 방재 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설정구역에서 사용자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잠든 것으로 가정하여, 조명수단을 점멸하여 자동 절전 모드로, 전기수단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 방재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최초 동작 시, 상기 센서부(100)가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이 없을 경우, 상술한 상기 센서부(1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 제어부(200)에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자동 제어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설정구역의 추가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 이상의 스위치 조작 없이 용이하게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효율적인 절전 및 방재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설정구역에서 최초 사용자가 입실할 경우, 조명수단을 점등하고 전기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설정구역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을 경우에, 조명수단을 점등하고 전기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명수단 자체에 동체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조명수단을 교체할 시 동체 감지 센서까지 같이 교체하거나, 동체 감지 센서가 포함된 조명수단으로만 교체가 가능하여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교체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할 필요가 없어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버튼부들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각 상이하게 생성하게 된다.
- 제 1 전등 버튼부(21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최초에 설정되어 있던 조명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에서 수동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자연광이 있는 낮의 경우에는 굳이 조명수단을 통한 광이 없어도 충분히 설정구역이 밝기 때문에, 불필요한 조명수단의 점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즉,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로의 재전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가 수동 제어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자동 제어 모드로 유지하거나, 현재의 동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자동 제어 모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 모드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자연광이 있는 낮의 경우에는 굳이 조명수단을 통한 광이 없어도 충분히 설정구역이 밝기 때문에, 조명수단의 점등은 필요치 않지만, 선풍기나 TV 등의 전기수단의 동작은 사용자의 이용 여부에 따라서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어 있지만,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상기 센서부(100)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와 무관하게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된다.
예를 들자면, 취침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잠결 뒤척임으로 인해 조명수단의 자동 점등은 원치 않지만, 전기장판이나 선풍기 등의 전기수단의 동작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켜져있거나 꺼져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어 있고,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 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 콘센트 버튼부(22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최초에 설정되어 있던 전기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에서 수동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 후,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즉,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자동 제어 모드로의 재전환을 의미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가 수동 제어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자동 제어 모드로 유지하거나, 현재의 동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자동 제어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 모드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지만,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센서부(100)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와 무관하게 현재 상태로 강제 제어된다.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되고,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 후,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 및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 모두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 수동 버튼부(230)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수동 버튼부(230)를 터치할 경우, 더 이상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의 자동 제어 모드를 사용을 원치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게 된다.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비활성화 상태로 인해 자동 제어 모드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 1 조명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및 제 2 조명 버튼부(240)로부터 외부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수동 제어하게 된다.
이 후, 자동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원할 경우, 반드시 상기 수동 버튼부(230)를 재터치하여 외부 신호를 재입력해야 한다.
이 때, 상기 수동 버튼부(230)는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동작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시간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초 이상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수동 버튼부(230)는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수동 제어를 위함으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센서부(100)가 비활성화된 이후,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또는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사용자의 터치 동작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직관적으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또는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자동 제어 시스템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등이 직관적으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 제 2 전등 버튼부(240)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는 반자동 버튼부로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은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는 비상등이나 수면등 등의 필요에 따라 점등을 하는 조명수단에 연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최초 외부 신호가 입력된 후, 외부 신호가 재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반자동 버튼부라고 칭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 콘센트 버튼부(220), 수동 버튼부(230) 및 제 2 전등 버튼부(240)의 각 버튼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300)이 각 버튼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의 구성에 따라 각 버튼부 자체가 발광하도록 각 버튼부와 표시 수단이 결합되거나, 표시 수단이 스마트 스위치의 한편에 모여서 발광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와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수단(400)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각종 정보와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들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의 요청, 즉,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스마트 스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버튼부의 조작을 통해 내장된 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들을 상이하게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 스위치
100 : 센서부
200 : 통합 제어부
210 : 제 1 전등 버튼부 220 : 콘센트 버튼부
230 : 수동 버튼부 240 : 제 2 전등 버튼부
300 : 표시 수단
400 : 무선통신수단

Claims (14)

  1. 설정구역에 설치되고,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00)가 내장된 스마트 스위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상기 센서부(100) 및 통합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콘센트 버튼부(220)와,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수동 버튼부(230)를 형성하며,
    각각의 버튼부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00)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20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며,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의 가로방향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가로방향 좌측면 또는 가로방향 우측면에 형성되어,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입실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카운트 센서로부터 퇴실 움직임이 감지되어 동체의 카운트를 -1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동체 감지 센서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동체 움직임 정보가 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자동 제어하되,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거나,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고,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거나,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시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센트 버튼부(22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의 동작 상태를 활성화시켜 설정구역의 움직임 정보 감지 여부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수동 버튼부(23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상기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등 버튼부(240);를 형성하되,
    상기 통합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수동 제어하고,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로 외부 신호가 재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수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등 버튼부(21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과 상기 제 2 전등 버튼부(240)와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각 버튼부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수단(300);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스위치(10)에 내장되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4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4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서 센싱된 움직임 정보 및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20150146527A 2015-10-21 2015-10-21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173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27A KR101733469B1 (ko) 2015-10-21 2015-10-21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27A KR101733469B1 (ko) 2015-10-21 2015-10-21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37A KR20170046837A (ko) 2017-05-04
KR101733469B1 true KR101733469B1 (ko) 2017-05-25

Family

ID=5874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527A KR101733469B1 (ko) 2015-10-21 2015-10-21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83A (ko)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보탬 동체 방향 인식을 이용한 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6234A (ko)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보탬 환경 제어 시스템
KR20230044684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보탬 조명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224B1 (ko) * 2019-09-02 2021-07-14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3Y1 (ko) * 2013-05-03 2013-10-04 주식회사 엠알엔지니어링 다기능 스위치장치
JP2015065080A (ja) * 2013-09-25 2015-04-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3Y1 (ko) * 2013-05-03 2013-10-04 주식회사 엠알엔지니어링 다기능 스위치장치
JP2015065080A (ja) * 2013-09-25 2015-04-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83A (ko)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보탬 동체 방향 인식을 이용한 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6234A (ko)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보탬 환경 제어 시스템
KR20230044684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보탬 조명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37A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372B2 (en) Occupancy sensor with dimmer feature and night light and method of lighting control using the same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EP1982565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2007520046A (ja) 自動節電スィッチ
EP2668825B1 (en) Lighting system
JP3823648B2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器具
RU93612U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енсор движения для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й системы осв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80085710A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KR20160141120A (ko)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동작감지형 무선조명제어방법
KR100778931B1 (ko) 유아, 장애인용 자동조명스위치
JP2013026073A (ja) 照明装置
TW201436640A (zh) 開關系統及使用於該開關系統之牆壁開關
JP200507187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JP2006269407A (ja) 2線式負荷制御装置
KR101508534B1 (ko) 화장실 조명 장치 및 방법
JP4406826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60136490A (ko)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
JP3224376U (ja) ランプの制御回路
KR101840333B1 (ko) 밝기 조절이 가능한 센서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100233A (ko) 비상등 겸용 센서등
KR20140112993A (ko) 밝기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KR20070057104A (ko) 자동 전등 제어 방법
JP3080028U (ja) 非常照明燈
WO2011081565A2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енсор движения для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й системы осв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