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502B1 - 착용의자 - Google Patents

착용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502B1
KR101727502B1 KR1020150135165A KR20150135165A KR101727502B1 KR 101727502 B1 KR101727502 B1 KR 101727502B1 KR 1020150135165 A KR1020150135165 A KR 1020150135165A KR 20150135165 A KR20150135165 A KR 20150135165A KR 101727502 B1 KR101727502 B1 KR 10172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pper frame
thigh
connection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894A (ko
Inventor
김정민
이재형
이태일
김범수
최민석
안준상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착용의자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허벅지 뒤쪽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착용자의 장딴지와 발목 부위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밴드를 통해 허벅지에 착용되는 허벅지 착용판;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밴드를 통해 장딴지 부위 또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는 다리 착용판;을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무릎을 굽히고 낮은 자세로 작업하는 작업자의 하체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착용의자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착용의자 {WEARABLE CHAIR}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상부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생산현장에서 일하는 일부 작업자의 경우 부품을 조립하거나 기계장치 등을 수리할 때에 의자에 앉거나 선 상태로 작업하기 어려운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가 있게 된다.
상기의 경우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자세를 낮추고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작업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그에 따라 충분한 휴식을 보장해주어야 하므로 작업성,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불편한 자세로 무리한 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작업자의 신체에 많은 무리가 따르게 되어 부상의 우려가 많게 된다.
이에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의자가 다수 제안되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의자가 결합된 바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의자가 결합된 바지는 착용자의 다리와 엉덩이가 삽입되는 바지부와; 바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이동시 바지부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엉덩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의자부를 포함하며, 의자부는, 착석시 상기 엉덩이가 안착되는 엉덩이지지판과; 상기 엉덩이지지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착용자의 양쪽 다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레그 및 하부레그와; 엉덩이지지판에 대해 상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관절과; 상부레그에 대해 하부레그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레그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레그의 상단부에는 제2관절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되며 서로 접촉지지되어 착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웨어러블 체어(Wearable Chair)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웨어러블 체어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부프레임의 상단에 좌판이 마련된 형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4117호 (2013년 12월 23일 공고)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4,138,156호 (1979년 02월 06일 공고)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착용의자 중에서 특허문헌 1의 의자가 결합된 바지는 엉덩이지지판과 상부레그, 하부레그가 내장된 바지부를 입거나 벗기가 매우 불편하게 되게 되고, 착용과정에서 바지부의 손상이 유발될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웨어러블 체어는 다리에 직접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하기는 하지만 구성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롭게 되고, 사용과정에서 고장의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착용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간편하게 작은 부피로 접어서 용이하게 운반 및 적재,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사용과정에서 고장의 우려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착용자의 허벅지 뒤쪽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착용자의 장딴지와 발목 부위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밴드를 통해 허벅지에 착용되는 허벅지 착용판;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밴드를 통해 장딴지 부위 또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는 다리 착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좌측 상부프레임과 우측 상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상부프레임이 하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허벅지 접촉부; 허벅지 접촉부의 상부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착용판 지지부; 허벅지 접촉부의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 접속부;를 포함하고, 하부프레임이 장딴지 접촉부; 장딴지 접촉부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프레임 접속부; 상부프레임 접속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프레임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받침 접속부와 상부프레임 접속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접속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는 착용의자는 연결프레임의 중앙 파지부의 좌측에 좌측 상부프레임이 연결되는 좌측 연결부가 마련되고, 중앙 파지부의 우측에 우측 상부프레임이 연결되는 우측 연결부가 마련되고, 각 연결부가 해당 상부프레임의 받침판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고, 좌측 연결부와 우측 연결부의 나사체결방향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다리 착용판이 하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장딴지 착용부; 연결부를 통해 장딴지 착용부와 연결되는 발목 착용부;를 포함하고, 다리 착용판의 장딴지 착용부의 양측 및 발목 착용부의 양측에 착용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접속되는 착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착지프레임이 클램프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착지고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는 일체형 허벅지 받침판을 사용하여 좌측 상부프레임과 우측 상부프레임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에 의하면, 무릎을 굽히고 낮은 자세로 작업하는 작업자의 하체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에 의하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좌판을 포함하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에 의하면,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으로 접을 경우 작은 부피로 만들 수 있게 되므로 휴대 및 운반, 보관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의자에 의하면, 고장의 우려 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의자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정면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착용상태의 배면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착용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착용 폭 조절상태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개별 착용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착용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착용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20), 연결프레임(130), 허벅지 착용판(140), 다리 착용판(150)을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10)은 착용자의 허벅지 뒤쪽 부위를 지지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하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허벅지 접촉부(111); 허벅지 접촉부(111)의 상부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착용판 지지부(112); 허벅지 접촉부(111)의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 접속부(11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착용판 지지부(112)가 형성되는 허벅지 접촉부(111)의 내측은 착용자의 신체 중앙 쪽을 의미한다.
하부프레임(120)은 착용자의 장딴지와 발목 부위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1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장딴지 접촉부(121); 장딴지 접촉부(121)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프레임 접속부(122); 상부프레임 접속부(12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프레임 받침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은 받침 접속부(113)와 상부프레임 접속부(122)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접속핀(1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연결프레임(130)은 한 쌍의 상부프레임(11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중앙 파지부(131)의 좌측에 좌측 상부프레임(110)이 연결되는 좌측 연결부(132)가 마련되고, 중앙 파지부(131)의 우측에 우측 상부프레임(110)이 연결되는 우측 연결부(133)가 마련된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착용 폭 조절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연결프레임(130)은 원형 봉의 형태를 가지고, 연결프레임(130)의 각 연결부(132)(133)는 해당 상부프레임(110)의 받침판 지지부(112)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좌측 연결부(132)와 우측 연결부(133)의 나사체결방향이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좌측 연결부(132)가 왼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면 우측 연결부(133)는 오른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양 상부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연결프레임(13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 상부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상부프레임(1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허벅지 착용판(140)은 엉덩이 바로 밑의 허벅지 위쪽에 착용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110)의 착용판 지지부(11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허벅지 착용판(140)의 양측에는 착용밴드(141)가 설치된다.
다리 착용판(150)은 다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다리 착용판(150)는 하부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는 장딴지 착용부(150a); 연결부(150b)를 통해 장딴지 착용부(150a)와 연결되는 발목 착용부(150c);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 착용판(150)의 장딴지 착용부(150a)의 양측 및 발목 착용부(150c)의 양측에는 착용밴드(151)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에 있어서 허벅지 착용판(140)의 착용밴드(141) 및 다리 착용판(150)의 착용밴드(151)는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의 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착용밴드(141)(151)는 벨크로 테이프가 아닌 버클 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접속되는 착지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상기 착지프레임(160)은 클램프(161)를 통해 하부프레임(120)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착지고무(16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따른 착용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착지부재(160)를 승강 가능하게 접속하여 착지길이를 조절하는 형태는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착지프레임(150)은 하부프레임(120)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한 쌍의 허벅지 착용판(140)과 한 쌍의 다리 착용판(150)을 통해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무릎을 살짝 구부린 상태에서 허벅지 착용판(140)과 다리 착용판(150)의 장딴지 착용부(150a)에 허벅지 위쪽 부분과 장딴지 부위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용밴드(141)(151)를 허벅지 부위와 장딴지 부위, 발목 부위에 고정하여 신체에 착용한다.
상기 착용의자(100)의 착용상태에서는 허벅지 부위의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이 전달되는 상부프레임(110)이 하부프레임(120)에 지지되고, 하부프레임(120)의 하단부에 설치된 착지프레임(160)의 착지고무(162)가 바닥면에 닿게 되므로 착용자의 하중이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 착지프레임(160)을 통해 바닥면으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착용자는 무릎이나 허벅지 등의 무리가 가지 않는 안정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사용을 마친 착용의자(100)를 벗을 때에는 착용밴드(141)(151)만을 풀게 되면 간편하게 신체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도 4와 같이 상부프레임(110)을 하부프레임(120)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은 부피로 접어서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도 5와 같이 연결프레임(130)을 통해 양 상부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힐 수 있게 되므로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착용 폭을 조절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개별 착용상태의 배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좌측 상부프레임(110)과 우측 상부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을 분리하게 되면 착용의자(100)의 좌측 부위와 우측 부위를 좌측 다리 및 우측 다리에 개별적으로 착용할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전술한 실시 예의 연결프레임(130)을 사용하지 않고, 일체형 허벅지 받침판(140)을 사용하여 좌측 상부프레임(110)과 우측 상부프레임(110)을 연결한 형태이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일체형 허벅지 받침판(140)의 양측에 마련된 착용밴드(141)를 통해 양 허벅지를 한꺼번에 감싸서 착용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착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의자(100)는 체형에 맞추어 양 상부프레임(110)의 폭을 조절하는 기능은 없지만 전술한 실시 예에 비해 제작성이 좋게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착용의자
110 : 상부프레임
120 : 하부프레임
130 : 연결프레임
140 : 허벅지 착용판
150 : 다리 착용판
160 : 착지프레임

Claims (8)

  1. 착용자의 허벅지 뒤쪽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착용자의 장딴지와 발목 부위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20);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밴드(141)를 통해 허벅지에 착용되는 허벅지 착용판(140);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밴드(151)를 통해 장딴지 부위 또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는 다리 착용판(150);을 포함하고,
    상부프레임(110)은
    하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허벅지 접촉부(111);
    허벅지 접촉부(111)의 상부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착용판 지지부(112);
    허벅지 접촉부(111)의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 접속부(113);를 포함하고,
    하부프레임(120)은
    장딴지 접촉부(121);
    장딴지 접촉부(121)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프레임 접속부(122);
    상부프레임 접속부(12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프레임 받침부(123);를 포함하고,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은 받침 접속부(113)와 상부프레임 접속부(122)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접속핀(1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상부프레임(110)과 우측 상부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중앙 파지부(131)의 좌측에 좌측 상부프레임(110)이 연결되는 좌측 연결부(132)가 마련되고, 중앙 파지부(131)의 우측에 우측 상부프레임(110)이 연결되는 우측 연결부(133)가 마련되고,
    연결프레임(130)의 각 연결부(132)(133)는 해당 상부프레임(110)의 착용판 지지부(112)에 나사 결합되고, 좌측 연결부(132)와 우측 연결부(133)의 나사체결방향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다리 착용판(150)는
    하부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는 장딴지 착용부(150a);
    연결부(150b)를 통해 장딴지 착용부(150a)와 연결되는 발목 착용부(150c);를 포함하고,
    다리 착용판(150)의 장딴지 착용부(150a)의 양측 및 발목 착용부(150c)의 양측에 착용밴드(15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12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접속되는 착지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프레임(160)은 클램프(161)를 통해 하부프레임(120)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착지고무(16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허벅지 받침판(140)을 사용하여 좌측 상부프레임(110)과 우측 상부프레임(110)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의자.
KR1020150135165A 2015-09-24 2015-09-24 착용의자 KR10172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65A KR101727502B1 (ko) 2015-09-24 2015-09-24 착용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65A KR101727502B1 (ko) 2015-09-24 2015-09-24 착용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894A KR20170036894A (ko) 2017-04-04
KR101727502B1 true KR101727502B1 (ko) 2017-05-04

Family

ID=5858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165A KR101727502B1 (ko) 2015-09-24 2015-09-24 착용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2631A (zh) * 2017-08-17 2018-02-16 杭州壕车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定位式外骨骼座椅
CN107744277A (zh) * 2017-08-17 2018-03-02 杭州壕车科技有限公司 一种缸撑式外骨骼座椅
KR102171644B1 (ko) * 2018-06-21 2020-10-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착석용 보조장치
CN109009892B (zh) * 2018-08-27 2023-09-29 华中科技大学 一种可穿戴式智能外骨骼座椅装置
KR102588952B1 (ko) 2018-11-02 2023-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러스 구조를 갖는 착용식 의자
KR102603039B1 (ko) 2018-11-20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절 링크 구조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KR102565354B1 (ko) 2018-11-22 202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차단 스위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117B1 (ko) * 2013-07-04 2013-12-23 김형준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156A (en) 1977-09-06 1979-02-06 Bonner Darcy R Wearable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117B1 (ko) * 2013-07-04 2013-12-23 김형준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894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02B1 (ko) 착용의자
US10166679B2 (en) Movement assistance device
CA2589815C (en) Tights
JP5887671B2 (ja) 前屈作業補助用具
US20150135395A1 (en) Garment retaining apparatus
US20150272233A1 (en) Clothing having posture correcting device
KR20160125856A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CN103355747B (zh) 姿势修整衣服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12985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16683B1 (ko) 작업용 의자
KR20180028422A (ko) 작업용 의자
KR101383763B1 (ko)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JP2017225505A (ja) 装着具一体型下衣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476283Y1 (ko) 접이식 쇼파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20041999A (ko) 작업 보조용 목받침
KR101543191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WO2024004612A1 (ja) 動作補助装置
JP2020192040A (ja) 体重支持装置
JP3242074U (ja) 作業支援スーツ
CN211163927U (zh) 行走支撑装置
KR102654325B1 (ko)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